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976B1 -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 Google Patents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976B1
KR101880976B1 KR1020180002724A KR20180002724A KR101880976B1 KR 101880976 B1 KR101880976 B1 KR 101880976B1 KR 1020180002724 A KR1020180002724 A KR 1020180002724A KR 20180002724 A KR20180002724 A KR 20180002724A KR 101880976 B1 KR101880976 B1 KR 10188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slider
lower plate
water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원
이경진
권봉경
최준창
음태휘
정남희
이선우
김주한
정창호
이준영
Original Assignee
동문이엔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문이엔티(주) filed Critical 동문이엔티(주)
Priority to KR102018000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Water 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86Water using probes, e.g. submersible probes, 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부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부체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 상측이 개구되도록 측판과 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측판 및 하판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상기 슬라이더의 하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 유역의 기본 수질 항목을 검출하기 위한 수질 측정기 및 상기 하부 부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BUOY FOR MEASURING WATER-QUALITY CAPABLE OF SHIFT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원마다 유동적으로 설치 가능한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ce contaminant)은 비특정(非特定) 오염물질, 면(面) 오염물질, 이동 오염물질 또는 기타수질 오염물질이라고도 하는데,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의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인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통칭한다.
점오염물질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물질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된다.
특히, 하천이나 저수지, 댐 등과 같은 지류나 지천에서의 수질오염은 축산분뇨나 공장폐수, 생활하수의 무분별한 방류가 주원인이며, 특히 공장폐수와 축산분뇨의 무단방류에 의한 오염이 총 수질오염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여 정화된 수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류나 지천의 오염된 물에 대해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측정기술의 경우에는 대규모 장비로 이루어져 있어 본류에만 국한되어 설치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일부분의 데이터 측정만 가능할 뿐이며 지류, 지천 등의 비점오염물질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규모 장비가 구비된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를 지류, 지천 등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비된 장소 확보와 막대한 비용이 소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9680호(2016.07.14.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표 부재를 이용하여 지류, 지천마다 유동적으로 설치 가능하므로 비점오염물질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부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부체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 상측이 개구되도록 측판과 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측판 및 하판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상기 슬라이더의 하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 유역의 기본 수질 항목을 검출하기 위한 수질 측정기 및 상기 하부 부체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사슬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사슬 부재의 단부에는 앵커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사슬 부재의 타측면에 고정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부체에 추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추진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레이저 빔을 발사함으로써 유류의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유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기는 역세 필터 및 상기 시료수의 TOC측정을 위한 TOC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자동 채수기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을 포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수용부를 덮는 커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상에는 태양광을 공급받아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집광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표 부재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측정 위치로 직접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질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위치로 이동된 부표 부재를 사용자 위치로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료수 채취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가 대상 유역에 부상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슬라이더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가 대상 유역에 부상한 상태로 원격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가 대상 유역에 부상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슬라이더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가 대상 유역에 부상한 상태로 원격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는 하부 부체(110), 몸체(120), 슬라이더(130), 통공(133), 수질 측정기(135) 및 통신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체(110)는 폰툰(pontoon)과 같은 수상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대상 유역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구비되는 부상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점오염물질이란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농지 및 제품야적장 등과 같은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이것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물질이 특정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점오염물질과 달리, 비점오염물질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 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는 대상 유역의 수질을 측정하는 부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상 유역은 지류, 지천 등의 수심이 얕고 폭이 좁은 유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자연 하천, 지류, 지천의 수질을 측정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하부 부체(110)는 몸체(120)를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20)의 무게로 인한 중력과 하부 부체(110)가 받는 부력이 평형을 이루어, 부표 부재(100)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수면 위에 뜨게 된다.
부표 부재(100)는 몸체(120)의 일부를 수면 아래로 잠수한 상태로 안정된 부력을 제공받는다. 다시 말해 부표 부재(100)는 하부 부체(110)와 몸체(120)의 이층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중량추가 없이도 안정적으로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부체(110)는 몸체(120)의 바닥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수면의 파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부상 상태가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120)는 하부 부체(110) 상에 결합되되, 상측에 수용부(120a)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수질 측정기(135)가 수용부(120a)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더(130)는 상측이 개구되도록 측판(131)과 하판(132)을 구비하고, 몸체(120)의 하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30)의 측판(131) 및 하판(132)에는 복수의 통공(13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공(133)을 통하여 대상 유역의 물이 통과하여 슬라이더(13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공(133)은 하판(132)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측판(131)에는 일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이 차는 높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공(133)이 측판(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높이는 적어도 하부 부체(110) 및 몸체(120)가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밑으로 잠긴 상태가 되어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이 측판(131)의 높이를 따라 차오르는 높이만큼 형성됨으로써 하판(132)의 통공(133) 이외에도 측판(131)의 통공(133)을 통하여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 측정기(135)는 수질의 기본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더(130)의 하판(13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측판(131) 및 하판(132)의 통공(133)을 통하여 물이 자유롭게 유입되므로 이와 같이 유입되는 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수질 측정기(135)는 슬라이더(130)의 통공(133)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수질특성을 다항목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질 측정기(135)에 의해 측정되는 항목은 수온, 전기 전도도, 탁도(SS; 부유물질 농도), pH, DO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수온, 탁도, 용존산소량, 수소이온농도, 총유기탄소량, 유기물질(예를 들면, 질산염) 등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의 측정되는 항목은 정기적으로 또는 임의로 변경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질 측정기(135)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수질 기본 항목으로서, 수온, pH, DO, 전도도, 탁도, 총 인(T-P), 총 질소(T-N), 및 총 유기 탄소(TOC)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항목들은 비점오염물질로서 수질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물질들이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항목을 측정하는 것이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부표 부재(100)는 수질 측정기(135)를 이용하여 수질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몸체(120)에는 하부 부체(11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123)이 설치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은 전송 제어 장치를 통해서 시스템에 접속되는 입출력 제어 장치와 1대 이상의 입출력 제어 장치를 의미하는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3)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remote control)이 구비되고, 후술하는 추진 장치(14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부표 부재(100)를 사용자(U)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대상 유역의 측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몸체(120)의 일측면에는 사슬 부재(121)가 설치될 수 있다. 사슬 부재(121)의 단부에는 앵커 부재(122)가 구비되고, 앵커 부재(122)가 상기 대상 유역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부표 부재(100)가 수질 측정이 요구되는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추진 장치(141)가 몸체(120)의 사슬 부재(121)의 타측면에 고정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부체(110)에 추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추진 장치(141)는 몸체(120)의 측면부에 수직하게 소정 길이로 고정되는 추진 장치 고정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추진 장치(141)는 소정 각도(a)만큼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리모콘의 ON 작동에 따라 앵커 부재(122)를 중심으로 지름 R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U) 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상기 리모콘이 OFF 작동되면 상기 대상 유역의 화살표를 따른 유속에 의해 부표 부재(100)가 자연적으로 사용자(U)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대상 유역의 측정 위치까지 별도의 에너지원이 소모되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유류 검출기(151)는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할 수 있도록 몸체(120)의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유류 검출기 고정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류 검출기(151)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 빔의 리턴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범위 내의 시간에 포함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유류가 포함되어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수용부(120a)에는 자동 채수기(124)가 설치될 수 있다. 자동 채수기(124)는 슬라이더(130)의 통공(133)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을 포집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소형 펌프가 설치되면 슬라이더(13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측의 자동 채수기(124)로 포집되도록 한다.
한편, 부표 부재(100)의 상면에는 집광판(161)을 구비하는 커버 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집광판(161)은 태양광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은 입사한 태양광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집광판(161)을 통하여 얻어진 에너지는 수질 측정기(135) 및 추진 장치(141) 등에 요구되는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집광판(161)은 커버 부재(160)의 상면 전면적에 걸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집광판(161)이 부착된 커버 부재(160)의 상면은 부표 부재(10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는 집광판(161)의 평평한 면에 태양광이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에너지의 집광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부표 부재(100)에 집광판(161)이 구비되면, 장기간 외부에서 작동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부표 부재(100)의 자동제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나 지점에서도 효과적으로 부표 부재(1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슬라이더(130)의 하판(132) 상에 설치되는 수질 측정기(135)는 역세 필터 및 TOC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 필터는 시료수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수질 측정이 가능하도록 작동되며, 필터 청소 시 일정 압력으로 저장된 시료수를 하부로 밀어내어 자동 역세하는 필터일 수 있다.
수질 측정기(135)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외부의 통합 관제 서버(1) 등으로 송신될 수 있다.
즉, 수질 측정기(135)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값은 통신 모듈(123)로 제공되며,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점오염물질 모델링이 구축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은 근거리 통신인 블루투스 통신이 사용될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통합 관제 서버(1)와 송수신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로거(logger)와 데이터 로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델링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통합 관제 서버(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에서는 상기 부표 부재(100)를 통해 샘플수의 채수 기능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채수 환경 즉 사용자가 원하는 채수 간격 및 채수 시간, 채수량, 살균 시간 및 주기 등 다양한 구동 정보의 입력 설정이 가능하고, 각 기능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부표 부재(100)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은 통합 관제 서버(1)와 무선 통신망으로 송수신될 수 있으며, CDMA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3)에 송수신된 입력신호는 통합 관제 서버(1)의 각 기능에 연동하여 상기 부표 부재(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관제 서버(1)로부터 통신 모듈(123)에 채수 명령과 관련된 입력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러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부표 부재(100)로부터 채수 작업이 수행되도록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GPS 센서가 설치됨으로써 부표 부재(100)의 위치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몸체(120)에는 감시 카메라(152)가 설치될 수 있는데, 감시 카메라(15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사용자(U)의 리모콘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송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도 5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부표 부재(100)가 지류, 지천에 부상한 상태로 슬라이더(130)의 일부가 수면 밑으로 잠기므로 시료수가 슬라이더(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슬라이더(130)의 수질 측정기(135)에 의해 측정된 기본 수질 항목 관련 측정값이 통신 모듈(123)에 의해 통합 관제 서버(1)로 전송된다. (L1)
또한, 유류 검출기(151)에 의해 대상 유역의 수면에 유류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측정값 및 유류 정보가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통합 관제 서버(1)로 전송될 수 있다. (L2)
한편, 상기 시료수는 상기 역세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이물질이 걸리진 후 상기 TOC 분석기에 의해 TOC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TOC 분석을 위한 시약 및 증류수가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분석 과정 중에 생성되는 폐액은 폐액통(미도시)에 수용되어 추후 폐기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몸체(120)의 수용부(120a)에 설치되는 자동 채수기(124)는 시료수를 냉장 보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반 항목 등의 측정값이 소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채수 동작 및 냉장 가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L3)
이때, 채수 경보 및 채수 상태를 통신 모듈(123)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4)
한편,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휴대하고 있는 경우, 리모콘을 ON 작동하여 작동 명령을 지령하면 추진 장치(141)가 회전됨으로써 부표 부재(100)의 추진력이 생성된다.
이때, 추진 장치(141)가 각도 a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U)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L6)
이에 더하여, 감시 카메라(152)를 통하여 대상 유역의 수면이 촬영되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화면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통합 관제 서버(1)로 전송될 수 있다. (L5)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는 대상 유역의 측정 위치로 이동시켜 수질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까지 원격으로 이동 제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통합 관제 서버
100: 부표 부재
110: 하부 부체
120: 몸체
120a: 수용부
130: 슬라이더
135: 수질 측정기
141: 추진 장치

Claims (7)

  1.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부체(110);
    수용부(120a)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부체(11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120);
    상측이 개구되도록 측판(131)과 하판(132)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120)의 하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130);
    상기 슬라이더(130)의 측판(131) 및 하판(132)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33);
    상기 슬라이더(130)의 하판(132) 상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 유역의 기본 수질 항목을 검출하기 위한 수질 측정기(135);
    상기 대상 유역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 부재(122);
    일단이 상기 앵커 부재(12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사슬 부재(121);
    상기 몸체(120)의 사슬 부재(121)의 타단에 고정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부체(110)에 추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추진 장치(141); 및
    상기 하부 부체(11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123)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132)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33)은 상기 하판(132)의 전 면적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측판(131)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33)은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이 차는 높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추진 장치(141)는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추진 장치(141)가 작동되면 상기 몸체(120)가 상기 앵커 부재(122)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추진 장치(141)가 정지되면 상기 몸체(120)가 상기 대상 유역의 하류 측으로 자연적으로 이동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레이저 빔을 발사함으로써 유류의 유무를 측정하기 위한 유류 검출기(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기(135)는 역세 필터; 및
    상기 대상 유역의 TOC측정을 위한 TOC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0a)에 자동 채수기(12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30)의 통공(133)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대상 유역의 물을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수용부(120a)를 덮는 커버 부재(16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160) 상에는 태양광을 공급받아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집광판(16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KR1020180002724A 2018-01-09 2018-01-09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KR10188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24A KR101880976B1 (ko) 2018-01-09 2018-01-09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24A KR101880976B1 (ko) 2018-01-09 2018-01-09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976B1 true KR101880976B1 (ko) 2018-08-27

Family

ID=6345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24A KR101880976B1 (ko) 2018-01-09 2018-01-09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9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1985A (zh) * 2019-04-02 2019-06-25 李伟华 一种自航式锚定水质监测系统
CN110065595A (zh) * 2019-04-30 2019-07-30 合肥优世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船及其控制系统
KR102155360B1 (ko) 2020-07-31 2020-09-11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폰툰시스템
KR102165090B1 (ko) 2020-08-26 2020-10-13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분리식 폰툰시스템
CN114324794A (zh) * 2021-12-23 2022-04-12 沈阳环境科学研究院 可自动投标的水处理水质分析仪
CN116605354A (zh) * 2023-07-19 2023-08-18 山东中治环境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820A (ja) * 2003-11-14 2005-06-09 Tokyo Metropolis 自動採水器用ろ過装置
JP2010504209A (ja) * 2006-09-25 2010-02-12 エルヴェーオ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水浄化装置
KR20120066168A (ko) * 2010-12-14 2012-06-22 전호경 자동 평형유지 기능을 갖는 수질 측정 부이장치
KR101587243B1 (ko) * 2015-08-07 2016-01-20 동문이엔티(주) 수심변화가 큰 하천지류에서의 수질측정용 부체
KR101639680B1 (ko) 2015-10-13 2016-07-14 주식회사 코비 비점오염물질 측정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KR20160139185A (ko) * 2015-05-27 2016-12-07 길주형 사물인터넷 기능을 갖는 수질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820A (ja) * 2003-11-14 2005-06-09 Tokyo Metropolis 自動採水器用ろ過装置
JP2010504209A (ja) * 2006-09-25 2010-02-12 エルヴェーオー ゲーエムベーハー 水浄化装置
KR20120066168A (ko) * 2010-12-14 2012-06-22 전호경 자동 평형유지 기능을 갖는 수질 측정 부이장치
KR20160139185A (ko) * 2015-05-27 2016-12-07 길주형 사물인터넷 기능을 갖는 수질감시장치
KR101587243B1 (ko) * 2015-08-07 2016-01-20 동문이엔티(주) 수심변화가 큰 하천지류에서의 수질측정용 부체
KR101639680B1 (ko) 2015-10-13 2016-07-14 주식회사 코비 비점오염물질 측정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1985A (zh) * 2019-04-02 2019-06-25 李伟华 一种自航式锚定水质监测系统
CN110065595A (zh) * 2019-04-30 2019-07-30 合肥优世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船及其控制系统
KR102155360B1 (ko) 2020-07-31 2020-09-11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폰툰시스템
KR102165090B1 (ko) 2020-08-26 2020-10-13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분리식 폰툰시스템
CN114324794A (zh) * 2021-12-23 2022-04-12 沈阳环境科学研究院 可自动投标的水处理水质分析仪
CN116605354A (zh) * 2023-07-19 2023-08-18 山东中治环境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装置
CN116605354B (zh) * 2023-07-19 2023-09-22 山东中治环境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976B1 (ko) 이설형 수질 측정용 부표 부재
KR101114677B1 (ko) 이동식 수질오염 측정 시스템
Westrich et al. Sediment dynamics and pollutant mobility in river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ong Alkalinity and pH in the southern Chesapeake Bay and the James River estuary 1
US20220251818A1 (en)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s
Myers Innovations in monitoring with water-quality sensors with case studies on floods, hurricanes, and harmful algal blooms
Benjankar et al. Salt concentration measurement using re-usable electric conductivity–based sensors
WO2009064373A1 (en) Optical sedimentation recorder
Nord et al. An autonomous low-power instrument platform for monitoring water and solid discharges in mesoscale rivers
Goldman et al. Distrbuted Sensing Systems for Water Quality Assesment and Management
Ly Water quality-based real time control of combined sewer systems
KR102221696B1 (ko) 하천 방사성 물질 검측 시스템
Ringham High resolution, in-situ studies of seawater carbonate chemistry and carbon cycling in coastal systems using CHANnelized Optical System II
CN117630338B (zh) 耦合地表及地下的水陆交错带污染物运输模拟装置及方法
RU2792708C1 (ru) Стацион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выпуска сточных вод промышленного предприятия
KR101716466B1 (ko) 태양광 발전 설비에 융합된 강수 저장 및 공급 시스템
KR101193038B1 (ko) 무인 수질 검사 시스템 및 탐사선, 측정장치
Galfi Suspended solids and indicator bacteria in stormwater runoff: Sources of bias in field measurements
KR102638431B1 (ko) Ai영상 분석에 의해 수질, 수위, 유량을 관리하는 스마트시스템
Fernandez Using a low-cost green light emitting diode to measure total suspended solids in a marine protected area of the philippines
Bigham Calibration and testing of a wireless suspended sediment sensor
CN113957929B (zh) 一种市政管网智能井盖
Arko et al. Autonomous surface vehicle for real-time monitoring of water bodies in Bangladesh
Hill et al. Continuous, Wireless Monitoring of Sediment Flux within Streams on Military Installations
Schellart The use of turbidity measurements for sewer sediment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