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61B1 -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Google Patents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761B1 KR102121761B1 KR1020180134339A KR20180134339A KR102121761B1 KR 102121761 B1 KR102121761 B1 KR 102121761B1 KR 1020180134339 A KR1020180134339 A KR 1020180134339A KR 20180134339 A KR20180134339 A KR 20180134339A KR 102121761 B1 KR102121761 B1 KR 102121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buoy
- wavelength
- barnac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하고, 부이로부터 해저에 길게 연장되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빛을 외부로 방사하여 부이의 위치를 알리는 랜턴부,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1 헐부, 제1 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2 헐부, 및 일단이 제2 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무게 추, 및 닻에 고정되는 복수의 케이블부를 포함하며, 400 ~ 460nm 사이의 파장을 바다에 조사함으로써 따개비가 부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하고, 부이로부터 해저에 길게 연장되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해상 기상 관측용 계류 부이는 해상에 계류중이기 때문에 따개비의 부착이 심했으며, 이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기상 등 여러가지 사정에 의해 해상의 날씨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계류 부이가 심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닻, 무게 추 및 관측 센서를 부이와 결합하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서로 꼬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양 미생물인 따개비 등이 부이에 부착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부이에 부착되는 각종 장비(관측센서, 닻, 무게 추 등)를 고정하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을 외부로 방사하여 부이의 위치를 알리는 랜턴부,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1 헐부, 제1 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2 헐부, 및 일단이 제2 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무게 추, 및 닻에 고정되는 복수의 케이블부를 포함하며, 400 ~ 460nm 사이의 파장을 바다에 조사함으로써 따개비가 부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헐부는 제1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도록 제1 헐부의 몸체 둘레면의 제1 지점에 구비 배치되는 제1 파장 조사부, 및 제2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도록 제2 헐부의 몸체 둘레면의 제2 지점에 구비 배치되는 제2 파장 조사부를 포함하며, 제1,2 파장 조사부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빛을 조사범위를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제1 헐부는 제1,2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는 제1,2 파장 조사부, 진동 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칼모듈린 억제제가 살포되는 칼모듈린 캡슐부를 구비하며, 제1 헐부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소정 폭을 가지면서 삽입 배치되는 따개비 부착 억제 모듈부를 포함한다. 따개비 부착 억제 모듈부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파장 조사부(엘이디), 진동 발생부, 칼모듈린 억제 캡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헐부는, 제2 헐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며, 제3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3 파장 조사부, 제3 파장 조사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는 진동 발생부, 및 진동 발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며,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하는 칼모듈린이 억제제가 살포되는 칼모듈린 캡슐부를 포함하며, 제1,2,3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고, 진동을 발생시키며, 칼모듈린 억제제를 해수에 살포함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한다.
또한, 제3 파장 조사부는 제2 헐부의 상측 영역에 둘레방향으로 배치되고, 진동 발생부, 및 칼모듈린 캡슐부는 제3 파장 조사부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며, 진동 발생부의 진동에 의해 칼모듈린 캡슐부의 칼모듈린 억제제가 살포된다.
또한, 제1 헐부의 상측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 레일부, 제2 헐부의 하측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 레일부, 및 제1,2 레일부와 결합 연동되어 조류에 의한 부이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칼모듈린 억제제가 포함된 칼모듈린 캡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헐부의 하부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외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와 결합되며 제2 헐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속 안착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헐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헐 분리부에 의해 제1 헐부와 제2 헐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물리적 분리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제2 헐부가 상대적으로 제1 헐부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자체 회전한다.
또한, 제1 헐부의 하부면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어 제4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4 파장 조사부, 및 제2 헐부의 하부면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어 제5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5 파장 조사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하고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에 설치된 제1 헐부에 배치된 파장 조사부, 진동 발생부, 칼모듈린 억제 캡슐부를 포함하는 따개비 억제 모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에 설치된 칼모듈린 억제 캡슐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헐부와 제2 헐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헐 분리부 및 파장 조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헐부와 제2 헐부의 분리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제2 헐부가 제1 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측 센서부를 고정하는 케이블부를 닻(또는 무게 추)을 고정하는 케이블부로부터 멀리 이격시킴으로써 케이블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에 설치된 제1 헐부에 배치된 파장 조사부, 진동 발생부, 칼모듈린 억제 캡슐부를 포함하는 따개비 억제 모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에 설치된 칼모듈린 억제 캡슐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헐부와 제2 헐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헐 분리부 및 파장 조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헐부와 제2 헐부의 분리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제2 헐부가 제1 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측 센서부를 고정하는 케이블부를 닻(또는 무게 추)을 고정하는 케이블부로부터 멀리 이격시킴으로써 케이블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10, 이하 부이라 함)는 해상에서 수온, 파고, 기압 등 해상 정보를 관측하여 관측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10)는 닻으로 고정되는 계류 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10)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이(10)는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랜턴부(100)가 상층부에 구비 설치된다. 랜턴부(100)는 빛을 방출하여 자신의 위치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항해하는 선박과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 설정된 비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즉, 항해하는 선박이나 비행기가 부이(10)를 찾기 위해 주변해역을 운항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대역의 비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쉽게 부이(10)를 찾을 수 있다. 이때, 부이(10)는 선박이나 비행기에 자신의 지피에스 좌표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부이(10)는 필요에 따라 비콘 신호 송신부 및 지피에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랜턴부(100)의 하부에는 헐부(200)가 배치된다. 헐부(200)의 일부는 해수면 위에 있고 나머지 일부는 해수면 아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 위에 있는 헐부를 제1 헐부(210)라 하고, 해수면 아래에 있는 헐부를 제2 헐부(220)라 한다. 다만, 제1,2 헐부(210,220)의 분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하였을 뿐 제1 헐부(210)도 상황에 따라 바다에 잠길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제2 헐부(220)도 상황에 따라 해수면 위에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헐부(210,220)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헐부(220)는 해수(또는 바닷물)에 잠기거나 둘레 표면이 해수와 접촉되기 때문에 해양 미생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따개비 등이 표면에 부착 성장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헐부(220)의 하부면에는 케이블부(300)가 고정된다. 제1 케이블부(310)는 해저면에 있는 닻(11)을 부이(10)와 고정시키며, 제2 케이블부(320)는 무게 추(400)를 부이(10)로부터 고정시키며, 제3 케이블부(330)는 해상 기상을 측정하는 관측 센서부(12)를 부이(10)로부터 고정시킨다. 제1,2,3 케이블부(310,320,330)는 부이(10)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또는 제2 케이블부(320)의 일 지점으로부터 제1,3 케이블부(310,330)가 분기 고정된다. 이때, 부이(10)가 닻(11)에 의해 계류중이어도 부이(10)는 해상 환경(조류가 세거나 태풍 등이 기상이 나빠지는 경우)에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로 거리가 가까운 각각의 케이블(310,320,330)은 부이(10)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하기로 한다. 관측 센서부(12)는 음파를 출력하고, 분석함으로써 염분밀도, 수온 등 해상 기상 및 환경을 계측한다.
따개비 등 해양 미생물이 부이(10)에 부착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헐부(210)의 둘레방향에는 제1,2 파장 조사부(211,212)가 배치 고정된다. 제1,2 파장 조사부(211,212)는 400 ~ 460nm의 파장을 수직 하방으로 조사한다. 도 2에는 제1,2 파장 조사부(211,212)만 도시되어 있으나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장 조사부가 제1 헐부(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더 설치될 수 있다. 400 ~ 460nm의 파장을 수직 하방의 바다에 조사하는 경우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파장 조사부(211)와 제2 파장 조사부(212)의 파장을 400 ~ 460nm의 파장 범위내에서 서로 달리하여 조사함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파장 조사 지속시간은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산 비축된 전력량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파장 조사 지속시간은 대략 5분 이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간헐적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즉, 제1 파장 조사부(211)의 파장이 조사될 때 제2 파장 조사부(212)는 OFF, 이와 반대로 제2 파장 조사부(212)의 파장이 조사될 때 제1 파장 조사부(211)는 OFF 이다. 또는 제1,2 파장 조사부(211,212)의 파장이 동시에 조사되고 동시에 OFF 될 수 있다.
제1,2 파장 조사부(211,2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헐부(210)의 일지점에서 수평방향(또는 제1 헐부의 둘레방향)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구비 설치된다. 제1,2 파장 조사부(211,212)가 구비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스윙함으로써 더 많은 영역을 수직 하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1,2 파장 조사부(211,212)가 구비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스윙함으로써 해수면으로부터의 조사 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제1,2 파장 조사부(211,212)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움직임은 해수의 움직임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동력이 필요치 않다. 다만, 동력이 필요한 경우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해 생성된 자체 에너지에 의해 모터 등을 구비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적절하게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2 파장 조사부(211,212)에 의해 조사되는 따개비 부착 억제 파장은 해수면의 수직 하방에 부이를 중심으로 360도 전체 영역에 걸쳐 조사됨으로써 따개비가 제1 헐부(210)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헐부(220)에도 따개비가 부착되지 못하도록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헐부(220)에는 추가적으로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가 더 구비되며, 제1,2,3 파장 조사부(211,212,221)의 연동과,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에 의해 확실하게 따개비가 제1,2 헐부(210,220)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헐부(210)의 대부분 영역은 해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며, 이에 따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헐부(210)는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223)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223)는 제2 헐부(2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223)의 배치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 칼모듈린 캡슐부(223) 순으로 각각의 모듈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각의 모듈부(221,222,223)에 파장 조사부, 진동 발생부, 칼모듈린 캡슐부를 한 세트로 묶어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진동 발생부 및 칼모듈린 캡슐부를 한 세트로 묶어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제1 모듈이라 함), 제1 모듈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제3 파장 조사부를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배치시킬 수 있다(제2 모듈이라 함). 제2 헐부의 내측에 구비된 진동 발생부의 진동에 의해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될 뿐만아니라 진동 발생부와 칼모듈린 캡슐부를 한 세트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진동 발생부의 진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칼모듈린 억제제가 살포되도록 이중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제1,2 모듈을 상하 간격을 두고 각각 둘레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제2 헐부(220)의 전체 영역에 다양한 효과를 줌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훨씬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예에서 제3 파장 조사부(221)는 일예로서 엘이디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엘이디의 방열을 위해 방열부가 해수면과 근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방열을 효율적으로 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3 파장 조사부(221)의 어느 한 모듈이 방열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제3 파장 조사부(221), 진동 발생부(222)는 모두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모듈린 캡슐부(223)는 Amitriptyline, Chlorpromazine, Imipramine, Promethazine 등을 함유하는 캡슐로서 해수 중에 서서히 살포되도록 함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2,3 파장 조사부(211,212,221)는 서로 파장을 달리하여 조사됨으로써 최적의 부착 억제 효율을 거둘 수 있다. 또한, 조사 조도는 67.78W/㎡ 이상, 파장 분광 방사 조도는 62.9282μW㎝-2㎚-1 이상, 조사 시간은 5분 이상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3 파장 조사부(211,212,221)의 조사는 간헐적으로 제어부에 의해 조사되는 것이 에너지 절약을 위해 효율적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헐부(210)와 제2 헐부(220)를 서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제1 헐부(210)의 바닥 하부면과 제2 헐부(220)의 상부면에 따개비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파장 조사부(214)와 제5 파장 조사부(224)를 각각 제1 헐부(210) 및 제2 헐부(220)에 구비시켜 따개비 부착 억제 파장을 조사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4,5 파장 조사부(214,224)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진동 발생부와 칼모듈인 억제 캡슐부를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세트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모듈부(214)와 제2 모듈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 파장 조사부(211)는 제1 헐부(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면서 씌움 고정된다. 제1 파장 조사부(211)에는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파장을 방출하는 엘이디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 칼모듈린 캡슐부를 한 쌍으로 포함할 수 있다. 칼모듈인 억제제가 서서히 해상에 살포됨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칼모듈린 캡슐부(233)는 제1 헐부(210)에 구비된 제1 레일부(231)와 제2 헐부(220)에 구비된 제2 레일부(232)를 따라 움직인다. 즉, 부이(10)가 해수 또는 조류에 따라 움직이면 이에 따라 칼모듈린 캡슐부(233)가 레일부(231,232)를 따라 제1,2 헐부(210,22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칼모듈린 살포제가 전방향에 걸쳐 서서히 살포될 수 있다.
상술한 제1,2 헐부(210,220)는 따개비의 부착 중점영역을 중심으로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은 제1,2 헐부(210,220)를 물리적으로 분리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헐부(210)와 제2 헐부(220)는 제1,2,3 헐 분리부(241,242,24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헐 분리부는 제1,2 헐부(210,22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다.
제1,2,3 헐 분리부(241,242,243)는 배치 위치만 다를 뿐 구성요소가 동일함으로 제1 헐 분리부(24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는 이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헐 분리부(241)는 지지부(241a), 회전부(241b)를 포함한다. 지지부(241a)의 일단(상측 지점)은 제1 헐부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제2 헐부의 상부면 방향(즉, 수직 하방)으로 길이 조절이 되도록 배치된다. 길이 조절은 일예로서 접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241a)의 타단(하측지점)은 회전부(241b)와 결합된다. 회전부(241b)는 제2 헐부의 홈(225)에 삽입 안착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241b)는 부이(10)의 이동 또는 회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41a)가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되고, 회전부(241b)가 제2 헐부의 상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따라서 부이(10)가 조류에 따라 흔들리면 지지부(241a)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고, 또한 회전부(241b)에 의해 제2 헐부(220)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마름모 형상의 제2 헐부(220)가 마름모 형상의 제1 헐부(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거나 자체 회전할 수 있다. 제2 헐부(220)가 도 7과 같이 기울어지면 오른쪽 영역의 파장 조사부가 분리 전에 비해 더 깊이 잠겨 조사 심도가 더 깊어지고 이에 비해 왼쪽 영역의 파장 조사부는 분리 전에 비해 더 얇게 잠겨 조시 심도가 얇다. 따라서, 분리 전과 비교하면 분리 후에는 조사 깊이의 심도가 더 넓어져 전체 조사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헐부(220)의 기울어짐에 따라 조사 각도가 변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조사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헐부(220)의 회전이 물리적 분리 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워 다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헐부(210,220)가 마름모 형상을 함으로써 도 2와 같은 형상에 비해 더 회전이 쉽다.
한편, 제2 헐부(220)의 회전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제2 헐부(220)의 하부 영역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방향타(251,252)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케이블(310,320,330)이 부이(10)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블부(330)를 제1,2 케이블부(310,320)와 이격시켜 고정시킨다. 즉, 제3 케이블부(330)는 관측 센서 위치조정부(500)에 고정 결박된다. 관측 센서 위치조정부(500)는 제1 파장 조사부(211) 또는 제2 파장 조사부(212)에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관측 센서 위치조정부(500)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제3 케이블부(330)를 감거나 풀 수 있는 릴부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2,3,4,5 조사부는 각각의 파장대를 달리하여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장의 조사 시간, 조사 간격, 조사 조도, 방사 조도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이(10)에는 자체 에너지 생산을 위해 태양광 모듈부, 풍력 발전 모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11 : 닻
12 :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13 : 해수면
14 : 해저 바닥
100 : 랜턴부
200 : 헐부(Hull)
210 : 제1 헐부
211 : 제1 파장 조사부
212 : 제2 파장 조사부
214 : 제4 파장 조사부
220 : 제2 헐부
221 : 제3 파장 조사부
222 : 진동 발생부
223 : 칼모듈린 캡슐부
224 : 제5 파장 조사부
225 : 홈
231 : 제1 레일부
232 : 제2 레일부
233 : 칼모듈린 캡슐부
241 : 제1 헐 분리부
241a : 지지부
241b : 회전부
242 : 제2 헐 분리부
243 : 제3 헐 분리부
251 : 제1 방향타부
252 : 제2 방향타부
300 : 케이블부
310 : 제1 케이블부
320 : 제2 케이블부
330 : 제3 케이블부
400 : 무게 추
500 : 관측 센서 위치조정부
11 : 닻
12 :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13 : 해수면
14 : 해저 바닥
100 : 랜턴부
200 : 헐부(Hull)
210 : 제1 헐부
211 : 제1 파장 조사부
212 : 제2 파장 조사부
214 : 제4 파장 조사부
220 : 제2 헐부
221 : 제3 파장 조사부
222 : 진동 발생부
223 : 칼모듈린 캡슐부
224 : 제5 파장 조사부
225 : 홈
231 : 제1 레일부
232 : 제2 레일부
233 : 칼모듈린 캡슐부
241 : 제1 헐 분리부
241a : 지지부
241b : 회전부
242 : 제2 헐 분리부
243 : 제3 헐 분리부
251 : 제1 방향타부
252 : 제2 방향타부
300 : 케이블부
310 : 제1 케이블부
320 : 제2 케이블부
330 : 제3 케이블부
400 : 무게 추
500 : 관측 센서 위치조정부
Claims (8)
- 빛을 외부로 방사하여 부이의 위치를 알리는 랜턴부,
상기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1 헐부,
상기 제1 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2 헐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무게 추, 및 닻에 고정되는 복수의 케이블부를 포함하며,
400 ~ 460nm 사이의 파장을 바다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따개비가 상기 부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헐부는,
제1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도록 상기 제1 헐부의 몸체 둘레면의 제1 지점에 구비 배치되는 제1 파장 조사부, 및
제2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도록 상기 제2 헐부의 몸체 둘레면의 제2 지점에 구비 배치되는 제2 파장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파장 조사부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스윙됨으로써 빛의 조사범위를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삭제
- 빛을 외부로 방사하여 부이의 위치를 알리는 랜턴부,
상기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1 헐부,
상기 제1 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부이에 부력을 제공하며, 따개비의 부착이 억제되는 제2 헐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해양 기상 관측 센서부, 무게 추, 및 닻에 고정되는 복수의 케이블부를 포함하며,
400 ~ 460nm 사이의 파장을 바다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따개비가 상기 부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헐부는,
제1,2 파장대의 빛을 수직하방의 해수면에 조사하는 제1,2 파장 조사부, 진동 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칼모듈린 억제제가 살포되는 칼모듈린 캡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헐부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소정 폭을 가지면서 삽입 배치되는 따개비 부착 억제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헐부는,
제2 헐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며, 제3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3 파장 조사부,
상기 제3 파장 조사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 배치되며, 따개비의 부착을 억제하는 칼모듈린이 억제제가 살포되는 칼모듈린 캡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3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고, 진동을 발생시키며, 칼모듈린 억제제를 해수에 살포함으로써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장 조사부는 제2 헐부의 상측 영역에 둘레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진동 발생부, 및 칼모듈린 캡슐부는 상기 제3 파장 조사부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며,
상기 진동 발생부의 진동에 의해 칼모듈린 캡슐부의 칼모듈린 억제제가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헐부의 상측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 레일부,
상기 제2 헐부의 하측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 레일부, 및
상기 제1,2 레일부와 결합 연동되어 조류에 의한 부이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칼모듈린 억제제가 포함된 칼모듈린 캡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헐부의 하부면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외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헐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속 안착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헐 분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헐 분리부에 의해 상기 제1 헐부와 제2 헐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물리적 분리에 따라 외력에 의해 제2 헐부가 상대적으로 제1 헐부에 대해 기울어지면서 자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헐부의 하부면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어 제4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4 파장 조사부, 및
상기 제2 헐부의 하부면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어 제5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제5 파장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339A KR102121761B1 (ko) | 2018-11-05 | 2018-11-05 |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339A KR102121761B1 (ko) | 2018-11-05 | 2018-11-05 |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237A KR20200051237A (ko) | 2020-05-13 |
KR102121761B1 true KR102121761B1 (ko) | 2020-06-11 |
Family
ID=7072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4339A KR102121761B1 (ko) | 2018-11-05 | 2018-11-05 |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7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655B1 (ko) | 2022-09-13 | 2023-01-10 | (주)대한엔지니어링 |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3103B (zh) * | 2021-12-21 | 2024-08-13 | 广东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 一种无锚链筒的船锚自重杠杆自抛装置及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714B1 (ko) * | 2007-06-28 | 2008-05-29 | 뉴마린엔지니어링(주) | 해역 경계 표시 마크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505728A (en) | 1975-06-25 | 1978-03-30 | Lee Marine Inc | Marine anchor buoy |
JPS56162412A (en) | 1980-05-19 | 1981-12-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und superconductive wire material |
US4896620A (en) | 1989-02-01 | 1990-01-30 | Jones Harry E | Marine buoy |
JP2848785B2 (ja) | 1994-08-31 | 1999-01-20 | 科学技術振興事業団 | フジツボの付着防止方法 |
KR100597855B1 (ko) | 2006-02-08 | 2006-07-11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항만 해상 표시용 부이 구조 |
KR20110092698A (ko) * | 2010-02-10 | 2011-08-18 | 최미자 | 항로표지용 등부표 및 그 제조방법 |
KR101318261B1 (ko) | 2013-04-10 | 2013-10-18 | (주)해양정보기술 | 항로표시용 등부표 |
KR20150137404A (ko) | 2014-05-29 | 2015-12-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자외선 발생기를 이용한 따개비 부착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KR101691068B1 (ko) | 2014-09-26 | 2016-12-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구조물용 보호장치 |
KR20170053639A (ko) | 2014-12-08 | 2017-05-16 |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 따개비류의 부착 억제 방법 |
ES2905316T3 (es) * | 2015-06-03 | 2022-04-07 | Koninklijke Philips Nv | Mejoras de seguridad para la radiación UV en aplicaciones acuáticas |
KR20150143376A (ko) * | 2015-09-07 | 2015-12-23 | 정민시 | 파력 발전기를 구비한 해양경계 표시등 |
KR101740139B1 (ko) | 2015-09-17 | 2017-05-26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
KR101717778B1 (ko) | 2016-03-25 | 2017-03-17 | (주)씨텍 |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
KR101841594B1 (ko) | 2016-04-05 | 2018-03-26 | 지마텍 주식회사 |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
KR101763388B1 (ko) | 2016-09-01 | 2017-07-31 | (주)신동디지텍 | 해양 부이용 관측장비 보호장치 |
KR20180044689A (ko) | 2016-10-24 | 2018-05-0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비상 대피 기능을 가진 부이 |
KR101727735B1 (ko) | 2016-10-28 | 2017-04-18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상 처분장의 감시 및 오염물 방제 부이 |
KR101913505B1 (ko) | 2017-06-26 | 2018-10-30 | 정선진 | 해양 관측용 부이 |
-
2018
- 2018-11-05 KR KR1020180134339A patent/KR10212176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714B1 (ko) * | 2007-06-28 | 2008-05-29 | 뉴마린엔지니어링(주) | 해역 경계 표시 마크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655B1 (ko) | 2022-09-13 | 2023-01-10 | (주)대한엔지니어링 |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237A (ko) | 202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3216B1 (ko) |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 |
US10141885B2 (en) | Floating solar panel systems | |
US12041914B2 (en) | Submersible pen system | |
KR102121761B1 (ko) |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
JP7441834B2 (ja) | 海上養殖システム | |
US9989038B2 (en) | Wind turbine with improved safety features | |
JP6329158B2 (ja) | 沖合養殖設備 | |
KR102382732B1 (ko) |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 |
KR20150015962A (ko) | 선체의 수중생물 부착 방지장치 | |
TW201814992A (zh) | 電纜布設結構及風力發電系統 | |
US10257990B1 (en) | Growing macroalgae at sea | |
KR102121771B1 (ko) | 케이블 꼬임 및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 |
JP7462895B2 (ja) | 浮力体付き海中ケーブル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システム | |
EP3190878B1 (en) | Mooring system and method | |
KR20160029937A (ko) | 해양생물 리펠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어레이 | |
WO2012058145A2 (en) | Marine vessel arresting devices and methods | |
JP3165404U (ja) | 浮標 | |
KR101602174B1 (ko) | 위치 유지가 용이한 부표장치 | |
GB2574390A (en) | Renewable energy conversion apparatus | |
KR101735329B1 (ko) |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 |
KR101642613B1 (ko) |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KR101662410B1 (ko) |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KR102684522B1 (ko) |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초음파 시스템을 통해 선박부 파울링을 제거하는 선박 안티 파올링 장치 | |
RU2010146805A (ru) | Морская плавуч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 |
KR20160001571U (ko) | 해상 발전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