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55B1 -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 Google Patents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55B1
KR102485655B1 KR1020220114773A KR20220114773A KR102485655B1 KR 102485655 B1 KR102485655 B1 KR 102485655B1 KR 1020220114773 A KR1020220114773 A KR 1020220114773A KR 20220114773 A KR20220114773 A KR 20220114773A KR 102485655 B1 KR102485655 B1 KR 10248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coupled
links
marin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완
조병현
진성현
Original Assignee
(주)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1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환경 및 기상 등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또는 관측하는 각종 관측장비나 등(light)과 같은 항로 표지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浮遊) 가능한 하부표체와, 상기 하부표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 관측장비나 항로 표지장비가 설치되는 상부표체를 각각 복수 개로 모듈화하여 조립가능하게 분할 생산하고, 모듈화된 표체들을 분리된 상태로 육상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 장소(항만 등)로 이송한 후 설치 장소에서 조립 설치하여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ASSEMBLING TYPE FLOATING BUOY FOR MAK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양 환경 및 기상 등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또는 관측하는 각종 관측장비나 등(light)과 같은 항로 표지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浮遊) 가능한 하부표체와, 상기 하부표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 관측장비나 항로 표지장비가 설치되는 상부표체를 각각 복수 개로 모듈화하여 조립가능하게 분할 생산하고, 모듈화된 표체들을 분리된 상태로 육상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 장소(항만 등)로 이송한 후 설치 장소에서 조립 설치하여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buoy)는 해양의 해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서, 사용 용도에 따라 항로 표지용 부이와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로 구분할 수 있다.
항로 표지용 부위는 등(light)과 같은 항로 표지장비가 설치되어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 등과 같은 위험물의 존재를 선박에게 경고하여 안전한 항해를 유도한다.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는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습도, 파고, 파주기, 파향, 수온 등과 같은 해양 환경에 관련한 정보를 측정한 후 원격통신을 통해 수시로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해양 기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88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08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17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778호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되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종래의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는 부유(浮遊)가 가능한 하부표체와, 상기 하부표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의 해수면에서 부유하고 각종 해양 관측장비, 송수신 장비, 등주, 발전기(태양광/풍력 발전기 등), 배터리 및 그 함체, 제어반, 기타 권양기 및 그 지지대 등이 설치되는 상부표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는 아래와 같은 해결 과제를 내포한다.
첫째, 종래의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는 비교적 크기가 큰 하부표체와 상부표체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이로 인해 해양 기상 관층용 부이를 생산 공장에서 제조한 후 육로를 통해 설치 장소인 항만으로 이송(운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의 육상 이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 장소에 근접한 항만 근처에서 생산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항만 근처에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생산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 때문에 원거리에서 생산 제조한 후 육상을 통해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이송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종래의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는 파랑(波浪)에 의해 정확한 관측 및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각종 해양 관측장비나 제어반 등은 상부표체에 고정설치된다. 이 때문에 파랑에 의해 하부표체가 요동할 경우 상부표체에 고정 설치된 각종 해양 관측장비나 제어반 등이 함께 요동하여 정확한 관측이 어렵고, 제어신호의 안정적인 송수신이 어려워 신뢰성을 갖는 해양 기상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KR 10-0958870 B1, 2010. 05. 12. KR 10-2090876 B1, 2020. 03. 12. KR 10-2121761 B1, 2020. 06. 05. KR 10-1717778 B1, 2017. 03. 13.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첫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표체와 하부표체를 각각 육로를 통해 설치 장소(항만 등)로 이송이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랑에 의한 하부표체의 유동이 상부표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 하부표체의 유동에 의한 해양 기상 정보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이 단독 또는 이들이 결합된 것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될 수 있고, 또한 이들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 예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부유(浮遊)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표체;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은 상기 하부표체에 각각 일대일로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해양 환경 및 기상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또는 관측하는 장비들이 설치된 상부표체; 복수 개로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하부표체에 각각 마련된 중공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부표체를 상기 상부표체에 체결 고정하는 고정축;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에 각각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된 무게추를 포함하는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표체는 상기 하부표체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분할된 하판과 상판이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볼트를 매개로 서로 체결 고정되기 위해 서로 대면하는 단부에 'ㄱ' 또는 '역 ㄱ'자 형태의 플랜지가 설치되거나, 단부가 'ㄱ'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를 통해 서로 체결 고정되는 분할된 하판의 플랜지 사이 또는 분할된 하판의 단부 사이에는 완충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하판은 서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둘레 형상이 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할된 하판의 내측에는 골격으로 자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복수 개의 보강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서로 접면하는 단부에 상호 암수 결합되도록 키홈과 정렬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의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링크;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의 상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를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중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링크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에 설치된 제1 브라켓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고정축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는 각각 양단부가 상기 하부표체의 중공에 관통 결합된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관체의 측부에 설치된 제2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고정축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간링크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에 각각 설치된 제3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와 상기 복수 개의 하부링크를 상하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각각 상기 결합관체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에는 완충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외륜과,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관체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이 마련된 내륜과,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 사이에 개재된 완충 스프링과, 상기 완충 스프링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상부표체가 하부표체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일체형 구조에 비해 부피를 현저하게 줄여 육상 이송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하부표체와 상부표체가 각각 복수 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분할된 하부표체 및/또는 상부표체 중 부분 파손시 파손된 분할 표체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분할된 하부표체가 부유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레인이나 바지선 등과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인선 만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의 이동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부표체가 연결링크(14)를 통해 조립식(착탈 가능)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부표체 또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이 가능함으로써 이송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분할된 상부표체의 하판의 단부에 키홈과 정렬키를 형성함으로써 상부표체의 하판 조립시 보다 간편하게 분할된 하판을 조립할 수 있어 설치 조립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에 따르면, 하부표체를 고정하는 고정축이 결합되는 하판의 결합홀 내부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파랑 등에 의해 하부표체가 유동하더라도 하부표체의 유동이 상부표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하부표체의 유동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나타낸 조립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인양고리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하판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2는 분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는 부유(浮遊)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표체(11)와,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의 하부표체(11)가 일대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상부표체(12)를 포함한다.
하부표체(11)는 물에 뜨는 부력체로서, 하부표체(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분할된 상부표체(12)에 각각 하나씩 고정 설치되어 상부표체(12)를 해양의 해수면에 부유시킨다. 이러한 하부표체(1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3개가 구비되고, 각각은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일례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의 크기에 따라 구조 및 개수는 변동될 수 있다.
상부표체(12)는 하부표체(11)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상부표체(12)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3개로 분할될 수 있다. 3개로 분할된 파트(part)는 각각 일대일로 한 개의 하부표체(11)가 고정 설치되고, 각각 고정 설치된 해당 하부표체(11)의 부력에 의해 해양의 해수면에 부유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표체(12)는 각각 복수 개로 분할된 하판(121)과 상판(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판(121)과 상판(122)은 도 2와 같이, 하부표체(11)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분할된다. 이때 분할된 하판(121)과 상판(122)은 각각 균등한 크기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하판(121)과 상판(122)은 각각 볼팅 체결을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판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3개로 분할된 하판(121)은 볼트(b)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판(121)에는 서로 대면하는 단부에 'ㄱ' 또는 '역 ㄱ'자 형태의 플랜지(121a)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하판(121)의 서로 대면하고 볼팅 체결되는 단부가 'ㄱ'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될 수도 있다('A' 확대도 참조).
3개로 분할된 각각의 하판(121)은 도 4와 같이, 볼트(b)를 통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 형상(둘레 형상)이 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에는 골격으로 자체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상판(1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보강대(121c)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5와 같이, 3개로 분할된 상판(122)은 하판(121)의 상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가령, 상판(122)은 하판(12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3개로 분할된 상판(122)은 측방향으로 서로 체결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3개로 분할된 상판(122)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판(122)은 하판(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22)에는 해양 기상 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하기 위한 관측장비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등주(1), 피뢰침대(2), 태양광 패널 및 그 지지대(3), 배터리 함체(4), 제어반(5), 권양기 및 지지대(6)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22)의 일측에는 상판(122)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홀(122a)이 형성되어 있고, 인양홀(122a)에는 인양고리(7)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인양고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인양고리(7)는 인양홀(1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고리홀(7a)이 형성된 상부가 인양홀(122a)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판(122)에는 상면 둘레를 따라 난간대(122b)가 설치된다. 이때, 난간대(122b)는 금속재 관 또는 봉을 격자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난간대(122b)는 3개로 분할된 상판(122)을 상호 조립할 때 인접하게 조립되는 것끼리 암수 결합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금속재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표체(11)에는 도 2와 같이, 각각 중공(11a)이 마련되어 있고, 중공(11a)에는 고정축(13)이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하부표체(11)를 각각 인양하기 위한 인양고리(11b)가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된다. 가령,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3)은 각각의 하부표체(11)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기 위해 총 3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축(13)은 상부 일부가 하부표체(11)의 중공(11a)에 삽입된다.
3개의 고정축(13)은 연결링크(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링크(14)는 각각의 하부표체(11)를 분리할 수 있도록 3개의 고정축(13)에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링크(14)는 일례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3개의 고정축(13)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링크(141)와, 3개의 고정축(13)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링크(142)와, 하부링크(141)와 상부링크(142)를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중간링크(143)를 포함한다.
하부링크(141)는 도 2와 같이, 3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하부링크(141)는 이웃하게 설치된 2개의 고정축(13)을 서로 연결한다. 각각의 고정축(13)에는 하부링크(141)의 양단부가 연결되도록 2개의 제1 브라켓(141a)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하부링크(141)의 양단부는 힌지핀(141b)을 통해 제1 브라켓(141a)에 결합된다.
상부링크(142) 또한 3개가 구비된다. 상부링크(142)는 양단부가 제2 브라켓(142a)을 매개로 결합관체(142b)에 연결된다. 결합관체(142b)는 3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결합관체(142b)에는 2개의 제2 브라켓(142a)이 설치되어 2개의 상부링크(142)는 각각 힌지핀(142c)을 매개로 제2 브라켓(14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관체(142b)는 하부표체(11)의 중공(11a)에 결합된 고정축(13)에 결합된다. 결합관체(142b)는 하단부가 하부표체(11)의 중공(11a)의 상측에서 중공(11a)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표체(11)의 중공(11a)으로 삽입된 고정축(1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는 하판(121)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21d)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21d)가 없는 경우에는 직접 결합홀(121b)에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중간링크(143)는 도 2와 같이, 하부링크(141)와 상부링크(142)와 마찬가지로 3개가 구비되어 하부링크(141)와 상부링크(142)를 상하로 연결한다. 중간링크(143)는 각각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링크(141)와 상부링크(142)를 사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중간링크(143)는 일단부가 제1 브라켓(141a)에 결합된 힌지핀(141c)을 통해 하부링크(1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3 브라켓(143a)에 결합된 힌지핀(143b)을 통해 상부링크(1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3개의 고정축(13)은 각각 해류에 의해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가 이동하거나 떠내려가지 않도록 연결체인(15)을 매개로 무게추(16)가 연결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부표체(12)에는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8)가 와이어(8a)를 통해 연결 설치되고, 또한, 일측에는 관리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9)가 설치될 수 있다. ADCP(8)는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중에 발사된 음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과 유량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하판(121')은 보강대(121a')가 도 4에 나타낸 일 예에 따른 하판(121)에 비해 더욱 촘촘하게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221)은 분할된 하판의 플랜지(또는, 절곡부)(221a) 사이에 서로 접면하는 하판 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완충재(221b)가 추가 설치된다. 이때, 완충재(221b)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321)은 상호 조립할 때, 간편하게 조립시키기 위해 서로 대응하도록 키홈(321a)과 정렬키(돌부)(321b)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3개의 하판(321) 중 상호 대면하여 볼트(b)를 통해 체결 고정되는 2개의 하판들 중 어느 하나에는 키홈(321a)이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정렬키(321b)가 형성된다. 이때, 키홈(321a)과 정렬키(321b)는 서로 접합되는 하판의 단부 중 어느 일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분할된 하판(321)을 조립할 때 상호 암수 결합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분할된 3개의 상판(122)에는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비들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내부에 배선 및/또는 케이블이 매립될 수 있고, 서로 접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배선 및/또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는 서로 접면하는 상판(122)의 단부에 설치되어 분할된 상판(122)의 조립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어 전원, 제어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간편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하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하판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하판(421)의 결합홀에는 파랑(波浪) 등에 기인하여 고정축(13)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유동을 완충하는 완충부재(17)가 삽입 설치된다.
완충부재(17)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외륜(171)과,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완충재로 이루어진 내륜(173)과, 외륜(171)과 내륜(173) 사이에 개재된 완충 스프링(172)을 포함한다. 그리고, 완충 스프링(172)을 밀봉하는 밀봉재(171)를 포함한다.
고정축(13)에 결합된 결합관체(142b)의 상부 일부가 내륜(176)의 중공(173a)에 긴밀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관체(142b) 또는 결합관체(142b)가 연결된 상부링크(142)의 다른 부위는 하판(421)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17)는 해풍이나 태풍 등으로 인한 파랑에 의해 고정축(13)이 유동을 완충하여 흡수한다.
따라서, 하판(421)으로 전달되는 고정축(13)의 유동을 최소화하거나 원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표체(12)에 고정 설치된 각종 해양 관측장비나 제어반 등이 함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갖는 해양 기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는 하부표체(11)와 상부표체(12)가 각각 3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일체형 구조에 비해 부피를 현저하게 줄여 육상 이송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는 하부표체(11)와 상부표체(12)가 각각 3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부표체(11)와 상부표체(12) 중 일부 파손시 파손된 표체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는 하부표체(11)가 부유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레인이나 바지선 등과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예인선 만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의 이동이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10)는 복수 개의 하부표체(11)가 연결링크(14)를 통해 조립식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부표체(11) 또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이송이 가능함으로써 이송 설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등주 2 : 피뢰침대
3 : 태양광 패널 및 그 지지대 4 : 배터리 함체
5 : 제어반 6 : 권양기 및 지지대
7 : 인양고리 7a : 고리홀
8 : ADCP 8a : 와이어
9 : 사다리 17 : 완충부재
10 :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11 : 하부표체 11a : 중공
11b : 인양고리 12 : 상부표체
13 : 고정축 14 : 연결링크
15 : 연결체인 16 : 무게추
121, 121‘, 221, 321 : 하판 121a, 221a : 플랜지
121b : 결합홀 121c, 121a' : 보강대
121d : 연결부 122 : 상판
122a : 인양홀 122b : 난간대
141 : 하부링크 141a : 제1 브라켓
141b, 141c : 힌지핀 142 : 상부링크
142a : 제2 브라켓 142b : 결합관체
142c : 힌지핀 143 : 중간링크
143a : 제3 브라켓 143b : 힌지핀
221b : 완충재 321a : 키홈
321b : 정렬키(돌부) b : 볼트
171 : 외륜 172 : 완충 스프링
173 : 내륜 174 : 밀봉재

Claims (8)

  1. 부유(浮遊) 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표체;
    복수 개로 분할되고, 각각은 상기 하부표체에 각각 일대일로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해양 환경 및 기상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 또는 관측하는 장비들이 설치된 상부표체;
    복수 개로 설치되고,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하부표체에 각각 마련된 중공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하부표체를 상기 상부표체에 체결 고정하는 고정축;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에 각각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된 무게추;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표체는 상기 하부표체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분할된 하판과 상판이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볼트를 매개로 서로 체결 고정되기 위해 서로 대면하는 단부에 'ㄱ' 또는 '역 ㄱ'자 형태의 플랜지가 설치되거나, 단부가 'ㄱ'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를 통해 서로 체결 고정되는 분할된 하판의 플랜지 사이 또는 분할된 하판의 단부 사이에는 완충재가 설치된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하판은 서로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둘레 형상이 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할된 하판의 내측에는 골격으로 자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복수 개의 보강대가 형성된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서로 접면하는 단부에 상호 암수 결합되도록 키홈과 정렬키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의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링크;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의 상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를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중간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하부링크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에 설치된 제1 브라켓에 힌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고정축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는 각각 양단부가 상기 하부표체의 중공에 관통 결합된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관체의 측부에 설치된 제2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고정축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간링크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에 각각 설치된 제3 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상부링크와 상기 복수 개의 하부링크를 상하로 서로 연결하는,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하판에는 각각 상기 결합관체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에는 완충부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외륜과,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관체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이 마련된 내륜과,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 사이에 개재된 완충 스프링과, 상기 완충 스프링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0220114773A 2022-09-13 2022-09-13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485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73A KR102485655B1 (ko) 2022-09-13 2022-09-13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73A KR102485655B1 (ko) 2022-09-13 2022-09-13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655B1 true KR102485655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73A KR102485655B1 (ko) 2022-09-13 2022-09-13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5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988A (ja) * 1997-03-04 1998-09-14 Barnes:Kk 浮 標
KR100958870B1 (ko) 2008-01-28 2010-05-20 태양기계(주)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544174B1 (ko) * 2015-06-09 2015-08-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플라스틱 부표
KR101717778B1 (ko) 2016-03-25 2017-03-17 (주)씨텍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KR20190078878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항로 표시용 등부표
KR102090876B1 (ko) 2018-10-16 2020-03-18 (주)젠 해양관측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761B1 (ko) 2018-11-05 2020-06-11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55360B1 (ko) * 2020-07-31 2020-09-11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폰툰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4988A (ja) * 1997-03-04 1998-09-14 Barnes:Kk 浮 標
KR100958870B1 (ko) 2008-01-28 2010-05-20 태양기계(주)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544174B1 (ko) * 2015-06-09 2015-08-12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플라스틱 부표
KR101717778B1 (ko) 2016-03-25 2017-03-17 (주)씨텍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KR20190078878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항로 표시용 등부표
KR102090876B1 (ko) 2018-10-16 2020-03-18 (주)젠 해양관측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761B1 (ko) 2018-11-05 2020-06-11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55360B1 (ko) * 2020-07-31 2020-09-11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수질측정용 폰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293B1 (ko) 다목적 부이
EP1366290B1 (en) Offshore floating wind power generation plant
EP3945164B1 (en) Underwater traffic tunnel
KR20120102684A (ko) 부유 에너지 생산 플랜트
KR101211491B1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65918B1 (ko) 김양식용 간답대 연결구조물
KR102311739B1 (ko) 파랑에 강한 해양관측부이의 구조
JP2016148324A (ja) 洋上風力発電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CN205770043U (zh) 一种漂浮式水上光伏阵列的锚固系统及光伏电站
CN114670977A (zh) 一种海上光伏漂浮式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85655B1 (ko)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GB2443697A (en) Floating water wheel with buoyant blades
KR10231013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CN112081065A (zh) 一种网箱填充式浮式防波堤
CN111976897A (zh) 浮标基海洋观测系统
CN218368212U (zh) 一种抗风浪悬索式漂浮光伏系统
CN113922318B (zh) 一种海洋工程建筑用电缆安装装置
CN115243970A (zh) 浮体构造物及海上设施
US20110094428A1 (en) Seaborne transportation of wind turbine blades
JPH06212606A (ja) 浮桟橋および水上浮構造物の係留柱
WO2024037270A1 (zh) 一种抗浪型水体环境中使用的光伏浮体及安装方法
CN211080126U (zh) 一种趸船系留和连岸组合结构
CN110816765A (zh) 一种用于种植的海上浮台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CN212738441U (zh) 浮标基海洋观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