KR101159510B1 - 어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510B1
KR101159510B1 KR1020120003317A KR20120003317A KR101159510B1 KR 101159510 B1 KR101159510 B1 KR 101159510B1 KR 1020120003317 A KR1020120003317 A KR 1020120003317A KR 20120003317 A KR20120003317 A KR 20120003317A KR 101159510 B1 KR101159510 B1 KR 10115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fishing
information
battery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
Original Assignee
삼영이엔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이엔씨 (주) filed Critical 삼영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12000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510B1/ko
Priority to PCT/KR2012/003172 priority patent/WO2013105706A1/ko
Priority to JP2012107184A priority patent/JP563443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망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로 부터 어망의 위치정보, 식별자(identifier) 및 배터리(battery)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어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어망(110)에 설치되어,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여 원격의 선박(180)이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180)은,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하는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전자해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해도 저장부(135); 및
상기 전자해도 저장부(135)에 저장된 전자해도정보 및 상기 어망정보 수신장치(120)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전자해도상에 상기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상기 선박(180)의 위치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을 표시하는 어망관리 장치(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망(110)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 부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어망(110)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어망(110)을 찾는 시간이 짧아지며 적은 연료 및 인적자원이 소요되고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망관리 시스템{Fishing ne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어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망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로 부터 어망의 위치정보, 식별자(identifier) 및 배터리(battery)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어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어망추적 기술을 보면, 전파방향 탐지기(RDF)를 사용하여 탐색 대상 어망에 설치된 신호 송출을 위한 주파수 출력장치가 기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특정 주파수의 방향을 탐지해서 해당 어망을 찾아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파방향 탐지기가 어망에 설치된 주파수 출력장치가 출력하는 특정 주파수의 방향만을 탐지해서 해당 어망을 찾아내기 때문에, 어망을 찾아내기 까지 많은 시간, 연료, 인력자원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어망에 설치되어 중단파(MF/HF)대역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기존의 주파수 출력장치는 비교적 안테나가 매우 길고 소비전력이 높아 주파수 출력장치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의 용량도 크게 함에 따라 전체 장비의 유지 및 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망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로 부터 어망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어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어망(110)에 설치되어,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여 원격의 선박(180)이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180)은,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하는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전자해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해도 저장부(135); 및
상기 전자해도 저장부(135)에 저장된 전자해도정보 및 상기 어망정보 수신장치(120)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전자해도상에 상기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상기 선박(180)의 위치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을 표시하는 어망관리 장치(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와 상기 선박(180) 간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극초단파(UHF) 또는 초단파(VH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는,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101);
상기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모뎀(102);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잔량 검출부(106); 및
상기 GPS 수신부(101) 및 상기 배터리잔량 검출부(106)에 접속되어,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상기 무선 모뎀(102)을 통해 송출하는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는 상기 선박(180)이 상기 어망(110)의 식별자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무선 모뎀(102)이 송출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암호화 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정보 수신장치(120)는,
상기 안테나(122)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모뎀(121);
상기 무선 모뎀(121)을 통해 상기 어망(110)을 식별자를 사용하여 호출하고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수신하는 어망정보 수신부(123); 및
상기 어망정보 수신부(123)와 외부 신호단을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외부 인터페이스(1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망관리 장치(130)는,
상기 선박(180)에 설치된 GPS 수신부(132);
상기 GPS 수신부(132),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126) 및 상기 전자해도 저장부(135)와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각각 인터페이스 하여 전자해도상의 상기 어망(110)의 위치 및 상기 선박(180)의 위치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137); 및
상기 좌표 계산부(137)의 계산에 따라 전자해도상에 상기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선박(180)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을 별도로 표시하는 표시부(1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103) 및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를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0)은,
보호캡(cap)(151)이 상기 안테나(103)에 씌워지고, 개구부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155)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밀폐된 하부 케이스(154)가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안쪽의 둘레에 나사골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식 잠금장치(156)가 상기 상부 케이스(155)의 테두리 및 외주를 덮으면서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상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나사골이 회전에 의해 근접되거나 맞닿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155)가 상기 하부 케이스(154)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54) 내에 상기 배터리(105)가 안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55)의 하단에 보호판(164)이 결합되며, 상기 보호판(164)의 상측에 상기 GPS 수신부(101), 무선 모뎀(102),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 및 배터리잔량 검출부(106)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63)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캡(151)의 하부 바깥쪽의 둘레에 반사 테이프(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54) 내에 무게중심 조절추(166)가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200)이 물에 서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상부 외주에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가 간격을 두고 각각 외삽고정되며, 고리 형상의 부력재(152)가 상기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 사이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외주에 외삽되어 상기 하우징(200)이 물에 수직하게 떠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55)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방수패킹(1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55)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제1, 제2 패킹(159, 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망(110)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 부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어망(110)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어망(110)을 찾는 시간이 짧아지며 적은 연료 및 인적자원이 소요되고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와 선박(180) 간의 무선통신에 극초단파 또는 초단파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 단파를 공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103, 122)가 짧아지며, 무선 모뎀(102)은 어망(110)의 식별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만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송출하기 때문에 무선 모뎀(102)의 소비전력이 낮아져 이 무선 모뎀(102)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의 용량도 작아짐에 따라 어망(110)에 구비되는 전체 장비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하락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망정보 송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망정보 수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어망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및 어망정보 송신장치를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안테나(103), 어망(110) 및 선박(180)으로 구성된다. 선박(180)은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안테나(122), 어망관리 장치(130) 및 전자해도 저장부(13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망정보 수신장치(12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어망관리 장치(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103) 및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를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2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200)의 평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먼저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는 어망(110)에 설치되어,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여 원격의 선박(180)이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한다. 이때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내의 무선 모뎀(102)과 선박(180) 내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내의 무선 모뎀(121) 간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극초단파(UHF) 또는 초단파(VHF)이다.
이와 같은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내의 GPS 수신부(101)는 어망(110)에 설치되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여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로 제공한다. 현재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을 널리 쓰고 있다.
무선 모뎀(102)은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배터리잔량 검출부(106)는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을 검출하여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로 제공한다.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는 GPS 수신부(101) 및 배터리잔량 검출부(106)에 접속되어,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무선 모뎀(102)을 통해 송출하여 선박(180)이 수신하도록 한다. 이때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는 선박(180)이 무선 모뎀(102)을 통해 어망(110)의 식별자를 호출하는 경우 무선 모뎀(102)이 송출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가 무선 모뎀(102)을 통해 수신되지 않을 때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암호화 하여 송출한다.
이와 같이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가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암호화 하여 송출하는 경우 선박(180) 내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내의 어망정보 수신부(123)는 무선 모뎀(121)을 통해 수신된 암호화된 정보를 암호화 되기 이전의 정보로 복구한다.
선박(180) 내의 어망정보 수신장치(120)는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하여 어망관리 장치(130)로 제공한다.
전자해도 저장부(135)는 전자해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전자해도정보는 전자해도 간이시스템(ECS)에서 사용되는 전자해도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망관리 장치(130)는 전자해도 저장부(135)에 저장된 전자해도정보 및 어망정보 수신장치(120)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선박(180)의 위치 및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어망정보 수신장치(120)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무선 모뎀(121)은 안테나(122)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어망정보 수신부(123)는 무선 모뎀(121)을 통해 어망(110)을 식별자를 사용하여 호출하고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수신한다.
외부 인터페이스(126)는 어망정보 수신부(123)와 외부 신호단을 인터페이스 시켜준다.
또한, 어망관리 장치(130)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GPS 수신부(132)는 선박(180)에 설치되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여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좌표 계산부(137)로 제공한다.
좌표 계산부(137)는 GPS 수신부(132), 외부 인터페이스(126) 및 전자해도 저장부(135)와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각각 인터페이스 하여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및 선박(180)의 위치를 계산한다.
표시부(136)는 좌표 계산부(137)의 계산에 따라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선박(180)의 위치를 표시하고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을 별도로 표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안테나(103) 및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를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20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호캡(151)은 안테나(103)에 씌워지고, 개구부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155)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밀폐된 하부 케이스(154)가 결합된다. 이때 보호캡(151)의 하부 바깥쪽의 둘레에 반사 테이프(150)를 형성하여 야간에 선박(180)의 불빛 등이 반사되어 하우징(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155)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방수패킹(157)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55)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제1, 제2 패킹(159, 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 및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안쪽의 둘레에 나사골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식 잠금장치(156)가 상부 케이스(155)의 테두리 및 외주를 덮으면서 하부 케이스(154)의 상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나사골이 회전에 의해 근접되거나 맞닿게 됨에 따라 상부 케이스(155)가 하부 케이스(154)에 밀착 결합된다.
하부 케이스(154) 내에 배터리(105)가 안착되고 상부 케이스(155)의 하단에 보호판(164)이 결합되며, 보호판(164)의 상측에 GPS 수신부(101), 무선 모뎀(102),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 및 배터리잔량 검출부(106)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63)이 안착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63)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165)와 안테나(103)의 하단 사이에 1차, 2차 패킹(158, 161)이 적층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63)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165)는 안테나(103)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스위치 패킹(162)은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의 외주 등에 사용된다.
하부 케이스(154) 내에 무게중심 조절추(166)가 안착되어 하우징(200)이 물에 서있도록 하고 하부 케이스(154)의 상부 외주에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가 간격을 두고 각각 외삽고정되며, 고리 형상의 부력재(152)가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 사이에서 하부 케이스(154)의 외주에 외삽되어 하우징(200)이 물에 수직하게 떠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망(110)에 설치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 부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잔량의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받아 화면의 전자해도상에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어망(110)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어망(110)을 찾는 시간이 짧아지며 적은 연료 및 인적자원이 소요되고 어망(110)의 배터리잔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망정보 송신장치(100)와 선박(180) 간의 무선통신에 극초단파 또는 초단파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 단파를 공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103, 122)가 짧아지며, 무선 모뎀(102)은 어망(110)의 식별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만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송출하기 때문에 무선 모뎀(102)의 소비전력이 낮아져 이 무선 모뎀(102)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의 용량도 작아짐에 따라 어망(110)에 구비되는 전체 장비의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하락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어망정보 송신장치
101, 132: GPS 수신부
102, 121: 무선 모뎀
103, 122: 안테나
104: 어망정보 송신제어부
105: 배터리
106: 배터리잔량 검출부
110: 어망
120: 어망정보 수신장치
123: 어망정보 수신부
126: 외부 인터페이스
130: 어망관리 장치
134: 인터페이스
135: 전자해도 저장부
136: 표시부
137: 좌표 계산부
180: 선박

Claims (11)

  1. 어망(110)에 설치되어,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여 원격의 선박(180)이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어망정보 송신장치(100);
    를 포함하되,
    상기 선박(180)은,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하는 어망정보 수신장치(120);
    전자해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해도 저장부(135); 및
    상기 전자해도 저장부(135)에 저장된 전자해도정보 및 상기 어망정보 수신장치(120)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전자해도상에 상기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상기 선박(180)의 위치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을 표시하는 어망관리 장치(130);
    를 포함하며,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는,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GPS 수신부(101);
    상기 안테나(103)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모뎀(102);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잔량 검출부(106); 및
    상기 GPS 수신부(101) 및 상기 배터리잔량 검출부(106)에 접속되어,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상기 무선 모뎀(102)을 통해 송출하는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는 상기 선박(180)이 상기 어망(110)의 식별자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무선 모뎀(102)이 송출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배터리(105)의 전기 잔량정보를 암호화 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망정보 수신장치(120)는,
    상기 안테나(122)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모뎀(121);
    상기 무선 모뎀(121)을 통해 상기 어망(110)을 식별자를 사용하여 호출하고 상기 어망(110)의 위치정보, 식별자 및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정보를 수신하는 어망정보 수신부(123); 및
    상기 어망정보 수신부(123)와 외부 신호단을 인터페이스 시켜주는 외부 인터페이스(1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망관리 장치(130)는,
    상기 선박(180)에 설치된 GPS 수신부(132);
    상기 GPS 수신부(132),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126) 및 상기 전자해도 저장부(135)와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각각 인터페이스 하여 전자해도상의 상기 어망(110)의 위치 및 상기 선박(180)의 위치를 계산하는 좌표 계산부(137); 및
    상기 좌표 계산부(137)의 계산에 따라 전자해도상에 상기 어망(110)의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선박(180)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어망(110)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기 잔량을 별도로 표시하는 표시부(1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103) 및 상기 어망정보 송신장치(100)를 내부에 설치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00)은,
    보호캡(151)이 상기 안테나(103)에 씌워지고, 개구부가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155)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은 밀폐된 하부 케이스(154)가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안쪽의 둘레에 나사골이 형성된 원형의 회전식 잠금장치(156)가 상기 상부 케이스(155)의 테두리 및 외주를 덮으면서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상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나사골이 회전에 의해 근접되거나 맞닿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155)가 상기 하부 케이스(154)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154) 내에 상기 배터리(105)가 안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55)의 하단에 보호판(164)이 결합되며, 상기 보호판(164)의 상측에 상기 GPS 수신부(101), 무선 모뎀(102), 어망정보 송신제어부(104) 및 배터리잔량 검출부(106)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63)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151)의 하부 바깥쪽의 둘레에 반사 테이프(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54) 내에 무게중심 조절추(166)가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200)이 물에 서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상부 외주에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가 간격을 두고 각각 외삽고정되며, 고리 형상의 부력재(152)가 상기 상부 고리(172) 및 하부 고리(174) 사이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54)의 외주에 외삽되어 상기 하우징(200)이 물에 수직하게 떠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55)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방수패킹(1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55)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 주변에 고리 형상의 제1, 제2 패킹(159, 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03317A 2012-01-11 2012-01-11 어망관리 시스템 KR10115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317A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1-11 어망관리 시스템
PCT/KR2012/003172 WO2013105706A1 (ko) 2012-01-11 2012-04-25 어망관리 시스템
JP2012107184A JP5634435B2 (ja) 2012-01-11 2012-05-09 漁網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317A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1-11 어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510B1 true KR101159510B1 (ko) 2012-06-25

Family

ID=4668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317A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1-11 어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34435B2 (ko)
KR (1) KR101159510B1 (ko)
WO (1) WO2013105706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96A (ko) 2014-12-30 2016-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망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망의 위치 측정 방법
KR101797648B1 (ko) * 2016-02-12 2017-11-15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KR20180041460A (ko) 2016-10-14 2018-04-24 메스코(주) 방수 기능이 뛰어난 전자 부이
KR20180065392A (ko) * 2016-12-07 2018-06-18 동신산업(주)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해상 양식장
KR102000483B1 (ko) 2019-02-19 2019-07-16 주식회사 리안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00048683A (ko)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00101132A (ko) 2019-02-19 2020-08-27 이희용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20118655A (ko) 2021-02-19 2022-08-2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KR102507801B1 (ko) 2021-10-26 2023-04-04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자율해상무선기기를 이용한 어망 위치 관리 시스템
WO2023091021A1 (en) * 2021-11-19 2023-05-25 Guleholmen As Net buoy for fishing gear
KR20240043500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어망관리 시스템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478A (zh) * 2017-12-15 2018-06-22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近海渔船用电信息监测系统及方法
JP7028089B2 (ja) * 2018-07-09 2022-03-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池残量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6A (ko) * 2003-04-10 2003-07-02 안두열 어망의 위치를 지피에스 네비게이터에서 추적할수있는 라디오부이
KR100793640B1 (ko) * 2006-11-01 2008-01-10 주식회사 자티전자 전자해도를 이용한 휴대용 선박 항해 안내 보조단말기 및그 운영 방법
KR100895117B1 (ko) * 2007-06-29 2009-04-28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선박 위치 관리 시스템 및 함정용 위치 확인 장치 및선박용 위치 확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776A (ja) * 1983-10-24 1985-05-20 Japan Radio Co Ltd ラジオ・ブイ位置表示装置
JPS6413932A (en) * 1987-07-08 1989-01-18 Hitachi Ltd Device for gathering fish
JPH0741339Y2 (ja) * 1990-03-22 1995-09-27 太洋無線株式会社 ラジオブイ
JPH1118645A (ja) * 1997-07-07 1999-01-26 Jatco Corp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3488365B2 (ja) * 1997-07-07 2004-01-19 ジヤトコ株式会社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4634568B2 (ja) * 2000-05-09 2011-02-16 岡部株式会社 漂流検知可能な中層浮魚礁及び中層浮魚礁の漂流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6A (ko) * 2003-04-10 2003-07-02 안두열 어망의 위치를 지피에스 네비게이터에서 추적할수있는 라디오부이
KR100793640B1 (ko) * 2006-11-01 2008-01-10 주식회사 자티전자 전자해도를 이용한 휴대용 선박 항해 안내 보조단말기 및그 운영 방법
KR100895117B1 (ko) * 2007-06-29 2009-04-28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선박 위치 관리 시스템 및 함정용 위치 확인 장치 및선박용 위치 확인 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96A (ko) 2014-12-30 2016-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망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망의 위치 측정 방법
KR101701146B1 (ko) * 2014-12-30 2017-02-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망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망의 위치 측정 방법
KR101797648B1 (ko) * 2016-02-12 2017-11-15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KR20180041460A (ko) 2016-10-14 2018-04-24 메스코(주) 방수 기능이 뛰어난 전자 부이
KR101864721B1 (ko) * 2016-10-14 2018-06-05 메스코(주) 방수 기능이 뛰어난 전자 부이
KR20180065392A (ko) * 2016-12-07 2018-06-18 동신산업(주)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해상 양식장
KR101875506B1 (ko) * 2016-12-07 2018-07-09 동신산업(주)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해상 양식장
KR20200048683A (ko)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167231B1 (ko) * 2018-10-30 2020-10-19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000483B1 (ko) 2019-02-19 2019-07-16 주식회사 리안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00101132A (ko) 2019-02-19 2020-08-27 이희용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339829B1 (ko) 2019-10-25 2021-12-1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20118655A (ko) 2021-02-19 2022-08-2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KR102507801B1 (ko) 2021-10-26 2023-04-04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자율해상무선기기를 이용한 어망 위치 관리 시스템
WO2023091021A1 (en) * 2021-11-19 2023-05-25 Guleholmen As Net buoy for fishing gear
KR20240043500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어망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06A1 (ko) 2013-07-18
JP2013141459A (ja) 2013-07-22
JP5634435B2 (ja)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510B1 (ko) 어망관리 시스템
US9063212B2 (en) Indoor navigation with low energy location beacons
US20100026571A1 (en) Nautical Safety Beacon
CN116941127A (zh) 用于在浸水活动期间改善gnss信号的接收或补偿其衰减的设备和技术
KR102000483B1 (ko)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CN102523031A (zh) 基于北斗卫星的信息化航标导航保障系统
US20160032897A1 (en) Determining a yaw direction of a wind turbine
US9612335B2 (en) Positioning device with communication module and antenna
CN108769918A (zh) 一种结合物联网的深部精准开采井上下人员定位导航系统
CN110186437A (zh) 一种基于无人机载体水面测流系统
WO2007111412A1 (en) Low power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of manhole
US20130293388A1 (en) Cellular tank monitoring technology
WO2007111411A1 (en) A antenna structure for monitoring of manhole
KR20180034716A (ko) 해양 관측용 부상체
CN110895419A (zh) 无人机定位装置及驱逐装置
CN103940466A (zh) 水上溢油跟踪监测系统
US20160093947A1 (en) Flat Spiral Antenna for Utility Meter Reporting Systems and Other Applications
CN103744083A (zh) 一种浮标式声纳导航系统装置
CN102176040A (zh) 一种高精度航标双gps定位的接口装置
RU120781U1 (ru) Аварийный радиомаяк
CN215376137U (zh) 一种基于雷达的海上监控系统
RU162713U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6284434A (ja) 流速観測システムおよび漂流ブイ
CN203025353U (zh) 集装箱用三防混合定位追踪器
CN202018511U (zh) 一种高精度航标双gps定位的接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