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55B1 -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55B1
KR101550855B1 KR1020140075567A KR20140075567A KR101550855B1 KR 101550855 B1 KR101550855 B1 KR 101550855B1 KR 1020140075567 A KR1020140075567 A KR 1020140075567A KR 20140075567 A KR20140075567 A KR 20140075567A KR 101550855 B1 KR101550855 B1 KR 10155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arine cable
cable management
magnetic
magnetic marker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
박정인
노현철
유성환
신예은
이상수
Original Assignee
김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 filed Critical 김평
Priority to KR102014007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55B1/ko
Priority to PCT/KR2015/006267 priority patent/WO20151949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7Unde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마커(Magnetic Maker) 시스템을 적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기탐지기, 상기 위치가 탐지된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합센서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of Submarine Cable Using Magnetic Mak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두 지점(예를 들어,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 등) 간의 통신 및 전력전송 등의 용도로 케이블을 해저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 형태의 전송선로를 매설 또는 부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해저케이블 위치 및 상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해저케이블의 상태를 파악 및 유지보수하는 등의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잠수부가 직접 잠수하여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유인잠수장비에 사람이 탑승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 무인잠수함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사람이 확인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국내 해저케이블에 대한 탐사기술의 경우, 35m 이하의 수심에서는 잠수부에 의한 육안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35m 이상의 수심에서는 탐사선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무인잠수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통한 사람이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제주 근경에 설치된 해저케이블의 경우에는 유인잠수장비를 이용해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육안조사에 의한 해저케이블 탐사 방법의 경우에는 해저 표면으로 노출된 케이블만 확인할 수 있을 뿐, 해저에 매설된 케이블의 위치(또는 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수부가 직접 잠수하여 해저케이블 상태를 확인하는 탐사 방법의 경우는, 잠수부의 수중 체류시간이 수심 및 수온, 잠수부의 역량 등에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제한시간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한 제한사항을 위반하였을 경우에는 잠수병 등의 상해로 인한 인명 손실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유인잠수장비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탐사 방식은, 고가의 장비와 고급 인력이 동시에 투입되어 높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단점이 있으며, 기상 및 조류상태를 확인하여 최적 시점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 등의 제약사항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이용하여 육안을 통한 직접적인 확인 및 접촉 없이 해저케이블의 특정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잠수장비 형태로 구현되어 잠수로 인한 인명손실 등의 위험이 없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기탐지기와, 상기 위치가 탐지된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합센서부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자기탐지기를 이용해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통합센서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기탐지기와, 상기 위치가 탐지된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합센서부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자기탐지기를 이용해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통합센서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Magnetic Maker) 시스템이 적용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를 구비하는 자기마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수중 심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잠수장비 형태의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적용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잠수장비 형태의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해 해저케이블을 탐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탐사 모드로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내비게이션(Navigation) 모드로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장치'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항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해저케이블(Submarine Cable)이란, 대륙 간 혹은 육지와 섬 등과 같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두 지점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해저에 부설되는 케이블을 뜻하는 것으로, 천해용(淺海用) 및 심해용(深海用) 해저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은 해저에 부설되기 때문에 어업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기 쉽고 해류나 파랑(波浪)에 의한 해풍사태, 해저면과의 마찰 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케이블이 손상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외장(外裝)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해용은 해안부터 수심 약 500m 지역에까지 펼쳐진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대륙붕 지역에 설치되는 케이블로 외장 케이블이 사용되며, 상기 심해용은 어업활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자연현상에 의한 피해가 비교적 적은 심해에 설치되므로 무외장(無外裝)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은 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자기마커(Magnetic Maker)란, 일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해저케이블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자기마커는 동일한 위치좌표 상에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GPS 수신기를 통해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수신할 수 있다. 즉, GPS 수신기는 자기마커의 위치좌표 값을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기마커는 영구자석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인식하는 자기탐지기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Magnetic Maker) 시스템이 적용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가 부착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자기마커 시스템이 적용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도 2에 도시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해저케이블(110)은, 다수의 자기마커(111, 112, 113)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은 상기 해저케이블(110)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이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의 위치정보는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에 구비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기마커 혹은 GPS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 식별정보는 각각의 자기마커(111, 112, 113) 혹은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에 구비된 GPS 수신기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이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정보는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좌표 값(x, y) 외에도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이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z)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은 자동 수평 기능 및 자동 위치조정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마커(111, 112, 113)들은 상기 해저케이블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형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예를 들어, 급경사 혹은 급커브 지점 등)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자기탐지기(121), 통합센서부(122), 제어부(123), 디스플레이부(124), 통신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가 자기탐지기(121)를 이용해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특정 자기마커(111)를 인식할 수 있다[S310, S320]. 즉, 상기 특정 자기마커(111)는 해저케이블(110)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된 것으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탐지기(121)는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자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상기 자기탐지기(121)를 이용해 상기 해저케이블(110)에 부착된 특정 자기마커(111)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탐지된 위치의 특정 자기마커(111)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자력의 세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을 추정할 수도 있다. 상기 탐지기(121)를 통해 측정되는 자력의 세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통합센서부(122)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111)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30]. 상기 통합센서부(122)는 상기 특정 자기마커(111)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자기마커와 동일한 위치좌표(x, y)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센서부(122)는 상기 특정 자기마커(111)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z) 및 각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속도, 방향, 수심, 수평 및 장애물 인식 등을 이벤트를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상기 제어부(123)를 통해 상기 수신된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할 있다[S340, S350, S360]. 즉,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산출된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도록 지도 데이터와 연동하여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상기 제어부(123)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70].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해저케이블(110)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해저케이블(11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자기마커(111, 112, 113)들의 위치가 눈에 띄게 표시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자기마커를 이용해 해저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직접적인 접촉이나 육안을 통한 확인 없이도, 해저케이블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자기마커의 위치를 지도에 병기함으로써, 해저케이블이 설치된 위치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가독성을 높여 해저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상기 통신부(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2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23)에서 처리된 처리결과를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해저케이블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무인잠수장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가 무인잠수장비 형태로 구현되는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120)는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와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무인잠수장비(210)는 카메라 모듈(211), 자기마커 탐지모듈(212), 통합센서모듈(213), GPR모듈(214), 제1제어모듈(215) 및 제1통신모듈(2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11)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변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11)을 통해 획득되는 주변영상은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의 디스플레이 모듈(225)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서, 상기 무인잠수장비(2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고, 장애물을 인식하여 무인잠수장비(210)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및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등으로 구현된 발광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마커 탐지모듈(212)은 일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또는 자력)을 탐지하여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자기마커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인잠수장비(210)는 상기 자기마커 탐지모듈(212)을 이용하여 자기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통합센서모듈(213)를 이용해 상기 자기마커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센서모듈(213)은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자기마커의 위치정보, 심도정보 등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센서모듈(213)은 상기 자기마커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센서, 상기 자기마커의 심도정보를 수신하는 심도센서, 상기 무인잠수장비의 속도, 방향, 거리 및 수평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자기마커의 위치정보는 GPS 수신기를 통해 취득되는 위치좌표 값(x, 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심도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자기마커의 심도정보는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z)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종 센서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무인잠수장비의 진행 방향, 이동속도 및 다른 물체와의 거리 및 수평도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각종 데이터들을 이용해 무인잠수장비가 장애물을 인식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운전 가능하다.
상기 GPR(Ground Penetrating Rader) 모듈은 지표투과레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상기 해저케이블의 위치, 심도 및 매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해저면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모듈(215)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제어모듈(215)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216)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 및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통신모듈(216)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모듈(211)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상기 통합센서모듈(213)을 통해 수신되는 해저케이블 관리정보 및 GPS 모듈 등을 통해 수신되는 자기마커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는 제2통신모듈(221), 제2제어모듈(222), 데이터베이스(223), 조정모듈(224) 및 디스플레이 모듈(2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221)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제1통신모듈(211)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통신모듈(216) 및 상기 제2통신모듈(221) 간의 통신방식은 유선 혹은 무선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통신모듈(221)은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의 조정모듈(224)을 통해 입력되는 무인잠수장비(210)를 운전하기 위한 조정데이터를 상기 제1통신모듈(216)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모듈(222)은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어모듈은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220)에 구비된 각 구성들의 유기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모듈(222)은 상기 무인잠수장치(210)의 통합센서부(213)로부터 수신된 해저케이블 관리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를 지도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Map)에 해당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3)는 자기마커가 최초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마커의 설치일자, 설치약도, 설치내용(위치정보 및 심도정보 등), 설치자, 상기 자기마커를 설치한 도선명 및 도선등급 등을 포함하는 자기마커 설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23)는 해저케이블 관리를 위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자기마커 설치정보를 테이블 값으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된 자기마커 설치정보와 상기 통합센서부(213)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자기마커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해저케이블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차값이 산출될 경우, 상기 산출된 오차값도 상기 데이터베이스(223)에 누적 저장하여 해저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교 분석을 통해 해저케이블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며, 주기적인 탐사 시행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해저케이블이 이동하였을 시에는 다음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정모듈(224)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방향 및 이동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25)은 상기 제2통신모듈(221)에서 처리된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25)은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25)은 상기 무인잠수장비(210)의 카메라모듈(211)로부터 취득되는 주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411)는 해저케이블(410)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위치좌표 값을 갖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4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마커(411)는 일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위치를 알리는 장치로서, 영구자석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마커(411)는 상기 해저케이블(410)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을 탐지하는 자기탐지기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412)는 상기 자기마커(411)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자기마커(411)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GPS 수신부(412)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좌표 값(x, y)은 상기 자기마커(411)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좌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수중 심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좌표 값(x, y) 외에도, 수중 심도 값(z)을 더 측정하여 해저케이블을 더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중 심도 값(z)은 통합센서부에 구비되는 자기센서모듈을 통해 측정되는 특정 자기마커의 자력 세기를 근거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센서부는 상기 자기마커의 자기장을 탐지하여 자기력을 출력하는 자기센서모듈을 복수 개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자기센서모듈을 통해 탐지된 자기력의 강도에 따라 상기 자기마커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자기마커의 종류와 개수에 따른 자기력 데이터에 대응되게 설정된 심도에 근거해 상기 복수 개의 자기센서모듈을 통해 탐지된 자기력에 따라 심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자력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는 통합센서부에 구현되거나, 자기탐지기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자기센서모듈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특정 자기마커로부터 출력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Bz)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심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1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2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4
은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수중의 심도 값을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5
은 높이,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6
는 반지름,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7
은 자속밀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57741979-pat00008
는 적용변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해저케이블이 설치된 위치정보 외에도 심도정보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상기 해저케이블이 해저 표면에 설치되었는지 또는 해저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지 여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잠수장비 형태의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적용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자기마커(610a)를 부착한 해저케이블(610), 자기탐지기(620a)가 장착된 무인잠수장비(620) 및 무인잠수장비 제어기(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해저케이블(610)의 표면에는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자기마커(610a)들이 소정 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마커(610a)는 GPS 수신기를 구비하여 구비된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서 해당 자기마커(610a)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는 심해에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자기탐지기(62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는 이동 중에, 상기 자기탐지기(620a)를 이용해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기탐지기(620a)가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하는 특정 자기마커(610a)를 인식할 경우,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는 기장착된 통합센서를 통해 상기 자기마커(610a)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610a)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자기마커(610a)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좌표 값(x, y)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는 통합 센서 모듈(620b), 카메라 모듈(620c), 조명 모듈(620d), 데이터 송수신 모듈 및 전원공급 모듈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는 상기 카메라 모듈(620c) 및 조명 모듈(620d)을 이용하여 해저에서 조명을 이용한 시야 확보 및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해저케이블 영상 획득을 통해 실시간 해저 탐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센서 모듈(620b)은 상기 무인잠수장비(620)의 위치 값을 구할 수 있도록 수중 심도 데이터, 방향, 속도, 거리 및 수평 데이터를 센싱하고, 장애물을 인식하여 상기 무인잠수장비(620)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를 더 구비하여 해저면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해저케이블(610)이 설치된 위치, 심도 및 매설된 형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630)는 조정 모듈과 데이터 송수신 모듈(630a), 전원공급 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모듈은 상기 무인잠수장비(620)를 컨트롤할 수 있는 모듈로서, 상기 무인잠수장비(630)에 설치되는 카메라 영상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통해 무인잠수장비의 방향과 이동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하여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630a)은 상기 무인잠수장비(620)의 통합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수중 심도 데이터, 방향, 속도, 거리, 수평도 데이터 등)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인잠수장비 제어기(630)의 GPS 값과 상기 무인잠수장비(620)의 통합센서로부터 받은 값을 계산하여 무인잠수장비의 현재위치 값을 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방식으로 개인 이동단말기(640)에 연결되어, 특정 사용자에게 탐사현황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으며, GPS 인공위성 장비(650), GPS 정보관리 서버(660a) 및 GIS DB(660b) 등에 연결되어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잠수장비 형태의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해 해저케이블을 탐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잠수장비(720)는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케이블(710)을 탐사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해저케이블(710)은 바다로 인해 격리된 지점(예를 들어, 대륙 간 혹은 육지와 섬 등) 간의 통신 및 전력 공급을 위해 설치된 케이블로서, 수중에 설치되거나, 해저에 매설되는 케이블 및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710)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자기마커(7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기마커(711)는 상기 해저케이블(710)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GPS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기마커(711)는 상기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자기마커(711)가 부착된 해저케이블(710)의 정확한 위치좌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인잠수장비(720)는 상기 해저케이블(710)의 상태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해저케이블(710)에 대한 유지보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해저케이블(710)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무인잠수장비(720)는 일측에 자기탐지기(721) 구비하여 상기 자기마커(711)에 저장된 자기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무인잠수장비(720)에 장착된 각종 센서 모듈을 이용해 상기 자기마커(711)로부터 해저케이블 관리에 필요한 위치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기마커(711)에 장착된 자기마커는 일정 세기 이상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무인잠수장비(720)가 상기 자기마커(711)가 설치된 위치의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할 경우, 상기 자기탐지기(721)가 이를 인식하면, 상기 무인잠수장비(720)에 구비된 각종 센서모듈 혹은 통신모듈을 이용해 상기 자기마커(711)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711)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마커 시스템을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정확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기마커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보다 안전하게 넓은 영역의 탐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심해저 등과 같이 생리학상 인간의 잠수 수심한계를 초과한 지역이나, 오염지역의 난파선 및 군 수색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동안 해양환경을 모니터링하는 해저관측소와 해저기지 및 해저구조물 건설을 위한 작업장비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탐사 모드로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내비게이션(Navigation) 모드로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저케이블을 탐사 및 관리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탐사 모드 또는 내비게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탐사 모드로 동작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및 정보들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수중에서 해저케이블을 탐사하는 무인잠수장비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주변영상을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공되는 주변영상 외에도 각종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상기 각종 정보는 수중에서 해저케이블을 탐사하는 무인잠수장비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잠수정 컨트롤러 아이콘(810), 상기 무인잠수장비가 이동중인 지점의 수심 및 상기 무인잠수장비의 이동속도 등 이동정보를 표시하는 잠수정 정보표시(820), 상기 무인잠수장비의 수평도 정보를 표시하는 수평계(830), 상기 무인잠수장비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조작하고 상기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탐지센서 조작 및 정보표시(840) 및 이동항로를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850) 등의 섹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내비게이션 모드로 동작할 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도에는 해저케이블(910) 및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자기마커 위치(920)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은, 특정 위치에 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610 : 해저케이블 111, 112, 113, 610a : 자기마커
120 : 해저케이블 관리장치 121, 620a : 자기탐지기
122 : 통합센서부 123 : 제어부
124 : 디스플레이부 620 : 무인잠수장비
630 : 무인잠수장비 제어기

Claims (16)

  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자기탐지기;
    상기 위치가 탐지된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합센서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에 구비된 상기 통합센서부는
    상기 자기탐지기를 통해 측정되는 자력의 세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을 더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최초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마커의 설치일자, 설치약도, 설치내용, 설치자, 상기 자기마커를 설치한 도선명 및 도선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마커 설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자기마커가 최초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오차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저케이블에는 해저에서 지형이 급변하는 지점에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상기 자기마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에 설치되는 다수의 자기마커들은
    상기 해저케이블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자기마커(Magnetic Maker)는
    자동 수평 기능 및 자동 위치조정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상기 해저케이블의 위치, 심도 및 매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해저면 스캔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처리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는
    원격(Remote)으로 수중 제어가 가능한 무인잠수장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9.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수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발생시켜 수중에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자기마커(Magnetic Maker)를 다수 부착하고 있는 해저케이블; 및 상기 해저케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해저케이블 관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자기탐지기를 이용해 인식되는 자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에 부착된 다수의 자기마커들 중,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통합센서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자기마커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상기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산출된 위치를 지도(Map) 데이터와 연동하여 지도에 상기 특정 자기마커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처리한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출력된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지도에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에 구비된 통합센서부가 상기 자기탐지기를 통해 측정되는 자력의 세기를 근거로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수중 심도 값을 더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특정 자기마커가 최초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마커의 설치일자, 설치약도, 설치내용, 설치자, 상기 자기마커를 설치한 도선명 및 도선등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기마커 설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통합센서부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자기마커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자기마커가 최초 설치된 지점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산출된 오차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저케이블에는 해저에서 지형이 급변하는 지점에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상기 자기마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에 설치되는 다수의 자기마커들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특정 자기마커(Magnetic Maker)가 자동 수평 기능 및 자동 위치조정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해저케이블의 위치, 심도 및 매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해저면 스캔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상기 출력된 처리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은,
    상기 해저케이블 관리장치가 원격(Remote)으로 수중 제어가 가능한 무인잠수장비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관리 방법.
KR1020140075567A 2014-06-20 2014-06-20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67A KR101550855B1 (ko) 2014-06-20 2014-06-20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06267 WO2015194912A1 (ko) 2014-06-20 2015-06-19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67A KR101550855B1 (ko) 2014-06-20 2014-06-20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55B1 true KR101550855B1 (ko) 2015-09-08

Family

ID=5424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567A KR101550855B1 (ko) 2014-06-20 2014-06-20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0855B1 (ko)
WO (1) WO20151949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83B1 (ko) * 2016-03-04 2016-10-31 (주) 이우티이씨 해저 케이블 위치 송수신 장치
KR101943461B1 (ko) 2018-05-18 2019-01-30 (주)이우티이씨 해저 케이블 탐사용 자기 마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092B (zh) * 2021-07-23 2023-06-20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海底管道阴极保护电位检测自主巡检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811A (ja) 2010-01-21 2011-08-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海底ケーブル移動距離測定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525B1 (ko) * 2004-12-20 2006-07-25 (주) 이우티이씨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 지하매설물 탐지기
KR101155975B1 (ko) * 2009-06-16 2012-06-18 (주) 이우티이씨 광섬유 센서와 자기마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 및 관리시스템
KR20130039967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력공사 해저 케이블 매설상태 감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811A (ja) 2010-01-21 2011-08-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海底ケーブル移動距離測定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83B1 (ko) * 2016-03-04 2016-10-31 (주) 이우티이씨 해저 케이블 위치 송수신 장치
KR101943461B1 (ko) 2018-05-18 2019-01-30 (주)이우티이씨 해저 케이블 탐사용 자기 마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912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3104B1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AU20122349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rveying or monitoring underwater features
CN102495420B (zh) 一种水下目标精确定位系统及方法
US11397274B2 (en) Tracked distance measu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1542317B (zh) 土方工程机械用的测定位置系统
JP5223532B2 (ja) 水柱観測装置及び水柱観測方法
KR101496446B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EP1348139B1 (en) Subsea navigation and survey
WO2015134473A2 (en) Underwater inspection system using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 in combination with a laser micro bathymetry unit (triangulation laser) and high-definition camera
KR101550855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94588B2 (ja) 三次元表示可能な地中レーダシステム
KR101048877B1 (ko) 해저 케이블 고장지점 탐색장치
KR101043055B1 (ko) 초음파 선박 항로 유도 시스템 및 장치
KR101692469B1 (ko) 슬레드를 이용한 해저 전력케이블 손상점 탐지시스템 및 손상점 탐지방법
KR101134627B1 (ko) 위치센서와 기름 검출센서를 이용한 침몰선박 검색시스템
RU2596244C1 (ru) Арктическая подводная 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ождения и навигацион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надводных и подводных объектов навигации в стесненных условиях плавания
KR101406061B1 (ko) 경로 설정을 통한 다기능 무인 선박을 이용한 하천 관리 시스템
JP2021076567A (ja) 音響センサーを用いた3次元漁具位置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017502A (ja) 水中音響測位システム
KR101396043B1 (ko)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897912B1 (ko) 앱을 활용한 해양시설물 사고방지 및 그 관리시스템
KR100544163B1 (ko) 수중카메라의 위치측정장치
US20230182875A1 (en) Topside buoy system
Szyrowski An intelligent, fast-acquisition remote sensing system for locating and measuring burial of subsea power and telecommunication cables
Foley et al. Improved capability, reliability, and productivity for underwater geophysical mapping of unexploded ord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