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926B1 -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26B1
KR100756926B1 KR1020060065180A KR20060065180A KR100756926B1 KR 100756926 B1 KR100756926 B1 KR 100756926B1 KR 1020060065180 A KR1020060065180 A KR 1020060065180A KR 20060065180 A KR20060065180 A KR 20060065180A KR 100756926 B1 KR100756926 B1 KR 10075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detection
support plate
spilled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진
이한진
강창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6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을 자유롭게 표류하면서 실시간으로 해상 유출유(流出油, spilled oil)의 존재를 확인하고 만약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다각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해양에 존재하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유출유의 존재 및 확산 추이를 정확히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상오염, 기름유출, 해상 유출유, 해상부이

Description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A spilled oil detection equipment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가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에 송출하는 경보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DMA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육상상황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해상 표류 궤적 및 본 발명에 의하여 해상 유출유가 감지된 지점을 모니터링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지지판
200: 기름 감지센서
300: 태양열 집열판
400: 구동몸체
410: CDMA 단말기
420: GPS 본체
421: GPS 안테나
430: 통신제어용 CPU
440: 밧데리
500: 해상부이
600: 경광등
700: 유출유 탐지 부유체
800: 육상상황실
810: 모니터링 시스템
900: 유무선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해상 유출유(流出油) 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난사고에 의한 유출유는 주변해역에 막대한 환경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므로, 유출유 확산경로의 정확한 예측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과 대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해양에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유출유의 확산을 정확히 예 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유류오염뿐만 아니라 해양의 각종 오염요소에 대한 환경 피해 저감 및 환경 보존을 위한 연구로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으나, 대부분 수치모델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해양의 평균적인 변동만을 고려하므로 오염 확산의 실시간 변동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 그 결과 실시간 오염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어려우며, 오염에 의한 피해가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해양 유류오염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해양의 변수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확산과정을 보정하면서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해상을 자유롭게 표류하면서 실시간으로 해상 유출유(流出油, spilled oil)의 존재를 확인하고 만약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다각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해양에 존재하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유출유의 존재 및 확산 추이를 정확히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면 중 어느 한 일측에 설치되며 해수면상의 해수를 흡입하여 그 속에 함유된 유출유를 감지하는 기름 감지센서(200);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열 집열판(3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육상상황실(800)에 대하여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CDMA 단말기(410); 육상상황실(8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 본체(420); 육상상황실(80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용 CPU(430); 및 상기 태양열 집전판(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키는 밧데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몸체(400); 및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해상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부이(500)를 포함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지지판(10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요소로서, 설치상의 편의 및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지판(10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아니한다.
기름 감지센서(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테두리면 중 어느 한 일측에 설치되며 해수면상의 해수를 흡입하여 그 속에 함유된 유출유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름 감지센서(200)가 해상의 기름을 감지하는 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도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기름 감지센서(200)는 후술할 해상부이(500)의 측면 최외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름 감지센서(200)가 해상부이(500)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기름 감지센서(200)에 도달하는 해수의 표면수의 흐름이 해상부이(500)에 의해 차단되어 기름 감지센서(200)가 해수면에 부유하는 유출유의 존재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감지센서(200)가 해상부이(500)의 측면 최외곽에 위치하면 해수의 표면수의 흐름이 곧바로 기름 감지센서(200)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때 기름 감지센서(200)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유출유의 존재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는 태양전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바, 이 경우 태양열 집열판(300)은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태양열 집열판(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설치됨으로써 태양열 집열율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판(300)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도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몸체(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장비가 모여 일체를 구성하고 있다. 구동몸체(400)가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무게중심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는 해수면상에서 뒤집히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몸체(400)는 CDMA 단말기(410), GPS 본체(420), 통신제어용 CPU(430), 및 밧데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DMA 단말기(410)는 육상상황실(800)에 대하여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무선망 접속방식을 코드 분할을 통해 사용자 다중 접속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CDMA 단말기(410)는 이러한 공지 기술을 도입한 것이므로 공지된 범위 내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CDMA 단말기(410)는 CDMA 통신망을 통하여 육상상황실(800)의 모니터링 시스템(810)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은 각종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의미로서, 개방형의 인터넷,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무선 인터넷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한 어떠한 통신 수단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무선 인터넷망에 이용될 수 있는 인터넷망은 통신 프로토콜인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무선 인터넷망은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어렵지 않는 변경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CDMA 단말기(410)가 송출하는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에는 유출유 존재 유무, 위치 및 시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상상황실(800)에서는 CDMA 단말기(410)가 송출하는 메시지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현재 위치 및 그 위치에서의 시각, 그리고 당해 위치에 대응하는 해역의 기름 유출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단말기(410)는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몇 초 또는 몇 분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송출하게 되므로, 이 경우 육상상황실(800)에서는 CDMA 단말기(410)가 계속적으로 연이어서 송출하는 메시지를 집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표류 궤적 및 각 위치에서의 시각의 추이, 그리고 표류 궤적에 대응하는 해역의 기름 유출 및 확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CDMA 단말기(410)의 메시지 송출 시간 간격은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CDMA 단말기(410)의 메시지 송출 시간 간격을 줄일 수도 있고 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해역에서 유출유가 감지 되거나 감지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CDMA 단말기(410)의 메시지 송출 시간 간격을 더욱 줄임으로써 유출유의 확인 또는 확산 상태에 관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정보를 입수하고 이에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CDMA 단말기(410)는 기름 감지센서(200)가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경보메시지를 송출한다. 이 경우 CDMA 단말기(410)는 육상상황실(800)의 모니터링 시스템(810)에 대하여 e-mail 형태의 경보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경보메시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l Spill Detected!"와 같은 경고 문장과 함께 유출유가 감지된 지역에 존재하는 당해 유출유 탐지 장치의 일련번호 및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므로, 육상상황실(800)에서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유출유 탐지 장치가 계속적으로 송출하는 경보메시지를 집계함으로써 유출유로 오염된 해상의 영역이나 그 확산 속도 및 추이 등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보메시지를 수신한 육상상황실(800)은 기름 유출에 대한 대비책을 신속하게 수행하거나 또는 당해 경보메시지를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에 재전송 함으로써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육상상황실(800)은 유출유와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에 대하여 당해 경보메시지를 재전송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유출유를 제거하고 그 확산을 막아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통상의 단말기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데스크탑(Desktop) 형태의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등이 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일반모뎀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 케이블 모뎀과 유선방송망, LAN카드와 LAN망, LAN카드와 기업내의 인트라넷, 통신모듈(칩)과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동된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외부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유출유 자동탐지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기로서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므로,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육상 또는 해상 어느 곳이나 위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해상을 운항하고 있는 선박에 위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CDMA 단말기(410)는 등록된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에 대해서는 SMS 문자메시지 형태의 경보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유출유 탐지 장치는 육상상황실(800)의 모니터링 시스템(810)을 거치지 않고서도 필요한 곳에 직접 경보메시지를 전송하여 보다 신속한 상황인지 및 이에 대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육상상황실(800)에서 CDMA 단말기(410)로부터의 메시지에 의하여 유출유 탐지 장치의 해상 표류 궤적 및 해상 유출유 감지 여부를 모니터링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진하게 표시된 점은 유출유의 확인 사실 및 그 위치와 시각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는 GPS에 의하여 해상 표류 위치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바, GPS 본체(420)는 육상상황실(8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태양열 집열판(300) 상에는 GPS 본체(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GPS 안테나(421)가 설치되어 육상상황실(800)에서의 위치 추적을 돕는다.
GPS(지구상위치파악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어떠한 위치라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GPS 본체(420) 및 GPS 안테나(421)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도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제어용 CPU(430)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와 육상상황실(80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밧데리(440)는 태양열 집전판(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상부이(500)는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가 해상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상부이(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형태의 것 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 해상부이(500)의 형태를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지지판(100)의 상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의 야간 위치 확인을 위하여 경광등(60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록 본 발명의 위치가 GPS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기는 하지만 넓은 해상에서 본 발명을 실제로 확인하고 찾아내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야간에는 그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광등(600)의 불빛을 이용하여 위치 확인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광등(600)은 일몰시 자동으로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낮에도 점멸되게 하거나 또는 아예 점멸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수동제어 기능을 갖추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면 중 어느 한 일측에 설치되며 해수면상의 해수를 흡입하여 그 속에 함유된 유출유를 감지하는 기름 감지센서(200);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열 집열판(3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육상상황실(800)에 대하여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CDMA 단말기(410)와, 육상상황실(8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 본체(420)와, 육상상황실(80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용 CPU(430)와, 상기 태양열 집열판(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키는 밧데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몸체(4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해상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부이(500); 및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점멸함으로써 야간 위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경광등(60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로부터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받고 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당해 메시지를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로 재전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810)을 포함하는 육상상황실(800); 및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 또는 상기 육상상황실(800)로부터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받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를 포함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바, 상기의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와, 육상상황실(800) 및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상호간의 메시지 전송에 의하여 그 기능 을 실현한다.
복수 개의 유출유 탐지부유체(100)는 각각의 순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모니터링 시스템(810)은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로부터 전송받은 유출유 감지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여 해상 유출유의 확산 속도를 산출하고 더 나아가 해상 유출유의 확산 경로를 미리 예측한다. 더 나아가, 모니터링 시스템(810)은 주변 해역의 환경민감정보를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경로에 따른 주변 해역의 피해를 사전에 예상하고 피해 예상 해역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환경민감지도를 구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에 존재하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유출유의 존재 및 확산 추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20)

  1. 삭제
  2. 해상을 자유롭게 표류하면서 실시간으로 해상 유출유(流出油)의 존재를 확인하고 만약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다각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해양에 존재하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유출유의 존재 및 확산 추이를 정확히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해상 유출유 탐지장치에 있어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면 중 어느 한 일측에 설치되며 해수면상의 해수를 흡입하여 그 속에 함유된 유출유를 감지하는 기름 감지센서(200);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열 집열판(3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육상상황실(800)에 대하여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CDMA 단말기(410); 육상상황실(8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 본체(420); 육상상황실(80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용 CPU(430); 및 상기 태양열 집전판(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키는 밧데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몸체(4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해상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부이(500); 및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야간 위치를 확인시켜 주는 경광등(600)을 포함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집열판(300)은,
    태양열 집열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단말기(410)는,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몇 초 또는 몇 분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단말기(410)의 메시지 송출 시간 간격은 수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단말기(410)는,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가 기름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경보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단말기(410)는,
    육상상황실(800)의 모니터링 시스템(810)에 대하여 e-mail 형태의 경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단말기(410)는,
    등록된 휴대폰에 대해서는 SMS 문자메시지 형태의 경보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집열판(300) 상에는 상기 GPS 본체(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GPS 안테나(4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600)은,
    일몰시 자동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600)은,
    점멸 여부가 수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16. 삭제
  17. 해상을 자유롭게 표류하면서 실시간으로 해상 유출유(流出油)의 존재를 확인하고 만약 유출유를 감지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경보메시지를 다각적으로 송출함으로써, 해양에 존재하는 바람, 해수유동, 파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유출유의 존재 및 확산 추이를 정확히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유출유 탐지 부유체로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면 중 어느 한 일측에 설치되며 해수면상의 해수를 흡입하여 그 속에 함유된 유출유를 감지하는 기름 감지센서(200);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열 집열판(3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육상상황실(800)에 대하여 상기 기름 감지센서(200)의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CDMA 단말기(410)와, 육상상황실(8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GPS 본체(420)와, 육상상황실(800)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용 CPU(430)와, 상기 태양열 집열판(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키는 밧데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몸체(4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해상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해상부이(500); 및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점멸함으로써 야간 위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경광등(60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로부터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받고 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하는 한편 필요한 경우 당해 메시지를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로 재전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810)을 포함하는 육상상황실(800); 및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 또는 상기 육상상황실(800)로부터 유출유 감지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받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를 포함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는 각각의 순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810)은,
    상기 유출유 탐지 부유체(700)로부터 전송받은 유출유 감지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여 해상 유출유의 확산 속도를 산출하고 더 나아가 해상 유출유의 확산 경로를 미리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810)은,
    주변해역의 환경민감정보를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경로에 따른 주변 해역의 피해를 사전에 예상하고 피해 예상 해역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환경민감지도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 단말기(900)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기로서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시스템.
KR1020060065180A 2006-07-12 2006-07-12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75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80A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6-07-12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80A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6-07-12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926B1 true KR100756926B1 (ko) 2007-09-07

Family

ID=3873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180A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6-07-12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92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28B1 (ko) 2008-10-28 2010-12-07 한국해양연구원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WO2011085525A1 (zh) * 2010-01-13 2011-07-21 Zhao Ping 分体式溢油报警浮标装置
KR101185740B1 (ko) 2012-06-27 2012-09-26 한국해양연구원 유출유 탐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361B1 (ko) 2012-06-27 2012-11-29 한국해양연구원 부이형 유출유 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KR101218392B1 (ko) 2012-08-28 2013-0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단일 파장의 led 광원과 ccd센서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및 장치
KR101218391B1 (ko) 2011-11-29 2013-01-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이형 유출유 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CN103072671A (zh) * 2013-01-30 2013-05-01 刘小红 一种化学品泄漏报警浮标装置
KR101508980B1 (ko) 2013-10-29 2015-04-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유 검출 장치
KR20160065498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네오텍 퍼지 제어를 이용한 해수면 상황 예측 시스템
CN108008043A (zh) * 2017-12-08 2018-05-08 浙江海洋大学 基于气相色谱仪的海域溢油预警装置
WO2018225987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유류 오염 제거 및 추적 장치
CN113184115A (zh) * 2021-06-03 2021-07-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上溢油追踪漂流浮标
KR102311089B1 (ko) 2021-06-03 2021-10-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해상부이를 이용한 해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15080B1 (ko) 2021-06-09 2021-10-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해상부이를 이용한 해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4019130A (zh) * 2021-11-12 2022-02-08 浙江大京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海域出让前期勘测平台及使用方法
CN114487327A (zh) * 2022-01-17 2022-05-13 青岛百发海水淡化有限公司 一种海洋水质监测及可疑船舶取证系统及方法
KR20230116234A (ko) * 2022-01-28 2023-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 감지센서를 이용한 저조도에서의 실시간 선박 기름누출 감지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679A (en) 1993-08-05 1996-07-02 Baxter, Jr.; John F. Oil spill detection system
US5654692A (en) 1996-05-24 1997-08-05 Baxter, Jr.; John F. Tracking buoy
JP2771443B2 (ja) * 1994-02-14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流出油探知方法
US6317029B1 (en) 1998-08-07 2001-11-13 Aeroastro, Llc In situ remote sensing
KR20050102731A (ko) * 2004-04-21 2005-10-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관측용 부표
KR200419278Y1 (ko) 2006-04-05 2006-06-16 (주)오션테크 해양 관측용 부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679A (en) 1993-08-05 1996-07-02 Baxter, Jr.; John F. Oil spill detection system
JP2771443B2 (ja) * 1994-02-14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流出油探知方法
US5654692A (en) 1996-05-24 1997-08-05 Baxter, Jr.; John F. Tracking buoy
US6317029B1 (en) 1998-08-07 2001-11-13 Aeroastro, Llc In situ remote sensing
KR20050102731A (ko) * 2004-04-21 2005-10-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관측용 부표
KR200419278Y1 (ko) 2006-04-05 2006-06-16 (주)오션테크 해양 관측용 부이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28B1 (ko) 2008-10-28 2010-12-07 한국해양연구원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WO2011085525A1 (zh) * 2010-01-13 2011-07-21 Zhao Ping 分体式溢油报警浮标装置
KR101218391B1 (ko) 2011-11-29 2013-01-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이형 유출유 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KR101185740B1 (ko) 2012-06-27 2012-09-26 한국해양연구원 유출유 탐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361B1 (ko) 2012-06-27 2012-11-29 한국해양연구원 부이형 유출유 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KR101218392B1 (ko) 2012-08-28 2013-0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단일 파장의 led 광원과 ccd센서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방법 및 장치
CN103072671A (zh) * 2013-01-30 2013-05-01 刘小红 一种化学品泄漏报警浮标装置
CN103072671B (zh) * 2013-01-30 2015-07-01 刘小红 一种化学品泄漏报警浮标装置
KR101508980B1 (ko) 2013-10-29 2015-04-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유 검출 장치
KR20160065498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네오텍 퍼지 제어를 이용한 해수면 상황 예측 시스템
WO2018225987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유류 오염 제거 및 추적 장치
CN108008043A (zh) * 2017-12-08 2018-05-08 浙江海洋大学 基于气相色谱仪的海域溢油预警装置
CN113184115A (zh) * 2021-06-03 2021-07-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上溢油追踪漂流浮标
KR102311089B1 (ko) 2021-06-03 2021-10-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해상부이를 이용한 해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3184115B (zh) * 2021-06-03 2022-10-2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海上溢油追踪漂流浮标
KR102315080B1 (ko) 2021-06-09 2021-10-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해상부이를 이용한 해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4019130A (zh) * 2021-11-12 2022-02-08 浙江大京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海域出让前期勘测平台及使用方法
CN114487327A (zh) * 2022-01-17 2022-05-13 青岛百发海水淡化有限公司 一种海洋水质监测及可疑船舶取证系统及方法
KR20230116234A (ko) * 2022-01-28 2023-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 감지센서를 이용한 저조도에서의 실시간 선박 기름누출 감지시스템
KR102644188B1 (ko) * 2022-01-28 2024-03-05 국립한국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색 감지센서를 이용한 저조도에서의 실시간 선박 기름누출 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926B1 (ko)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1913505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70098572A (ko) 해상에 포설된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iot 부표, iot 마스터 부표, iot 게이트웨이 부표
Codiga et al. Networked acoustic modems for real-time data delivery from distributed subsurface instruments in the coastal ocean: Initial system development and performance
KR100823877B1 (ko) 수질 및 생태 환경 감시 시스템
CN108709974A (zh) 一种基于物联网监控河涌水域污染状态的自动化监测系统
KR100989193B1 (ko) 해양 정보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204578524U (zh) 基于卫星通信的浮标式水上信息收发装置
CN203630007U (zh) 悬浮式表层水流流速流向在线跟踪监测装置
CN207747985U (zh) 基于ais系统的溢油跟踪浮标
Xu et al.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 systematic review
Adiono et al. Development of long-range communication system for fishermen: an initial study
US201600127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the Presence of a Liquid
Cella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a study case outcome
CN108449100A (zh) 海上多波段多制式救生电台及其救生方法
CN103995271A (zh) 水下监测设备意外上浮预警搜索系统和搜索方法
KR100832679B1 (ko)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CN206954454U (zh) 一种便于定位寻找的浮标
KR101502329B1 (ko) 전기 저항을 이용한 해상 유출유 검출 방법
Shih Real-time current and wave measurements in ports and harbors using ADCP
CN203237385U (zh) 一种改进型溢油报警浮标装置
Park Electronics System Design of a Generic Meteorological Buoy
Alford et al. An inductive charging and real-time communications system for profiling moorings
KR101508980B1 (ko) 유출유 검출 장치
Disant et al. Microwave Propagation in Maritim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