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337B1 - 어업용 부표 - Google Patents

어업용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337B1
KR102056337B1 KR1020180011349A KR20180011349A KR102056337B1 KR 102056337 B1 KR102056337 B1 KR 102056337B1 KR 1020180011349 A KR1020180011349 A KR 1020180011349A KR 20180011349 A KR20180011349 A KR 20180011349A KR 102056337 B1 KR102056337 B1 KR 10205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shing
emitting device
plat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047A (ko
Inventor
박현만
Original Assignee
박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만 filed Critical 박현만
Priority to KR102018001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3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이하 개시된 내용은, 바다나 강의 양식장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시설물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결합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상단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케이스와,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발광케이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열하는 태양광집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의 외측면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역에는 반사판과 축광판이 차례대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업용 부표{FLOATING IMPLEMENT FOR FISHING}
이하 개시된 내용은, 바다나 강의 양식장 주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시설물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부표는 바다나 강 등의 수면에 띄워 선박이나 어선으로 하여금 위험지역임을 알리는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어업용 부표는 양식장이나 어장에 설치되어 선박이나 어선이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외부에서 양식장 등의 시설물의 위치 및 범위를 쉽게 파악하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7202호에 개시된 어업용 부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부표는 스티로폼을 내삽하기 위한 염낭과, 염낭의 일측에 구비되며 어망이나 양식망에 설치고정하기 위한 묶음끈과, 염낭속으로 들어온 바닷물이 배수되도록 외측에 다수개 구비된 배수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스티로폼 재질로 되어 있어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발광성에 한계가 있어 어선 등이 양식장을 인식하지 못하고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시설물과 양식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을 다할 경우 그 처리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 후 바닷가에 무단으로 버려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KR 20-0227202 Y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광수단을 통하여 발광성을 개선함으로써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어업용 부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업용 부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결합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상단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케이스와,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발광케이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열하는 태양광집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의 외측면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역에는 반사판과 축광판이 차례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구역은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면이 경도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4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반사판은 상기 제1 및 제3 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광판은 상기 제2 및 제4 구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케이스는,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측면판과, 측면판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태양광집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집열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투명캡과, 발광소자를 설치하기 위해 측면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케이스 형상의 발광소자 설치부를 포함하고, 발광소자는 다수개의 LED 램프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 설치부의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캡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렌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 설치부의 내부에는, 상·하부몸체의 상하가 반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반전감지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집열판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캡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통하여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감지센서부가 설치되며, 발광소자 설치부의 내부에는 기준조도값에 상응하는 기준전압을 인가하는 기준전압발생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 설치부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가 설치되는데, 이 발광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반전감지센서부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반전된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상기 조도감지센서부의 인가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기준전압 간의 비교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주변조도가 상기 기준조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허용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부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로 중량체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는 밀봉부재에 의해 강제끼움되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의 양측에는 U자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 중심부에는 그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다양한 발광수단을 통하여 발광성을 개선함으로써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원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투명캡의 부분 절개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표의 구성 중 반전감지센서부의 개략적 구성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슬립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투명캡의 부분 절개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표의 구성 중 반전감지센서부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100)는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40), 상부몸체(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183)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케이스(160), 발광소자(18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6) 및 발광케이스(160)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열하는 태양광집열판(16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부몸체(120, 140) 및 발광케이스(16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부력이 좋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하부몸체(120, 140)는 각각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였을 때 하나의 몸체가 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4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부몸체(120)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120a)를 하부몸체(14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40a)에 억지끼움 결합된다.
상부몸체(120)의 외측면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구역에는 반사판(122)과 축광판(124)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여기서, 반사판(122)은 빛을 반사하여 외부에서 부표(10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날씨가 맑아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높을 경우 햇빛을 반사하고, 날씨가 흐려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작을 경우 발광소자(183)에 의한 빛을 반사하게 된다.
축광판(124)은 상부몸체(120)의 외측면에 축광필름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며 낮에는 빛을 흡수하고 야간에는 흡수된 빛을 방사하게 된다. 축광판(124)은 특히 가시성이 좋지 않은 야간에 발광소자(183)와 함께 빛을 방사함으로써 가시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반사판(122)과 축광판(124)의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술한 다수의 구역은 상부몸체(120)의 외측면이 경도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4 구역(z1 ~ z4)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3 구역(z1, z3)에는 반사판(122)이 형성되고 제2 및 제4 구역(z2, z4)에는 축광판(1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몸체(140)의 내부에는, 수평을 유지하고 파도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래나 물 등으로 이루어진 중량체(w)가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몸체(120)의 외측면에는 하부 몸체(140)의 내부로 중량체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는 중량체(w)의 인입이 완료되면 밀봉부재(126)에 의해 강제끼움되어 밀봉된다.
하부몸체(140)의 양측에는 운반이나 설치의 편이성의 위해 U자 형태의 손잡이(142)가 구비되고, 하단 중심부에는 그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 고리(144)가 구비된다.
발광케이스(16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측면판(162)과, 측면판(162)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태양광집열판(166)이 구비되고 태양광집열판(166)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투명캡(164)과, 발광소자(183)를 설치하기 위해 측면판(162)의 내측에 구비되는 케이스 형상의 발광소자 설치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집열판(166)은 투명캡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태양광을 집열하며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소자(183)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태양광집열판(166)은 발광소자(183)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부(186)의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한 다음 후술할 발광제어부(187)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발광케이스(160)는 측면부(162)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60)의 외주면에는 발광소자(183)를 커버하는 투명의 발광소자커버(162a)들이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투명캡(16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구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하단에는 측면판(162)에 강제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164b)가 형성되며, 그 내측면 중심부에는 태양광집열판(166)의 집전율을 높이기 위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렌즈부(164a)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캡(164)과 측면판(162) 사이에는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되고 이에따라 강제끼움 결합시 투명캡(164) 내의 태양광집열판(166)과 조도감지센서(184)가 발광소자 설치부(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집열판(166)이 바닷물과 접촉한 후 마른게 되면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투명캡(164)에 의해 바닷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러한 백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광소자 설치부(181)는 케이스 형상으로, 발광소자(183)와 대응되는 원통형 케이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183)는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램프로 이루어지며 발광소자 설치부(181)의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 설치된다. 이에 따라 LED램프에 의한 빛은 부표를 기준으로 360도 사방으로 조사되고 사면에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어업용 부표(100)는 태양광집열판(166)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도감지센서(184)와, 발광소자 설치부(18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전감지센서부(185), 기준전압발생부(188), 발광제어부(187), 전원부(186) 및 회로기판(182)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도감지센서부(184)는 부표(1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압을 후술할 발광제어부(187)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조도감지센서부(184)는 빛의 조도를 전기적인 성질로 변환시키는 광센서로 종래 일반적인 DCS 센서나 포토다이오드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반전감지센서부(185)는 상·하부몸체(120, 140)가 반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발광제어부(187)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반전감지센서부(185)는 발광소자 설치부(181)의 구성 중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리드스위치(185a)와, 리드스위치(185a)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부(185b)와, 자중에 따라 슬릿부(185b) 내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리드스위치(185a)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이동자석(185c)을 포함한다.
이동자석(185c)은 상·하부 몸체(120, 140)의 상하가 반전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슬릿부(185b) 내에서 자중에 따라 리드스위치(185a)로부터 이격되고, 몸체(120, 140)의 상하가 반전된 경우, 가령 운반 및 보관에 따라 상하가 반전된 경우 또는 사용 중 악천후 또는 파도가 심하여 상하가 반전된 경우에는 리드스위치(185a)에 근접된다. 여기서, 리드스위치(185a)는 이동자석(185c)이 이격된 경우 오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동자석(185c)이 근접된 경우 자력에 의해 접점이 서로 붙어 온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전감지센서부(185)는 평상시에는 리드스위치(185a)로부터 발생된 오프 제어신호를 발광제어부(187)에 인가하여 발광제어부(187)로 하여금 발광소자(18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이상시에는 리드스위치(185a)로부터 발생된 온 제어신호를 발광제어부(187)에 인가하여 발광소자(18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전압발생부(188)는 조도감지센서부(184)의 센서신호에 따라 주변조도가 밝은지 또는 어두운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조도값에 상응하는 기준전압을 발광제어부(187)로 인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원부(186)의 전원을 2개의 저항으로 분압함과 동시에 2개의 저항의 사이에 위치한 분기점을 배선으로 발광제어부(18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원부(186)는 발광소자(183)를 비롯하여 내부의 회로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축전지 또는 소형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축전지에는 태양광집열판(166)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충전된다.
본 실시예의 어업용 부표(100)는 날씨가 화창한 낮인 경우에는 반사판(122)에 의해 가시성이 확보되므로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야간이나 우천 또는 안개가 자욱한 경우에 축전지 또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축전지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축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축전지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발광제어부(187)는 발광소자(183)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작동모드(전원공급)시 상술한 축전지와 배터리에 의한 전원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전원모드를 작동모드에서 슬립모드(전원차단)로 전환하거나 그 역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발광제어부(187)는 1차적으로 반전감지센서부(185)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하부몸체(120, 140)가 반전된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18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조도감지센서부(184)의 인가 전압과 기준전압발생부(188)의 기준전압 간의 비교 데이터를 토대로, 주변조도가 기준조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발광소자(18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허용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용 부표의 슬립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 단계에서, 먼저 전원의 파워를 온 하거나 전원을 설치하면 부표가 작동된다.
S-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준조도값 등의 초기값등이 설정된다.
S-3 단계에서, 발광제어부(187)는 리드스위치(185a)의 상태를 체크하여 스위치(185a)가 온(ON)이면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오프(OFF)이면 S-4 단계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S-4 단계에서, 발광제어부(187)는 주변조도가 기준조도값 이상인 경우, 가령 날씨가 화창한 낮인 경우에는 발광소자(18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슬립(sleep)모드로 전환하고, 주변조도가 기준조도값 미만인 경우, 가령 야간이나 우천 또는 안개가 자욱한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허용한다. 이때 전원공급이 허용되는 동작모드에서 주기적으로 리드스위치(185a)의 상태를 체크하여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183), 반사판(122), 축광코팅층(124)의 다양한 발광수단을 통하여 발광성을 개선함으로써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도감지센서부(184)와 반전감지센서부(185)를 통하여 발광소자(183)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소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등의 전원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어업용 부표 120: 상부몸체
122: 반사판 124: 축광판
140: 하부몸체 142: 손잡이
144: 고정용 고리 160: 발광케이스
162: 측면판 162a: 발광소자커버
164: 투명캡 164a: 렌즈부
166: 태양광집열판 181: 발광소자 설치부
182: 회로기판 183: 발광소자
184: 조도감지센서부 185: 반전감지센서부
186: 전원부 187: 발광제어부
188: 기준전압발생부 190: 태양광집열판
w:중량체

Claims (9)

  1.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결합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상단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하는 발광케이스;
    상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발광케이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열하는 태양광집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면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역에는 반사판과 축광판이 차례대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케이스는,
    상기 상부몸체 상단부에 설치되며,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태양광집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집열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투명캡과, 상기 측면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케이스 형상의 발광소자 설치부의 측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LED 램프로 이루어진 발광소자에 의해 외부로 빛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역은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면이 경도방향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4 구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및 제3 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축광판은 상기 제2 및 제4 구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렌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설치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하가 반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반전감지센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집열판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캡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통하여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감지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발광소자 설치부의 내부에는 기준조도값에 상응하는 기준전압을 인가하는 기준전압발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설치부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반전감지센서부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반전된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상기 조도감지센서부의 인가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기준전압 간의 비교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주변조도가 상기 기준조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미만인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로 중량체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밀봉부재에 의해 강제끼움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양측에는 U자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 중심부에는 그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 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부표.

KR1020180011349A 2018-01-30 2018-01-30 어업용 부표 KR10205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49A KR102056337B1 (ko) 2018-01-30 2018-01-30 어업용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49A KR102056337B1 (ko) 2018-01-30 2018-01-30 어업용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47A KR20190092047A (ko) 2019-08-07
KR102056337B1 true KR102056337B1 (ko) 2019-12-16

Family

ID=6762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49A KR102056337B1 (ko) 2018-01-30 2018-01-30 어업용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69B1 (ko) * 2020-06-15 2021-03-30 올래디오 주식회사 어구를 식별하는 스마트부이
KR102343876B1 (ko) * 2021-04-08 2021-12-24 서병진 테왁망사리 및 이를 이용한 해녀 작업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70B1 (ko) * 2013-03-15 2013-05-29 (주)효선전기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KR101675377B1 (ko) * 2015-08-18 2016-11-11 제오수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02Y1 (ko) 2000-11-06 2001-06-15 최희철 어업용 부표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70B1 (ko) * 2013-03-15 2013-05-29 (주)효선전기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원형 부구
KR101675377B1 (ko) * 2015-08-18 2016-11-11 제오수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47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781A (en) Illuminated float
US6086218A (en) Portable flashing signal light
KR101561172B1 (ko) 풍랑 및 장력을 이용해 자가발전하는 발전유닛을 구비한 등부표
US74133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derwater light display
US5362267A (en) Solar powered buoy
JP2011088577A (ja) 表示灯装置
US20060092630A1 (en) Self-powered illumination device
KR102056337B1 (ko) 어업용 부표
WO2002086977A1 (en) Potted domed solar panel capsule and traffic warning lamps incorporating same
KR102220376B1 (ko)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JP2009076333A (ja) 発光ブイ用の灯具および発光ブイ
KR20110055990A (ko) 태양광 발전 부표
US20060130727A1 (en) Illuminated dock bumper
KR20110033384A (ko) 자가 발전 기능을 가지는 계선주
KR20080093171A (ko) 발광 부력통
JPH039119Y2 (ko)
KR20130001320U (ko) 발광 부표
KR101978598B1 (ko) 태양광 led 표시등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열 부표
JP2008285128A (ja) 浮遊視認装置
KR101884260B1 (ko) 자가점등부표
KR200485212Y1 (ko) 선박 고정 구조물
JP2004330832A (ja) 波力発電発光浮子
KR101453759B1 (ko) 태양광 충전 led 점멸부를 갖는 수평유지 가능한 어구표시기
KR200464572Y1 (ko) 발광 기능을 가지는 계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