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78Y1 - 해양 관측용 부이 - Google Patents

해양 관측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78Y1
KR200419278Y1 KR2020060009024U KR20060009024U KR200419278Y1 KR 200419278 Y1 KR200419278 Y1 KR 200419278Y1 KR 2020060009024 U KR2020060009024 U KR 2020060009024U KR 20060009024 U KR20060009024 U KR 20060009024U KR 200419278 Y1 KR200419278 Y1 KR 200419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rame
buoy
floating
collecting plate
hea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고석원
Original Assignee
(주)오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션테크 filed Critical (주)오션테크
Priority to KR2020060009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 관측용 부이(Buoy)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사각뿔 구조의 앵글프레임(20); 앵글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앵글프레임(20)을 해수면에 부상시키는 부상체(30); 앵글프레임(20)의 측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열판(40); 앵글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며, 태양광집열판(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광등(50); 앵글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상관측기(60a,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해양 관측용 부이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 제작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이, 앵글프레임, 부상체, 태양광집열판, 경광등, 기상관측기

Description

해양 관측용 부이 {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부상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부상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앵글프레임 22 : 집열판거취대
24 : 지지플레이트 30 : 부상체
32 : 베이스플레이트 34 : 부상파이프
36 : 연결소켓 38 : 지지브래킷
40 : 태양광집열판 50 : 경광등
60a,60b : 기상관측기 70 : 난간플레이트
80 : 무게추
본 고안은 해양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환경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해양의 해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또는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 존재를 경고하는 등 해양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부이는 해저와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해류 등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 주변해역에는 우리나라 어선 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 어선까지 전 해역에 광범위하게 출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관측용 부이의 설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해양 관측용 부이 대부분은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해수면에 부상시킴으로써 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들 뿐 아니라 기상 조건의 악화시 해류 등에 의해 손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해양 관측용 부이가 선보이고 있으나, 그 외관 및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해양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양 관측용 부이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사각뿔 구조의 앵글프레임; 상기 앵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프레임을 해수면에 부상시키는 부상체; 상기 앵글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열판;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집열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경광등;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상관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앵글프레임에는 집열판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집열판은 상기 집열판거치대에 거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체는 상기 앵글프레임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상파이프; 상기 복수의 부상파이프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소켓; 상기 복수의 부상파이프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강(ST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 특히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단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경광등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종 경고문구를 기재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난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 (Buoy)는 앵글프레임(20); 앵글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상체(30); 앵글프레임(20)의 측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열판(40); 앵글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광등(50); 앵글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상관측기(60a,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앵글프레임(20)은 상부가 수평으로 절단된 사각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하부가 크기만 서로 다른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진다. 그로 인해, 앵글프레임(20)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양에서의 설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앵글프레임(20)으로는 100mm*100mm,6T 규격을 지닌 L형 앵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글프레임(20)의 형상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앵글프레임(20)에는 집열판거치대(22)가 설치되고, 태양광집열판(40)은 집열판거치대(22)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집열판거치대(22)로는 40mm*40mm,3T 규격을 지닌 L형 앵글이 사용된다.
집열판거치대(22)는 태양광집열판(40)을 거치하는 기능 외 앵글프레임(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크기와 재질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부상체(30)는 앵글프레임(20)을 해수면에 적절하게 부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세부적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태양광집열판(40)은 직사각형 구조를 가지고, 앵글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는 집열판거치대(22)에 한 쌍으로 거치된다. 태양광집열판(40)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앵글프레임(20)의 상단에는 지지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경광등(50)은 지지플레이트(24)의 중앙영역에 설치된다.
경광등(50)은 태양광집열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공급수단 없이 축적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해양 관측용 부이의 표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경광등(50) 및 태양광집열판(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은 앵글프레임(20)에 지지된다.
앵글프레임(20)의 하부에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STS) 재질의 난간플레이트(70)가 설치되며, 난간플레이트(70)에는 보호수면, 조업금지 등과 같은 각종 경고(보호)문구를 기재할 수 있다.
기상관측기(60a,60b)는 해양 관측용 부이가 위치하고 있는 해양의 기상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풍향계 및 풍속계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양 관측용 부이의 설치안정성 및 위치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앵글프레임(20)의 하부에 웨이트 밸런스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부상체를 도시한 것으로, 부상체(30)는 앵글프레임(20,도1참조)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32); 베이스플레이트(32)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상파이프(34); 복수의 부상파이프(34) 각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소켓(36); 복수의 부상파이프(36) 외주면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브래킷(38)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32)는 앵글프레임(20,도1참조)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300mm,3T 규격의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그 재질은 강도 및 내구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강(STS)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32)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STS) 외 강도 및 내구성 등을 일정 이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부상파이프(34)는 해수면에서의 베이스플레이트(32) 부상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수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PE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상파이프(34)의 길이, 두께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부상파이프(34)의 배치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상파이프(34)가 베이스플레이트(32)의 외곽부를 한 겹으로 둘러싸고 배치되거나, 부상체(30)의 구조적 안정성 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상파이프(34)가 베이스플레이트(32)의 외곽부를 두 겹으로 둘러싸고 배치, 즉 부상파이프(34)가 베이스플레이트(32)의 외곽부에 서로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소켓(36)은 복수의 부상파이프(34)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상파이프(34)의 각 단부에 결합된다. 연결소켓(36)의 형상은 ㄱ형 및 T형을 가진다.
연결소켓(36)은 여러 조건을 감안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브래킷(38)은 복수의 부상파이프(34)를 연결 지지하여, 부상파이프(34)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해수면 상에서의 부상체(30) 부상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위치한 지지브래킷(38)에는 무게추(8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80)는 일정의 중량을 갖는 시멘트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 및 재질은 물론이고 설치위치 및 설치개수는 부상체(30)의 부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해양 관측용 부이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 제작성 및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양에서의 설치안정성은 물론이고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집열판으로부터 경광등에 전원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상부가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사각뿔 구조의 앵글프레임;
    상기 앵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앵글프레임을 해수면에 부상시키는 부상체;
    상기 앵글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열판;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집열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광등;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상관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프레임에는 집열판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집열판은 상기 집열판거치대에 거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는,
    상기 앵글프레임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상파이프; 상기 복수의 부상파이프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소켓; 상기 복수의 부상파이프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상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프레임의 상단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경광등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종 경고문구를 기재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난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KR2020060009024U 2006-04-05 2006-04-05 해양 관측용 부이 KR200419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24U KR200419278Y1 (ko) 2006-04-05 2006-04-05 해양 관측용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24U KR200419278Y1 (ko) 2006-04-05 2006-04-05 해양 관측용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78Y1 true KR200419278Y1 (ko) 2006-06-16

Family

ID=4176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024U KR200419278Y1 (ko) 2006-04-05 2006-04-05 해양 관측용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7-09-07 한국해양연구원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CN117533465A (zh) * 2024-01-09 2024-02-09 青岛环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海洋浮标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7-09-07 한국해양연구원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CN117533465A (zh) * 2024-01-09 2024-02-09 青岛环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海洋浮标装置
CN117533465B (zh) * 2024-01-09 2024-04-02 青岛环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海洋浮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8199T3 (es) Planta de energía solar
US8446026B2 (en) System for mooring a floating plant for the production of energy from currents in water
KR101603530B1 (ko) 수질 환경 측정을 위한 폰툰-부체
US20130313833A1 (en) Water-powered generator
KR101343482B1 (ko) 수직형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등부표 구조물
ES2583504T3 (es)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N102582794A (zh) 一种浮力装置及系统
WO2017118228A1 (zh) 水上光伏系统
KR200419278Y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0895246B1 (ko) 선박의 항로표시장치.
JP4040655B2 (ja) ブイ
CN215155458U (zh) 一种三浮体式光学浮标
CN204713370U (zh) 一种新型海洋浮标
JP3165404U (ja) 浮標
JP2007280686A (ja) 水上照明装置
CN220420870U (zh) 一种卫星天线支架
CN206955764U (zh) 一种可以随水位升降进行高度调节的生态浮岛装置
CN202686698U (zh) 大型海洋气象监测浮标
KR101602174B1 (ko) 위치 유지가 용이한 부표장치
KR101272106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장구형 부구
KR102361654B1 (ko) 안정성이 향상된 해양표층관측 관측시스템
KR102240126B1 (ko) 다종의 해양표층요소 획득을 위한 관측시스템
KR200449346Y1 (ko) 수난 안전용 부표장치
KR20090131558A (ko) 유향 순응식 해양 관측 표시 부표
CN209776742U (zh) 一种用于测量海洋水文气象的稳定性强的锚系浮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