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948B1 -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948B1
KR101273948B1 KR1020120108612A KR20120108612A KR101273948B1 KR 101273948 B1 KR101273948 B1 KR 101273948B1 KR 1020120108612 A KR1020120108612 A KR 1020120108612A KR 20120108612 A KR20120108612 A KR 20120108612A KR 101273948 B1 KR101273948 B1 KR 10127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olar panel
auxiliary support
solar cell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Priority to KR102012010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1/00Marking of navigation route
    • B63B51/04Marking of navigation route with free-floating fla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구조 개선을 위한 등부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판의 전면이 보이도록 상기 태양전지판을 내부에 삽입하는 태양전지 지지판부; 상기 태양전지 지지판부의 배면 일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보조 지지판부; 제1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하부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방을 향하여 밀고 당기는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일단이 제2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중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의 중단부에 결합되는 제3 보조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등부표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부표의 외주면 구조에 맞게 최적의 상태로 배치됨과 동시에 태양의 고도에 따라 최적 상태로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조류에 의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과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LIGHT BUOY STRUCTURE FOR SUPPORTING ANGLE CONTROL OF SOLAR CELL AND FOREIGN MATERIAL FALLING PREVENTION}
본 발명은 등부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부표에 설치된 태양전지의 구조를 개선을 위한 등부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해 표지용으로서 청정해역 및 양식해역 등의 경계 해역에 설치되거나, 해저의 암초, 해저 구조물, 침몰 선박의 위치표시 및 선박 계류용으로서 해수면에 부유되는 물체를 계류색으로 연결하고 해저에 닻으로 정착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표는 대략 1m 내지 3.5m의 직경으로서 원통형, 망대형, 원주형 및 원추형 등의 외형에 경적, 점멸 등화 및 혼합 기능을 가진 것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표에는 최근에 들어서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는 부표가 바다 한복판에서 오랜동안 떠있어야 하기 때문에 빛을 밝히는 등명기, 위성항법시스템, 조류 신호소, 기상 신호소 및 선박 통합 신호소 등과 같이 여러 전자(전기) 설비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상기 태양전지판이 설치되는 형태로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11-0101508호에서 내수면 태양광 추적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었다. 특히, 상기 공개 특허에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이 개시되고 있으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은 내수면에서 사용되는 부유체용으로서 설치되었다.
상기 부유체는 바다와 같은 곳에 설치되는 부표와는 다르게 강물, 호수 및 저수지와 같이 내륙지방에서 흐르는 물위에 떠있는 단순한 구조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이 바다와 같은 곳에 설치된 부표에 설치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설사, 태양전지판이 부표에 설치되더라도 조류에서 배설되는 이물질이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바다 한복판에 떠있는 부표의 태양전지판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비될뿐만 아니라 유지 비용(청소 및 인건 비용 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표에 맞게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태양전지판에 이물질이 떨어지지않도록 보호 구조물을 설치하여 시간과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 상기 등부표 몸체부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 상기 철탑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등명기부; 및 상기 복수개로 구비된 철탑 기둥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태양전지판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 조절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면이 보이도록 상기 태양전지판을 내부에 삽입하는 태양전지 지지판부; 상기 태양전지 지지판부의 배면 일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보조 지지판부; 제1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하부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방을 향하여 밀고 당기는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일단이 제2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중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의 중단부에 결합되는 제3 보조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등부표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은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되어진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부; 및 상기 축전지부에서 충전된 전기를 상기 등명기부 및 전기 시설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은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태양전지판과 태양전지 지지판부의 상단을 덮고 형성될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의 측면과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태양전지 보호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태양전지 보호판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직각 상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직각으로부터 소정각도 만큼 기울어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제3 보조 지지판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에서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과 제2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과 제3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을 결합시켜 각각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힌지부는 상기 제3 보조 지지판부의 타단 측면과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의 타단 측면을 결합시켜 회동되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 지지판부, 제1 보조 지지판부,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제3 보조 지지판부를 구비하는 태양전지판 조절부의 구조로 인하여, 부표의 외주면 구조에 맞게 최적의 상태로 배치됨과 동시에 태양의 고도에 따라 최적 상태로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소정각도 만큼 기울어져 구비된 태양전지 보호판부의 구조로 인하여,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조류에 의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간과 유지 비용(청소 및 인력 비용 등을 포함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고 당기는 제2 보조 지지판부의 구조로 인하여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되어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을 위한 특별한 구조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표시된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좌측 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진 태양전지판(151)과 제2 보조 지지판부(155)간의 기울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 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등부표 구조물의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은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등부표 구조물로서, 바다 해수면의 아래로 가라앉는 등추(110), 상기 등추(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미통(120), 상기 미통(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130), 상기 등부표 몸체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140), 상기 철탑 기둥부(14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태양전지판을 구비하는 태양전지판 조절부(150), 상기 철탑 기둥부(140)의 밑면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되어진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부(160), 상기 철탑 기둥부(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판(170, 레이더리플렉), 상기 반사판(160)의 상부에 나란히 구비되는 등명기부(180)/안테나부(195) 및 상기 축전지부(160)에서 충전된 전기를 등명기부(180) 및 전기 시설물(미도시)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들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부표 구조물(100)은 야간에 향해하는 배들을 위하여 등화를 표시해줄 뿐만 아니라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의 장애물이나 항로를 표시하여 준다.
게다가, 안테나부(195)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위성항법 시스템, 기상 신호소, 조류 신호소와 무선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수로내에서 배의 운항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고, 배의 위치와 다른 배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게된다.
특히, 태양전지판 조절부(150), 축전지부(160) 및 전기 공급부(190)와 같은 구조들로 인하여, 지상에서 사용되는 전원 공급기를 설치할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당하여 전자 시설물(전기 시설물)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자체적으로 전력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더욱더 안정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는 복수개로 구비된 철탑 기둥부(14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되도록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부표(100)의 구조에 맞게 설계된 태양전지판 조절부(150)가 설계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 예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태양전지판 조절부(150)에 포함된 태양전지판에 조류에 의한 이물질 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 또한 이후의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태양전지판의 조절 구조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표시된 'A' 부분과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좌측 면도이다. 여기서, 도 2가 정면도일 경우에 도 5는 좌측 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 조절부(150)는 태양전지판(151), 태양전지 지지판부(152), 제1 보조 지지판부(154), 제2 보조 지지판부(155), 제3 보조 지지판부(156) 및 태양전지 보호판부(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판(151)은 복수 개로 조합되어 태양 에너지를 집중시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지지판부(152)는 태양전지판(151)이 태양을 향하여 마주보도록 태양전지판(151)의 전면이 개방(보이도록)된 상태로 태양전지판(151)을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 지지판부(152)는 태양전지판(151)을 장착한 후 태양전지판(151)을 고정하기 위하여, 측면에 구비된 고정볼트(153)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배면(후면)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보조 지지판부(154)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조 지지판부(154)는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배면에 형성되되,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배면의 일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진다. 이러한 제1 보조 지지판부(154)는 복수개, 예컨대 두개로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제1 보조 지지판부(154)는 이후에 설명될 제2 보조 지지판부(155)의 일단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보조 지지판부(154)는 제3 보조 지지판부(156)의 일단과 결합할 목적으로서 구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보조 지지판부(155)는 제1 힌지부(157c)에 의하여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개수와 동일하게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배면 하부에 예컨대 두개로 구비되어져 제1 보조 지지판부(154)에 일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지지판부(155)가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하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 힌지부(157c)에 의하여 회동(움직임을 가짐)되어짐으로써, 태양전지판(151)의 전방을 향하여 밀고 당길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판(151)을 포함한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하부를 직각 상태가 아닌 소정의 기울기만큼 기울어 트려, 태양전지판(151)을 태양 고도에 맞게 수동적으로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힌지부(157c)는 제2 보조 지지판부(155)가 제1 보조 지지판부(154)로부터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보조 지지판부(155)의 측면과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힌지부(157c)는 체결 볼트(157a)와 체결 너트(157b)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3 보조 지지판부(156)는 일단이 제2 힌지부(157)에 의하여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배면 중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부(158)에 의하여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155)의 중단부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보조 지지판부(156)는 복수개, 예컨대 두개로 구비되어져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배면 중단부와 제2 보조 지지판부(155)에 각 끝단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2 힌지부(157)는 제3 보조 지지판부(156)가 제1 보조 지지판부(154)로부터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보조 지지판부(154)의 측면과 제3 보조 지지판부(156)의 일단 측면에 결합되어져 구비된다. 이러한 제2 힌지부(157)는 체결 볼트(157a)와 체결 너트(157b)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 힌지부(158)는 제3 보조 지지판부(156)의 타단과 제2 보조 지지판부(155)의 타단 간에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3 보조 지지판부(156)의 타단 측면과 제2 보조 지지판부(155)의 타단 측면이 결합되도록 구비되어져 회동이 일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보호판부(159)는 외부로 개방되어진 태양전지판(151)의 전면에 조류에 의한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태양전지판(151)과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의 상단을 덮고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태양전지판(151)의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 볼트(153)가 태양전지 보호판부(159), 태양전지 지지판부(152) 및 태양전지판(151)을 차례로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의 고정 볼트(153)는 암나사와 수나사를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보호판부(159)는 태양전지판(151)과 태양전지 지지판부(152)이 직각 상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직각으로부터 소정각도(r1)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각도(r1)만큼 기울어진 이유는 태양전지판(151)이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태양전지 보호판부(159)가 소정의 기울기만큼 기울어져 있으면 태양전지판(151)이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방해을 줄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태양전지 보호판부(159)의 구조로 인하여, 태양전지판(151)에 조류가 방사하는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태양전지판(151)의 태양에너지 흡수력을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판(151)의 수명을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태양전지판의 기울어진 구조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진 태양전지판(151)과 제2 보조 지지판부(155)간의 기울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 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태양 고도에 맞추기 위하여 제2 보조 지지판부(155)에 의해 태양전지판(151)이 소정의 각도(r2) 만큼 기울어질 경우, 이미 소정의 각도(r1)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된 태양전지 보호판부(159)는 태양전지판(151)의 기울어진 각도(r2) 만큼 더 기울어지게 된다(r3).
이러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보호판부(159)는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조류에 의한 이물질이 태양전지판(151)의 전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이를 감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는 기울어질 최대 각도에 따라 태양전지 보호판부(159)의 길이가 결정될 것이다. 이로써, 태양전지판(151)의 전면에 조류에 의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유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등부표 구조물 110 : 등추
120 : 미통 130 : 등부표 몸체부
140 : 철탑 기둥부 150 : 태양전지판 조절부
151 : 태양전지판 152 : 태양전지 지지판부
153 : 고정볼트 154 : 제1 보조 지지판부
155 : 제2 보조 지지판부 156 : 제3 보조 지지판부
157 : 제2 힌지부 158 : 제3 힌지부
159 : 태양전지 보호판부 160 ; 축전지부
170 : 반사판 180 : 등명기부
190 : 전기 공급부 157c: 제1 힌지부

Claims (7)

  1.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뜨는 등부표 몸체부;
    상기 등부표 몸체부의 상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철탑 기둥부;
    상기 철탑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등명기부;
    상기 복수개로 구비된 철탑 기둥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되도록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태양전지판 조절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면에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태양전지판과 태양전지 지지판부의 상단을 덮고 형성될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의 측면과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태양전지 보호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 조절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면이 보이도록 상기 태양전지판을 내부에 삽입하는 태양전지 지지판부;
    상기 태양전지 지지판부의 배면 일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보조 지지판부;
    제1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하부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방을 향하여 밀고 당기는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일단이 제2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 중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3 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의 중단부에 결합되는 제3 보조 지지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 보호판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이 직각 상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직각 상태로부터 소정각도 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되어진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부; 및
    상기 축전지부에서 충전된 전기를 상기 등명기부 및 전기 시설물로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지지판부 및 제3 보조 지지판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배면에서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과 제2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과 제3 보조 지지판부의 측면을 결합시켜 각각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부표 구조물.
  7. 삭제
KR1020120108612A 2012-09-28 2012-09-28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KR10127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12A KR101273948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612A KR101273948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948B1 true KR101273948B1 (ko) 2013-07-11

Family

ID=4899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612A KR101273948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3138A (zh) * 2014-02-10 2014-04-23 山东力诺瑞特新能源有限公司 一种可调角度的太阳能安装支架
KR102663044B1 (ko) 2023-12-22 2024-05-08 주영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198U (ja) * 2001-04-19 2001-10-26 日本建鐵株式会社 庇パネル型太陽電池
JP2008235766A (ja) * 2007-03-23 2008-10-02 Kyocera Corp 太陽電池アレイ
KR20090015263A (ko) * 2007-08-08 2009-02-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등부표용 하이브리드 발전및 관리시스템
KR101160675B1 (ko) * 2012-02-21 2012-06-28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먼지제거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198U (ja) * 2001-04-19 2001-10-26 日本建鐵株式会社 庇パネル型太陽電池
JP2008235766A (ja) * 2007-03-23 2008-10-02 Kyocera Corp 太陽電池アレイ
KR20090015263A (ko) * 2007-08-08 2009-02-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등부표용 하이브리드 발전및 관리시스템
KR101160675B1 (ko) * 2012-02-21 2012-06-28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먼지제거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3138A (zh) * 2014-02-10 2014-04-23 山东力诺瑞特新能源有限公司 一种可调角度的太阳能安装支架
KR102663044B1 (ko) 2023-12-22 2024-05-08 주영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162B1 (ko) 적외선 센서와 gps를 이용한 녹조 저감 및 부유물 제거 장치
KR101343482B1 (ko)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KR101562814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유체를 이용한 중앙집중식 태양광발전소
WO2013084546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
KR101042728B1 (ko) 추에 의해 지지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KR101273955B1 (ko)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KR101662477B1 (ko) 탄소섬유와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부표
KR102030139B1 (ko) 항로 표시용 등부표
KR100926690B1 (ko) 엘이디를 구비한 안내용 부표
CN105197189A (zh) 一种可自航的波力发电平台和其移动及停泊方法
KR101273948B1 (ko)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KR100910834B1 (ko) 연안 구조물용 표시램프
KR100895246B1 (ko) 선박의 항로표시장치.
KR102640092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CN212580084U (zh) 一种新型水运航道浮标
CN209776743U (zh) 一种用于海上航行标志的具有防腐蚀功能的航标装置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CN210592332U (zh) 一种海上无人机的控制测量标识装置
CN203996797U (zh) 弹性铆固式航道浮标
CN217598786U (zh) 一种基于ais技术的智能感知报警防撞航标
WO2007148120A1 (en) A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extracting energy from liquid flows
CN207539810U (zh) 一种自清洁太阳能航标灯
KR200173327Y1 (ko) 다기능 부체식 등부표
KR20130121588A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CN210822657U (zh) 一种防撞型浮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