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97B1 - 해상부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부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97B1
KR102050997B1 KR1020190091230A KR20190091230A KR102050997B1 KR 102050997 B1 KR102050997 B1 KR 102050997B1 KR 1020190091230 A KR1020190091230 A KR 1020190091230A KR 20190091230 A KR20190091230 A KR 20190091230A KR 102050997 B1 KR102050997 B1 KR 10205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unit assembly
buoyancy
ring portion
out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령
장미진
김임만
Original Assignee
김대령
주식회사 미래산업
장미진
김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령, 주식회사 미래산업, 장미진, 김임만 filed Critical 김대령
Priority to KR102019009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을 형성하는 원형 합성수지관이 관통상태로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링부분과, 링부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통수블록부분을 갖으며 링부분을 통해 부력을 형성하는 원형 합성수지관들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되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 통수블록부분과 상호 결합된 단위조립 유니트들과, 단위조립 유니트들의 상면에 결합된 다수의 발판을 구비하고, 단위조립 유니트 중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최외측에 각각 배치된 최외곽 단위조립유니트의 링부분에는 외측면에서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링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접합가이드판이 마련되어 있고, 사이드접합 가이드판들에 접합되어 파랑에 의한 롤링을 저감시키는 최외측 롤링저감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해상부유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랑에 의한 롤링을 저감할 수 있도록 된 해상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선박의 접안 및 하역용으로 수상에 설치되는 해상부유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잔교는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잔교는 수면과 대하는 외부의 하우징이 철판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부식에 따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식된 철판으로부터 수상으로 이탈되는 산화철은 해양을 오염시키는 환경상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부잔교는 하우징에 콘크리이트로 상판을 완전 밀폐되게 형성함으로써, 하부에 부분적인 파손이 생겼을 때 누수에 의한 침몰의 위험이 있고,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이용한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해상 양식업이 증가하면서 소형 선박 접안 및 작업용 소형 부잔교가 요구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450732호에는 합성수지관을 적용한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피이 부잔교는 부양파이프를 상하로 구획하고 하부 구획공간은 통수가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기존 원통형 내부공간을 갖는 부양파이프에 비해 부력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기존 부양파이프를 적용한 동일 규모에 비해 부양 성능이 절반으로 감쇠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부잔교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도교 및 적용하고자 하는 허용 하역용량을 고려할 때 부양 파이프의 부력공간을 감소시키는 방식은 전체 부하 허용 중량을 감소시켜 활용 범위도 제약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이 부잔교는 수면에 잠기는 최하단이 모두 부양 파이프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되어 있어 파랑에 의한 롤링 즉, 요동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합성수지관의 부력 감쇠를 피하면서도 해상의 파랑에 의한 요동을 감쇄할 수 있는 해상부유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은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속이빈 중공을 갖는 원형형상으로 연장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원형 합성수지관들과;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이 관통상태로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링부분과 상기 링부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링부분보다 확장된 크기의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링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다수의 통수홀이 형성된 통수블록부분을 갖으며 상기 링부분을 통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들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 통수블록부분과 상호 결합된 단위조립 유니트들과;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들의 상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결합된 다수의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 중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최외측에 각각 배치된 최외곽 단위조립유니트의 상기 링부분에는 외측면에서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상기 링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접합가이드판이 마련되어 있고,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접합 가이드판들에 접합되어 파랑에 의한 롤링을 저감시키는 최외측 롤링저감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조립유니트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내에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 또는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과 결합되어 부력을 보강하는 부력보조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력보조체는 에프알피 소재로 사각함체 형태로 피막되게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 부력공간을 갖는 보조부력바디와; 상기 보조부력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 또는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바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바디는 상기 보조부력바디의 상면과 저면에서 상기 보조 부력바디로부터 폭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과 바인딩 선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된 플랜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의 상기 링부분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에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돌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통수가 가능한 통수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의 부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파랑에 의한 요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상부유 구조물의 결합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좌측 최외곽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중앙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우측 최외곽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상부유 구조물의 결합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좌측 최외곽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중앙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위 조립 유니트 중 우측 최외곽에 배치된 단위 조립 유니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유 구조물(100)은 원형 합성수지관(110), 단위조립 유니트(130), 발판(150) 및 사이드접합가이드판(160), 최외측 롤링저감판(170) 및 부력보조체(180)를 구비한다.
원형 합성수지관(110)은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속이빈 중공을 갖는 원형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형 합성수지지관(110)의 양단은 중공을 폐쇄하여 부력을 갖도록 마감처리되어 있고 폴리에틸렌 소재(PE)로 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원형 합성수지관(110)들은 후술되는 단위 조립 유니트(130)들의 링부분(131)에 관통상태로 길이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삽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3개의 단위조립 유니트(130)들이 결합되어 있고, 3개의 원형 합성수지관(110)이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게 배치되게 장착되어 있다.
단위조립 유니트(130)는 원형 합성수지관(110)이 관통상태로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링부분(131)과 링부분(13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되 링부분(131)보다 확장된 크기의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며 링부분(131)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다수의 통수홀(135a)이 형성된 통수블록부분(135)으로 되어 있다.
통수블록부분(135)을 구분하면 링부분(131)의 상부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상으로 링부분(131)의 직경보다 확장된 폭을 갖게 연장된 하부패널(136)과, 하부패널(136)이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패널(137) 및 수직패널들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패널(138)과, 상부패널(138)의 저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하부패널(136)의 상면까지 연장된 수직보강살(141) 및 인접된 수직보강살(141) 사이 및 수직패널(137)과 수직보강살(141) 사이에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보강살(14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패널(138)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발판(150)의 안착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된 안착 가이드돌기(139)들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부분(131)의 상부 외측면과 하부 패널(136)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접합된 경사보강살(145)이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통수블록부분(135)에서 링부분(131)의 연장방향을 따라 빈 공간이 통수홀이 된다.
또한, 일측의 수직패널(137)에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끼움 결합이 될 수 있게 돌출된 끼움돌기(137a)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편의 대응되는 타측의 수직패널(137)에는 끼움돌기(137a)가 삽입되는 끼움홈(13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돌기(137a)와 끼움홈(137b)에는 결합부재인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방향을 따라 밀접된 단위조립 유니트(130)들은 끼움돌기(137a)와 끼움홈(137b)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분리가 억제되게 조립하면된다.
이러한 단위조립 유니트(130)들은 링부분(131)을 통해 원형 합성수지관(110)들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되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 통수블록부분(135)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다.
발판(15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위조립 유니트(130)들의 상면에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된다. 발판(150)은 합성수지소재 이외에도 금속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단위조립 유니트(130) 중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최외측에 각각 배치된 최외곽 단위조립유니트(130)의 링부분(131)에는 링부분(131)의 해상부유 구조물(100)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노출된 외측면의 중간높이 정도에서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링부분(1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접합가이드판(160)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접합가이드판(160)의 경사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30 내지 60도가 되게 적용하고 바람직하게는 45도가 되게 적용한다.
최외측 롤링저감판(17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방향을 따라 사이드접합 가이드판들(160)에 접합되어 파랑에 의한 롤링을 저감시킨다..
최외측 롤링저감판(170)은 사이드 접합가이드판(160)의 경사방향을 따르는 길이에 대응되는 폭과 원형합성수지관(1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최외측 롤링저감판(170)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사이드 접합가이드판(160)에 결합하면 된다. 이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롤링저감판(170)은 사이드 접합가이드판(160)의 하측부에 배치함으로써 최외측 롤링저감판의 상부를 통하여 해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A)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단위조립 유니트(130)의 링부분(131)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에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133)는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통수가 가능한 통수홀(133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133)의 통수홀(133a)은 해수가 빠져 지면에 바위 등과 접촉시 미세한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파손을 억제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접촉돌기(133)는 지면에 안착시 부하를 사이드 접합 가이드판(160)과 함께 분담할 수 있도록 하단이 사이드 접합가이드판(160)의 하단과 수평상으로 동일 높이가 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교(10)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하중이 집중되고, 하중 집중부분에 대한 부력을 보강하기 위한 부력보조체(180)가 제1방향을 따라 단위조립유니트(130)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02) 내에 단위조립 유니트(130) 또는 원형 합성수지관(110)과 결합되어 부력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부력보조체(180)는 에프알피 소재로 사각함체 형태로 피막되게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 부력공간을 갖는 보조부력바디(181)와, 보조부력바디(181)에 형성되어 원형 합성수지관(110) 또는 단위조립 유니트(13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바디로서, 보조부력바디(181)의 상면과 저면에서 보조 부력바디(181)로부터 폭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어 원형 합성수지관(110)과 바인딩 선(187)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185)이 형성된 플랜지(18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183)는 통수블록부분(135)의 하부패널(136)과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력보조체(180)는 제2방향을 따라 조립된 3개의 단위 조립 유니트(130)의 링부분(131)들 사이에 2개가 배치된 구조가 적용되어 있고, 제1방향을 따라서는 하나만 배치되어 있지만 하중이 집중되는 요소에 대해 추가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해상부유 구조물(100)은 도교(10)가 결합될 수 있는 부잔교로 사용될 수 있게 구조되어 있고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해상부유 구조물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의 부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경사지게 장착된 최외측 롤링저감판(170)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파랑에 의한 요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원형 합성수지관 130: 단위조립 유니트
150: 발판 160: 사이드접합가이드판
170: 최외측 롤링저감판 180: 부력보조체

Claims (5)

  1. 삭제
  2.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속이빈 중공을 갖는 원형형상으로 연장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원형 합성수지관들과;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이 관통상태로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링부분과 상기 링부분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링부분보다 확장된 크기의 사각틀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링부분의 연장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다수의 통수홀이 형성된 통수블록부분을 갖으며 상기 링부분을 통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들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 통수블록부분과 상호 결합된 단위조립 유니트들과;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들의 상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결합된 다수의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 중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최외측에 각각 배치된 최외곽 단위조립유니트의 상기 링부분에는 외측면에서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상기 링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된 사이드접합가이드판이 마련되어 있고,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접합 가이드판들에 접합되어 파랑에 의한 롤링을 저감시키고 최외측 롤링저감판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단위조립유니트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내에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 또는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과 결합되어 부력을 보강하는 부력보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보조체는
    에프알피 소재로 사각함체 형태로 피막되게 형성되며 폐쇄된 내부 부력공간을 갖는 보조부력바디와;
    상기 보조부력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 또는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최외측 롤링저감판의 상부를 통하여 해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최외측 롤링저감판을 상기 사이드접합가이드판의 하측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는
    상기 보조부력바디의 상면과 저면에서 상기 보조 부력바디로부터 폭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형 합성수지관과 바인딩 선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된 플랜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립 유니트의 상기 링부분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에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접촉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돌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통수가 가능한 통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의 하단과 상기 사이드 접합가이드판의 하단은 수평상으로 동일 높이가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 구조물.
KR1020190091230A 2019-07-26 2019-07-26 해상부유 구조물 KR10205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30A KR102050997B1 (ko) 2019-07-26 2019-07-26 해상부유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30A KR102050997B1 (ko) 2019-07-26 2019-07-26 해상부유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997B1 true KR102050997B1 (ko) 2020-01-07

Family

ID=6915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230A KR102050997B1 (ko) 2019-07-26 2019-07-26 해상부유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81B1 (ko) * 2021-07-15 2022-05-06 정복균 소파 기능과 횡동요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잔교
KR102395682B1 (ko) * 2021-07-15 2022-05-06 정복균 롤링 방지용 부잔교
KR102663044B1 (ko) * 2023-12-22 2024-05-08 주영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342A (ko) * 2008-08-12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식 빌지킬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353950B1 (ko) * 2013-11-11 2014-01-22 주식회사 혁신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789411B1 (ko) * 2016-03-22 2017-10-23 (주)해광테크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342A (ko) * 2008-08-12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식 빌지킬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353950B1 (ko) * 2013-11-11 2014-01-22 주식회사 혁신 롤링을 방지하는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KR101536278B1 (ko) * 2015-02-04 2015-07-13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789411B1 (ko) * 2016-03-22 2017-10-23 (주)해광테크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81B1 (ko) * 2021-07-15 2022-05-06 정복균 소파 기능과 횡동요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잔교
KR102395682B1 (ko) * 2021-07-15 2022-05-06 정복균 롤링 방지용 부잔교
KR102663044B1 (ko) * 2023-12-22 2024-05-08 주영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리용 파동 저감형 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US20030140838A1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US4059065A (en) Semisubmersible loading mooring and storage facility
US5911542A (en) Unsinkable floating dock system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US20080056829A1 (en) Method for making a floating offshore drilling/producing structure
JP2017513774A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19980025071A (ko) 낮은 흘수의 부양되는 해양 굴착 및 생산 구조물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2014812B1 (ko)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KR20030053669A (ko) 부유식 방파제
JP2001071991A (ja) セミサブ浮体式構造物並びに大型海洋構造物及び大型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
EP1556274A1 (en) Very large vessel construction
KR102250159B1 (ko)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US3990254A (en) Marine structure for offshore activities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2417512B1 (ko)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101957487B1 (ko) 스티로폼 내장형 부잔교
US5927227A (en) Hollow concrete-walled structure for marine use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CN212358364U (zh) 一种浅水区立式下水导管架
KR101948639B1 (ko) 부력 장치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