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428B1 -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428B1
KR100997428B1 KR1020080105898A KR20080105898A KR100997428B1 KR 100997428 B1 KR100997428 B1 KR 100997428B1 KR 1020080105898 A KR1020080105898 A KR 1020080105898A KR 20080105898 A KR20080105898 A KR 20080105898A KR 100997428 B1 KR100997428 B1 KR 10099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ion
shape
location information
coordinate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869A (ko
Inventor
이문진
김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4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오염물질이 퍼지는 것을 막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구간마다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위치정보 처리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과, 지상에서 모니터링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오염차단막의 일정구간마다 설치되어지는 형상유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오염물이 해상에서 퍼지면 오염차단막을 설치하여 일정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상을 정한뒤 정해진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염차단막, 해양, GPS, 위치정보, 모니터링, 형상

Description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Monitoring system for position and deployed shape of pollution protecting boom, and it's application methodology}
본 발명은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오염물질이 퍼지는 것을 막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구간마다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위치정보 처리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과, 지상에서 모니터링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오염차단막의 일정구간마다 설치되어지는 형상유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오염물이 해상에서 퍼지면 오염차단막을 설치하여 일정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상을 정한뒤 정해진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오염 차단막은 선박의 충돌 또는 좌초사고로 인해 유출된 유류, 해양의 준설 또는 매립공사로 인한 부유토사, 발전소 냉각수 배출로 인한 거품, 하천수의 부유쓰레기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확산방지 및 포집을 위해 오염발생 원 주변해역에 설치한다. 이러한 오염차단막은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유류의 경우 오일펜스, 부유토사의 경우 오탁방지막, 배출수 거품의 경우 거품차단막, 부유쓰레기의 경우 쓰레기차단막 등으로 구분되며, 오염원 특성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설치된다. 설치된 오염방지막이 효율적으로 오염물을 포집하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치 당시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장되어야만 하므로, 오염차단막의 계류상태, 전장 형상, 거동 특성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오염차단막 설치와 관련하여 설치 위치나 전장 형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는 개발된 바 없으며, 인력을 동원하여 주기적으로 현장의 상태를 순찰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에 의한 감시는 일몰, 안개, 강수 등과 같은 기상조건과 해상상태에 따라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을 받으므로, 돌발적 사고에 의한 오염차단막의 훼손 또는 유실을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방제현장에서는 오염차단막의 훼손 또는 유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외에, 오염물의 유출로 인한 환경피해의 확대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 위치 측정 장치를 이용해 해상에 설치된 오염차단막의 설치 위치를 파악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육상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을 파악하고 필요시 현장의 형상유지 시스템을 원격제어하여 오염차단막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것으로 해상에서 오염물질이 퍼지는 것을 막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구간마다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위치정보 처리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과, 지상에서 모니터링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오염차단막의 일정구간마다 설치되어지는 형상유지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성되어지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오염물이 해상에서 퍼지면 오염차단막 DGPS를 이용하여 오염차단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오염차단막의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오염차단막을 육상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신하여 오염차단막의 실시간 위치와 형상 거동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필요시 현장의 형상유지 시스템을 원격제어하는 단계를 포 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해양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면 해상 오염방제장비를 위한 첨단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미진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오염방제작업이 어려운 현재의 상태에서 방제장비 중 하나인 오염차단막의 전장 위치를 실시간으로 육상의 모니터링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육상에서 오염방제 해역에 전장된 오염차단막의 형상 및 거동을 파악하여 유실이나 훼손을 감시하고, 필요시 형상유지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염차단막의 기능저하로 인한 오염물의 유출 및 2차 오염 발생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해양오염방제 및 환경보호에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양의 오염물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위치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해상의 오염을 차단하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범위마다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상기 DGPS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위치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에서 분석되어진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좌표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통신시스템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과;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과 상호 통신하여 오염차단막의 위치정보를 지상에 구비되어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오염차단막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차단막의 형상 을 유지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형상유지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되는 오염차단막이 사용되어지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해양의 오염물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위치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해상의 오염을 차단하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범위마다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11)와, 상기 DGPS(1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위치정보 처리장치(12)와,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분석되어진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좌표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과;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과 상호 통신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정보를 지상에 구비되어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과;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유지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형상유지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형상유지 시스템(40)은 오염차단막(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 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공기송출장치(41)와 상기 오염차단막(1)의 길이를 조절하는 감용장치(4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본 발명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해상의 오염을 차단하는 오염차단막(1)의 일정 범위마다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11)에서 송출되어지는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좌표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13)에서 좌표정보를 신호로 변환하는 좌표취득 단계(S10)와; 상기 좌표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되어진 좌표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좌표 송출단계(S20)와;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에 전송되어진 좌표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 전송하는 중계 송출단계(S30)와;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수신한 상기 오염차단막(1)에 설치되어진 다수의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좌표신호를 통해 현재 오염차단막(1)의 위치와 형상을 파악한뒤 관리자가 눈으로 볼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형상 표시단계(S40)와;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 및 위치를 무선으로 조종하는 형상 조정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형상 조정단계(S50)에서는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관리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이 수면에 뜨는 높이를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는 수신되어진 좌표신호로 부터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형상을 최소 3개점 이상의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 템(10)의 신호를 토대로 산정하며, 2차곡선식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1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과 지수곡선식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2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을 바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한 최적 곡선식 산정 방법으로 산정한다.
또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전장 형상 결정을 위한 곡선식은 상기 오염차단막(1) 설치시 의도했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의 추정길이(L)는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n개의 선분으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피타고라스법칙에 근거하여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3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식으로 산정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이용하여 오염물의 포집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오염차단막(1)의 포획 면적(S)은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개의 벡터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벡터연산법칙 중 벡터외적연산을 이용하여 산정하며,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4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식으로 산정한다.
즉,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를 들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따르면, 본 실시 예는 위치결정과 위치정보 패킷화 및 자동 발신 환경설정을 위한 무선통신용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 패킷화된 위치정보 자동발신용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이 통신시스템을 통해 전송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오염차단막(1)의 설치 위치 및 전장 형상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과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변형하는 형상유지 시스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과 상기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은 도3과 같이 소형 부이형태로 해상의 상기 오염차단막(1)에 부착된다.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상기 DGPS(11)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장치로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DGPS(11)는 우리나라의 연안에 설치된 DGPS(11) 기준국의 위치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약 10m 정도의 오차를 갖는 GPS 위치정보를 보정하여 측위오차 1m 이내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는 상기 DGPS(11)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들 중 가장 정확한 정보인 GPRMC자료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APRS(Automatic Position Reporting System)의 표준포맷으로 변형하여 상기 프로세서(13)에서 요청한 시간간격에 따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13)에서는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패킷화하고 상기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을 제어하여 상기 프로세서(13)에서 설정한 일정시간간격으로 상기 육상 모 니터링 시스템(30)에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자료제공 시간간격은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의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은 기본적으로 VHF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 원거리에 따른 송신 불가능의 경우 위성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위성통신을 위한 위성은 모니터링 대상 영역이 대한민국 영해와 인근의 배타적 경제 수역 등으로 한정되는 경우에는 무궁화 위성을 이용하고, 원양을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세계 서비스가 가능한 Orbcomm이나 Inmarsat-C의 위성 시스템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 형상 및 거동 특성을 일관되게 파악하고 적절한 판단 및 결정 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상기 오염차단막(1) 위치 및 거동 표시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전자해도시스템(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또는 ECDIS)에 기반을 두고 운영되는데, 이때 전 세계적인 전자 해도 표준 사양인 IHO S-57 형식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국립해양조사원의 S-57 형식의 전자 해도를 사용한다.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이러한 전자 해도를 이용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 및 거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위치정보로부터 전장 형상의 추출은 3점 이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며, 다음과 같은 2차곡선식과 지수곡선식을 바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한 최적 곡선식 산정방법을 이용한다.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5
: 2차곡선식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6
: 지수곡선식
여기서, x = 동쪽 방향의 좌표 y = 북쪽 방향의 좌표이고,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장 형상 결정을 위한 곡선식은 상기 오염차단막(1) 설치시 의도했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오염차단막(1) 곡선식으로부터 상기 오염차단막(1)의 추정길이(L)는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n개의 선분으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피타고라스법칙에 근거하여 산정한다.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7
또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는 상기와 같이 도출된 형상을 이용하여 오염물의 포집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상기 오염차단막(1)의 포획 면적을 산정하여 제시한다. 상기 오염차단막(1)의 포획 면적(S)은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n개의 벡터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벡터연산법칙 중 벡터외적연산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8
그리고, 현장에 설치된 상기 오염차단막(1)이 이상없이 형상을 유지하고 있 다면 상기와 같이 산정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추정길이 및 포집면적은 설치당시 파악한 실제 길이 및 포집면적과 유사하여야 하므로, 추정된 값과 실제 값과이 차이로서 상기 오염차단막(1) 전장 상태의 이상유무를 파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이 파악되면, 상기 오염차단막(1)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기능저하가 우려될 경우 다시 무선통신으로 현장의 형상유지 시스템(40)을 구동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이 최적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 시스템(40)은 상기 오염차단막(1)의 일정 구간마다 다수개 설치되어 공기송출장치(41)와 감용장치(42)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공기를 추가 주입하거나 상기 감용장치(42)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 시스템(40)에서 상기 공기송출장치(41), 상기 오염차단막(1)과 상기 감용장치(42) 등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며,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의 요청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공기송출장치(41)와 상기 감용장치(42)의 구동을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필요에 따라 공기를 추가 주입하거나 상기 감용장치(42)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시스템 구성을 통해 해상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형상 정보를 탐지하여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시계열적 흐름을 따른다.
그리고, 도2에 따르면, 우선 오염차단막에 부착된 부이에 탑재된 DGPS장비가 측위오차 1m 이내의 정밀측위로 오염차단막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는 상기 DGPS(11)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들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형식으로 변형하여 상기 프로세서(13)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13)에서는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패킷화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은 프로세서(13)에서 요청하는 시간 간격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거쳐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 전송한다.
또한, 육상에 수신된 무선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이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오염차단막(1) 위치 정보를 GIS 기반 하에 수신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 형상 및 거동 특성을 가시화함으로써 통제실에서 적절한 판단 및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는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이 파악하고, 필요시 공기를 추가 주입하거나 감용장치(42)로 차단막의 전장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이 최적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DGPS(11)에 의한 정밀 위치측정, 무선 데이터통신, 장비 활용 및 인터페이스 구축, 해상 GIS 구축, 무선 데이터통신에 의한 장비의 원격제어 등에 관한 기술을 적극 활용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 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되는 오염차단막이 사용되어지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염차단막
10 :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 20 : 위치정보 통신시스템
30 :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 40 : 형상 유지 시스템

Claims (6)

  1. 해양의 오염물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위치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해상의 오염을 차단하는 오염차단막의 일정 범위마다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11)와, 상기 DGPS(1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위치정보 처리장치(12)와,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분석되어진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좌표정보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통신시스템(20)과 송수신하는 프로세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과;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과 상호 통신하여 상기 오염차단막(1)의 위치정보를 지상에 구비되어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과;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유지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형상유지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 시스템(40)은 오염차단막(1)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 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공기송출장치(41)와 상기 오염차단막(1)의 길이를 조절하는 감용장치(42)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
  3.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해상의 오염을 차단하는 오염차단막(1)의 일정 범위마다 설치되어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11)에서 송출되어지는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처리장치(12)에서 좌표정보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3)에서 좌표정보를 신호로 변환하는 좌표취득 단계(S10)와;
    상기 좌표취득 단계(S10)에서 취득되어진 좌표신호를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좌표 송출단계(S20)와;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에 전송되어진 좌표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 전송하는 중계 송출단계(S30)와;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수신한 상기 오염차단막(1)에 설치되어진 다수의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좌표신호를 통해 현재 오염차단막(1)의 위치와 형상을 파악한뒤 관리자가 눈으로 볼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형상 표시단계(S40)와;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 및 위치를 무선으로 조종하는 형상 조정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조정단계(S50)에서는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관리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이 수면에 뜨는 높이를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는 수신되어진 좌표신호로 부터 상기 오염차단막(1)의 전장형상을 최소 3개점 이상의 상기 위치정보 표준화 시스템(10)의 신호를 토대로 산정하며, 2차곡선식
    Figure 112008074803655-pat00009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과 지수곡선식
    Figure 112008074803655-pat00010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을 바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한 최적 곡선식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전장 형상 결정을 위한 곡선식은 상기 오염차단막(1) 설치시 의도했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의 추정길이(L)는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n개의 선분으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피타고라스법칙에 근거하여
    Figure 112008074803655-pat00011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식으로 산정하며, 상기 오염차단막(1)의 형상을 이용하여 오염물의 포집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오염차단막(1)의 포획 면적(S)은 위치정보에서 추출된 오염차단막(1)의 시작점과 끝점에 해당하는 곡선식의 점 사이를 개의 벡터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이 벡터연산법칙 중 벡터외적연산을 이용하여 산정하며,
    Figure 112008074803655-pat00012
    (x=동쪽의 좌표, y=북쪽의 좌표, a와 b는 각각 최적 곡선식의 상수)식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080105898A 2008-10-28 2008-10-28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0997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98A KR100997428B1 (ko) 2008-10-28 2008-10-28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98A KR100997428B1 (ko) 2008-10-28 2008-10-28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69A KR20100046869A (ko) 2010-05-07
KR100997428B1 true KR100997428B1 (ko) 2010-12-07

Family

ID=4227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898A KR100997428B1 (ko) 2008-10-28 2008-10-28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188A (ja) 2001-09-12 2003-03-19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構造物の定位置保持システム
JP2003221823A (ja) 2002-12-20 2003-08-08 Kunio Miyazaki オイルフェンス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7-09-07 한국해양연구원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188A (ja) 2001-09-12 2003-03-19 Mitsubishi Heavy Ind Ltd 海中構造物の定位置保持システム
JP2003221823A (ja) 2002-12-20 2003-08-08 Kunio Miyazaki オイルフェンス
KR100756926B1 (ko) 2006-07-12 2007-09-07 한국해양연구원 해상부이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69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239B1 (ko) 드론을 활용한 수질환경 감시방법
KR101896000B1 (ko) 해상에 포설된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iot 부표, iot 마스터 부표, iot 게이트웨이 부표
CN111947605B (zh) 一种边坡安全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100860616B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KR101345186B1 (ko) 도로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3592B1 (ko) 매설관의 파손방지와 파손된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4916166A (zh) 一种桥梁防撞预警系统及实现方法
KR101719320B1 (ko) 재난 예방용 영상 수위 감시 시스템
KR20170033103A (ko) 도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61552A (ja) 岸壁又は堤防の空洞探査方法及び危険性評価方法
CN104132941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多流域水体质量综合监测与分析方法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US11346096B2 (en)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s
CN115752480B (zh) 一种基于物联网的采样装置管理系统及方法
KR100997428B1 (ko) 오염차단막 위치 및 형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6062113A (ja) 水溜り分布予測システム、水溜り分布予測装置、水溜り分布予測プログラム
KR101813242B1 (ko) 해양교통시설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855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0215B1 (ko) 지엔에스에스를 이용한 시설물 시공 관리 시스템
CN115442398A (zh) 基于无基站差分gps定位技术的河湖智能界桩及监控系统
KR200435225Y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KR20160118006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관리 시스템
KR102632719B1 (ko) 수재해 재난관리를 위한 원격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
CN218886696U (zh) 一种航道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