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777A - 발광형 탄력봉 - Google Patents

발광형 탄력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777A
KR20110084777A KR1020100004508A KR20100004508A KR20110084777A KR 20110084777 A KR20110084777 A KR 20110084777A KR 1020100004508 A KR1020100004508 A KR 1020100004508A KR 20100004508 A KR20100004508 A KR 20100004508A KR 20110084777 A KR20110084777 A KR 2011008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light
emitting
cas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구
Original Assignee
(주)넥손
박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손, 박영구 filed Critical (주)넥손
Priority to KR102010000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777A/ko
Publication of KR2011008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4Provision of filling med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보수 유지가 간편하고, 야간에는 밝게 점등되어 발광하게 됨으로써 시인성(視認性)을 크게 개선하여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발광형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형 탄력봉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탄력봉에 있어서,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빛 반사판을 장착하며, 하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돌출 단턱을 장착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 단턱이 걸리는 걸림턱을 중앙 관통공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키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지면(G)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LED 소자가 상기 몸체부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조명부를 포함하여 몸체부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강한 구조가 마련되므로써 차량으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파손되지 않고, 몸체부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며, 주간(晝間)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축전(蓄電)하고, 야간(夜間)에는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LED 소자들을 점등시키고 발광(發光)시키게 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視認性)을 크게 개선하여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발광형 탄력봉{FLEXIBLE AND REPLACEABLE LINE POST HAVING A LIGHTING DEVICE THEREIN}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표시용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보수 유지가 간편함은 물론, 전체적인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야간에는 밝게 점등되어 발광하게 됨으로써 시인성(視認性)을 크게 개선하여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발광형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 탄력봉은 도로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로 차선을 분리시켜 차량주행시 차량의 진출입을 막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차선 규제 탄력봉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 방지나, 승객의 보호 등을 위하여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거나, 탄성적으로 복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선 규제 탄력봉은 파손되기 쉽고, 그 수명도 수 개월에서 수년으로 비교적 짧다. 또한 종래의 차선 규제 탄력봉은 노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차선 규제 탄력봉이 파손되는 경우, 앵커 볼트를 해체 하여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수명이 다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차선 규제 탄력봉이 파손되는 경우, 앵커 볼트 해체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파손된 차선 규제봉을 노면에서 철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차선 규제 탄력봉을 설치하는 경우도 많아서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로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20-0422447호의 "차선 규제용 탄력봉"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선 규제용 탄력봉(1)은 몸체부(10)를 앵커볼트(12)와 받침판(20)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는 다수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이에 빛 반사지(23)를 점착하되 이 빛 반사지(23)의 표면과 탄력봉 몸체(10)의 표면에는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하지 처리층(PRIMER)을 도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빛 반사지(23) 위에 태양광선과 외부 충격에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투명성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하므로서 빛 반사지(23)의 선명한 반사 및 탄력봉 몸체(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는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906220호의 "차선 규제 탄력봉"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선 규제 탄력봉(4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반사지(42)가 둘레에 부착된 기둥 형상을 가지는 지주(46)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46)가 홈 및 돌기결합(48)을 통하여 탈착식으로 끼워 고정되는 받침대(50)를 갖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차량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지주(46)의 파손시, 지주(46)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나, 홈 및 돌기 결합으로 이루어져 작은 충격에도 지주(46)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빛 반사지(42)에 의한 빛 반사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視認性)이 부족하여 차량 운전자가 탄력봉(40)을 정확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야간(夜間)에 시인성을 개선한,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03344호의 "태양광을 이용한 탄력봉 점등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을 이용한 탄력봉 점등장치(6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봉(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75)가 하부에 부착된 발광부(80)와, 상기 발광부(80)의 발광다이오드(75)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82)와, 상기 확산부재(82)에서 확산된 빛을 증폭시키는 증폭부재(84)와, 상기 탄력봉(70)의 하부 내측에 반사경(86)을 부착하고, 상기 반사경(86)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일정하게 반사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발광부(80)가 탄력봉(7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과 탄력봉(70)의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직접적인 큰 충격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이 충격을 받은 발광다이오드(75)는 쉽게 파손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야간 시인성을 개선한 측면에서는 매우 양호한 효과를 갖는 것이지만, 그 내구성으로 인하여 실용화는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야간에는 밝게 점등되어 빛나게 됨으로써 시인성(視認性)을 크게 개선하여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발광형 탄력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형 탄력봉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탄력봉에 있어서,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빛 반사판을 장착하며, 하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돌출 단턱을 장착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 단턱이 걸리는 걸림턱을 중앙 관통공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키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지면(G)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LED 소자가 상기 몸체부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조명부를 포함하여 몸체부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130)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셀(solar cell)(1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162)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상기 조명부를 발광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받침대의 하부에서 지면에 내장되는 중공형의 케이싱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LED 소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력을 받아 축전지에 저장하고, 타이머 또는 광 검출센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LED 소자들에 전력을 공급하여 점등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명부는 주간(晝間)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축전하고, 야간(夜間)에는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LED 소자들을 점등시키고 발광(發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는 중공형 케이싱의 내부에 에폭시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보강층을 형성하여 상기 축전지와 콘트롤러를 구조적으로 보강시킨 것이고, 상기 보강층의 상부에는 LED 소자들이 다수 장착된 회로기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보강판을 상기 받침대의 내부 공간에 장착하되, 상기 LED 소자들이 받침대의 중앙 관통공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보강판의 테두리는 받침대의 걸림턱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 단턱을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몸체부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부, 받침대 및 조명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차량에 의한 외부 충격에 대해서 큰 저항성능을 갖게 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들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면 플랜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받침대와 케이싱은 서로 일체가 되며, 상기 케이싱은 앵커볼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받침대는 앵커볼트와 케이싱을 통하여 지면에 견고히 설치됨으로써 차량에 의한 외부 충격에 대해서 큰 저항성능을 갖게 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 셀은 받침대에 내장되어 그 표면은 받침대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보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태양전지 셀 위를 차량이 지나가게 되어도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그 상부면이 중앙은 높고, 테두리부분은 낮은 둥근 곡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그 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동하중 충격에 의해서 보다 강한 저항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 받침대 및 조명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 충격에 강한 구조가 마련되므로,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몸체부가 탈착가능한 조립식의 구조로 형성되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주간(晝間)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축전하고, 야간(夜間)에는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LED 소자들을 점등시키고 발광(發光)시키게 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視認性)이 크게 개선되어 도로 표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 규제 탄력봉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지주의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탄력봉 점등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부에 발광등을 구비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에 구비된 몸체부와 받침대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이 지면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100)은 도 2 및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로에 세워서 설치되는 몸체부(110)를 갖는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폴리 우레탄 재료로 제작되고, 그 둘레에는 다수의 빛 반사판(112)을 일정간격으로 장착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받침대(130)가 다수의 앵커볼트(140)를 통하여 도로 지면(G)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세워서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130)의 내부에는 조명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도 4에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의 하단에 직경이 확대된 돌출 단턱(114)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30)는 몸체부(110)의 하단 단턱(114)이 걸리는 걸림턱(132)을 중앙 관통공(134)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대(130)는 그 재료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견고한 비철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볼트(140)에 의해서 지면(G)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130)는 그 상부면이 중앙(136)은 높고, 그 테두리(138) 부분은 낮은 둥근 곡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그 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동하중 충격에 의해서 보다 강한 저항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30)의 하부에는 조명부(160)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조명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0)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solar cell)(162)들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162)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발광하는 다수의 LED 소자(166)들을 상기 받침대(130)의 내측에서 몸체부(110)를 조명하도록 배치하여 야간에 발광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 셀(162)은 태양광을 받아서 전력을 생산하는 모듈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표면은 받침대(130)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되어 그 위를 차량이 지나가도 파손이 방지되도록 받침대(130)에 내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명부(160)는 받침대(130)의 하부에서 지면(G)에 내장되는 중공형의 케이싱(17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케이싱(170)은 철제 또는 부식이 방지된 플라스틱 박스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에는 상기 LED 소자(16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력을 받아 축전지(182)에 저장하고, 타이머(184) 또는 광 검출센서(186)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LED 소자(166)들에 전력을 공급하여 점등시키는 콘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명부(160)는 중공형 케이싱(170)의 내부에 절연성이 우수한 에폭시(epoxy)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보강층(19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보강층(190)은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 공간을 완전 충전시키는 것으로서, 축전지(182)와 콘트롤러(18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정위치에 고정하고, 케이싱(170) 내부를 구조적으로 보강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층(190)의 상부에는 LED 소자(166)들이 다수 장착된 회로기판(166a)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보강판(192)을 위치시키는데, 이와 같은 보강판(192)은 평판형, 또는 평판형으로 절곡된 철판 또는 플라스틱판 또는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13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다.
즉 상기 보강판(192)은 상기 LED 소자(166)들이 다수 장착된 회로기판(166a)을 받침대(130)의 중앙 관통공(134) 내부 공간에서 떠받치면서 보강판(192)의 테두리(192a)는 받침대(130)의 걸림턱(132)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 단턱(114)을 압착하여 고정하여 몸체부(110)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조명부(160)는 받침대(130)를 지면(G)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140)들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앵커볼트(140)들은 받침대(13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170)의 상부면 플랜지(172)에 관통 연결되며, 지면(G)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130)와 케이싱(170)은 서로 일체가 되며, 케이싱(170)은 앵커볼트(140)를 지면(G)에 고정시키는 앵커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대(130)는 앵커볼트(140)와 케이싱(170)을 통하여 지면(G)에 견고히 설치됨으로써 차량에 의한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큰 저항성능을 갖게 되고, 그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100)은 주간(晝間)에는 조명부(160)의 LED 소자(166)들을 이용하여 태양광으로 발전하고, 이를 콘트롤러(180)를 통해서 축전지(182)에 저장하며, 야간(夜間)에는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LED 소자(166)들을 점등시키고 발광(發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180)에는 타이머(184)가 내장되어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대에 상기 LED 소자(166)들이 점등되도록 하거나, 또는 광 검출센서(186)를 설치하여 야간에 자동으로 LED 소자(166)들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ED 소자(166)들이 점등되면 빛은 그 상부측에 위치된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사(投射)되고, 몸체부(110)의 외부로 발광하여 야간에 명확하게 보임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크게 개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100)은 도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에 의한 충격을 크게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차량 충격에 의해서 몸체부(110)가 파손되면, 이는 앵커볼트(140)를 풀어서 받침대(130)를 조명부(160)의 케이싱(170)으로부터 들어 올리고, 받침대(130)의 걸림턱(132)에 몸체부(110)의 하부 단턱(114)을 끼워서 보강판(192)의 상부에 올려 놓은 다음, 다시 앵커볼트(140)로 조이면 쉽게 몸체부(110)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부(110)의 파손시 쉽게 부분적인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와는 다르게 받침대(130)와 조명부(16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는데, 이는 받침대(130) 자체가 구조적으로 견고한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면의 중앙(136)은 높고, 테두리(138) 부분은 낮은 둥근 곡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그 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30)에 내장된 조명부(160)의 태양전지 셀(162)들과, LED 소자(166)들도 그 표면이 받침대(130)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되어 그 위를 차량이 지나가도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아도 몸체부(110)와 조명부(160)가 파손되지 않고, 몸체부(110)가 탈착가능한 조립식의 구조로 형성되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보수 유지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조명부(160)는 주간(晝間)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축전하고, 야간(夜間)에는 축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몸체부(110)를 점등시켜 발광(發光)시키게 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視認性)이 크게 개선되어 도로 표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 운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래의 차선 규제용 탄력봉 10...... 몸체부
12..... 앵커볼트 20...... 받침판
23..... 빛 반사지 40..... 종래의 차선 규제 탄력봉
42..... 빛 반사지 46..... 지주
48..... 홈 및 돌기결합 50..... 받침대
60..... 종래의 태양광을 이용한 탄력봉 점등장치
70..... 탄력봉 75...... 발광다이오드
80..... 발광부 82..... 확산부재
84..... 증폭부재 86..... 반사경
100....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탄력봉
110.... 몸체부 112..... 빛 반사판
114..... 단턱 130.... 받침대
132.... 걸림턱 134..... 관통공
136..... 중앙 138..... 테두리
140..... 앵커볼트 160..... 조명부
162..... 태양전지 셀(solar cell) 166..... LED 소자
166a.... 회로기판 170..... 케이싱
172..... 플랜지 180..... 콘트롤러
182..... 축전지 184...... 타이머
186..... 광 검출센서 190..... 보강층
192..... 보강판 192a..... 테두리
G...... 지면

Claims (6)

  1.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탄력봉에 있어서,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둘레에는 다수의 빛 반사판(112)을 장착하며, 하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돌출 단턱(114)을 장착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 단턱(114)이 걸리는 걸림턱(132)을 중앙 관통공(134)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키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볼트(140)에 의해서 지면(G)에 고정되는 받침대(130); 및
    상기 받침대(13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166)를 구비하고, 상기 LED 소자가 상기 몸체부(110)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조명부(160);를 포함하여 몸체부(110)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30)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셀(solar cell)(1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162)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상기 조명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60)는 받침대(130)의 하부에서 지면(G)에 내장되는 중공형의 케이싱(170)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70)의 내부에는 상기 LED 소자(16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력을 받아 축전지(182)에 저장하고, 타이머(184) 또는 광 검출센서(186)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LED 소자(166)들에 전력을 공급하여 점등시키는 콘트롤러(180)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60)는 중공형 케이싱(170)의 내부에 에폭시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보강층(190)을 형성하여 상기 축전지(182)와 콘트롤러(180)를 구조적으로 보강시킨 것이고, 상기 보강층(190)의 상부에는 LED 소자(166)들이 다수 장착된 회로기판(166a)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보강판(192)을 상기 받침대(130)의 내부 공간에 장착하되, 상기 LED 소자(166)들이 받침대(130)의 중앙 관통공(134)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보강판(192)의 테두리(192a)는 받침대(130)의 걸림턱(132)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 단턱(114)을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몸체부(110)를 직립(直立)으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30)를 지면(G)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140)들은 상기 케이싱(170)의 상부면 플랜지(172)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지면(G)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30)와 케이싱(170)은 서로 일체가 되며, 상기 케이싱(170)은 앵커볼트(140)를 지면(G)에 고정시키는 앵커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162)은 받침대(130)에 내장되어 그 표면은 받침대(130)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보호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탄력봉(100).
KR1020100004508A 2010-01-18 2010-01-18 발광형 탄력봉 KR20110084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08A KR20110084777A (ko) 2010-01-18 2010-01-18 발광형 탄력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08A KR20110084777A (ko) 2010-01-18 2010-01-18 발광형 탄력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77A true KR20110084777A (ko) 2011-07-26

Family

ID=4492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08A KR20110084777A (ko) 2010-01-18 2010-01-18 발광형 탄력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7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973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프라텍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WO2016148339A1 (ko) * 2015-03-17 2016-09-22 이상표 시선유도봉
KR101663008B1 (ko) * 2015-06-29 2016-10-17 주식회사 한호 차단봉
KR20180083121A (ko) * 2017-01-12 2018-07-20 김용철 도로용 차선 규제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973A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프라텍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WO2016148339A1 (ko) * 2015-03-17 2016-09-22 이상표 시선유도봉
CN107208388A (zh) * 2015-03-17 2017-09-26 李相杓 道路警示柱
JP2018510275A (ja) * 2015-03-17 2018-04-12 サン ピョ イ 視線誘導標
US9988777B2 (en) 2015-03-17 2018-06-05 Sang Pyo Lee Road guide post
KR101663008B1 (ko) * 2015-06-29 2016-10-17 주식회사 한호 차단봉
KR20180083121A (ko) * 2017-01-12 2018-07-20 김용철 도로용 차선 규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71B1 (ko)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KR100729499B1 (ko) 솔라 도로표지병
KR20110084777A (ko) 발광형 탄력봉
KR1011843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20080099221A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가로등
KR200443745Y1 (ko) 휀스용 발광장치
KR101257662B1 (ko) 발광형 도로표지병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JP2013214463A (ja) 防犯街路灯
KR200400233Y1 (ko) 발광램프가 구비된 가드레일용 지주캡
KR20110112521A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JPH08239812A (ja) 道路標識柱
KR20150004337U (ko)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용 발광 해드캡
KR101589647B1 (ko)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JP2006226071A (ja) デッキ灯取付用台座及びデッキにおけるデッキ灯取付方法
KR10105837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다용도 led 조명장치
KR101340501B1 (ko) 도로 위험 표시장치
KR20110099890A (ko) 태양광집광판을 구비한 표지병
JP5220052B2 (ja) 誘導標識
KR20100123943A (ko) 지주용 발광부재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용 지주
CN218621933U (zh) 一种山区道路轮廓标识雾灯装置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KR20090007740U (ko) 솔라셀을 갖춘 탄성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