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59B1 -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 Google Patents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59B1
KR102507659B1 KR1020220001289A KR20220001289A KR102507659B1 KR 102507659 B1 KR102507659 B1 KR 102507659B1 KR 1020220001289 A KR1020220001289 A KR 1020220001289A KR 20220001289 A KR20220001289 A KR 20220001289A KR 102507659 B1 KR102507659 B1 KR 10250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pillar
central pillar
fix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희
Original Assignee
박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희 filed Critical 박옥희
Priority to KR102022000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수면에 띄워서 그물이 들어있는 자기영역의 표시로 이동하는 배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깃발의 설치와 유실을 방지하고 배밑에 달라붙지 않고, 배밑에 들어가는 경우 쉽게 꺼내거나 제조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있도록 하는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심기둥이 관통하는 기둥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부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중심기둥과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되며, 상기 중심기둥의 하측으로 무게추를 추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하되;
상기 중심기둥은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부표를 관통해 부표의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하측에서 철근이나 벽돌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추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한 후 하측선단은 해수면의 바닥과 갯벌에 꽃아 고정하는 뾰족한 형태인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부표는 중앙에 원형의 기둥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외측으로 부표 고정로프가 위치하는 로프 안내 결합홈이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발포되고 기둥 삽입구멍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 원형의 판을 공급하고 원통형이 되게 형성한 시트를 가열로 열수축되어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기둥은 깃발의 상측에 전등이 설치되어 부표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와 연결되고 야간에 식별되도록 하며, 대나무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Buoy for fishing gear position display}
본 발명은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수면에 띄워서 그물이 들어있는 자기영역의 표시로 이동하는 배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깃발의 설치와 유실을 방지하고 배밑에 달라붙지 않고, 배밑에 들어가는 경우 쉽게 꺼내거나 제조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있도록 하는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부이 또는 부구라고도 하며, 물놀이가 가능한 바다, 강, 호수 등에서 수심을 알리기 위한 또는 위험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선박의 항로를 표시하거나 양식에 사용되는 각종 어구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표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표, 표시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부표와 결합한 신호 깃발, 부표와 추를 장착하는 기부 역할을 하는 깃대, 그리고 깃대와 해수면 아래의 어구를 연결하는 로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어구용 부표는 주지된 바와 같이 부표의 부력에 의해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깃발 등의 표시수단에 의해 로프로 연결된 해수면 밑에 설치된 각종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부표는 해수면 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풍랑이나 파동 의해 손상이 되기 쉽고, 부표와 깃대가 고정되지 않아 쉽게 분리되는 경우 부표로서의 표시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형의 부구에 대나무를 로프로 묶어서 고정하고 대나무의 하측에 구멍이 형성된 벽돌을 묶어서 고정해 사용하게 되므로 로프를 묶는 작업시간이 오래걸려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결점과, 선박의 항해 중 또는 어구를 이용한 어업활동시 선박의 밑으로 들어가게 되면 잘 꺼낼 수 없어 어구의 위치를 찾거나 찾는다 해도 꺼내는데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9-0006311호(2009. 06. 25. 공개)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162037호(2020. 09. 25. 등록) [문헌 3]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8100호(2011. 06. 22. 공개)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103808호(2012. 01. 0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깃발이 고정된 중심기둥이 부표를 관통해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부표의 이탈을 방지하며,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안정된 부력과 중심기둥을 직립되게 세워 표시가 용이하게 하며, 부표가 배밑으로 들어가더라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심기둥이 관통하는 기둥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부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표를 관통하는 중심기둥과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되며, 상기 중심기둥의 하측으로 무게추를 추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하되;
상기 중심기둥은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부표를 관통해 부표의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하측에서 철근이나 벽돌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추 고정로프로 묶어 고정한 후 하측선단은 해수면의 바닥과 갯벌에 꽃아 고정하는 뾰족한 형태인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부표는 중앙에 원형의 기둥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외측으로 부표 고정로프가 위치하는 로프 안내 결합홈이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발포되고 기둥 삽입구멍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 원형의 판을 공급하고 원통형이 되게 형성한 시트를 가열로 열수축되어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기둥은 깃발의 상측에 전등이 설치되어 부표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와 연결되고 야간에 식별되도록 하며, 대나무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깃발이 고정된 중심기둥이 부표를 관통해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결합으로 부표의 이탈을 방지하며,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된 부력과 중심기둥을 직립되게 세워 깃발의 표시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부표가 원형의 안정된 형태로 배밑으로 들어가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구의 영역표시와 어구를 이용한 작업이 신속하게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부표와 중심기둥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중심기둥이 결합된 부표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중심기둥이 결합된 부표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부표에 대한 기둥 삽입구멍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중심기둥에 무게추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부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표에 중심기둥을 관통 결합하고 하측으로 무게추를 달아 설치하는 어구 표시용 부표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과제해결 원리가 적용되는 다양한 어구 표시용 부구를 이용하는 구성과 방법을 포함하는 제품 등 여러 구성들과 반제품과 완제품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 적용의 경우 균등론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대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해 내경이 빈 중공상태로 이루어지는 중심기둥(11)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기둥(11)의 하측선단은 해수면의 바닥 또는 갯벌 등에 꽃아 고정할 수 있도록 뾰족한 형태가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중심기둥(11)의 상측에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색채 또는 글자 등을 넣어 자기영역을 표시하는 깃발(12)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기둥(11)은 부표(20)의 중앙을 관통해 부표 고정로프(25)를 사용하여 묶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중심기둥(11)의 상측에는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붉은색 또는 노랑색과 같이 다양한 색채 중 어느 하나의 색채를 갖는 전등(41)이 설치되어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표(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중심기둥(11)에는 한쪽 또는 양쪽으로 무게추(30)를 공급해 부표(20)의 부력을 조절하도록 추 고정로프(31)로 묶어 고정해 어구 표시용 부표(10)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표와 중심기둥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심기둥이 결합된 부표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심기둥이 결합된 부표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표에 대한 기둥 삽입구멍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부표(20)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부로워몰딩으로 성형하거나 EPP, EPS 중 어느 하나를 발포 성형하는 것이며, 중앙에 기둥 삽입구멍(21)이 형성되어 중심기둥(11)이 관통되도록 하고, 부표(20)의 외경은 사각형과 원형이 모두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20)의 세로방향에서 적어도 1곳 이상에 반원형의 로프 안내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중심기둥(11)과 상측 및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25)가 묶어 고정된 후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때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중심기둥(11)이 관통하는 기둥 삽입구멍(21)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둥 삽입구멍(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23)을 형성해 조립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20)의 어느 한 부분에는 배터리(40)가 설치되어 중심기둥(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등(41)과 도시하지 않은 전선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야간에 전등(41)이 점등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심기둥에 무게추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부표(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중심기둥(11)은 수십cm 내지 수미터에 이르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부표(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중심기둥(11)의 외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무게추(30)가 공급되어 중심기둥(11)과 무게추(30)가 추 고정로프(31)로 묶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30)는 통상적인 철근이나 벽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철근인 경우 2개, 벽돌인 경우 1개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표(20)는 부력을 장기간 유지하거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시트(50)를 외경에 융착해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20)를 합성수지를 압출해 일정한 두께의 시트(50)로 성형한 후 연신하여 원통형이 되도록 공급하게 되며, 부표(20)의 상측과 하측에 원형의 판을 공급하고 원통형이 되게 성형한 시트(50)를 공급해 가열로 열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일체형으로 감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어구 표시용 부표(10)는, 부표(20)의 중앙에 형성된 기둥 삽입구멍(21)에 중심기둥(11)을 관통시켜 부표(2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노출된 중심기둥(11)에 먼저 부표 고정로프(25)를 묶어 고정하고 부표(20)의 외측을 반바퀴 감싸도록 한 후 부표(20)의 하측으로 노출된 중심기둥(11)에 부표 고정로프(25)를 묶어 부표(20)의 외측을 반바퀴 감싸 부표(20)의 상측에서 중심기둥(11)에 묶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심기둥(11)에 묶은 부표 고정로프(25)는 부표(20)를 한바퀴 감싸 고정되도록 하며, 부표(20)를 감싸는 과정에서 외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로프 안내결합홈(22)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부표(2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부표(20)의 기둥 삽입구멍(21)을 중심기둥(11)이 관통된 상태이므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호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항상 일정한 부력이 제공되는 동시에 파도와 외력 또는 배와의 충돌에 의해 손상되거나 잠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표(20)는 외경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강하고 안정된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로프 안내결합홈(22)으로 부표 고정로프(25)가 결합되어 강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부표 고정로프(25)와 신속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 삽입구멍(21)에는 절개홈(23)이 형성되어 중심기둥(11)을 쉽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20)가 합성수지를 발포성형한 것이어서 쉽게 부식 및 변형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외경에 시트(50)를 코팅시키게 되는 경우 부표(20)와 코팅 시트(50)가 일체형으로 코팅 결합된 구조를 제공하게 되므로 부표(20)의 부력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심기둥(11)은 대나무와 같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합성수지를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측에 깃발(12)을 다양한 칼라로 설치하거나 글자 등을 삽입해 어구가 있는 위치 등의 자기영역표시가 가능하며, 중심기둥(11)의 가장 상측에 전등(41)을 설치해 부표(20)의 내부에 위치한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야간에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식별력을 향상시켜 배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정확한 영역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표(2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중심기둥(11)은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중심기둥(11)의 외측에 철근 또는 벽돌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30)를 공급해 추 고정로프(31)로 중심기둥(11)과 무게추(30)를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30)는 중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추 고정로프(31)를 사용해 안전하고 견고하며 신속하게 묶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어구 표시용 부표(10)는 부표(20)의 중앙에 중심기둥(11)을 꽃아 설치하므로 부표(20)의 유실염려가 없는 것이며, 착용이 용이하고 일손이 적게드는 장점과 부표(20)의 형상으로 인하여 배가 침범하는 경우와 어구를 작업하는 경우에도 배밑으로 진입하는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와 부력을 유지하며 떠올라 배밑으로 들어갔는 때 쉽게 꺼내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표의 중앙으로 중심기둥을 관통시켜 부표와 중심기둥을 결합하므로 부표의 유실을 방지하고 정확한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중심기둥의 하측으로 무게추를 고정하는 작업 등 제조과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일손이 절약되는 동시에 배밑으로 들어가더라도 쉽게 꺼내거나 빠져나오는 부력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어구 표시용 부표 11 : 중심기둥
12 : 깃발 20 : 부표
21 : 기둥 삽입구멍 23 : 절개홈
25 : 부표 고정로프 30 : 묵추
31 : 추 고정로프 40 : 배터리
41 : 전구 50 : 시트

Claims (5)

  1. 중심기둥(11)이 관통하는 기둥 삽입구멍(21)이 형성되는 부표(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표(20)를 관통하는 중심기둥(11)과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25)로 묶어 고정되며, 상기 중심기둥(11)의 하측으로 무게추(30)를 추 고정로프(31)로 묶어 고정하되;
    상기 중심기둥(11)은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부표(20)를 관통해 부표(20)의 상측과 하측에서 부표 고정로프(25)로 묶어 고정되고, 상기 부표(20)의 하측에서 철근이나 벽돌로 이루어지는 무게추(30)를 추 고정로프(31)로 묶어 고정한 후 하측선단은 해수면의 바닥과 갯벌에 꽃아 고정하는 뾰족한 형태인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부표(20)는 중앙에 원형의 기둥 삽입구멍(21)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외측으로 부표 고정로프(25)가 위치하는 로프 안내 결합홈(22)이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발포되고 기둥 삽입구멍(21)에 하나 이상의 절개홈(23)이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 원형의 판을 공급하고 원통형이 되게 형성한 시트(50)를 가열로 열수축되어 일체형으로 코팅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기둥(11)은 깃발(12)의 상측에 전등(41)이 설치되어 부표(2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40)와 연결되고 야간에 식별되도록 하며, 대나무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표시용 부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1289A 2022-01-05 2022-01-05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KR10250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9A KR102507659B1 (ko) 2022-01-05 2022-01-05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89A KR102507659B1 (ko) 2022-01-05 2022-01-05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659B1 true KR102507659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89A KR102507659B1 (ko) 2022-01-05 2022-01-05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65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748B1 (ko) * 1998-02-06 2000-06-15 김평길 엘이디 점멸부이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KR20090006311U (ko) 2007-12-21 2009-06-25 배문수 위험 표시 및 어구 위치 표시용 부표계
KR20110068100A (ko) 2009-12-15 2011-06-22 권인식 부표
KR101103808B1 (ko) 2009-02-25 2012-01-06 김홍열 바다양식장 부표
KR101173082B1 (ko) * 2011-11-24 2012-08-10 황규상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101634357B1 (ko) * 2015-11-30 2016-06-30 대한민국 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CN208739934U (zh) * 2018-09-07 2019-04-16 惠州爱渔人渔具有限公司 一种渔网浮子
KR200491793Y1 (ko) * 2019-05-13 2020-06-04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부표
KR102162037B1 (ko) 2019-09-17 2020-10-06 백명철 내구성이 향상된 부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748B1 (ko) * 1998-02-06 2000-06-15 김평길 엘이디 점멸부이
KR100848032B1 (ko) * 2007-09-05 2008-07-23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관측용 부이
KR20090006311U (ko) 2007-12-21 2009-06-25 배문수 위험 표시 및 어구 위치 표시용 부표계
KR101103808B1 (ko) 2009-02-25 2012-01-06 김홍열 바다양식장 부표
KR20110068100A (ko) 2009-12-15 2011-06-22 권인식 부표
KR101173082B1 (ko) * 2011-11-24 2012-08-10 황규상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101634357B1 (ko) * 2015-11-30 2016-06-30 대한민국 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CN208739934U (zh) * 2018-09-07 2019-04-16 惠州爱渔人渔具有限公司 一种渔网浮子
KR200491793Y1 (ko) * 2019-05-13 2020-06-04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부표
KR102162037B1 (ko) 2019-09-17 2020-10-06 백명철 내구성이 향상된 부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samcheokcityhall/222595154659(2021.12.14.)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507B1 (ko) 항로표지용 등부표
KR102507659B1 (ko) 어구 위치표시용 부표
KR101173082B1 (ko)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100833714B1 (ko) 해역 경계 표시 마크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JP6956425B2 (ja) 自動離脱式危険表示浮標
KR101256083B1 (ko) 로프의 야간 식별 표시기구
WO2005070755A1 (ja) ブイ
US9126660B2 (en) Multi-directional signal assembly
CN204568000U (zh) 一种气囊助力回收锚
CN2787566Y (zh) 落水集装箱示位标
CN212580085U (zh) 自稳式深水航标
KR20090006311U (ko) 위험 표시 및 어구 위치 표시용 부표계
KR200348390Y1 (ko) 부표 설치용 부자
KR19980067833A (ko)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CN209889060U (zh) 一种示位浮标
KR200203670Y1 (ko) 해태(김)양식망용 지지대
CN216034936U (zh) 一种防漂浮物缠绕的水滴形浮标
CN104494781A (zh) 组合式救生艇
KR20090007245U (ko) 수난 안전용 부표장치
JPS58211987A (ja) 浮標
CN215114732U (zh) 一种水利水电用水位标杆
KR101751240B1 (ko) 부양력을 증가시킨 친환경 부구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부구
CN204452788U (zh) 组合式救生艇
CN204021219U (zh) 充气结构帆板和风帆的连接装置
CN220243475U (zh) 一种水域用钢链浮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