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55A -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55A
KR20220118655A KR1020210022330A KR20210022330A KR20220118655A KR 20220118655 A KR20220118655 A KR 20220118655A KR 1020210022330 A KR1020210022330 A KR 1020210022330A KR 20210022330 A KR20210022330 A KR 20210022330A KR 20220118655 A KR20220118655 A KR 2022011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mart buoy
fishing gear
phra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23B1 (ko
Inventor
박민재
장희찬
천지원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20Antenna or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본 발명은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경제적 손실 등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매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톤 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해양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800억원 수준에 이를 정도이고,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어구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부이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부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3)가 나사 결합되어 전체적인 하우징(5)을 형성하는데, 상부 케이스(1)에는 보호캡(7)이 형성되고 보호캡(7) 내부에 안테나(9)가 설치되어 GPS 플로터에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해양 통신은 특성상 저주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테나(9)의 길이가 길어야 하고 따라서 안테나(9)를 보호하는 보호캡(7)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보호캡(7)이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부러짐)되면서 안테나(22)도 같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 부이는 주기적으로 GPS 플로터에 무선 송신을 하는데, 해상의 너울이 심할 경우, 특히 해상의 너울과 전자 부이가 무선 송신하는 주기가 일치(정수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 전자 부이가 너울에 가려져 GPS 플로터에 무선 송신이 도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S 플로터로 전자 부이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사람의 육안에 의해 전자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는데 종래의 전자 부이는 해상에서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일부 어민은 주변 선박에 항행 정보를 자동으로 발신해 충돌을 막는 안전장비로 활용되어야 할 AIS 장치를 부표에 붙여 어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근을 항해하는 선박의 항해 장비 화면에 실제 선박과 동일한 신호가 표출되어 선박으로 오인하여 급선회하거나 불필요한 항로 변경으로 선박 간의 충돌 등 대형사고를 유발하며, 무허가 선박자동식별장치가 어구에서 떨어져 나와 표류하면서 항해하는 선박과 접촉하면 해상교통관제센터(VTS)나 인근 선박에서 선박 간의 충돌로 오해하여 행정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59510호(2012년 06월 19일 등록) 어망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상기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상기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상기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안테나부(50)는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상기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메인안테나(52)는 상기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상기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상기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발광부재(60)는 상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상기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20)의 외주면 상에는 어구(400)와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홈(221)이 형성된 연결구(22)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마트 부이(1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무게추(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23)가 형성되어 진다. 즉, 해상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부이(10)의 움직임이 심할 경우 무게추를 달라 스마트 부이(1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24)가 형성되어 상부커버(80)와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개방된 상부의 내주면 상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5)이 형성되어 발광부재(60)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배터리부(30)는 메인모듈(40), 발광부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되는 배터리(31)와, 케이스(20)의 내주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점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접점부(32)는 배터리(31)의 하단과 접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21)와, 탄성부재(321)로부터 연장되어 메인모듈(40)과 접점되는 접점핀(322)를 포함하되, 접점핀(322)은 케이스(20)의 내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메인모듈(40)은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42)을 갖는다. 여기서, GPS 모듈(41)은 위성(300)을 통해 현재 위치의 GPS 좌표를 수신하고, 통신모듈(42)은 통신사의 기지국(200)과 통신하기 위한 LTE-M 통신과 인접된 부이와의 통신을 위한 LoRa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테나부(50)는 메인모듈(40)의 통신모듈(42)과 연결되어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안테나(52)는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도록 한다.
보조안테나(51)는 GPS 모듈(41)을 통해 현재 복수개의 어구(400)의 좌표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 어구(400)와 연결된 부이(10)의 메인안테나(52)로 송신하며, 메인안테나(52)는 보조안테나(51)로부터 수신받은 복수개의 어구(400)에 대한 좌표정보를 기지국(20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한다.
발광부재(6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가지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광부재(60)의 기판(61)은 배터리부(30)와 연결되어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엘이디(62)를 발광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태양광 집열판(63)에 의해 집열된 태양열은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에 축전되도록 한다.
이탈여부판별부(7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상에 배치되어 스마트 부이(10)와 연결된 어구(40)의 이탈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위치에서 설정된 반경을 벗어날 경우 어구(400)의 이탈로 판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부커버(8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나사(81)가 형성되어 케이스(20)의 상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24)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커버(80)의 하부 끝단에는 케이스(20)와 나사 결합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링(82)이 위치되어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은 밀폐되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20), 배터리부(30), 메인모듈(40), 안테나부(50), 발광부재(60), 이탈여부판별부(70) 및 상부커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고,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마트 부이
10' : 보조 스마트 부이 10" : 메인 스마트 부이
20 : 케이스 21 : 내부공간
30 : 배터리부 40 : 메인모듈
41 : GPS모듈 50 : 안테나부
51 : 보조안테나 52 : 메인안테나
60 : 발광부재 61 : 기판
62 : 엘이디 63 : 애양광 집열판
70 : 이탈여부판별부 80 : 상부커버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기지국
300 : 위성 400 : 어구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상기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상기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상기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50)는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상기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52)는 상기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상기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상기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60)는 상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상기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KR1020210022330A 2021-02-19 2021-02-19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KR10262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ko) 2021-02-19 2021-02-19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ko) 2021-02-19 2021-02-19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55A true KR20220118655A (ko) 2022-08-26
KR102627623B1 KR102627623B1 (ko) 2024-01-19

Family

ID=8311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ko) 2021-02-19 2021-02-19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6-25 삼영이엔씨 (주) 어망관리 시스템
KR20170063473A (ko) * 2017-05-19 2017-06-08 최정기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
KR20180023662A (ko) * 2016-08-26 2018-03-07 한국전력공사 등부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2020005060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알씨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6-25 삼영이엔씨 (주) 어망관리 시스템
KR20180023662A (ko) * 2016-08-26 2018-03-07 한국전력공사 등부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20170063473A (ko) * 2017-05-19 2017-06-08 최정기 수중 초음파 원격 부표
KR2020005060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알씨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623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2919B2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176832B2 (en) Safety system at sea for accurately locating a shipwrecked navigator
US6439941B2 (en) Automated fail-safe sea rescue flotation system
US8514095B2 (en) GPS enabled EPIRB with integrated receiver
US9902475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ooring sites
CN104071315A (zh) 北斗海上救生定位集成系统
KR102052014B1 (ko) 다기능 위치추적체
CN203492203U (zh) 北斗海上救生定位集成系统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CN213182039U (zh) 一种海上呼救终端
KR20220118655A (ko)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CN111386713B (zh) 一种可携式海上示标器系统
CN102749628A (zh) 海上救生定位系统
KR101867879B1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조난 신호 송출기가 구비된 구명부환
CN102761344A (zh) 防水无线电装置
CN213182038U (zh) 一种海上个人呼救终端
KR102157585B1 (ko) 스마트 부표
CN104640068A (zh) 船舶无线通信装置的机构结合结构
CN209938880U (zh) 一种防渔船破坏的海洋潜标系统
CN214795214U (zh) 一种海上应急救援系统
RU162713U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3815783A (zh) 一种移动航标
CN104392584A (zh) 一种海上人员用紧急呼救手表设备
KR20110063901A (ko) 간이 항해 기록장치가 내장된 위성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표지 설비
KR20200134965A (ko) 선박용 구조신호 발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