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748B1 - 엘이디 점멸부이 - Google Patents

엘이디 점멸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748B1
KR100259748B1 KR1019980003521A KR19980003521A KR100259748B1 KR 100259748 B1 KR100259748 B1 KR 100259748B1 KR 1019980003521 A KR1019980003521 A KR 1019980003521A KR 19980003521 A KR19980003521 A KR 19980003521A KR 100259748 B1 KR100259748 B1 KR 10025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uoy
led
batter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347A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김평길
주식회사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길, 주식회사삼진 filed Critical 김평길
Priority to KR101998000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7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점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부이는 포스트와 부양체의 결합을 위해 수개의 볼트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상기 부양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부양체의 기밀유지를 위한 방수작업이 어려운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 부양체는 일정한 크기의 부력을 갖고 있어서 부이의 설치조건에 따라 부력이 달라질 경우에 새롭게 부양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길다란 형상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 프레넬렌즈(14)를 덮어 씌워 장착할 수 있도록 갓형으로 연장된 렌즈브래킷(12); 상기 렌즈브래킷(12)의 상단에 장착되며 그 내부의 브래킷(28)에 솔라패널(26)과 엘이디(30)의 점멸회로(22)가 설치되는 프레넬렌즈(14); 상기 포스트(10)의 소정위치에 한쌍의 클램프(32)로 설치되는 부양체(20);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충방전용 배터리(16)가 장착되는 웨이트엔드(18)가 구비되어 있는 엘이디 점멸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점멸부이
본 발명은 엘이디 점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에 부양체의 분해, 조립이 자유롭고 엘이디 점멸을 위한 충방전용 배터리가 포스트의 하단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부이의 구성이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는 어로, 양식어장 등의 구획을 표시하거나 또는 그물의 위치등을 표시하여 장거리에서도 그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부이는 어두운 야간에는 부이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인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이 하부의 부양체에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빛발산체인 전구를 설치하여 어두운 야간에 전구를 점등시켜 야간에도 부이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여 부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부이는 미국특허 4,896,620에 개제되어 있으며, 이는 두 개의 콘형상을 서로 결합시켜 상하로 뾰족한 형상의 부양체를 형성하고 이 부양체의 상단에 길다란 막대형상의 포스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포스트 상단에 전구를 점멸시킬 수 있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부양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이는 포스트와 부양체의 결합을 위해 수개의 볼트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상기 부양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부양체의 기밀유지를 위한 방수작업이 어려운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 부양체는 일정한 크기의 부력을 갖고 있어서 부이의 설치조건에 따라 부력이 달라질 경우에 새롭게 부양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포스트에 부양체의 결합이 간편하도록 부이를 단조롭게 구성하면서 부양체의 수량 또한 조절가능케 함으로써 부이의 설치조건(무게)에 구애받지 않으며, 엘이디 점멸을 위한 배터리가 부양체와 별도로 설치하여 방수구조가 간단해지고 프레넬렌즈 내부의 부품구성이 간단하게 되도록 한 엘이디 점멸부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길다란 형상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삽입고정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 프레넬렌즈를 덮어 씌워 장착할 수 있도록 갓형으로 연장된 렌즈브래킷; 상기 렌즈브래킷의 상단에 장착되며 그 내부의 브래킷에 솔라패널과 엘이디의 점멸회로가 설치되는 프레넬렌즈; 상기 포스트의 소정위치에 한쌍의 클램프로 설치되는 부양체;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충방전용 배터리가 장착되는 웨이트엔드가 구비되어 있는 엘이디 점멸부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점멸부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점멸부이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프레넬렌즈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웨이트엔드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넬렌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엘이디 점멸부이에 레이더 안테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post) 12 : 렌즈브래킷(lens bracket)
12a, 14a : 스크류체결홀 12b : 체결부
12c, 18b : 오링홈 12d, 36 : 오링
14 : 프레넬렌즈(fresnel lens) 16 : 배터리
18 : 웨이트엔드(weight end) 18a : 환형홈
20 : 부양체 22 : 점멸회로
24 : 전선 26 : 솔라패널(sola panel)
28 : 브래킷 30 : 엘이디(LED)
32 : 클램프 34 : 배터리소켓
38 : 계류용막대 40 : 체인
42 : 슬리브(sleeve) 44 : 로우프
46 : 깃대 48 : 깃대꽂이
50 : 레이더 안테나(radar antenna)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엘이디 점멸부이는 포스트(10)의 상단부에 렌즈브래킷(12)과 프레넬렌즈(14)가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10)의 하단부에 배터리(16)가 탑재된 웨이트엔드(18)가 결합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중앙부에 부양체(20)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포스트(10)는 프레넬렌즈(14)의 점멸회로(22)와 웨이트엔드(18)의 배터리(16)가 전선(24)에 의해 연결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는 길다란 원관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렌즈브래킷(12)은 포스트(10)의 상단부 외부로 씌워지도록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관형상으로 그 하단부에는 포스트(10)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스크류체결홀(12a)이 마련되어 있고 그 상단에 프레넬렌즈(14)가 결합되도록 상단부가 양측으로 넓게 갓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테두리에 다수개의 체결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스트(10)의 상단부가 접속되는 렌즈브래킷(12)과 프레넬렌즈(14)가 결합되는 체결부(12b)의 측부에는 방수를 위한 오링(12d)이 설치되도록 오링홈(1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넬렌즈(14)는 하방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 상단부에는 태양에너지를 충방전용 배터리(16)에 축전시키기 위한 솔라패널(26)이 수평으로 놓여있고 이 솔라패널(26)을 지지하는 브래킷(28)이 그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된 브래킷(28)의 하단부에 엘이디(30)가 다수개 설치된 점멸회로(2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넬렌즈(14)의 외주면은 그 전체에 걸쳐서 엘이디(30)의 빛이 집광되도록 미세한 톱니형상의 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양체(20)는 포스트(10)의 중앙부에 장착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는 폴리우레탄이 충진되어 있으며 클램프(32)에 의해 포스트(10)상에 고정된다.
상기 웨이트엔드(18)는 포스트(10)의 하단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환형홈(18a)이 형성된 상단부가 돌출되고 내부에 충방전용 배터리(16)를 탑재시킬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되며 상, 하부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단의 내주면과 하부상단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들 나사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충방전용 배터리(16)와 웨이트엔드(18) 사이에는 충방전용 배터리(16)의 방전을 막기 위한 배터리소켓(34)이 삽입되고 상, 하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방수를 위한 오링(34)이 설치되도록 오링홈(1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웨이트엔드(18)의 하단부는 계류용막대(38)에 체인(40)을 연결시키기 위해 고리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웨이트엔드(18)의 상단부와 포스트(10)의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슬리브(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엔드(18)의 고리형상 하단부에는 수위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부이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멈물수 있도록 하는 부이 한계설정용 로우프(44)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계류용막대(38)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넬렌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렌즈브래킷(12)이 포스트(10)의 상단부 외부로 씌워지도록 중앙부에 중공의 원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포스트(10)의 내부로 끼워져 충방전용 배터리(16)의 수납공간을 갖는 배터리 수납부(13)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이디 점멸부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레넬렌즈(14)의 외부에는 낮시간대에 부이의 식별을 위하여 깃대(46)를 꽂을 수 있는 캡형의 깃대꽂이(48)가 씌워져 있고, 상기 프레넬렌즈(14)의 하단부에는 레이더의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게 두 개의 사각뿔 바닥면이 서로 겹쳐있는 형상의 레이더 안테나(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레이더 안테나(50)의 각 면들은 레이더의 수신(반사)능력을 높이기 위해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엘이디 점멸부이에 대한 조립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포스트(10)의 적정부위에 부양체(20)를 장착시키고 이 부양체(20)의 상하단에 각각 클램프(3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부양체(20)는 부이의 설치조건(무게)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다음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으로 렌즈브래킷(12)이 씌워지고 이 렌즈브래킷(12)의 스크류체결홀(12a)을 통해 스크류를 체결하여 포스트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렌즈브래킷(12)과 포스트(10)상단이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오링홈(12c)에 방수를 위한 오링(12d)이 장착된다. 이어서 브레넬렌즈(14)가 상기 렌즈브래킷(12)의 상단에 안착되어 브레넬렌즈(14)의 스크류체결홀(14a)과 렌즈브래킷(12)의 체결부(12b)가 일치되도록 한 후 스크류로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브레넬렌즈(14)의 내부 상단부에는 태양에너지를 축전시키기 위한 솔라패널(26)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 이 솔라패널(26)을 지지하는 브래킷(28)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28)의 하방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엘이디(30)가 원상으로 설치된 점멸회로(2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넬렌즈(14)와 렌즈브래킷(12)이 체결되는 측부에 형성된 오링홈(12c)에는 방수를 위한 오링(12d)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포스트(10)의 하단부에는 웨이트엔드(18)의 돌출된 상단부가 삽입되고 그 사이에 슬리브(42)가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10)의 외부를 유압지그등으로 압착시켜 웨이트엔드(18) 상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형홈(18a)에 슬리브(42)가 끼어들어가게 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고정됨과 동시에 방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넬렌즈(14)의 점멸회로(22)와 연결된 전선(24)이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터리(16)에 연결되고 이 배터리(16)의 외부를 배터리소켓(34)으로 씌운 후 웨이트엔드(18)의 하단부를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웨이트엔드(18)의 상, 하부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오링홈(18b)에 방수를 위한 오링(36)이 장착된다.
그리고 나사결합되는 웨이트엔드(18)의 하단부를 조임에 따라 배터리소켓은 이 조임에 의해 어느정도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배터리를 견고하게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엘이디 점멸부이는 어로, 양식어장의 계류용막대(38)나 그물 등에 고정시키게 되는 데, 그 일례로 계류용막대(38)에 고정되는 경우에 우선 계류용막대(38)가 수중에 고정설치되고 부이의 웨이트엔드(18) 하단부와 계류용 막대(38)의 소정위치에 체인(40)(대략 3m정도)을 연결시켜서 일차적으로 고정시키고 다시 상기 웨이트엔드(18) 하단부 및 이 하단부와 수평높이 위치인 계류용막대(38)에 부이 한계설정용 로우프(44)를 연결시켜서 조수 간만차에 의한 수위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상기 엘이디 점멸부이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멈물도록 한다.
그리고 수면위로 떠있는 부이의 높이는 대략 1.5∼2m 정도가 적당하겠으며 낮시간의 경우에는 엘이디(30)의 세기를 높이지 않아도 멀리서 식별하기 위한 깃발(46)을 설치할 수 있게 깃대꽂이(48)가 상기 부이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야간이 되면 솔라패널(26)을 통해 축전된 태양에너지전기에 의해 엘이디 점멸회로(22)를 구동시켜 야간시간대에 부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프레넬렌즈(14)의 하부에는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레이더 안테나(50)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점멸부이는 1) 포스트에 부양체를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키고 클램프로 고정시키며 상기 부이의 설치조건(무게)에 따라 상기 부양체를 한 개부터 다수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이의 설치조건에 따른 대응력이 뛰어나고, 2) 배터리를 웨이트엔드에 탑재시킴으로 본체의 구성이 간편하게 되며 상기 웨이트엔드와 포스트의 결합을 유압지그 등을 이용한 스웨이징 방식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조립과 방수가 동시에 해결되도록 하여 용접 등의 공정이 삭제되며, 3) 배터리를 고무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배터리소켓으로 감싸기 때문에 진동을 감쇠시킴과 동시에 배터리의 자연방전을 방지시키고, 4) 부양체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에 폴리우레탄을 충진시킨 구조로써 상기 부양체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못함은 물론 상기 부양체가 깨어지는 등의 손상이 생겨도 부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5) 상기 프레넬렌즈에 깃대꽂이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낮시간대에 깃발에 의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프레넬렌즈부의 렌즈브래킷에 충방전용 배터리를 수납시킨 경우 렌즈브래킷만을 포스트로부터 분리하여 부이의 설치조건에 알맞은 수량의 부양체를 포스트에 가감 설치가 용이하며 프레넬렌즈부가 별도로 분리되므로 수리 보수를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부가 비어있는 길다란 형상의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 프레넬렌즈(14)를 덮어 씌워 장착할 수 있도록 갓형으로 연장된 렌즈브래킷(12); 상기 렌즈브래킷(12)의 상단에 장착되며 그 내부의 브래킷(28)에 솔라패널(26)과 엘이디(30)의 점멸회로(22)가 설치되는 프레넬렌즈(14); 상기 포스트(10)의 소정위치에 한쌍의 클램프(32)로 설치되는 부양체(20);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웨이트엔드(18)가 구비되어 있는 엘이디 점멸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체(20)는 엘이디 점멸부이의 설치조건(무게)에 따라 그 개수를 한 개부터 다수개로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의 하단부와 웨이트엔드(18)의 상단부 사이에 이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방수가 되도록 슬리브(42)를 게제시켜 유압지그 등으로 압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엔드(18)는 상, 하부로 분리되어 서로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충방전용 배터리(16)의 수납되고 배터리의 방전을 막기 위한 배터리소켓(34)이 함께 내장되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브래킷(12)은 포스트(10)의 상단부 외부로 씌워지도록 중앙부에 중공의 원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포스트(10)의 내부로 끼워져 충방전용 배터리(16)의 수납공간을 갖는 배터리 수납부(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에 레이더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게 두 개의 사각뿔 바닥면이 서로 겹쳐있고 그 각각의 면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의 레이더 안테나(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7. 제1항에 있어서, 낮시간대에 부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방에 깃대(46)가 장착되고 하방이 프레넬렌즈(14)에 장착되는 깃대꽂이(4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점멸부이.
KR1019980003521A 1998-02-06 1998-02-06 엘이디 점멸부이 KR10025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521A KR100259748B1 (ko) 1998-02-06 1998-02-06 엘이디 점멸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521A KR100259748B1 (ko) 1998-02-06 1998-02-06 엘이디 점멸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347A KR19990069347A (ko) 1999-09-06
KR100259748B1 true KR100259748B1 (ko) 2000-06-15

Family

ID=1953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521A KR100259748B1 (ko) 1998-02-06 1998-02-06 엘이디 점멸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7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83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414425B1 (ko) 2022-01-06 2022-06-28 김홍진 해조류 양식용 수온 연동 기능성 발광부자
KR102507659B1 (ko) * 2022-01-05 2023-03-08 박옥희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858B1 (ko) * 2001-07-25 2003-07-12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KR100804549B1 (ko) * 2007-06-28 2008-02-20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등부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83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167231B1 (ko) 2018-10-30 2020-10-19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339829B1 (ko) 2019-10-25 2021-12-1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507659B1 (ko) * 2022-01-05 2023-03-08 박옥희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KR102414425B1 (ko) 2022-01-06 2022-06-28 김홍진 해조류 양식용 수온 연동 기능성 발광부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347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601A (en) Solar power-operated construction work warning lamp
US5362267A (en) Solar powered buoy
US5231781A (en) Illuminated float
KR100948695B1 (ko) 전원 일체형 등명기
CA2591322C (en)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US20110065342A1 (en) Lighted Dive Buoy
US5842779A (en) Low power consumption light
KR100259748B1 (ko) 엘이디 점멸부이
JP2009076333A (ja) 発光ブイ用の灯具および発光ブイ
KR102605695B1 (ko) 부표
KR102233489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찌
KR20080103726A (ko) 솔라 정원등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US20060130727A1 (en) Illuminated dock bumper
JP2015015117A (ja) 照明灯
JP2007280686A (ja) 水上照明装置
KR200253808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부표 점멸장치
KR102423960B1 (ko) 부구형 자가발전 발광 부상 조립체
KR100458709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부표 점멸장치
KR20130001320U (ko) 발광 부표
KR20110084777A (ko) 발광형 탄력봉
US20130141901A1 (en) Solar diamond dot dock lite
KR200493734Y1 (ko) 양식장용 태양광 식별등.
KR200145477Y1 (ko)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안전 표시등
KR200201507Y1 (ko) 공사장용 보안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