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482B1 -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482B1
KR101343482B1 KR1020130032602A KR20130032602A KR101343482B1 KR 101343482 B1 KR101343482 B1 KR 101343482B1 KR 1020130032602 A KR1020130032602 A KR 1020130032602A KR 20130032602 A KR20130032602 A KR 20130032602A KR 101343482 B1 KR101343482 B1 KR 10134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olar panel
guide rail
parts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유) 레오텍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레오텍해운 filed Critical (유) 레오텍해운
Priority to KR10201300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판의 기울기를 바로 세워 집광 효율을 높이고 청소 작업이 불필요한 등부표 구조물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 상기 등부표 몸체부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 상기 철탑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빛을 반사하고 조사하는 반사판과 등명기부; 상기 반사판과 철탑 기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판과 등명기부를 지지하는 직선형의 제1 기둥과 상기 제1 기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제2 기둥을 구비하는 반사판 기둥부; 상기 기울어진 제2 기둥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빗겨 상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2 기둥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형성되는 태양 전지판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부가 수직 배치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부와 제1 기둥에 양단이 체결되되 상기 제1 기둥으로부터 상기 태양전지판부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등부표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FLOLTING LIGHT STRUCTURE HAVING VERTICAL TYPE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판의 기울기를 바로 세워 집광 효율을 높이고 청소 작업이 불필요한 등부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부표는 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해 표지용으로서 청정해역 및 양식해역 등의 경계 해역에 설치되거나, 해저의 암초, 해저 구조물, 침몰 선박의 위치표시 및 선박 계류용으로서 해수면에 부유되는 물체를 계류색으로 연결하고 해저에 닻으로 정착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등부표는 대략 1m 내지 3.5m의 직경으로서 원통형, 망대형, 원주형 및 원추형 등의 외형에 경적, 점멸 등화 및 혼합 기능을 가진 것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등부표에는 최근에 들어서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는 등부표가 바다 한복판에서 오랜동안 떠있어야 하기 때문에 빛을 밝히는 등명기, 위성항법시스템, 조류 신호소, 기상 신호소 및 선박 통합 신호소 등과 같이 여러 전자(전기) 설비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등부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전지판(5)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태양전지판(5)은 등부표 구조물(10)의 철탑(1)과 반사판(2)/ 등명기(3) 사이에 배치된 반사판 기둥(4, 설치대)에 배치되어 복수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각 태양전지판(5)은 반사판 기둥(4)이 직선형의 기둥(4a)과 그 옆에 기울어진 기둥(4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없다. 이런 까닭으로 복수개의 기울어진 태양전지판(5)이 태양으로부터 빛을 보다 많이 모을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조류 배설물이 떨어져 주기적으로 청소가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 : 10-2009-0015263, 공개일자 : 2009년 02월 12일, 발명의 명칭 : 태양광과 풍력 및 파역을 이용한 등부표용 하이브리드 발전 및 관리 시스템. 2.한국공개실용신안 : 20-2010-0007375, 공개일자 : 2010년 07월 21일, 고안의 명칭 : 태양광 전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등부표 구조물의 기울어진 반사판 기둥에서도 수직으로 태양전지판을 세울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의 이동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태양전지판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등부표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 상기 등부표 몸체부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 상기 철탑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빛을 반사하고 조사하는 반사판과 등명기부; 상기 반사판과 철탑 기둥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판과 등명기부를 지지하는 직선형의 제1 기둥과 상기 제1 기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제2 기둥을 구비하는 반사판 기둥부; 상기 기울어진 제2 기둥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빗겨 상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2 기둥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형성되는 태양 전지판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부가 수직 배치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부와 제1 기둥에 양단이 체결되되 상기 제1 기둥으로부터 상기 태양전지판부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등부표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가이드 레일 몸체와; 상기 이동 거리를 확보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의 길이보다 작게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관통홈; 및 상기 관통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제1 기둥을 감쌓아 고정하도록 제1 체결 나사를 통해 상기 일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에 고정되는 체결 고리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태양 전지판부는,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과; 상기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전지판 판넬; 및 상기 태양 전지판과 전지판 판넬 사이를 제2 체결 나사를 통해 고정시키는 클립 보드;를 포함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태양 전지판부는, 상기 반사판 기둥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울어진 반사판 기둥부를 보정하는 가이드 레일부가 태양전지판의 배면에 장착됨으로써 수직 형태로 태양전지판부를 세울 수 있어 조류의 배설물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바닷물로부터 반사된 빛을 함께 흡수 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수직형의 태양전지판으로 인하여 주기적인 청수 작업일 불필요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전지판(5)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에 구비된 태양 전지판부(160)과 가이드 레일부(170)간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판부(16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등부표 구조물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에 구비된 태양 전지판부(160)과 가이드 레일부(170)간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은 등부표 몸체부(110), 철탑 기둥부(120), 반사판(130), 등명기부(140), 반사판 기둥부(150), 태양 전지판부(160) 및 가이드 레일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등부표 몸체부(110)는 바다 해수면의 아래로 가라앉는 등추(111), 상기 등추(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미통(112), 상기 미통(112)의 상부에 형성되어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113)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기둥부(120)는 앞서 설명한 등부표 몸체부(110)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된 철답 구조물이다. 이러한 철탑 기둥부(120)의 상부에는 반사판 기둥부(150),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가 차례로 배치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는 상기 철탑 기둥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빛을 반사하고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는 기존에서도 설치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물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 기둥부(150)는 앞서 설명한 반사판(130)과 철탑 기둥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 기둥부(150)는 양원판 사이에 배치된 직선형의 제1 기둥(151)과 상기 제1 기둥(151)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제2 기둥(152)을 구비한다. 이때, 제2 기둥(152)은 반사판 기둥부(150)의 상부에 배치된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 등을 지지해야 되기 때문에 기울어진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판부(160)는 기울어진 제2 기둥(152)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빗겨 상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2 기둥(152)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형성된다. 이럴 경우 태양 전지판부(160)를 반사판 기둥부(150)에서 고정시켜야 되는데 이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될 가이드 레일부(170)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1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부(160)가 수직 배치되도록 태양전지판부(160)와 제1 기둥(151)에 양단이 체결되되 제1 기둥(151)으로부터 태양전지판부(16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체결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170)는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 몸체(171)와; 상기 이동 거리를 확보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의 길이보다 작게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의 내부에 구비되는 관통홈(172); 및 상기 관통홈(17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제1 기둥(151)을 감쌓아 고정하도록 제1 체결 나사(174)를 통해 상기 일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에 고정되는 체결 고리부(173)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부(170)의 구조로 인하여, 반사판 기둥부(150)의 제2 기둥(142)이 존재하더라도 이동 거리가 조절된 태양전지판부(160)가 반사판 기둥부(150)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판부(160)가 수직으로 설치되면 태양으로부터 빛을 집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로부터 반사된 빛도 또한 집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태양 전지판부(16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판부(16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판부(160)는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161)과,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161)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전지판 판넬(162) 및 태양 전지판(161)과 전지판 판넬(162) 사이를 제2 체결 나사(164)를 통해 고정시키는 클립 보드(163)를 구비한다.
이러한 클립 보드(163)로 인하여 전지판 판넬(162) 및 태양 전지판(161)간에 단단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판부(160)는 반사판 기둥부(15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다 많은 태양과 바닷물로부터 반사된 빛을 집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등부표 구조물 110 : 등부표 몸체부
111 : 등추 112 : 미통
113 : 등부표 몸체 120 : 철탑 기둥부
130 : 반사판 140 : 등명기부
150 : 반사판 기둥부 151 : 제1 기둥
152 : 제2 기둥 160 : 태양 전지판부
161 : 태양 전지판 162 ; 전지판 판넬
163 : 클립 보드 170 : 가이드 레일부
171 : 가이드 레일 몸체 172 : 관통홈
173 : 체결 고리부 174 : 제1 체결 나사

Claims (4)

  1.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110);
    상기 등부표 몸체부(110)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120);
    상기 철탑 기둥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빛을 반사하고 조사하는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
    상기 반사판(130)과 철탑 기둥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판(130)과 등명기부(140)를 지지하는 직선형의 제1 기둥(151)과 상기 제1 기둥(151)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제2 기둥(152)을 구비하는 반사판 기둥부(150);
    상기 기울어진 제2 기둥(152)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빗겨 상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2 기둥(152)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형성되는 태양 전지판부(160); 및
    상기 태양전지판부(160)가 수직 배치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부(160)와 제1 기둥(151)에 양단이 체결되되 상기 제1 기둥(151)으로부터 상기 태양전지판부(16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부(170);
    를 포함하는 등부표 구조물.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170)는,
    가이드 레일 몸체(171)와; 상기 이동 거리를 확보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의 길이보다 작게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의 내부에 구비되는 관통홈(172); 및
    상기 관통홈(172)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제1 기둥(151)을 감쌓아 고정하도록 제1 체결 나사(174)를 통해 상기 일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 몸체(171)에 고정되는 체결 고리부(17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판부(160)는,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161)과; 상기 복수개의 태양 전지판(161)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전지판 판넬(162); 및
    상기 태양 전지판(161)과 전지판 판넬(162) 사이를 제2 체결 나사(164)를 통해 고정시키는 클립 보드(16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판부(160)는,
    상기 반사판 기둥부(15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KR1020130032602A 2013-03-27 2013-03-27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KR10134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02A KR101343482B1 (ko) 2013-03-27 2013-03-27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02A KR101343482B1 (ko) 2013-03-27 2013-03-27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482B1 true KR101343482B1 (ko) 2013-12-19

Family

ID=4998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602A KR101343482B1 (ko) 2013-03-27 2013-03-27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4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74B1 (ko) 2015-06-09 2015-08-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플라스틱 부표
CN107143812A (zh) * 2017-07-17 2017-09-08 叶建 一种潮汐能灯塔
CN110155252A (zh) * 2019-05-07 2019-08-23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一种航灯浮标
CN111981437A (zh) * 2020-08-05 2020-11-24 巢湖市国力航标器材有限公司 一种航标灯防护罩
KR102270399B1 (ko) * 2019-12-24 2021-06-30 우리해양 주식회사 분할형 부력체를 구비하는 항로표지용 등부표
CN113602429A (zh) * 2021-09-06 2021-11-05 国家海洋局烟台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海洋环境监测多功能浮标
CN114954787A (zh) * 2022-05-16 2022-08-30 浙江易航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海洋气象监测浮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74B1 (ko) 2015-06-09 2015-08-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플라스틱 부표
WO2016200090A1 (ko) * 2015-06-09 2016-12-15 뉴마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라스틱 부표
CN107143812A (zh) * 2017-07-17 2017-09-08 叶建 一种潮汐能灯塔
CN110155252A (zh) * 2019-05-07 2019-08-23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一种航灯浮标
KR102270399B1 (ko) * 2019-12-24 2021-06-30 우리해양 주식회사 분할형 부력체를 구비하는 항로표지용 등부표
CN111981437A (zh) * 2020-08-05 2020-11-24 巢湖市国力航标器材有限公司 一种航标灯防护罩
CN113602429A (zh) * 2021-09-06 2021-11-05 国家海洋局烟台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海洋环境监测多功能浮标
CN114954787A (zh) * 2022-05-16 2022-08-30 浙江易航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海洋气象监测浮标
CN114954787B (zh) * 2022-05-16 2024-04-26 浙江易航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海洋气象监测浮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482B1 (ko)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US10141885B2 (en) Floating solar panel systems
KR102411835B1 (ko) 태양광 발전소
KR101687590B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CN103523183B (zh) 可移动半潜浮式多功能海上能源供应平台
CN106385228B (zh) 一种方位角自动跟踪水面浮动光伏阵列
KR10148829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WO2017118998A1 (en) Floating solar platform
KR20120056073A (ko) 원자력 해상플랜트
CN201763532U (zh) 一种海上可再生能源转换装置
CN114560049A (zh) 一种漂浮式光伏系统和海上风电系统
CN110203342A (zh) 多立柱漂浮式风力发电装置
WO2017118228A1 (zh) 水上光伏系统
KR20180108195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CN213695331U (zh) 一种结合Spar型浮式风机和可环向移位养殖网箱的开发平台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US20230139270A1 (en) Eco-friendly marine-farm type anchor module and floating photovoltaic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floating wind power system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reof, and floating breakwater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KR101273948B1 (ko)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CN210822657U (zh) 一种防撞型浮标
CN212332919U (zh) 海上浮式风机与养殖网箱的集成互补系统
JP2000246287A (ja) 発電機能を有する湖沼等の富栄養化防止方法
KR200419278Y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60044241A (ko) 부유식 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CN206195671U (zh) 水面柔性光伏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