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970B1 -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 Google Patents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70B1
KR101268970B1 KR1020130028109A KR20130028109A KR101268970B1 KR 101268970 B1 KR101268970 B1 KR 101268970B1 KR 1020130028109 A KR1020130028109 A KR 1020130028109A KR 20130028109 A KR20130028109 A KR 20130028109A KR 101268970 B1 KR101268970 B1 KR 10126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olar light
circular
weigh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주)효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선전기 filed Critical (주)효선전기
Priority to KR102013002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바다 또는 호수 등에서 각종 어구 혹은 부표 및 경관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의 부구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부구몸체의 선단에는 태양광에 의해 자동으로 점멸되는 표시등을 장착하며, 상기 부구몸체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과 수류 통과공을 각기 관통 형성하고, 상기 부구몸체의 저면에는 중심 무게추와 양측의 보조 무게추를 각기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야간 혹은 어두운 환경에서 자동으로 점등되는 태양광 표시등 및 부구 외면의 야광 및 형광 도료층에 의해 시인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더욱 빨리 부구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상 장식용 부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상 조명 효과로 인해 미려한 조경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바람이 불어 부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파도로 인해 부구가 흔들리더라도 보조 무게추 및 수류 통과공에 의해 부구가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구의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부구 본래의 역할과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Buoys having a solar lighting}
본 발명은 강이나 바다 또는 호수 등에서 각종 어구 혹은 부표 및 경관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부구의 선단에 태양광에 의해 자동으로 점멸되는 표시등을 장착하고 상기 원형 부구의 저면에는 중심 무게추와 보조 무게추를 각기 형성하며, 상기 원형 부구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과 수류 통과공을 형성함에 따라 야간에 표시등의 자동 점등에 의한 시인성 향상 및 장식성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보조 무게추와 수류 통과공을 통해 부구가 기울어지거나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 원형 부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또는 호수 등에는 양식장 또는 어망 등의 어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부표가 설치되는 것이고, 해상 또는 수상 항로 표시를 위한 부표 또는 수상 안전 표시구 등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부이를 포함한 부표 및 부구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부구는 부력이 우수하여 바람이 불거나 파도가 치는 경우에도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고 늘 수면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구는 다양한 종류의 어구에 매달아 상기의 어구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 동시에 어구의 설치 위치에 대한 표시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닻을 매달아 선박 등의 항로를 표시하기 위한 부이의 목적으로도 활용되는 것이며, 호수 등에서는 다양한 조형물을 수상에 띄워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부구는 주간 및 야간 시인성이 떨어져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만이 확인되므로 어구의 위치나 항로 등을 원거리에서 확인하는데 상당한 곤란함을 겪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바람이 불거나 파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구가 사방으로 휩쓸려 다니거나 무수히 흔들려 쓰러진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어서 이와 같은 경우 시인성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매우 좋지 못한 것이다.
특히, 야간에는 부구의 위치 확인이 거의 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지극히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만이 부구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종종 부구를 지나치게 되면서 불필요한 시간 및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고, 해상 항로 표시구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므로 그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도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의 부구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부구몸체의 선단에는 태양광에 의해 자동으로 점멸되는 표시등을 장착하며, 상기 부구몸체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과 수류 통과공을 각기 관통 형성하고, 상기 부구몸체의 저면에는 중심 무게추와 양측의 보조 무게추를 각기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표시등에 의해 주간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자동으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수류 통과공 및 보조 무게추에 의해 부구의 흔들림이나 쓰러짐을 방지하여 주간 및 야간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부구가 지속적인 안정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부구몸체를 구비하여, 상기 부구몸체의 선단에는 태양광 표시등을 장착하고 상기 부구몸체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부구몸체의 하부에는 중심 무게추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로프 연결공의 상측에는 수류 통과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중심 무게추의 양측에는 보조 무게추를 이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야간 혹은 어두운 환경에서 자동으로 점등되는 태양광 표시등 및 부구 외면의 야광 및 형광 도료층에 의해 시인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더욱 빨리 부구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상 장식용 부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상 조명 효과로 인해 미려한 조경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바람이 불어 부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파도로 인해 부구가 흔들리더라도 보조 무게추 및 수류 통과공에 의해 부구가 기울어지거나 심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구의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부구 본래의 역할과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다른 사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부구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진원의 형태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이나 유선형 곡면 또는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포함하는 것임)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부구몸체(10)에 태양광 표시등(20) 및 중심 무게추(30)와 보조 무게추(40)(40')를 결합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부구몸체(10)는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두 개체를 사출 성형한 후 이들을 서로 맞대어 융착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부구몸체(10)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의 부구몸체(10)는 염해가 없는 경질 유리 섬유소재 혹은 신소재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하여 적색계열의 진황색으로 성형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고, 접합부 내측의 실리콘 패킹 등을 통해 최하 1m 이내에서는 방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부구몸체(10)는 상측 선단에 안치홈(13)이 형성되어 있고 부구몸체(10)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11)과 수류 통과공(12)이 각기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부구몸체(10)의 하단에는 결합공(14)(14')이 관통 형성된 무게추연결부(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안치홈(13)에 별도의 태양광 표시등(20)의 하단을 삽입하여 접착 혹은 나사 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고정하고 상기의 무게추연결부(15)에는 결합공(14)(14')을 이용하여 별도로 구비된 중심 무게추(30)와 보조 무게추(40)(40')를 로프 등을 이용하여 각기 고정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로프 연결공(11)은 수류 통과공(12)의 하측에 이격 위치되어 있는 것이고, 중심 무게추(30)는 부구몸체(10)은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의 보조 무게추(40)(40')는 중심 무게추(30)의 양측에 균등 이격거리를 갖고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구몸체(10)의 로프 연결공(11)과 수류 통과공(12)은 부구몸체(10)의 중앙부로부터 양측 끝단을 향하여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내부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부구몸체(10)의 외면에는 평면상 원형의 돌출부(16)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돌출부(16) 외측면에 반복하여 형성되는 도료표시부(17)(17')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내부 형상을 갖는 로프 연결공(11)과 수류 통과공(12)은 본 발명의 부구를 로프에 편리하게 묶어 고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동시에 상기 수류 통과공(12)으로 바닷물이나 강물 등이 원활하게 유입 및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기한 중심 무게추(30)는 부구몸체(10)의 중량에 비하여 대략 2.5배의 중량을 갖는 것으로 적용하고, 양측의 보조 무게추(40)(40')의 중량은 부구몸체(10)의 중량과 동일한 것으로 적용하게 되면 상기의 부구몸체(10)는 바닷물이나 강물의 염도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부구몸체(10)의 1/3 내지 2/5 정도가 물에 잠기면서 안정적인 부상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수류 통과공(12)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수류 통과공(12)의 중심이 수면과 거의 일치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의 수류 통과공(12)을 통해 바닷물이나 강물이 지속적으로 유입 및 배출되면서 이와 같은 수류 작용으로 인해 부구몸체(10)는 소정의 방향성을 갖는 동시에 흔들림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심 무게추(30)는 부구몸체(10)가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인 부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의 보조 무게추(40)(40')는 수중에 위치하고 있어 바람이 불거나 파도가 치는 경우 보조 무게추(40)(40')에 의한 양측 중량감으로 인해 상기의 부구몸체(10)가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구몸체(10)의 선단에 형성되는 태양광 표시등(20)은 투명의 케이스 내부에 솔라셀과 축전지 및 LED가 내장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잔디등이나 정원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부구몸체(10)의 도료표시부(17)(17')는 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을 상기의 돌출부(16)에 방사상으로 도포 혹은 스프레이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도료표시부(17)(17')는 부구몸체(10)에 대한 야간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구를 사용함에 있어 도 4의 도시와 같이 부구몸체(10)의 로프 연결공(11)으로 다양한 어구 등에 사용되는 로프(50)를 간편하게 삽입한 후 상기의 로프(50)와 무게추 혹은 부구몸체(10)를 결속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의 부구에 대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부구는 주간의 경우 외면의 도료표시부(17)(17')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바람이 불거나 파도가 치는 경우에도 부구몸체(10)는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구를 해상 항로 표시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도 5의 도시와 같이 무게추를 고정하기 위한 무게추연결부(15)의 결합공(14)(14')을 이용하여 닻(51)을 매달아 설치하게 되면 상기의 부구몸체(10)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인 부상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도 6의 도시와 같이 깃발(52)을 고정하여 이를 안내 표시물 또는 경계 표시와 위험 표시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기한 결합공(14)(14')을 이용하여 깃발(52)과 부구몸체(10)를 견고하게 결속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구는 주간 시인성도 우수하지만 야간에는 태양광 표시등(20)이 자동으로 점등되면서 원거리에서도 부구를 재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고, 부구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 또는 야광물질에 의한 도료표시부(17)(17')는 주간 및 야간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켜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부구몸체 11 : 로프 연결공
12 : 수류 통과공 13 : 안치홈
14,14' : 결합공 15 : 무게추연결부
16 : 돌출부 17,17' : 도로표시부
20 : 태양광 표시등
30 : 중심 무게추
40,40' : 보조 무게추
50 : 로프 51 : 닻
52 : 깃발

Claims (6)

  1. 내부가 비어 있는 부구몸체(10)를 구비하여, 상기 부구몸체(10)의 선단에는 태양광 표시등(20)을 장착하고 상기 부구몸체(10)의 하측에는 로프 연결공(11)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부구몸체(10)의 하부에는 중심 무게추(30)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 로프 연결공(11)의 상측에는 수류 통과공(12)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중심 무게추(30)의 양측에는 보조 무게추(40)(40')를 이격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2. 제 1항에 있어서,
    부구몸체(10)의 선단에는 안치홈(13)을 형성하여 상기의 안치홈(13)으로 태양광 표시등(2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3. 제 1항에 있어서,
    로프 연결공(11)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끝단을 향하여 점차 확관 형태의 내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수류 통과공(12)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끝단을 향하여 점차 확관 형태의 내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5. 제 1항에 있어서,
    부구몸체(10)의 하부에는 결합공(14)(14')을 갖는 무게추연결부(15)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4)(14')을 이용하여 중심 무게추(30)와 보조 무게추(40)(40')가 각기 결합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6. 제 1항에 있어서,
    부구몸체(10)의 외면에는 평면상 원형 링 형태의 돌출부(16)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6)에는 형광 또는 야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에 의한 도료표시부(17)(17')를 반복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KR1020130028109A 2013-03-15 2013-03-15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KR101268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09A KR101268970B1 (ko) 2013-03-15 2013-03-15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09A KR101268970B1 (ko) 2013-03-15 2013-03-15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70B1 true KR101268970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109A KR101268970B1 (ko) 2013-03-15 2013-03-15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78A1 (ko) * 2018-01-22 2019-07-25 김기성 태양광 엘이디 표시등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열 부표
KR20190113733A (ko) * 2018-02-05 2019-10-08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56337B1 (ko) * 2018-01-30 2019-12-16 박현만 어업용 부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80Y1 (ko) 2006-08-23 2006-11-03 이보형 발광기능을 갖는 수산양식용 부구
KR100826307B1 (ko)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80Y1 (ko) 2006-08-23 2006-11-03 이보형 발광기능을 갖는 수산양식용 부구
KR100826307B1 (ko) 2007-11-08 2008-04-30 한만송 위험선 표시 부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78A1 (ko) * 2018-01-22 2019-07-25 김기성 태양광 엘이디 표시등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열 부표
CN111629959A (zh) * 2018-01-22 2020-09-04 金起成 具有太阳能led指示灯功能的太阳能集热浮标
KR102056337B1 (ko) * 2018-01-30 2019-12-16 박현만 어업용 부표
KR20190113733A (ko) * 2018-02-05 2019-10-08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94449B1 (ko) 2018-02-05 2021-08-26 (주)아이엔오기술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2267A (en) Solar powered buoy
KR101272106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장구형 부구
US20110065342A1 (en) Lighted Dive Buoy
KR101268970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US3628334A (en) Floating breakwater
KR100826307B1 (ko) 위험선 표시 부표
CN206669586U (zh) 港口警示航标
KR102197225B1 (ko) 비비대가 장착된 꽁치 인공산란장
KR200430080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수산양식용 부구
KR200419278Y1 (ko) 해양 관측용 부이
JP4040655B2 (ja) ブイ
KR200173327Y1 (ko) 다기능 부체식 등부표
KR200493734Y1 (ko) 양식장용 태양광 식별등.
KR101092961B1 (ko) 조류판식 측류부이
KR20150090448A (ko) 하부에 부력상승홈이 형성된 회전방지날개를 갖는 안정성을 높인 부구
CN208181355U (zh) 一种水上运输用浮标
RU25847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значения границы впп гидроаэродрома
JPH0648379A (ja) 柱状灯浮標
CN207943144U (zh) 一种水利工程用可自动扶正的浮标
CN209258338U (zh) 一种新型航道用浮标
CN109398617A (zh) 一种防风浪浮标
JP3154407U (ja) 蓄光式浮子
RU182649U1 (ru) Навигационный буй
KR101453759B1 (ko) 태양광 충전 led 점멸부를 갖는 수평유지 가능한 어구표시기
KR101647837B1 (ko) 수상 회전윈드배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