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320U - 발광 부표 - Google Patents

발광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320U
KR20130001320U KR2020110007478U KR20110007478U KR20130001320U KR 20130001320 U KR20130001320 U KR 20130001320U KR 2020110007478 U KR2020110007478 U KR 2020110007478U KR 20110007478 U KR20110007478 U KR 20110007478U KR 20130001320 U KR20130001320 U KR 201300013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ody portion
emitting element
reflecting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118Y1 (ko
Inventor
최종대
Original Assignee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7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1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3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3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광 기능을 가지는 부표가 개시된다. 상기 발광 부표는 상면에 요부 또는 홈이 형성된 바디부 및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가지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바디부의 요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램프부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발광 부표{BUOY HAVING LIGHT-EMITTING FUNCTION}
본 고안은 발광 기능을 가지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호수, 강 또는 바다에서 표시 수단으로서 부표가 많이 설치된다. 부표는 암초, 수중 장애물과 같은 위험지역의 알림, 수중케이블, 수중 시설물과 같은 시설 위치 확인, 양식장, 그물과 같은 어업기구의 경계표시와 같은 다양한 목적 및 형태의 알림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부표는 바다, 호수 또는 강의 바닥에 설치되는 계류 구조물과, 이 구조물과 사슬 또는 밧줄로 연결되는 부유체로 구성되며, 부유체는 단독 또는 군집형태 또는 깃발과 같은 보조체와 결합되어 필요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표는 태풍과 같은 악천후나 야간과 같이 가시성이 저하되는 시점에는 표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악천후 및 야간 등에서도 표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는 상면에 요부 또는 홈이 형성된 바디부; 및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가지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바디부의 요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램프부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가지는 램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오뚜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공간 중 상기 바디부의 하측 부분에 중량체가 배열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부표는 오뚝이 형상을 가지고 중량체를 이용하여 하부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므로, 악천후 등에서도 해양에서 표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부표가 발광 소자들을 이용하여 발광 기능을 가지므로, 야간에도 표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뿐만 아니라 선박 등의 유도등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부표(100)는 바디부(110) 및 램프부(112)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예를 들어 오뚝이 형상을 가지며, 즉 하부로 갈수록 원형 형태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 중량체를 형성하여 무게 중심을 하부에 유지시킨다. 결과적으로, 발광 부표(100)가 해양에 설치되어도 악천후 등의 외부 압력에도 넘어지지 않고 항상 바로 서 있을 수 있다.
램프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특정 빛을 출력시키는 소자로서, 해양에 설치되어도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밀봉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부(112)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광 부표(100)는 와이어(Wire, 116)를 통하여 닻(114)과 연결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부표(100)는 오뚝이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항상 바로 서 있을 수 있으며, 램프부(112)를 포함하여 특정 색의 빛을 출력시킨다. 따라서, 항해하고 있는 배를 유도하는 유도등 및 이정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야간의 경우 원거리까지 빛이 확산되므로, 배를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어서 배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부표(100)는 태양열로 충전되고 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들을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부표(100)는 친환경적이면서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공간(210)이 형성되며, 바디부(110)의 상면에는 요부(206)가 형성된다.
램프부(112)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부가 요부(206)로 수용되며, 결과적으로 램프부(112)가 바디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바디부(110)가 오뚝이와 같이 항상 바로 서 있으므로, 램프부(112)는 바디부(1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해수면 위로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10)의 상면에 홀이 형성되고, 램프부(112)의 삽입부가 상기 홀로 삽입될 수도 있다.
바디부(110)의 공간(210)의 하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 등과 같은 중량체(202)가 배열되며, 중량체(202)와 바디부(110) 사이에는 지지부(204)가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발광 부표(100)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발광 부표(100)가 오뚝이처럼 동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10)의 외면이 폴리우레아 수지 등과 같은 초속 경화형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디부(110)는 해수 및 자외선으로 인한 부식 및 변질의 우려가 없다. 또한, 해조류 등이 바디부(110)에 잘 부착되지 않고 바디부(110) 표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210)에 대응하는 바디부(110)의 내측면은 발포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램프부(112)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램프부(112)는 삽입부(310), 충전지(312), 제 1 반사판(314), 발광 소자부(316), 제 2 반사판(318), 집광판(320), 캡(322 및 324) 및 스위치(326)를 포함한다.
삽입부(310)는 바디부(110)의 요부(206)로 삽입되며, 예를 들어 "T"자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310)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지(312)가 삽입부(3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충전지(3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요부(20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삽입부(310)는 램프부(112)를 바디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충전지(312)의 캡 역할도 수행한다.
제 1 반사판(314)은 삽입부(310) 위에 놓이며, 반사체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 소자부(3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406),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402) 및 확산부(4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시킨다.
회로 기판(406)은 도 4(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 소자부(316) 내에 위치적 제한없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406)으로는 충전지(312)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고,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 소자들(402)을 구동시킨다.
발광 소자(402)는 빛을 출력하는 소자로서, 지지 부재(4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확산부(404)는 발광 소자(402)의 전면에 설치되고, 발광 소자(402)로부터 출력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확산 렌즈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부(316)의 발광 소자들(4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서남북으로 모두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동서남북 방향에 각기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램프부(112)의 둘레 전체로 빛이 발광하게 되며, 따라서 해양의 전 방향에서 램프부(112)를 인식할 수 있다.
제 2 반사판(318)은 발광 소자부(316) 위에 배열되며, 반사체 역할을 수행한다.
반사판들(314 및 318)이 발광 소자부(316)의 상하부에 배열되므로, 발광 소자부(316)의 상면 및 하면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반사판들(314 및 318)을 발광 소자부(316)의 상하면에 위치시키면 발광 소자들로부터 발산된 광이 상부 및 하부로 진행하지 못하고 램프부(112)의 측면으로만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해수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빛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도등으로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집광판(320)은 태양광을 수집할 수 있는 솔라셀로 이루어지며, 축적된 에너지로 충전지(312)로 충전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집광판(320)과 충전지(312)은 특정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캡(322 및 3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부(112)의 구성요소들을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322 및 324)의 측면(322)은 선박 등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 등과 같은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캡(322 및 324)의 덮개(324)는 태양열을 집광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326)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406)과 충전지(312)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부표(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위치(326)는 항상 턴-온되어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램프부(112)는 태양광을 집광한 후 충전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광판(320) 및 충전지(312)를 포함하고, 유도등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들을 가지며, 발광 소자들로부터 발산된 빛을 램프부(112)의 측면으로부만 출력되도록 하는 반사판(314 및 318)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10)의 하면에는 와이어(116)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발광 부표는 바디부(600) 및 램프부(602)를 포함한다.
공간(210)이 바디부(110) 내에 형성되었던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부(600) 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바디부(600)를 스티로폼 등과 같은 가볍고 형상 제조가 용이한 재질로 제조하되 해양에 설치될 경우 무게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바디부(600)에 공간은 형성되지 않더라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중량체(604)가 바디부(6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광 부표는 항상 오뚝이처럼 바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00)의 외면은 우레탄, 폴리 우레아 수지 등 방수 처리가 가능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부(100)를 처리하면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물이 침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도 있어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디부(100)의 코팅이 벗겨지지 않을 수 있다.
램프부(602)의 삽입부(610)는 바디부(600)의 요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램프부(602)의 구성은 도 3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부표 110 : 바디부
112 : 램프부 114 : 닻
116 : 와이어 202 : 중량체
204 : 지지부 206 : 요부
210 : 공간 300 : 고리
310 : 삽입부 312 : 충전지
314 : 제 1 반사판 316 : 발광 소자부
318 : 제 2 반사판 320 : 집광판
322, 324 : 캡 326 : 스위치
400 : 지지 부재 402 : 발광 소자
404 : 확산부 406 : 회로 기판
600 : 바디부 602 : 램프부
604 : 중량체 610 : 삽입부

Claims (8)

  1. 상면에 요부 또는 홈이 형성된 바디부; 및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가지는 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바디부의 요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램프부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오뚜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 중 상기 바디부의 하측 부분에 중량체가 배열되고, 상기 중량체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 사이에 지지부가 배열되며, 상기 바디부의 외면은 폴리우레아 수지로 코팅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은 발포 수지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삽입부 위에 배열되는 제 1 반사판;
    상기 제 1 반사판 위에 배열되는 발광 소자부;
    상기 발광 소자부 위에 배열되는 제 2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배열되는 집광판;
    상기 제 1 반사판, 상기 발광 소자부 및 상기 제 2 반사판을 덮는 캡;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T자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공간에 충전지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충전지는 상기 집광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발광 소자부는 회로 기판, 상기 발광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전면에 설치된 확산부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충전지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의 하부에 중량체가 배열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는 전부 채워져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의 외면은 우레탄 또는 폴리 우레아 수지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5.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가지는 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오뚜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공간 중 상기 바디부의 하측 부분에 중량체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 사이에 지지부가 배열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은 폴리우레아 수지로 도금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은 발포 수지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T자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공간 내에 배열되는 충전지;
    상기 삽입부의 상면 위에 배열되는 제 1 반사판;
    상기 제 1 반사판 위에 배열되는 발광 소자부;
    상기 발광 소자부 위에 배열되는 제 2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배열되는 집광판;
    상기 제 1 반사판, 상기 발광 소자부 및 상기 제 2 반사판을 덮는 캡;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 소자부는 회로 기판, 상기 발광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전면에 설치된 확산부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충전지와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중 상기 중량체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특정 물질로 채워져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의 외면은 우레탄 또는 폴리 우레아 수지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표.


KR2020110007478U 2011-08-18 2011-08-18 발광 부표 KR200468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478U KR200468118Y1 (ko) 2011-08-18 2011-08-18 발광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478U KR200468118Y1 (ko) 2011-08-18 2011-08-18 발광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20U true KR20130001320U (ko) 2013-02-27
KR200468118Y1 KR200468118Y1 (ko) 2013-07-29

Family

ID=5139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478U KR200468118Y1 (ko) 2011-08-18 2011-08-18 발광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52B1 (ko) * 2011-07-05 2013-06-17 한기봉 발광부표
KR101427063B1 (ko) * 2014-04-01 2014-08-07 제용근 해양 관측 등부표
KR20200000668U (ko) * 2018-09-19 2020-03-27 이진옥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식별등이 적용된 양식장 부표.
CN116238654A (zh) * 2023-05-05 2023-06-09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浮动式水面溢油监视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58A (ja) * 1998-09-18 2000-04-04 Masaki Miyasako 魚釣用錘、浮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魚釣用仕掛け
JP2001180575A (ja) * 1999-12-27 2001-07-03 Usc Corp 波力発電式ブ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52B1 (ko) * 2011-07-05 2013-06-17 한기봉 발광부표
KR101427063B1 (ko) * 2014-04-01 2014-08-07 제용근 해양 관측 등부표
KR20200000668U (ko) * 2018-09-19 2020-03-27 이진옥 설치가 용이한 태양광 식별등이 적용된 양식장 부표.
CN116238654A (zh) * 2023-05-05 2023-06-09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浮动式水面溢油监视监测装置
CN116238654B (zh) * 2023-05-05 2023-08-22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浮动式水面溢油监视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18Y1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172B1 (ko) 풍랑 및 장력을 이용해 자가발전하는 발전유닛을 구비한 등부표
JP5346197B2 (ja) 発光救命ブイ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KR102220376B1 (ko)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KR101662477B1 (ko) 탄소섬유와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부표
KR101343482B1 (ko)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KR102204128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등부표
US7837345B2 (en) Aquatic light emitting device
JP4781986B2 (ja) イカ釣り漁船用集魚装置
JP2007280686A (ja) 水上照明装置
KR20110055990A (ko) 태양광 발전 부표
KR101719675B1 (ko) 발광부표
KR20160020749A (ko) 해수전지 축전 발광형 안전부표
JP4669579B1 (ja) Led発光体およびその照明方法
JP2008285128A (ja) 浮遊視認装置
KR102056337B1 (ko) 어업용 부표
KR102423960B1 (ko) 부구형 자가발전 발광 부상 조립체
KR200472974Y1 (ko) 황포돛배 유등
CN206050018U (zh) 一种利于海上搜救的救生衣
KR20080093477A (ko) 발광 부력통
KR10231066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과 위치 유지용 친환경 부구
JP2004330832A (ja) 波力発電発光浮子
CN102878516A (zh) Led暗礁灯
KR20220033954A (ko) 표시 문자의 시인성이 향상된 해양 부표
KR200464572Y1 (ko) 발광 기능을 가지는 계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