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043B1 -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043B1
KR101396043B1 KR1020140003945A KR20140003945A KR101396043B1 KR 101396043 B1 KR101396043 B1 KR 101396043B1 KR 1020140003945 A KR1020140003945 A KR 1020140003945A KR 20140003945 A KR20140003945 A KR 20140003945A KR 101396043 B1 KR101396043 B1 KR 10139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coordinate
arbitrary
unit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육상기준점설정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임의기준점설정부;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임의좌표측정부; 해저면의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목표위치설정부;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하는 해저좌표측정부; 및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하는 해저좌표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Underwater Geographical Featur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 적으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중지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은 풍부한 자원의 보고이지만, 대부분의 지역은 미개척된 상태이다. 이것은 깊은 수심에서 수압을 이겨낼 수 있는 장비의 기술수준이 충분치 못하고, 해양 수로를 포함하는 해저면에 대한 지형적/지리적 정보가 부족한 데 기인한다. 특히, 잠수함과 같은 해양장비의 경우엔 해저면의 지형정보를 근거로 운행되므로, 해저면 정보가 전무한 지역에서는 인간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인간의 접근이 가능한 해저면에서 지형적/지리적 정보를 수집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수에 의한 해저면의 침식 및 퇴적 등이 지상에 비해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저면에 대해 수집된 지형적/지리적 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해저 지형을 측정하는 장치로 소나(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가 사용된다. 가시광선 등의 전자파와 레이더파는 바다 속에서 전달되지 않으므로, 소나는 음파를 사용하여 해저의 지형을 측정하거나, 선박, 어뢰, 기타 목표물과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한다. 이때, 바다 속에 전달되는 소리의 빠르기는 바다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500 m/s이고 물체에 닿으면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성질이 있으며,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해저의 지형이나, 선박, 어뢰, 기타 목표물과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소나에는 음향 탐신기형과 같이 스스로 소리를 내어 물체를 탐지하는 능동형 소나와, 수중 청음기형과 같이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측정하여 그 물체를 탐지하는 수동형 소나의 두 종류가 있다. 능동형 소자는 일반적으로 음파를 짧은 단속음으로 발사하고 이것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어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송파기를 회전시켜 그 방향을 탐지하기도 한다. 수동형 소나는 지향성이 높은 청음기를 여러 개 조합하여 물체가 발신하는 음이 도달하는 시간차, 세기 등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방향, 거리, 크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방파제 등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해저 지형의 측정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해저지형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들은 대부분 능동형 소나가 장착된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음파를 발신하고 그 반사파를 수신하는 음파 송수신 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한데 비하여, 발신되는 음파 및 수신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해저지형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다.
특히, 해양 구조물은 해저지형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해저지형은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등에 의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측정한 값과 실제적으로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의 측정값은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큰 혼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저지형은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해상으로부터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 등에 의해 그 이동경로가 벗어나기 쉬우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중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36468 (등록일자: 2010. 01. 0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 적으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중지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육상기준점설정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임의기준점설정부;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임의좌표측정부; 해저면의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목표위치설정부;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하는 해저좌표측정부; 및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하는 해저좌표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임의좌표저장부; 임의좌표저장부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이동좌표측정부; 및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기록하는 이동좌표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저장부; 및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육상기준점,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기준점, 및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를 지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지도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정보표시부는, 지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해저좌표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해저좌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육상기준점설정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임의기준점설정부;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임의좌표측정부;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임의좌표저장부; 임의좌표저장부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이동좌표측정부; 및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출력하는 이동좌표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외부의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좌표출력부는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통신부를 통해 통신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해상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하는 해저좌표저장부;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해저좌표저장부에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하는 좌표비교부; 및 좌표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이동방향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해저면의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이동좌표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육상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육상기준점, 임의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기준점, 및 목표위치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를 지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단계는, 지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지도정보에 해저좌표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해저좌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외부의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좌표 출력단계는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통신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임의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해상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해저좌표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좌표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해저좌표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더라도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설계한 위치에 정확하게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 또는 선박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오차를 신속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하는 목표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의 측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100)는 육상기준점설정부(110), 임의기준점설정부(120), 임의좌표측정부(130), 목표위치설정부(140), 해저좌표측정부(150), 해저좌표계산부(160), 임의좌표저장부(170), 이동좌표측정부(180), 이동좌표기록부(190), 지도정보저장부(192) 및 지도정보표시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되거나,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하드웨어 모듈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위치로부터 가까운 해안선에 인접한 육상의 특정지점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해당 특정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값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당 특정지점의 해발을 함께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한다. 이때,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해양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해상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특정시점의 해당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즉, 해수면 위에서는 풍랑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정확한 수직 상방의 위치에 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특정시점의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임의기준점은 해발의 측정기준이 되는 평균해수면 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수면 아래의 임의의 지점을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임의좌표측정부(13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한다. 즉, 임의좌표측정부(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의 위치와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 사이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거나, 육상고정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 각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좌표측정부(13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특정 시점의 임의기준점의 위치좌표와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의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수평거리 및 방향을 산출하며, 산출된 수평거리 및 육상기준점의 해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과 임의기준점 사이의 각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목표위치설정부(140)는 해저면의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한다. 이때, 목표위치설정부(140)는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해저면의 위치의 좌표값을 목표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해저좌표측정부(15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한다. 즉, 해저좌표측정부(150)는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에 수중지형 측정장치(100)를 위치시키고,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해당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해저좌표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해저좌표측정부(150)는 x, y, z의 3축 공간좌표에서의 자세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직선상의 이동방향 및 이동시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이동한 위치를 계산하는 가속도 센서,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측정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되는 임의좌표는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의 수직 상방의 해상의 좌표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배를 이용하여 수중지형 측정장치(100)를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해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특정시점의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하며, 해저좌표측정부(15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수평거리,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해저좌표를 측정한다.
해저좌표계산부(16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측정부(150)에 의해 측정된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한다. 즉, 해저좌표계산부(16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임의좌표까지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 등의 측정값, 및 해저좌표측정부(150)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으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계과정에서 설정된 목표위치에 대하여 실제의 깊이, 방향,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 등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임의좌표저장부(17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특정시점의 임의좌표를 저장한다.
이동좌표측정부(180)는 임의좌표저장부(17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상기준점 A에 대하여 B의 위치에서 임의기준점이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100)를 해저의 목표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면 그 이동 과정에서 파랑이나 파압 등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좌표측정부(180)는 임의좌표저장부(17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좌표측정부(180)는 x, y, z의 3축 공간좌표에서의 자세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직선상의 이동방향 및 이동시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이동한 위치를 계산하는 가속도 센서,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측정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좌표측정부(180)의 이동좌표 측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좌표측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좌표기록부(190)는 이동좌표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기록한다. 이때, 이동좌표기록부(190)는 이동좌표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위치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에 기초하여 경로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의 측정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지도정보저장부(192)는 지도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지도정보저장부(192)는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 및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도정보표시부(194)는 지도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되는 육상기준점,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기준점,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를 표시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지도정보표시부(194)는 지도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해저좌표계산부(160)에 의해 계산되는 해저좌표를 표시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의 측정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값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200)는 육상기준점설정부(210), 임의기준점설정부(220), 임의좌표측정부(230), 임의좌표저장부(240), 이동좌표측정부(250), 이동좌표출력부(260), 통신부(270), 해저좌표저장부(272), 좌표비교부(274) 및 이동방향표시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수중지형 측정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되거나,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하드웨어 모듈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200)를 해당 위치로부터 가까운 해안선에 인접한 육상의 특정지점에 위치시키는 경우,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해당 특정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값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 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당 특정지점의 해발을 함께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한다.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해양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해상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특정시점의 해당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즉, 해수면 위에서는 풍랑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정확한 수직 상방의 위치에 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특정시점의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임의좌표측정부(230)는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직선거리, 방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한다. 즉, 임의좌표측정부(230)는 육상기준점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의 위치와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 수평거리 등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한다.
임의좌표저장부(240)는 임의좌표측정부(230)에 의해 측정된 특정시점의 임의좌표를 저장한다.
이동좌표측정부(250)는 임의좌표저장부(24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육상기준점 A에 대하여 B의 위치에서 임의기준점이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100)를 해저로 이동시키게 되면 그 이동 과정에서 파랑이나 파압 등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좌표측정부(250)는 임의좌표저장부(24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이동좌표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이동좌표측정부(250)는 x, y, z의 3축 공간좌표에서의 자세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직선상의 이동방향 및 이동시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이동한 위치를 계산하는 가속도 센서,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측정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좌표측정부(250)의 이동좌표 측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좌표측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좌표출력부(260)는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출력한다. 이때, 이동좌표출력부(260)는 수중지형 측정장치(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문자, 이미지, 그래프 등으로 이동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통신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270)를 통해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외부의 통신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해저좌표저장부(272)는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해상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해저좌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한다. 즉, 해저좌표저장부(272)는 설계과정에서 기 설정된 목표위치에 대응하여,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며,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한다.
좌표비교부(274)는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해저좌표저장부(272)에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한다. 즉, 좌표비교부(27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200)를 가지고 해저지역의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위치까지의 이동좌표를 해저좌표저장부(272)에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한다.
이동방향표시부(276)는 좌표비교부(274)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한다. 즉, 이동방향표시부(276)는 좌표비교부(274)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목표위치까지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잘못된 위치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이동방향표시부(276)는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에 기초하여 목표위치까지 남아있는 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는 수중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설계된 지점으로부터 벗어나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즉시 보정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목표위치에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수중지형 측정장치(100)에 의해 수행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도정보저장부(192)는 지도정보를 저장한다(S102).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S104).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위치로부터 가까운 해안선에 인접한 육상의 특정지점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육상기준점설정부(110)는 해당 특정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값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한다(S106).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해양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해상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임의기준점설정부(120)는 특정시점의 해당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임의좌표측정부(13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한다(S108). 즉, 임의좌표측정부(130)는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의 위치와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거나, 육상고정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 각도 등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임의좌표저장부(17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특정시점의 임의좌표를 저장한다(S110).
목표위치설정부(140)는 해저면의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한다(S112). 이때, 목표위치설정부(140)는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해저면의 위치의 좌표값을 목표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지도정보표시부(194)는 육상기준점, 임의기준점 및 목표위치를 지도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표시한다(S114).
이동좌표측정부(180)는 임의좌표저장부(17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한다(S116).
이동좌표기록부(190)는 이동좌표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기록한다(S118). 이때, 이동좌표기록부(190)는 이동좌표측정부(180)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위치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에 기초하여 경로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의 측정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해저좌표측정부(150)는 임의기준점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한다(S120).
해저좌표계산부(16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 및 해저좌표측정부(150)에 의해 측정된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1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목표위치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한다(S122). 즉, 해저좌표계산부(160)는 임의좌표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임의좌표까지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 등의 측정값, 및 해저좌표측정부(150)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으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방법은 도 4에 나타낸 수중지형 측정장치(200)에 의해 수행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S202).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위치로부터 가까운 해안선에 인접한 육상의 특정지점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육상기준점설정부(210)는 해당 특정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값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한다(S204). 즉, 설계과정에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가 정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를 해당 해양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해상에 위치시키며, 이 경우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특정시점의 해당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즉, 해수면 위에서는 풍랑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정확한 수직 상방의 위치에 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임의기준점설정부(220)는 특정시점의 해상의 위치를 임의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임의좌표측정부(230)는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육상기준점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한다(S206). 즉, 임의좌표측정부(230)는 육상기준점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의 위치와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거나, 육상고정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 사이의 직선거리, 방향, 각도 등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임의좌표저장부(240)는 임의좌표측정부(230)에 의해 측정된 특정시점의 임의좌표를 저장한다(S208).
해저좌표저장부(272)는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설계과정에서 기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등을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산출하며(S210),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한다(S212). 즉, 설계과정에서 기 설정된 목표위치의 위치좌표는 알고 있으므로, 해저좌표저장부(272)는 임의기준점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을 기준으로 목표지점까지의 해저좌표를 산출하여 저장한다.
이동좌표측정부(250)는 임의좌표저장부(240)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한다(S214).
좌표비교부(274)는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해저좌표저장부(272)에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한다(S216). 이때, 이동방향표시부(276)는 좌표비교부(274)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한다(S218).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지형 측정장치(200)를 가지고 임의기준점설정부로부터 목표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방향표시부(276)는 사용자의 이동중에 목표위치까지의 방향, 남은 거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좌표출력부(260)는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출력한다(S220). 이때, 이동좌표출력부(260)는 수중지형 측정장치(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 이미지, 그래프 등으로 이동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70)가 외부의 통신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S220), 이동좌표출력부(260)가 통신부(270)를 통해 이동좌표측정부(250)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외부의 통신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S222).

Claims (14)

  1.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육상기준점설정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임의기준점설정부;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임의좌표측정부;
    해저면의 상기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목표위치설정부;
    상기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하는 해저좌표측정부; 및
    상기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 및 상기 해저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하는 해저좌표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임의좌표저장부;
    상기 임의좌표저장부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상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이동좌표측정부; 및
    상기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기록하는 이동좌표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저장부; 및
    상기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육상기준점, 상기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기준점, 및 상기 목표위치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를 상기 지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지도정보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표시부는,
    상기 지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지도정보에 상기 해저좌표계산부에 의해 계산되는 해저좌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5.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육상기준점설정부;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임의기준점설정부;
    설정된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임의좌표측정부;
    상기 임의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임의좌표저장부;
    상기 임의좌표저장부에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이동좌표측정부; 및
    상기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출력하는 이동좌표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좌표출력부는 상기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기준점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상기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산출하며,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하는 해저좌표저장부;
    상기 이동좌표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상기 해저좌표저장부에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하는 좌표비교부; 및
    상기 좌표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이동방향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장치.
  8.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해저면의 상기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를 목표위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임의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좌표 및 상기 해저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목표위치까지의 수평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상기 목표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주기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좌표를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육상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육상기준점, 상기 임의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기준점, 및 상기 목표위치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목표위치를 상기 지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지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지도정보에 상기 해저좌표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되는 해저좌표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12. 육상의 특정지점을 육상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임의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임의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준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 직선거리, 방향을 포함하는 임의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임의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임의좌표를 저장한 시점부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임의기준점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좌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되는 상기 이동좌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좌표 출력단계는 측정되는 상기 이동좌표를 상기 통신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기준점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임의기준점으로부터 상기 해양 구조물이 설치되는 목표위치까지의 직선거리, 방향, 해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저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해저좌표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해저좌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좌표 측정단계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좌표를 상기 해저좌표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해저좌표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형 측정방법.

KR1020140003945A 2013-01-22 2014-01-13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39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6879 2013-01-22
KR1020130006879 2013-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043B1 true KR101396043B1 (ko) 2014-05-15

Family

ID=5089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45A KR101396043B1 (ko) 2013-01-22 2014-01-13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043B1 (ko)
WO (1) WO2014115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7882A (zh) * 2021-05-12 2021-12-10 广州鸿海海洋专用设备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设备的大型鱼类驱赶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1447A (ja) * 1997-02-06 1998-08-21 Taisei Corp 水底の物体の位置の計測方法
JP2010190726A (ja) 2009-02-18 2010-09-02 Toa Harbor Works Co Ltd 水底地形測量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108122A (ja) 2010-10-28 2012-06-07 Univ Of Tokyo 海底音響映像システム
KR101164568B1 (ko) 2012-02-21 2012-07-11 (주)더모스트 수로정보 갱신을 위한 해저측량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920B2 (ja) * 1992-02-25 2000-01-24 古野電気株式会社 水中探知装置
JPH09257904A (ja) * 1996-03-22 1997-10-03 Kumagai Gumi Co Ltd モニター装置
JPH11304482A (ja) * 1998-04-17 1999-11-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水中位置計測装置
JP2002288226A (ja) * 2001-03-23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水中情報提供サーバ
KR20120086222A (ko) * 2011-01-25 2012-08-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해저의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수중 운동체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1447A (ja) * 1997-02-06 1998-08-21 Taisei Corp 水底の物体の位置の計測方法
JP2010190726A (ja) 2009-02-18 2010-09-02 Toa Harbor Works Co Ltd 水底地形測量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108122A (ja) 2010-10-28 2012-06-07 Univ Of Tokyo 海底音響映像システム
KR101164568B1 (ko) 2012-02-21 2012-07-11 (주)더모스트 수로정보 갱신을 위한 해저측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5993A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791B2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US10077983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EP2689263B1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 submersible vehicle within a body of water
CN105793725B (zh) 水下跟踪系统
US20150330804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JP2011149720A (ja) 測量システム
RU2437114C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подводных объектов
KR20130024077A (ko) 자율 무인 잠수정의 해저면 위치 보정 방법 및 자율 무인 잠수정의 위치 측정 장치
US20150160006A1 (en) Derivation of sea ice thickness using isostacy and upward looking sonar profiles
CN109425347A (zh) 一种半潜无人船的同时定位与地图构建方法
Specht et al. Determination of the Territorial Sea Baseline-Aspect of Using Unmanned Hydrographic Vessels.
KR102339500B1 (ko) 지형 및 수심 측량을 통하여 제작된 전자해도 기반 항로 추천 방법
JP6241995B2 (ja) 潜水士情報取得方法および潜水士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047960B1 (ko) 수중 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음향 센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6043B1 (ko) 수중지형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Tomczak Modern methods of underwater positioning applied in subsea mining
KR20150122446A (ko) 제트스키를 이용한 연안 해저지형 측량장치
KR101550855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6061B1 (ko) 경로 설정을 통한 다기능 무인 선박을 이용한 하천 관리 시스템
CN108828605A (zh) 水下定位装置及水下定位方法
RU110503U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дводной навигации для водолазов и подводный блок водолаза
RU248079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змеренных глубин звуковыми сигналами
KR101647753B1 (ko) 음파 탐지기 및 음파 탐지기의 움직임 보정 장치
WO20151949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control and correction of position data from navigation satellites in areas with obstructing objects
JP3197633U (ja) 水陸両用建設機械の施工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