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961B1 - 조류판식 측류부이 - Google Patents

조류판식 측류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961B1
KR101092961B1 KR1020100132441A KR20100132441A KR101092961B1 KR 101092961 B1 KR101092961 B1 KR 101092961B1 KR 1020100132441 A KR1020100132441 A KR 1020100132441A KR 20100132441 A KR20100132441 A KR 20100132441A KR 101092961 B1 KR101092961 B1 KR 10109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solar cell
plate
sid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찬
박성은
홍석진
김형철
조윤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13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63B22/20Ballast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를 사용하여 연안해역의 해류 흐름을 측정토록 한 측류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발신기와 배터리 및 점멸등이 내장된 밀폐케이스를 부력판이 되는 조류판의 중앙부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GPS발신기로서 저가의 휴대용 GPS 발신기를 사용함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측류부이를 제공하는 동시에, 양식시설과 같은 다양한 장애물에 쉽게 걸리지 않고 해류의 흐름에 원활히 편승되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해류 측정이 가능토록 하며, 주.야간에 불문하고 부이의 회수작업에 필요한 시인성 또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조류판식 측류부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4)의 내부에 배터리(7)와 컨트롤러(8)와 GPS발신기(5)가 설치되어 해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해류의 경로를 측정토록 한 측류부이(10)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스(4)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져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는 투명케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내부에 점멸등(6)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GPS발신기(5)는 휴대용 GPS에 사용되는 발신기가 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부케이스(12) 내측에 배터리(7)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7)의 상부면에 GPS발신기(5)와 점멸등(6)과 컨트롤러(8)가 회로배선용 기판(8a)과 함께 설치되어 투명한 상부케이스(11)로 덮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상단면 내측에는 배터리(7)의 충전수단으로서 태양전지인 솔라셀(9)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솔라셀(9)이 충전케이블(13)에 의하여 배터리(7)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13)로부터 충전감지라인(14)이 연장되어 컨트롤러(8)와 접속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8)는 제어라인(16a)에 의하여 점멸등(6)의 스위치(16)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측에는 조류판(1)이 설치되고, 상기 조류판(1)은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판이 되며, 상기 조류판(1)의 표면에는 형광도료 또는 야광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류판식 측류부이{Buoy for detecting tidal current with plate type}
본 발명은 GPS발신기와 배터리 및 점멸등이 내장된 밀폐케이스를 부력판이 되는 조류판의 중앙부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GPS발신기로서 저가의 휴대용 GPS 발신기를 사용함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장애물에 쉽게 걸리지 않고, 회수작업에 필요한 시인성이 우수하게 되는 조류판식 측류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류(海流)라 함은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유동하는 바닷물의 흐름을 말하는 것이지만, 연안해역을 유동하는 해류를 파악하여 태풍이나 쓰나미와 같은 기상이변 및 해양환경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거나, 해류와 함께 이동하는 어군 등을 파악하여 어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등 최근에 들어 그 이용가치가 점점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연안해역에서 해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GPS가 장착된 측류부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 바, GPS가 장착된 측류부이를 선박을 이용하여 인근 해역으로 운반시킨 다음, 해당 수역에서 해류의 흐름에 편승되도록 측류부이를 띄움으로서, 약 15일 내지 30일 또는 그 이상의 기간동안 측류부이가 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류의 측정작업에 사용되는 측류부이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서, 양식시설 등과 같이 연안해역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장애물에 쉽게 걸리지 않고 해류의 흐름에 편승하여 원활히 유동되어야 한다는 것과, 주.야간에 불문하고 육안에 의한 위치파악이 용이토록 하여 소형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토록 하는 한편, 그 회수작업 또한 손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측류부이는 통상 막대 형상을 가지는 한편, 시인성의 확보를 위하여 측류부이에 별도의 깃발을 꽂아서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양식시설 등과 같이 연안해역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장애물에 측류부이가 쉽게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장애물에 걸린 측류부이가 장애물을 경유하여 빠져 나오지 못함으로서 해류측정 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막대 형상의 측류부이는 그 형태상 해류의 흐름에 원할히 편승하여 해류와 비슷한 속도로 이동하지 못하며, 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에 의한 추가적인 저항을 쉽게 받기 때문에, 해류의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간에는 소형 깃발을 통하여, 야간에는 GPS와 함께 설치된 점멸등에 의하여 측류부이의 위치를 확인토록 함으로서, 주간의 흐린 날씨에는 측류부이의 시인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점멸등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의 전력이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야간에 측류부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주.야간에 걸쳐 측류부이를 회수하는 작업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면, 측류부이 자체의 무게와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됨으로서, 측류부이의 제조 및 취급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측류부이에 적용된 GPS장치로서 측류부이에 적용되는 발신기와 작업자가 소지하는 수신용 단말기가 고가의 제품이었고, 30일 정도의 긴 시간을 표류하는 측류부이의 특성상 주.야간의 시간차를 맞추어 점멸등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원격제어부품 또한 고가이므로, 측류부이의 제조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류판식 측류부이는, GPS발신기와 배터리 및 점멸등이 내장된 밀폐케이스를 넓은 면적의 부력판이 되는 조류판의 중앙부 상측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GPS발신기로서 저가의 휴대용 GPS 발신기를 사용함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측류부이를 제공하는 동시에, 양식시설과 같은 다양한 장애물에 쉽게 걸리지 않고 해류의 흐름에 원활히 편승되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해류 측정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조류판의 표면에 형광도료 또는 야광도료를 코팅시킴으로서, 주.야간에 불문하고 부이의 회수작업에 필요한 시인성 또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판식 측류부이는, 밀폐케이스의 상부측 부분을 투명케이스로 하여, 해당 투명케이스의 상단 내측면에 배터리 충전용 태양전지를 부착 설치함으로서, 동일한 배터리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측류부이의 점멸등 사용기간을 한층 더 증대시키도록 하는 한편, 별도의 원격제어부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점멸등의 작동이 주.야간의 시차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측류부이의 제조가격을 보다 더 저렴하게 하면서도 해류의 측정작업에 최적화 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제품을 제공토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배터리와 컨트롤러와 GPS발신기가 설치되어 해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해류의 경로를 측정토록 한 측류부이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투명케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점멸등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GPS발신기는 휴대용 GPS에 사용되는 발신기가 되며, 상기 밀폐케이스의 하부케이스 내측에 배터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에 GPS발신기와 점멸등과 컨트롤러가 회로배선용 기판과 함께 설치되어 투명한 상부케이스로 덮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면 내측에는 배터리의 충전수단으로서 태양전지인 솔라셀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솔라셀이 충전케이블에 의하여 배터리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로부터 충전감지라인이 연장되어 컨트롤러와 접속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어라인에 의하여 점멸등의 스위치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밀폐케이스의 하측에는 조류판이 설치되고, 상기 조류판은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판이 되며, 상기 조류판의 표면에는 형광도료 또는 야광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류판의 중앙부는 밀폐케이스의 외주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케이스는 해당 개구부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조류판과 밀폐케이스는 조류판의 힌지식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스의 하측면에는 중심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측류부이를 널빤지 형상의 조류판을 기초로 하여 설치함으로서, 양식시설 등과 같이 연안해역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장애물에 측류부이가 쉽게 걸리지 않고 해당 장애물을 경유하여 측류부이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 동시에, 측류부이 자체가 해류의 흐름에 원할히 편승하여 해류와 비슷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부력판이 되도록 함으로서, 해류의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류부이는, GPS발신기가 내장된 밀폐케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조류판의 힌지식 각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측류부이가 파도나 물결을 용이하게 넘어가면서 해류를 따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해류측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조류판의 표면에 형광 또는 야광도료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주간의 흐린 날씨 조건이나 점멸등이 꺼진 야간의 경우에도, 조류판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주.야간에 불문하고 측류부이의 회수작업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솔라셀 또는 태양광 센서에 의하여 점멸등의 작동이 주.야간의 시간차에 맞추어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솔라셀에 의하여 주간에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배터리의 사용수명 또한 크게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측류부이에 요구되는 동일 용량의 배터리를 기준으로 할 경우 배터리의 부피와 무게를 최대한으로 축소시킬 수 있고, 주.야간의 시간차에 맞추어 점멸등을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품을 배제시킬 수 있는 한편, 저가의 휴대용 GPS를 측류부이에 적용시키는 것에 의하여, 측류부이의 제조가격을 매우 저렴하게 하면서도 해류의 측정작업에 최적화 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판식 측류부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밀폐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류부이에 적용되는 전기배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판식 측류부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류판식 측류부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발신기(5)가 내장된 밀폐케이스(4)와, 상기 밀폐케이스(4)가 상부면 중앙측에 장착되는 조류판(1)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내부에는 배터리(7)와 점멸등(6)과 컨트롤러(8)가 GPS발신기(5)와 함께 삽입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류판(1)은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판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지만, 대표적인 예로서 해수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판이나 플라스틱판을 들 수 있으며, 측류부이(10)의 손쉬운 취급과 운반 및 측류부이(10)의 용이한 회수작업을 위하여 도면상 조류판(1)의 양측단에 손잡이끈(2)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끈(2)을 대신하여 조류판(1)의 양측 상부면에 조류판(1)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별도의 손잡이를 돌출시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조류판(1)에 별도의 손잡이를 적용시키지 않더라도 측류부이(10)의 취급과 운반 및 회수작업에는 크게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밀폐케이스(4)는 수밀(水密) 처리된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해수의 유입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점멸등(6)의 불빛이 밀폐케이스(4)를 거쳐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간의 시인성을 위하여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가지는 반투명 플라스틱 케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 이외에도 유리케이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 조류판(1)과 밀폐케이스(4)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조류판(1)은 원판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판상구조물이 될 수 있고, 밀폐케이스(4) 또한 나사체결식으로 조립이 가능한 원통형 케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조류판(1)의 상부측에는 밀폐케이스(4)를 끼움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는 받침대(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3)는 조류판(1)과 동일한 소재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류판(1)의 제작시 상기 받침대(3)가 조류판(1)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받침대(3)를 사용하지 않고 밀폐케이스(4)를 조류판(1)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폐케이스(4)의 구조를 보다 더 세부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밀폐케이스(4)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로 분리되는 한편, 통상의 용기 뚜껑에 적용되는 케이스락(Case lock)(4a)에 의하여 상,하부케이스(11)(12)가 밀폐링(4c)을 개재시킨 상태로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밀폐케이스(4)의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를 원통 형상으로 하여, 상부케이스(11)의 하단부와 하부케이스(12)의 상단부가 밀폐링(4c)을 개재시킨 상태로 나사체결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수밀 처리가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밀폐용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부케이스(12) 내측에는 측류부이(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공급원으로서 배터리(7)가 삽입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7)의 상부면에 GPS발신기(5)와 점멸등(6)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가 회로배선용 기판(8a)과 함께 설치되며, 상부케이스(11)는 GPS발신기(5)와 점멸등(6) 및 컨트롤러(8)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류부이(10)에 있어, 상기 GPS발신기(5)는 유아나 치매노인과 같이 행위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등산 또는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저가의 휴대용 GPS 발신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류부이(10)의 GPS발신기(5)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단말기 또한 저가의 소형단말기가 되지만, 이러한 수신용 단말기는 통상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저가의 휴대용 GPS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측류부이(1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각종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체적인 데이터로 구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측류부이(10)에 있어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밀폐케이스(4)를 이루는 상부케이스(11)를 투명케이스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의 상단면 내측에 배터리(7)의 충전수단이 되는 태양전지인 솔라셀(Solar cell)(9)을 부착 설치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부케이스(11)의 상단부는 태양광의 효율적인 조사(照射)를 위하여 곡면부(4b) 또는 구면부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솔라셀(9)이라 함은 태양전지의 단위가 되는 것으로서, 상부케이스(11)의 곡면부(4b) 치수에 맞추어 솔라셀(9)의 적용개수 및 설치면적은 조정이 가능하며, 임의의 형상대로 굴곡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인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하거나, 요구하는 형상으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또는 유기분자형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값싼 유기염료와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고도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도록 개발된 태양전지로서,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유리창이나 자동차 유리에 그대로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이며,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분자형 태양전지는 가벼운 플라스틱 태양전지로서의 기능성을 지니고 있는 바, 저렴하며 자유자재로 휠 수 있는 기판 위에 유기물질을 분사하여 제조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기술개발에 따라 효율성이 높아진다면 앞으로 더 많은 종류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재이다.
상기와 같이 실리콘 태양전지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또는 유기분자형 태양전지 이외에도, 임의의 형상대로 변형이 용이하거나 요구하는 형상에 맞추어 제조가 가능한 태양전지라면, GaAs화합물 태양전지와, CuInSe2화합물 태양전지와, CdTe화합물 태양전지 뿐만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태양전지를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스(11)의 상단 내측면에 태양전지인 솔라셀(9)을 적용시킨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9)과 배터리(7)를 충전케이블(13)로 접속시킴으로서, 주간에 해수면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한편, 이와 같이 생산된 전력을 미도시된 변환기를 거쳐 배터리(7)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솔라셀(9)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변환기를 거쳐 배터리(7)에 충전시키는 방식은, 태양광 발전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인 한편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접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변환기는 충전케이블(13)과 접속된 상태에서 배터리(7)에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솔라셀(9)은 주간에 점멸등(6)이 켜지지 않도록 하는 센서의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충전케이블(13)로부터 충전감지라인(14)이 연장되어 컨트롤러(8)와 접속됨으로서, 솔라셀(9)에 의한 전기생산 여부, 즉 주.야간의 판단을 컨트롤러(8)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어라인(16a)과 접속된 점멸등(6)의 스위치(16) 작동을 컨트롤러(8)가 제어하여 주간에는 점멸등(6)이 켜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솔라셀(9) 대신에 태양광 센서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으나, 태양광 센서만을 부착시킨 경우는 배터리(7)에 추가적인 보조전력을 충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솔라셀(9)과 태양광 센서를 동시에 적용시킴으로서, 솔라셀(9)에 의해서는 보조전력을 생산토록 하는 한편, 태양광 센서에 의해서는 점멸등(6)의 작동에 필요한 보다 섬세한 주.야간의 판단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선구조 중에서 솔라셀(9)을 배터리(7) 및 컨트롤러(8)와 접속시키는 충전케이블(13) 및 충전감지라인(14)을 제외한 나머지 배선, 즉 각각의 전선(15)과 제어라인(16a) 및 스위치(16) 등은 기판(8a)상에 회로 형식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케이블(13)과 충전감지라인(14)은 상부케이스(11)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된 다음 적절한 위치에서 기판(8a)과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측류부이(10)에 있어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조류판(1)의 외측면, 바람직하게는 조류판(1)의 상부 표면 전체에 걸쳐 주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형광도료 또는 야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야광도료가 코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류판(1)의 외측면에 형광도료 또는 야광도료를 코팅하게 되면, 주간의 흐린 날씨에서도 조류판(1)에 코팅된 형광도료에 의하여 측류부이(10)의 위치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배터리(7)의 전력이 완전히 소모되어 점멸등(6)이 꺼진 경우에도, 조류판(1)으로부터 발생하는 야광도료의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야간에 측류부이(10)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간의 시인성과 야간의 시인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형광과 야광 기능을 겸비하는 도료를 조류판(1)에 코팅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밀폐케이스(4)의 하부케이스(12)와 곡면부(4b)를 제외한 상부케이스(11)의 표면에도 해당 도료를 코팅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류판식 측류부이(1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조류판(1)의 중앙부는 밀폐케이스(4)의 외주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개구부(17)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케이스(4)는 해당 개구부(17)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조류판(1)과 밀폐케이스(4)는 조류판(1)의 힌지식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축(18)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측면에는 중심추(2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류판식 측류부이(10)는, 해류의 측정작업을 위하여 수면을 떠다니는 조류판(1)이 밀폐케이스(4)를 중심으로 힌지식의 각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본 발명의 측류부이(10)가 파도나 물결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조류판식 측류부이(10)가 높은 파도나 물결에 의하여 쉽게 뒤집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4) 자체는 하측의 중심추(20) 무게에 의하여 쉽게 요동하지 않는 반면, 조류판(1)의 경우는 연결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식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측류부이(10)가 파도나 물결을 용이하게 넘어가면서 해류를 따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조류판(1)의 힌지식 각운동이 보다 원활히 수행되도록, 각각의 연결축(18)이 삽입되는 조류판(1)의 내측에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부시(Bush)(19)를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축(18)과 부시(19)를 금속 재질로 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측류부이(10)를 널빤지 형상의 조류판(1)을 기초로 하여 설치함으로서, 양식시설 등과 같이 연안해역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장애물에 측류부이(10)가 쉽게 걸리지 않고 해당 장애물을 경유하여 측류부이(10)가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으며, 측류부이(10) 자체가 해류의 흐름에 원할히 편승하여 해류와 비슷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부력판이 됨으로서, 해류의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류부이(10)는, GPS발신기(5)가 내장된 밀폐케이스(4)를 중심으로 하여 조류판(1)의 힌지식 각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측류부이(10)가 파도나 물결을 용이하게 넘어가면서 해류를 따라 한층 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해류측정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조류판(1)의 표면에 형광 또는 야광도료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주간의 흐린 날씨 조건이나 점멸등(6)이 꺼진 야간의 경우에도, 조류판(1)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서, 주.야간에 불문하고 측류부이(10)를 회수하는 작업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솔라셀(9) 또는 태양광 센서에 의하여 점멸등(6)의 작동이 주.야간의 시간차에 맞추어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솔라셀(9)에 의하여 주간에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7)에 충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배터리(7)의 사용수명 또한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류부이(10)에 요구되는 동일 용량의 배터리(7)를 기준으로 할 경우 배터리(7)의 부피와 무게를 최대한으로 축소시킬 수 있고, 주.야간의 시간차에 맞추어 점멸등(6)을 작동시키는 원격제어부품을 배제시킬 수 있는 한편, 저가의 휴대용 GPS를 측류부이(10)에 적용시키는 것에 의하여, 측류부이(10)의 제조가격을 매우 저렴하게 하면서도 해류의 측정작업에 최적화 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조류판 2 : 손잡이끈 3 : 받침대
4 : 밀폐케이스 4a : 케이스락 4b : 곡면부
4c : 밀폐링 5 : GPS발신기 6 : 점멸등
7 : 배터리 8 : 컨트롤러 8a : 기판
9 : 솔라셀 10 : 측류부이 11 : 상부케이스
12 : 하부케이스 13 : 충전케이블 14 : 충전감지라인
15 : 전선 16 : 스위치 16a : 제어라인
17 : 개구부 18 : 연결축 19 : 부시
20 : 중심추

Claims (5)

  1. 밀폐케이스(4)의 내부에 배터리(7)와 컨트롤러(8)와 GPS발신기(5)가 설치되어 해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해류의 경로를 측정토록 한 측류부이(10)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스(4)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져 수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는 투명케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내부에 점멸등(6)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GPS발신기(5)는 휴대용 GPS에 사용되는 발신기가 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부케이스(12) 내측에 배터리(7)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7)의 상부면에 GPS발신기(5)와 점멸등(6)과 컨트롤러(8)가 회로배선용 기판(8a)과 함께 설치되어 투명한 상부케이스(11)로 덮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상단면 내측에는 배터리(7)의 충전수단으로서 태양전지인 솔라셀(9)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솔라셀(9)이 충전케이블(13)에 의하여 배터리(7)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13)로부터 충전감지라인(14)이 연장되어 컨트롤러(8)와 접속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8)는 제어라인(16a)에 의하여 점멸등(6)의 스위치(16)와 접속 설치되며,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측에는 조류판(1)이 설치되고, 상기 조류판(1)은 수면으로 부상되는 부력판이 되며,
    상기 조류판(1)의 표면에는 형광도료 또는 야광도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판식 측류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판(1)의 중앙부는 밀폐케이스(4)의 외주연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개구부(17)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케이스(4)는 해당 개구부(17)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조류판(1)과 밀폐케이스(4)는 조류판(1)의 힌지식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축(18)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스(4)의 하측면에는 중심추(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판식 측류부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32441A 2010-12-22 2010-12-22 조류판식 측류부이 KR10109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41A KR101092961B1 (ko) 2010-12-22 2010-12-22 조류판식 측류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41A KR101092961B1 (ko) 2010-12-22 2010-12-22 조류판식 측류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961B1 true KR101092961B1 (ko) 2011-12-19

Family

ID=4550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441A KR101092961B1 (ko) 2010-12-22 2010-12-22 조류판식 측류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9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243B1 (ko) * 2015-08-07 2016-01-20 동문이엔티(주) 수심변화가 큰 하천지류에서의 수질측정용 부체
KR101609723B1 (ko) * 2015-08-25 2016-04-06 중앙항업(주) 실시간 국지적 해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5872B1 (ko) * 2016-06-22 2018-07-0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폰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78A (ja) * 1998-04-17 1999-11-02 Sanyo Electric Co Ltd 水上浮体装置
KR100561247B1 (ko) * 2004-12-15 2006-03-15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자동 자세보정 관측용 부이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78A (ja) * 1998-04-17 1999-11-02 Sanyo Electric Co Ltd 水上浮体装置
KR100561247B1 (ko) * 2004-12-15 2006-03-15 주식회사 오션이엔지 자동 자세보정 관측용 부이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243B1 (ko) * 2015-08-07 2016-01-20 동문이엔티(주) 수심변화가 큰 하천지류에서의 수질측정용 부체
KR101609723B1 (ko) * 2015-08-25 2016-04-06 중앙항업(주) 실시간 국지적 해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5872B1 (ko) * 2016-06-22 2018-07-06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야간 시인성이 향상된 폰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411B1 (ko) 전개판식 측류부이
CN203294291U (zh) 一种海洋水文参数测量导航浮标
KR20120066168A (ko) 자동 평형유지 기능을 갖는 수질 측정 부이장치
CN111959689A (zh) 一种多功能海洋水域环境监测装置
CN208855830U (zh) 一种仿生海洋浮标
CN107878682A (zh) 基于绿色能源的多功能可下潜大型海上浮标
CN207826479U (zh) 一种集成式多用途浮标
KR101092961B1 (ko) 조류판식 측류부이
CN109110059A (zh) 一种仿生海洋浮标
US8129855B1 (en) Portable turbine systems
CN204882535U (zh) 一种智能多参数监测浮标装置
CN202256722U (zh) 多参数表层漂流浮标
KR102052014B1 (ko) 다기능 위치추적체
CN108791718A (zh) 一种自航式航标灯
KR20200011282A (ko) 지능형 자가발전 해상 스마트 부표 시스템
CN207712248U (zh) 一种多功能自供电浮标
CN206327533U (zh) 一种环境监测站用检测浮标
CN202221431U (zh) 水面流速、流向自动遥测仪
KR20110055990A (ko) 태양광 발전 부표
CN206348047U (zh) 一种水深探测装置
CN111591395A (zh) 一种海洋信息集成采集漂浮球
CN209274838U (zh) 一种渔业养殖用环境监测浮标
KR101602174B1 (ko) 위치 유지가 용이한 부표장치
US20220390948A1 (en) Autonomous Transportation Of Cargo
CN206087197U (zh) 一种水利工程用警示浮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