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139B1 -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 Google Patents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139B1
KR101740139B1 KR1020150131435A KR20150131435A KR101740139B1 KR 101740139 B1 KR101740139 B1 KR 101740139B1 KR 1020150131435 A KR1020150131435 A KR 1020150131435A KR 20150131435 A KR20150131435 A KR 20150131435A KR 101740139 B1 KR101740139 B1 KR 10174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hain
buoy body
pulle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562A (ko
Inventor
국승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1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4Buoy-to-object securing means responsive to hydrostat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몸체; 부표 몸체를 선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벨트; 및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고정 벨트의 고정을 해제하여 부표 몸체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부상시키는 자동 이탈 장치를 포함하는 부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Auto Releasing New Danger Mark Buoy}
본 발명은 부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에 관한 것이다.
IAL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항해용 해도 등의 수로서지에 미기재된 것으로서, 새로이 발견된 위험 장해물을 "새로운 위험물(New Danger)"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새로운 위험물"이라 함은 사주나 암초 등의 자연적 장해물 또는 침선과 같은 인위적 장해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새로운 위험물은 측방 표지, 방위 표지, 고립 장해 표지 등을 이용하거나, 비상 침선 표지(Emergency Wreck Marking Buoy)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주무 관청이 그 위험물이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최소 1종의 항로 표지를 중복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선박이 침몰하거나 새로이 발견된 위험물(인공적인 구조물이나 자연적인 Rock 등)의 경우, 선박의 항해 안전을 위협하므로, 선박의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위치에 관할 당국이나 선주가 설치하도록, 신 위험물 표지(New Danger Mark)의 형상과 색상 및 등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설명
색상 동일 개수와 치수의 청색/황색 수직 줄무늬
(최소 4개 및 최대 8개 줄무늬)
부표 형상 기둥 또는 스파(spar)
두표(구비할 경우) 수직/직각 황색 십자가 형상
색상 황색/청색 교대 배치
리듬 청색등 1초, 황색등 1초, 이들 사이의 무등 0.5초
그러나, 등부표 설치의 신속성 측면 및 설치·철거 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설치·운영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선박 침몰 사고의 경우 기상 상태, 해역의 특성 및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운 경우 신 위험물 표지 설치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침선 부표 관련 국제 법규를 살펴보면, IALA는 NAVGUIDE에 관련 규정을 두고 있으며 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IALA 권고 O-133에서 측방 표지, 방위 표지, 비상 침선 표지를 사용해서 신 위험물에 대해 적절히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신 위험물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공지되었거나 해결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철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IALA 권고 O-133(2006.) "비상용 침선 표시 등부표"와 관련하여, 2002년 도버 해협에서 "Tricolor"호의 침몰 당시 충돌의 방지와 다른 위험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대응 방법에 관한 문제가 야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비상 침선 표시 부표를 제안하였다. IALA Guideline No. 1046(새로운 침선의 표시를 위한 대응 계획)은 빠르고 효과적인 대응 지침을 제공해 주고 있으나, 기존의 IALA 해상 부표 시스템은 위험 구역을 방위와 측방 표지로 표시하거나, 고립 위험 표지를 표시하고 있어 항해사들의 초기 인식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명확한 위험 침선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IALA는 권고 O-133(새로운 침선 표시 부표)를 채택하였다.
우리나라의 침선 부표에 관한 법규는 항로 표지의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 제16조(신 위험물 표지)에서 "신 위험물 표지는 수로도지에 등재되지 않은 새롭게 발견된 위험물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지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위험물은 모래톱, 암초 등과 같은 자연적인 장해물과 침몰, 좌초 선박과 같은 인위적인 장해물을 포함하고 있다. 침선 부표의 설치와 관련해서는 항로 표지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786호, 2012. 5.14.) 제7조(선박 침몰, 좌초 시 항로 표지 설치 의무)에 명시하고 있다.
국내 침선 부표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백령도 앞바다에서 일어난 천안함 사고의 경우, 사고 발생 시부터 인양 시까지 약 1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이 기간에 해군은 표준형 침선 부표를 설치한 것이 아니고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부표를 설치하였다. 이는 신속성과 편의적인 측면을 감안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천안함 사건 당시 설치된 부표는 크기가 가로 60 ㎝, 세로 90 ㎝, 높이 240 ㎝이었으며, 재질은 내부의 경우 스티로폼이었고 외부의 경우 선박용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이었으며, 침추는 양가지형 앵커를 매달아 바다 밑 뻘에 고정하였고, 멀리서도 눈에 쉽게 띌 수 있도록 주황색으로 만들어졌으며, 부표 위에는 태양등을 설치하여 낮 동안 태양광 에너지를 충전하고 야간에도 불빛을 낼 수 있게 하였다. 군은 군의 정식 부표를 설치할 경우 설치비 약 6억 원과 유지비 약 1억5천만 원이 드는 등 관리비가 부담될 것으로 판단한 결과, 1천만 원 정도의 비용으로 간이 부표를 설치하였다.
2006년 인천 지방 해양 항만청 홈페이지에 실린 보도 내용에 따르면, 인천 지방 해양 수산청은 2006년 3월 20일에 인천 앞바다의 영흥도 북서방 약 2마일 해상에서 침몰한 신하이 7호(2,972톤)의 위치 부근 통항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하여, 지난 3월 27일 침몰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등부표 2기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침몰 선박이 위치한 해역은 인천항 입항 대기 선박이 정박하는 구역에 접해 있어서, 대형 선박의 통항로로 이용할 수 있는 장소 일뿐만 아니라, 인천항 출입항 중소형 선박이 이용하는 중수도와 접하여 통항 선박의 안전 대책이 필요함에 따라, 2006년 4월 3일에 등부표 2기를 추가 설치하여 침몰 선박이 접근하지 않도록 조치하였다. 이때 설치한 침선 등부표는 선박 좌초 지점을 중앙으로 약 120 m 동서남북에 등부표 4기를 설치함으로써, 선박 안전 운항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2014년 4월 16일에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사고로, 현재(2015년 9월 기준)까지 인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월호 사고 직후 해양 수산부는 3개의 부표를 선박과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이후 해양수산부는 항로 표지법 시행령 제7조(선박 침몰, 좌초 시 항로 표지 설치 의무)에 따라 철재 등부표를 설치해 둔 상황이다.
외국의 침선 부표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IALA에서 권고하고 있는 침선 부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부표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 폴리스티렌 폼 재질을 활용하고 있다. 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경량 침선 부표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구분 영국 프랑스 스페인 호주
도색 청색, 황색 줄무늬
재질 폴리스티렌 폼 - - 플라스틱
크기 - 1485 mm 1200 mm 1180 mm
중량 261 kg 599 kg 240 kg 70 kg
두표 - -
표 2에 따르면, 도색은 IALA 권고를 따르고 있고, 크기는 1500 mm 이하이며(성인의 눈 높이 이내), 중량은 경량이고(특히 플라스틱 재질은 초경량임), 등명기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일체형 등명기를 택하고 있으며, 두표의 설치 여부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침선 부표 운영상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신속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천안암 사고 및 세월호 사고 사례에서와 같이, 선박 침몰이 발생한 일자와 선박 통항의 안전을 위해 침선 부표를 설치한 일자간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임시 부표 설치 이후 침선 부표를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침선 부표 설치·운영상 법적 책임 문제, 사고 해역 특성 등의 문제가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설치 및 철거상 측면에서 살펴보면, 현재의 침선 부표는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설치에 다수의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항만 당국이 침선 위치를 접수 받은 이후 즉각적으로 설치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만약, 상선이나 어선의 침몰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가정하고 선박에 적재할 경우, 부표 자체 무게 중량으로 인한 문제점, 다수의 인력과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 지정된 위치(각 부표 관리 사무소)에 보관하고 있어 적재 후 이동상 문제점, 육상에서 선박에 적재 시 크레인이 설치된 선박(항로 표지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실종, 전복, 침몰 등 해양사고 발생 시 선박에 부착된 소형 침선 부표가 일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Auto Release) 후 자기 부상(Auto Buoyance)하여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몸체; 부표 몸체를 선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벨트; 및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고정 벨트의 고정을 해제하여 부표 몸체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부상시키는 자동 이탈 장치를 포함하는 부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자동 이탈 장치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 측정 장치; 및 고리 형태로 맞물려서 고정 벨트를 고정하고, 수압 측정 장치에 의해 일정 수압이 감지되면 맞물린 고리가 열려서 고정 벨트의 고정을 해제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 이탈 장치는 1.5 내지 4 m의 수심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은 부표 몸체와 선박 구조물을 연결하고, 부표 몸체가 이탈 후 부상할 때 자동으로 신출되는 체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은 체인을 보관하는 자동 릴 체인 박스; 체인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이 감겨져 있으며,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도르래; 체인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도르래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축; 및 축과 연결되고, 수압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축을 회전시키는 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박이 침몰하면, 추는 아래로 떨어지고 축은 위로 올라가서 도르래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며, 자동 이탈된 부표 몸체가 부상하면서 체인이 도르래로부터 자동으로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침선이 해저에 도달하면, 추는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축은 아래로 내려가서 도르래 톱니와 맞물리며, 도르래가 고정되면서 체인의 풀림이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은 부표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부표 몸체가 부상할 때 자동으로 구동되는 등명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명기는 수밀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 및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 구동 장치는 비상 전원 장치; 및 비상 전원 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은 스위치와 연결되고, 부표 몸체가 이탈될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켜 등명기를 구동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명기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실종, 전복, 침몰 등 해양사고 발생 시 선박에 부착된 소형 침선 부표가 일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 후 자기 부상하여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통해 선박의 항해안전을 위협하는 장해물로부터 해당 해역에서의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신속한 수색·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릴 체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구동 등명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이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이 선박 침몰에 따라 작동하여 해수면까지 부상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IALA에서 국제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MBS(Maritime Buoyage System)를 근거로, 새로운 위험물을 표시하기 위한 자동 이탈식 침선 표지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실종, 전복, 침몰 등 해양 사고가 발생 시 즉각적으로 새로운 위험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등부표가 자동으로 설치되고 위치를 정확히 알릴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세부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부상(Auto Buoyance)을 위한 자동 이탈(Auto Release) 등부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실종, 전복, 침몰 등 해양 사고가 발생 시 자동으로 부상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소형이고 취급이 용이한 등부표를 제공한다. 해양 사고 발생 시 선박에 부착된 소형 침선 부표가 일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 후 자기 부상하여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해역에서의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즉각적인 수색과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평소 자기 부상을 위한 자동 이탈 장치(Auto Release unit)는 선박 갑판 상에 위치한 소형 침선 부표를 고정시키며, 해양 사고 발생 시 내부 수압 측정 장치에 일정한 수압이 작용하게 되면, 고정된 벨트가 풀려 침선 부표가 자동 이탈 후 자기 부상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둘째, 자동 릴 체인(Auto Reel Chain) 기술에 관한 것으로, 해양 사고 발생시 사고 해역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체인이 신출되어 부표가 해수면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되는 체인을 제공한다. 선박의 해양 사고 발생시 선박에 부착된 소형 침선 부표가 일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 후 자기 부상하기 위하여, 해양 사고 발생 해역의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체인이 신출되어 부표가 해수면 상에 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5 내지 4 m 사이의 수심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수압 이탈 장치를 고려하여 설치 선박의 크기 및 주요 항로 등을 기반으로 최대 70 m까지 신출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체인 끝단의 경우 부표와 선박에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 나머지 여유 로프의 경우 부표 내 적재하여 사고 발생 시 수심에 따라 자동 신출 후 부표가 해면 상에 도달했을 때 자동 고정되도록 한다.
셋째, 자동 구동 등명기(Auto Lighting Lantern) 기술에 관한 것으로, 선박 침몰 시 등부표가 이탈함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어 작동하는 수밀 형태의 등명기를 제공한다. 해양 사고 발생 후 자동 이탈되어 설치된 침선 부표에 부표 위치 및 선박 사고 지점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부표 자체에 등명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은 부표 몸체(10), 등명기(20), 연결선(22), 무게추(30), 고정 벨트(40), 자동 이탈 장치(50), 자동 릴 체인 박스(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부표 몸체(10)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저밀도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폼,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폼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표 몸체(10)의 표면에는 폼 구조체를 보호하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표 몸체(10)의 표면에는 국제 규격에 따라 청색 및 황색 줄무늬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표 몸체(10)는 선박에 설치된 박스 형태의 부표 거치대에 고정 벨트(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등명기(20)는 부표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구비하여 야간에 부표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명기(20)는 부표 몸체(10)가 부상할 때 자동으로 구동되는 자동 구동 등명기(Auto Lighting Lantern)일 수 있다.
무게추(30)는 부표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금속 등과 같은 중량 재료로 구성되어 부표 시스템의 무게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한다.
고정 벨트(40)는 부표 몸체(10)를 선박 구조물(부표 거치대 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 이탈 장치(Auto Release Unit)(50)는 선박이 침몰하여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고정 벨트(40)의 고정을 해제하여 부표 몸체(10)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 릴 체인 박스(Auto Reel Chain Box)(60)는 부표 몸체(10)가 이탈 후 부상할 때 자동으로 신출되는 체인(6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탈 장치의 구성도로서, 자동 이탈 장치(50)는 수압 측정 장치(52) 및 후크(Hook)(5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압 측정 장치(52)는 수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1.5 내지 4 m의 수심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후크(54)는 고리 형태로 맞물려서 고정 벨트(40)를 고정하고, 해양 사고 발생시 수압 측정 장치(52)에 의해 일정 수압이 감지될 경우, 맞물린 고리가 열리면서 고정 벨트(40)의 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벨트(40)는 평소에는 부표 몸체(10)를 부표 거치대에 고정하고, 사고 발생시 후크(54)가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열리게 되면, 고정 벨트(40)가 풀리게 되어 부표 몸체(10)를 이탈시켜 부상시킬 수 있다.
후크(54)가 열리는 메커니즘은 모터, 실린더, 피스톤, 플런저, 각종 기어, 캠, 랙, 피니언, 벨트, 풀리 등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릴 체인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자동 릴 체인 시스템은 자동 릴 체인 박스(60), 추(62), 축(64), 도르래(66), 체인(6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 릴 체인 박스(60)는 침선과 등부표를 연결해주는 구동장치 및 체인(로프)(68)을 보관하기 위해 선박 자체(부표 거치대)에 고정된 박스로서, 자동 이탈 장치(50)의 후크(54)가 풀리면 동시에 열릴 수 있다. 구동장치는 추(62), 축(64), 도르래(66)로 구성되고, 체인 박스(60) 내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추(62)는 체인 박스(60) 내에 설치되고, 수압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축(64)과 연결되어 축(6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축(64)은 추(62)의 하단에 결합하고, 체인 박스(60)에 고정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추(62)의 상하 운동에 의해 회전하여 도르래(66)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다.
도르래(66)는 체인 박스(60)에 고정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68)이 감겨져 있으며,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톱니의 크기, 개수 및 간격 등은 축(64)과 맞물리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체인(68)은 부표 몸체(10)와 선박 구조물을 연결하고, 부표 몸체(10)가 이탈 후 부상할 때 사고 발생해역의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신출될 수 있다.
사고 발생시 선박이 침몰함에 따라, 추(62)가 아래로 떨어지면, 축(64)이 위로 올라간다. 이때, 축(64)과 도르래(66) 톱니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자동 이탈된 부표 몸체(10)가 부상하면서 도르래(66)에 감긴 체인(68)이 도르래(66)로부터 자동으로 풀리게 되며, 침선 부표가 수면에 도달하게 된다.
침선이 해저에 도달하게 되면, 추(62)가 잠시 멈춘 후 부력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 축(64)이 아래로 내려가서 도르래(66) 톱니와 맞물리며, 도르래(66)가 축(64)에 걸려 고정되면서 체인(68)의 풀림이 멈추고, 이에 따라 체인(68)이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구동 등명기의 구성도로서, 해양 사고 발생 시 부표 거치대에서 자동 이탈된 등부표가 부상하게 될 때 자동으로 구동되어 위치를 표시하는 수밀 구조 형태의 등명기일 수 있다. 등명기 전체가 수밀 구조 형태이고, 그 내부에 자동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 등부표 이탈 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자동 구동 등명기는 연결선(22), 수밀 케이스(24), 램프(미도시), 태양전지판(26), 자동 구동 장치(2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선(22)은 등부표 거치대에 고정된 선으로, 등명기 자동 구동 장치(28)의 스위치와 연결되고, 등부표가 이탈될 경우 자동 구동 장치(28)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등명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밀 케이스(24)는 밀폐된 케이스로서, 내부에 설치된 램프(미도시), 태양전지판(26), 자동 구동 장치(28)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수밀 케이스(24)는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구성되고, 태양전지판(26)이 작동될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다.
램프는 수밀 케이스(24) 내부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설치되고, LED 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판(26)은 수밀 케이스(24) 내부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등부표가 수면 상에 설치되면, 태양전지판(26)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동 구동 장치(28)는 수밀 케이스(24) 내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 구동 장치(28)는 비상 전원 장치(미도시) 및 비상 전원 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표가 이탈될 때 연결선(22)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하여 비상 전원을 통해 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비상 전원 장치는 예를 들어 배터리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이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부표 시스템은 선박의 갑판 상에, 예를 들어 부표 거치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시스템이 선박 침몰에 따라 작동하여 해수면까지 부상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선박이 침몰에 함에 따라 부표 시스템이 자동으로 이탈된 후 자동 신출 체인에 의해 수면까지 부상한 상태를 나타낸다.
자동 구동 등명기의 경우 선박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다음과 같이 내식 시험, 온도 반복 시험, 강도 시험 등을 통해 그 요건을 검토하도록 한다.
요건 요건 내용
내식 시험 -온도: 35±3℃
-노출 시간: 160분
-염수: 5%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염수 분무
온도 반복 시험 -온도: -30 내지 60℃
-노출 시간: 8시간
-반복 회수: 9회 반복
강도 시험 -하중: 최소 10 kN의 인장 하중
-노출시간: 30분
기타 -수밀 시험: 수심 10 m 이내에서 등명기 내 수밀 여부 평가
-작동 시간 시험: 최대 등명기 작동 시간 평가
10: 몸체
20: 등명기
22: 연결선
24: 수밀 케이스
26: 태양전지판
28: 자동 구동 장치
30: 무게추
40: 고정 벨트
50: 자동 이탈 장치
52: 수압 측정 장치
54: 후크
60: 자동 체인 박스
62: 추
64: 축
66: 도르래
68: 체인

Claims (12)

  1.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몸체;
    부표 몸체를 선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벨트;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고정 벨트의 고정을 해제하여 부표 몸체를 자동으로 이탈시켜 부상시키는 자동 이탈 장치;
    부표 몸체와 선박 구조물을 연결하고, 부표 몸체가 이탈 후 부상할 때 자동으로 신출되는 체인;
    체인을 보관하고, 부표 몸체와 독립적인 박스로서, 자동 이탈 장치가 풀리면 동시에 열리는 자동 릴 체인 박스;
    체인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이 감겨져 있으며,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도르래;
    체인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도르래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는 축;
    축과 연결되고, 수압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축을 회전시키는 추; 및
    부표 몸체의 상부에 부표 몸체와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부표 몸체가 부상할 때 자동으로 구동되는 등명기를 포함하며,
    선박이 침몰하면, 추는 아래로 떨어지고 축은 위로 올라가서 도르래 톱니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며, 자동 이탈된 부표 몸체가 부상하면서 체인이 도르래로부터 자동으로 풀리고,
    침선이 해저에 도달하면, 추는 부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축은 아래로 내려가서 도르래 톱니와 맞물리며, 도르래가 고정되면서 체인의 풀림이 멈추고,
    등명기는 투명한 수밀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 장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며,
    자동 구동 장치는 비상 전원 장치; 및 비상 전원 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연결선이 스위치와 연결되어 부표 몸체가 이탈될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켜 등명기를 구동하는 부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이탈 장치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 측정 장치; 및
    고리 형태로 맞물려서 고정 벨트를 고정하고, 수압 측정 장치에 의해 일정 수압이 감지되면 맞물린 고리가 열려서 고정 벨트의 고정을 해제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이탈 장치는 1.5 내지 4 m의 수심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31435A 2015-09-17 2015-09-17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KR10174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5A KR101740139B1 (ko) 2015-09-17 2015-09-17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5A KR101740139B1 (ko) 2015-09-17 2015-09-17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62A KR20170033562A (ko) 2017-03-27
KR101740139B1 true KR101740139B1 (ko) 2017-05-26

Family

ID=5849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35A KR101740139B1 (ko) 2015-09-17 2015-09-17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37A (ko) 2018-11-05 2020-05-13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20200051246A (ko) 2018-11-05 2020-05-13 광주과학기술원 케이블 꼬임 및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93216B1 (ko) 2019-10-11 2020-12-18 동강엠텍(주)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KR102219469B1 (ko) * 2020-10-21 2021-02-24 주식회사 에스티나인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6425B2 (ja) 2017-03-02 2021-11-02 コリア・マリタイム・ユニバーシティ・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ファンデーション 自動離脱式危険表示浮標
KR102009592B1 (ko) * 2018-01-09 2019-08-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에서 등명기로부터의 빛을 상시 일정한 수직 및 수평배광으로 유지하는 등부표
KR101978598B1 (ko) * 2018-01-22 2019-05-23 주식회사 오션솔라라이팅 태양광 led 표시등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열 부표
CN110861752B (zh) * 2019-11-26 2021-08-24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海事测绘中心 一种用于水文监测的浮标投放装置
CN111942526B (zh) * 2020-08-18 2021-06-25 江苏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防风浪智能浮标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43B1 (ko) * 2010-04-21 2013-04-26 이장수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43B1 (ko) * 2010-04-21 2013-04-26 이장수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37A (ko) 2018-11-05 2020-05-13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20200051246A (ko) 2018-11-05 2020-05-13 광주과학기술원 케이블 꼬임 및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93216B1 (ko) 2019-10-11 2020-12-18 동강엠텍(주)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KR102219469B1 (ko) * 2020-10-21 2021-02-24 주식회사 에스티나인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62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139B1 (ko)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EP3590819B1 (en)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KR100926690B1 (ko) 엘이디를 구비한 안내용 부표
EP3366569B1 (en) Automatically-arranged emergency wreck position-indicating buoy
NO161051B (no) Livredningsanordning av neddykkbar type, beregnet for fritt fall fra f.eks. offshorekonstruksjoner som opererer under ekstremt d rlige vaerforhold, omfattende en sfaerisk l.
RU2201375C1 (ru) Ледокол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дноопорной швартовки и обслуживания судов
NO793294L (no) Fremgangsmaate og system for evakuering av en offshore boreplattform
CN201154764Y (zh) 子母船
US4017924A (en) Life saving equipment for vessels
US3703736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KR200239303Y1 (ko) 유인항로표지장치
CN205440811U (zh) 一种全封闭救生艇
Shipping Regulations 1998
House Marine emergencies: for masters and mates
EP4082888A1 (en) Mobile electromagnetic mooring system for service vessels
KR20200014542A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RU2374389C1 (ru)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для локализации на в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разлившихся из судна-перевозчика нефти 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азмещения на судне-перевозчике
NO328735B1 (no) System for utsetting og heving av livbater og andre typer fartoy
House Emergencies
Branch Safety Digest
CN113715965A (zh) 一种防漂浮物缠绕的流线形浮标
Williams MODU Ocean Express Disaster 1976
CN117262128A (zh) 一种近岛礁浮式加油系统及其作业方法
GB2457873A (en) Emergency hull breach sealing system
Zhenfang et al. Emergency Response to a Heavy Damaged Giant Container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