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044B1 -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 Google Patents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044B1
KR102663044B1 KR1020230189940A KR20230189940A KR102663044B1 KR 102663044 B1 KR102663044 B1 KR 102663044B1 KR 1020230189940 A KR1020230189940 A KR 1020230189940A KR 20230189940 A KR20230189940 A KR 20230189940A KR 102663044 B1 KR102663044 B1 KR 10266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flow
loading panel
wing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주영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영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8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구(Buoy)에 설치되어 해양에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포켓으로 보호되는 태양광 또는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해양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적재 패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구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파도에 따른 파동을 저감시켜 설치된 다양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에 설치한 적재 패널과 기둥에 태양광 패널과 기판 및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설치하며 상기 적재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 패널의 중앙 하측으로 부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구의 양쪽으로 적재 패널의 하측으로 유동방지 날개를 갖는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는 몸체와 고정홈 및 측면부에서 한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날개 고정대로 고정홈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Wave-reducing buoy for marine management}
본 발명은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구(Buoy)에 설치되어 해양에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포켓으로 보호되는 태양광 또는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해양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적재 패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구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파도에 따른 파동을 저감시켜 설치된 다양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부자, 浮漂, Buoy)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 침몰선, 어장 등의 각종 장애물이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거나 항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와이어로 해저에 연결되거나 그물 등에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설치되며, 등화(燈火)가 설치되거나 자동 점멸되게 구성하여 어두운 밤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장에 설치되는 부구(부자)의 경우, 각종 어구들을 해수중에 설치하는 설치기능과, 상기 어구들이 설치된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표시기능을 겸하고 있다.
그리고 어장에 설치되는 그물의 경우, 조류에 의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어두운 새벽 시간에 회수하기 때문에 찾기 쉽도록 점멸장치가 구비된 부구(어구용 부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소모성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수시로 건전지를 교체하거나, 외부로 노출된 태양전지 등을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파손이나 고장의 빈도가 높아 수명이 짧고 효율이 낮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간의 항로 이동에 도움을 주게 되고, 그물 등 바다에 설치되는 다양한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며, 야간에 작업하는 다양한 과정에서 작업오류가 많이 발생되어 충돌이 자주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구는 일부가 부유되어 발광되는 것을 통하여 위치파악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지만, 설치상태에서 부유상태가 일정하지 않아 바닷물 속에 일부가 가려지게 되어 발광상태를 해치는 원인이 되며, 발광장치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파손되거나 발광상태를 지속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회전성형 및 가열성형을 통해 상호 구형이 되도록 융착시키게 되고, 내부에는 발광을 위한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및 기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게 되지만, 방수효과가 낮아 외부의 물이 들어올 우려가 많고, 등결로 인한 침수를 통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수증기로 인한 기판이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되므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부자를 이용해 해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해양관측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전력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는 태양광을 설치해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하게 되나, 포켓부재와 외부의 전력 연결을 위해 전력선이 설치되므로 인해 습기 또는 바닷물의 완벽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포켓부재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게 되는 등의 습기가 발생하면서 납땜 등을 통하여 전력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쉽게 부식되어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습기로 인하여 보관하는 모든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태양광 패널과 해양관측용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수에 항상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파도의 높낮이에 따라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된 적재패널의 하측에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부구(10a)가 설치되어 해수에서 안전하게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나, 해양상황에 따라 바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면 부구(10a)에 전달되는 파동이 그대로 적재패널(30)에 전달되어 적재패널(30)의 상측 및 기둥(31)에 설치된 다양한 시스템에 충격을 주게 되므로 쉽게 손상되되는 원인과, 파동가 심한 경우에는 부유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집어지게 되므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매우 어려운 상태가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 1] 특허공개번호 제2022-0079136호(2022. 06. 13. 공개) [특허 2] 특허등록번호 제1880976호(2018. 07. 17. 등록) [특허 3] 특허등록번호 제1273948호(2013. 06. 05. 등록) [특허 4] 특허등록번호 제2542325호(2023. 06. 07.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적재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과 CCTV 및 각 관측 기능을 갖는 장비가 바닷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부유되는 유동방지 부구로 어구의 관리와 해양관측 등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적재패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유동방지 부구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해 파동을 줄여 다양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측에 설치한 적재 패널과 기둥에 태양광 패널과 기판 및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설치하며 상기 적재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 패널의 중앙 하측으로 부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구의 양쪽으로 적재 패널의 하측으로 유동방지 날개를 갖는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는 몸체와 고정홈 및 측면부에서 한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날개 고정대로 고정홈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상기 유동방지 부구는 몸체에서 한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동방지 날개가 돌출되어 파도에 따른 파동을 줄이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유동방지 날개는 몸체와 일체형이 되고 한쪽에서 15∼70°경사각(θ)을 갖도록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유동방지 부구는 몸체의 양쪽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외측에 측면부가 형성되어 코팅시트로 한쪽에 경사지게 형성된 유동방지 날개와 함께 코팅 성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유동방지 날개는 몸체의 폭에서 벗어나 고정홈과 측면부에서 한쪽으로 경사지게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유동방지 날개는 유동방지 부구의 양쪽방향으로 경사지게 A형 유동방지 날개가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적재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CCTV 및 각 관측 기능을 갖는 장비가 바닷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부유되는 유동방지 부구로 항로표시와 어구의 관리 및 해양관측과 같은 다양한 관측을 수행해 전달하는 스마트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안전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패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유동방지 부구에 외측의 한쪽방향 또는 양쪽방향 모두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해 바람과 파동에 의한 파동을 줄여 다양한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함으로서 관측 장비를 보호하고 정확한 관측 자료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적재 패널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높은 파동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중간 파동상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낮은 파동상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를 적재 패널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코팅상태 정면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유동방지 날개의 다른 설치상태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유동방지 날개의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
도 13 은 종래 적재 패널에 부구를 설치한 높은 파동상태 정면도
도 14 는 종래 적재 패널에 부구를 설치한 낮은 파동상태 정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적재 패널의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높은 파동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중간 파동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 패널에 유동방지 부구를 설치한 낮은 파동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외부에 노출되어 태양광을 받아 발전한 전기를 저장해 주변에 설치되는 모든 긱 및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이 상측에 설치되는 기둥(31)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하며, 상기 기둥(31)은 적재 패널(3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적재 패널(30)은 한쌍 또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유동방지 부구(10)가 양쪽 선단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더 여러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부구(10a)를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 패널(30)은 보강을 위해 상측과 하측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다양한 기기가 보관되고 CCTV를 설치해 해양관측용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부구(10)와 통상적인 부구(10a)는 원통형과 사각형 및 구형 등 다양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발포를 통하여 사출 성형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바닷물에 공급되어 부유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부구(10)와 통상적인 부구(10a)는 적재 패널(30)의 하측에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측에 설치되는 포켓부재의 내부에는 항로표시와 어구의 관리 및 해양관측과 같은 다양한 관측을 수행해 전달하는 스마트 장치 등을 보관하고, 설치되는 다양한 기기와 전력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 패널(30)의 상측에는 일예로,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적으로 어구를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CDMA2000 기반의 무선이동 통신모엠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측정 및 확인 가능한 해양상황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해 위치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해양정보와 기능을 통해 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수의 높이와 바닷물의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공적기능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부구(10)는 하측에서 외측(한쪽)방향으로 유동방지 날개(20)가 돌출되어 파도에 따른 파동을 줄여 적재 패널(30)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를 적재 패널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코팅상태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적재 패널(30)의 하측에 한쌍 또는 다수개를 설치하는 유동방지 부구(10)는 중앙의 부구(10a)가 설치된 방향에서 유동방지 부구(10)가 설치되는 방향을 외측방향으로 설정하여 외측방향에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치우치는 부분으로 경사지게 유동방지 날개(20)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부구(10)는 몸체(11)의 양쪽으로 고정홈(12)이 중심부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되어 끈 등으로 묶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홈(12)의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측면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의 폭에 해당하는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하며, 유동방지 날개(20)의 경사각(θ)은 15∼70°사이에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와 같은 EPP. EPS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발포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며, 유동방지 날개(20)와 몸체(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21)와 같이 두께를 상태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부구(10)는 발포 성형한 알몸 상태의 것과, 몸체(11)와 고정홈(12) 및 측면부(13)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의 시트를 코팅한 코팅시트(40)와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유동방지 날개의 다른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유동방지 날개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유동방지 부구에 대한 유동방지 날개의 다른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유동방지 부구(10)의 한쪽에서 경사각(θ)이 15∼70°사이에서 경사지게 돌출되는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의 폭에서 벗어나 고정홈(12)과 측면부(13)의 폭에 이르도록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12)에서 유동방지 날개(20)를 날개 고정대(22)고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 날개(20)를 한쪽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성형하지 않고, A형 유동방지 날개(25)와 같이 양쪽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는,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공급해 보관한 포켓부재를 적재 패널(30)의 상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로 설치하거나 기둥(31)의 상단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은 태양광으로 전력을 생산해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CCTV는 부구를 통하여 바닷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 해수의 높이를 측정해 기상상황을 확인 및 예측하거나 어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어구를 관리 및 감시함으로써 어구를 안전하게 지키는 동시에 언제 어디에서나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태양광 패널과 CCTV 등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설치되는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은 상황과 필요에 따라 설치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항로표시와 어구의 관리 및 해양관측과 같은 다양한 관측을 수행해 전달하는 스마트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포켓부재는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며, CDMA2000 기반의 무선이동 통신모뎀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측정 및 확인 가능한 해양상황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해 위치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해양정보와 기능을 통해 해수의 높이와 바닷물의 상태 등 다양한 해양정보의 파악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공적기능을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적재 패널(30)의 하측 중앙에는 통상적인 부구(10a)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부구(10a)의 양쪽으로 유동방지 부구(10)를 설치하되; 유동방지 부구(10)의 외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유동방지 날개(20)를 설치함으로써 바닷물이 바람의 영향으로 파도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파동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유동방지 부구(10)는 각각 외측방향에 유동방지 날개(20)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파동을 줄여 적재 패널(30)의 파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적재 패널(30)에 설치한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보호하여 안전하게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해양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중앙의 부구(10a) 양쪽으로 유동방지 부구(1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도의 세기를 달리하여 파동이 전달되지만, 유동방지 날개(20)가 경사지게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되어 파도의 영향을 줄여 파동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와 일체형으로 성형하거나 분리해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코팅시트(40)로 유동방지 날개(20)를 몸체(11)와 일체형이 되도록 코팅 성형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경사각(θ)이 15∼70°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45°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고, 상기 유동방지 날개(20)가 외측과 하측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유동방지 부구(10)가 적재 패널(30)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므로 양쪽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매우 안정된 설치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동시에, 유동방지 날개(20)는 유동방지 부구(10)와 함께 부력을 제공해 적재패널(30) 및 그 상측에 설치 및 보관된 다양한 기기와 시스탬을 보호하는 동시에 파도를 통하여 발생하는 파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 시켜 안정된 보관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와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코팅시트(40)를 코팅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날개 고정대(22)를 통하여 독립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형 유동방지 날개(25)가 유동방지 부구(10)의 몸체(11) 하측에서 양쪽으로 경사지게 경사각(θ)을 갖도록 대칭되게 설치되어 파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 시켜 안정된 보관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되어 어구를 관리하고 바다의 다양한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해양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 패널은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보관하며 유동방지 부구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유동방지 날개를 통하여 해수에 의한 파동을 최소화시켜 해수로 부터 보호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유동방지 부구 10a : 부구
11 : 몸체 12 : 고정홈
13 : 측면부 20 : 유동방지 날개
21 : 연결부 22 : 날개 고정대
25 : A형 유동방지 날개 30 : 적재 패널
31 : 기둥 40 : 코팅시트

Claims (7)

  1. 상측에 설치한 적재 패널(30)과 기둥(31)에 태양광 패널과 기판 및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설치하며 상기 적재 패널(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 패널(30)의 중앙 하측으로 부구(10a)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부구(10a)의 양쪽으로 적재 패널(30)의 하측으로 유동방지 날개(20)를 갖는 유동방지 부구(10)를 설치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와 고정홈(12) 및 측면부(13)에서 한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날개 고정대(22)로 고정홈(12)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부구(10)는 몸체(11)에서 한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동방지 날개(20)가 돌출되어 파도에 따른 파동을 줄이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와 일체형이 되고 한쪽에서 15∼70°경사각(θ)을 갖도록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부구(10)는 몸체(11)의 양쪽으로 고정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의 외측에 측면부(13)가 형성되어 코팅시트(40)로 한쪽에 경사지게 형성된 유동방지 날개(20)와 함께 코팅 성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몸체(11)의 폭에서 벗어나 고정홈(12)과 측면부(13)에서 한쪽으로 경사지게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날개(20)는 유동방지 부구(10)의 양쪽방향으로 경사지게 A형 유동방지 날개(25)가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KR1020230189940A 2023-12-22 2023-12-22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KR10266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940A KR102663044B1 (ko) 2023-12-22 2023-12-22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940A KR102663044B1 (ko) 2023-12-22 2023-12-22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044B1 true KR102663044B1 (ko) 2024-05-08

Family

ID=9107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940A KR102663044B1 (ko) 2023-12-22 2023-12-22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04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48B1 (ko) 2012-09-28 2013-07-11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KR20160030633A (ko) *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력 발전장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력 발전시스템
KR101697995B1 (ko) * 2016-08-11 2017-01-19 김성관 친환경 부표를 이용한 금속재 뗏목
KR101880976B1 (ko) 2018-01-09 2018-08-27 동문이엔티(주)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KR102050997B1 (ko) * 2019-07-26 2020-01-07 김대령 해상부유 구조물
KR20210001090U (ko) * 2019-11-12 2021-05-21 다스코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KR20220079136A (ko) 2020-12-04 2022-06-13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수산부자
KR102542325B1 (ko) 2021-12-01 2023-06-13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48B1 (ko) 2012-09-28 2013-07-11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KR20160030633A (ko) * 2014-09-11 2016-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력 발전장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력 발전시스템
KR101697995B1 (ko) * 2016-08-11 2017-01-19 김성관 친환경 부표를 이용한 금속재 뗏목
KR101880976B1 (ko) 2018-01-09 2018-08-27 동문이엔티(주)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KR102050997B1 (ko) * 2019-07-26 2020-01-07 김대령 해상부유 구조물
KR20210001090U (ko) * 2019-11-12 2021-05-21 다스코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KR20220079136A (ko) 2020-12-04 2022-06-13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수산부자
KR102542325B1 (ko) 2021-12-01 2023-06-13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8753B2 (ja) 海洋監視用浮体
US9902475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ooring sites
KR101662477B1 (ko) 탄소섬유와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부표
US20110060551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depth of a hydrophobic liquid on the surface of water and method for same
KR101109411B1 (ko) 전개판식 측류부이
ES2922015T3 (es) Una unidad emisora de luz configurada para ser aplicada a un área superficial de un objeto marino
US6093069A (en) Low watch circle buoy system
KR102073846B1 (ko)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S2739910T3 (es) Disposición de carga y disposición de alimentación eléctrica para alimentar una carga
KR101008693B1 (ko) 양식장 표지용 부력체
ES2737804T3 (es) Disposición de carga y disposición de potencia eléctrica para alimentar una carga
KR20160142161A (ko) 태양광식 등부표
KR102663044B1 (ko)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ES2960432T3 (es) Boya de señalización de peligro con desenganche automático
JP4040655B2 (ja) ブイ
JP6858448B2 (ja) 表示端末およびアンダーパス警告表示システム
KR100779268B1 (ko)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CN209776743U (zh) 一种用于海上航行标志的具有防腐蚀功能的航标装置
JP3165404U (ja) 浮標
KR10231066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과 위치 유지용 친환경 부구
US11590883B2 (en) Boat loaders for watercraft trailers
KR20120103797A (ko) 점멸램프를 가지는 해양 부표
JP2008285128A (ja) 浮遊視認装置
US20150092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Mooring Bea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