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293B1 - 다목적 부이 - Google Patents

다목적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293B1
KR101185293B1 KR1020070133977A KR20070133977A KR101185293B1 KR 101185293 B1 KR101185293 B1 KR 101185293B1 KR 1020070133977 A KR1020070133977 A KR 1020070133977A KR 20070133977 A KR20070133977 A KR 20070133977A KR 101185293 B1 KR101185293 B1 KR 10118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underwater platform
wire
multipurpos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158A (ko
Inventor
겐이치로 고야
Original Assignee
겐이치로 고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이치로 고야 filed Critical 겐이치로 고야
Publication of KR2008006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1/00Marking of navigation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다목적 부이에서는 설치할 수 없었던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를 수면 아래 30m에서 50m에 설치한 해중 플랫폼상에 설치하고, 해중 플랫폼을 가상 해저로 함으로써 깊은 수심에서의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 부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수저에 침착된 싱커 블록과, 상기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에 의해 해중에서 해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파고계 등을 탑재한 해중 플랫폼과, 해면 측에 계류되는 다목적 부이 본체를 가지며, 상기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기 해중 플랫폼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하여, 파고계 등의 관측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도록 한다.
다목적 부이, 플랫폼, 와이어, 카운터 웨이트, 어초, 부표등

Description

다목적 부이{MULTIPLE-PURPOSE BUOY}
본 발명은 해상, 해중 등에서 여러 가지의 해상 관측이나 어초(魚礁) 등에 사용 가능한 다목적 부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해양 계측, 항로표지용의 부표등(浮標燈)에는 부이(buoy)가 사용되고 있다. 도 15는 종래의 부이를 부표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해서 종래의 부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이 본체(101)는 원기둥 형상의 플로트(102)와, 플로트(102)의 하면(102b) 중심부에 고착된 폴(104)과, 폴(104)의 하단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130)로 이루어진다.
플로트(102)는 부이 본체(101)에 부력을 부여하는 부재이며,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합성수지나 압연 강재 및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부력체로서의 우레탄발포수지 등을 충전해서 밀봉되어 있다.
또, 플로트(102)의 하면(102b) 중심부에 설치된 폴(104) 및 카운터 웨이트 (130)는 플로트(102)를 안정되게 부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부이 본체(101)가 수면(144)에서 안정되게 부양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이 본체(101)를 부표등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플로트(102)의 상면(102a) 위에 각종 등기(燈器)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102a) 위에 망루 형상의 표체부(111)를 설치하고, 표체부(111)의 꼭대기부에 등기(111a)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또, 부표등과 같이, 항상 소정의 위치에 부양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플로트 (102)의 하면(102b)과 해저를 체인 등의 계류삭(係留索, 142) 및 싱커 블록(141)에 의해 연결하여 부이 본체(101)를 소정의 위치에 계류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부이 본체(101)는 고파랑(高波浪), 조류 및 취송류 등에 의한 부하를 받는 표면적이 커서 계류삭(142)이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해면에 있어서의 파고의 오르내림에 대응하여 부이 본체(101)도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체인 등의 계류삭(142)의 이완, 긴장의 반복에 의해서 마모되고, 계류삭(142)이 절단되어 부이 본체(101)가 유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부이에 대한 고파랑, 조류 및 취송류 등에 의한 부하, 파고의 오르내림에 의한 체인 등의 계류삭의 이완, 긴장의 반복에 의한 마모를 대폭으로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다목적 부이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6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여장부(余張部)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종래의 다목적 부이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문헌 1의 다목적 부이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저, 호수바닥, 강바닥 등의 수저(水底)에 침착된 기준 싱커 블록(41a), 복수의 싱커 블록(41b), 수면 또는, 수면 부근에 계류된 다목적 부이 본체(100), 싱커 블록(41a) 및 싱커 블록(41b)과 다목적 부이 본체(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이(21), 다목적 부이 본체(100)와 중간 부이(21)를 연결하는 와이어(42b), 싱커 블록(41a) 및 싱커 블록(41b)과 중간 부이(21)를 연결하는 기준 와이어(42c) 및 와이어(42d)로 이루어진다.
중간 부이(21)에 연결하는 와이어(42d)의 길이는 중간 부이(21)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다이버에 의해서 조절부(43)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된다. 그 결과, 중간 부이(21)는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부유하는 상태로 되고, 수면 아래 40m 부근에 위치한다. 수면 아래 40m 부근은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이버가 잠수할 수 없는 심도 50m 이상의 수역에 있어서도 중간 부이(21)를 유사 해저로 할 수 있고, 다목적 부이 본체(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다목적 부이 본체(100)로의 파도 등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2283호
근래, 해저 지진 방재의 정보로서 해일의 진행, 전반(傳搬), 크기를 여하에 빨리 적확하게 파악할지가 과제로 되어 있고, 해일 감시 시스템의 실용화가 급무로 되어 있다.
종래부터 파고계는 해저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고계의 설치 가능한 최대 수심은 50m정도이다. 또, 기기의 설치에는 다이버에 의한 설치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다이버의 잠수 가능 심도는 일반적으로 수면으로부터 50m 이내이기 때문에 수심이 50m를 넘는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의 파고 등의 관측은 실행되고 있지 않았었다.
이로 인해, 연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50m를 넘는 깊은 수심에서의 해일에 의한 수괴(水槐)의 이동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간 부이는 전체가 중공(中空)인 대략 구체(球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를 설치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다목적 부이에서는 설치할 수 없었던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를 수면 아래 30m에서 50m에 설치한 해중(海中) 플랫폼상에 설치하고, 해중 플랫폼을 가상 해저로 함으로써 깊은 수심에서의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 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종래의 다목적 부이는 해면에 위치하는 부이 본체가 중간 부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부이에 초음파식 파고계를 설치한 경우에는, 부이 본체에 의해 초음파가 흩뜨려져서 파고 등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해중 플랫폼상에 설치한 초음파식 파고계가 부이 본체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되게 관측 가능한 다목적 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종래의 중간 부이는 전체가 중공인 대략 구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간 부이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은 다목적 부이의 중간 부이로서의 해중 플랫폼의 크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또 조립ㆍ분해가 용이한 다목적 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통상 어초는 해저에 설치되는데, 깊은 수심 해역에서의 50m 전후의 비교적 얕은 심도에 어초를 설치할 수 있으면, 어초 주변에 생식하는 물고기의 어업 자원 조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을 깊은 수심 해역에 설치하고, 비교적 얕은 심도에서의 인공어초로서 이용 가능한 다목적 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수저에 침착된 싱커 블록과, 상기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에 의해 해중에서 해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유지된 중간 부이로서의 해중 플랫폼과, 해면 측에 계류되는 다목적 부이 본체를 가지며, 상기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기 해중 플랫폼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기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가 상기 해중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기 싱커 블록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은, 바로 위의 해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하는 초음파식 파고계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은, 수면방향으로 상기 해중 플랫폼을 겹쳐 쌓아 올려서 어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은, 바깥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기기를 탑재하는 그레이팅(Grating)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의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둥근 파이프에 플랜지를 설치한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상기 해중 플랫폼은, 수면과의 수평방향에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해중 플랫폼을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다목적 부이에서는 설치할 수 없었던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를 수면 아래 30m에서 50m에 설치한 해중 플랫폼상에 설치하고, 해중 플랫폼을 가상 해저로 함으로써 깊은 수심 해역에서의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다목적 부이는 중간 부이에 초음파식 파고계를 설치한 경우에, 해면의 부이 본체가 중간 부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이 본체에 의해 초음파가 흩뜨려져서 파고 등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부이 본체가 초음파식 파고계를 설치한 위치의 바로 위에 없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은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고, 또, 복수의 해중 플랫폼을 조합하거나, 해중 플랫폼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늘림으로써 크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은 깊은 수심 해역에 있어서도 수면 아래 50m까지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해중 플랫폼을 인공어초로서도 이용함으로써 그 해역의 비교적 얕은 심도에 생식하는 물고기를 조사ㆍ어획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 프레임의 전개도, 도 7은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사용 수를 늘린 해중 플랫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면 아래 30m에서 50m에 해중 플랫폼을 설치하고, 해중 플랫폼상에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 등을 설치하며, 해중 플랫폼을 가상 해저로 함으로써 깊은 수심에서의 파고 등의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 부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종래의 다목적 부이와 동일기능 및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는 해저, 호수바닥, 강바닥 등의 수저에 침착된 기준 싱커 블록(41a), 복수의 싱커 블록 (41b) 및 공유 싱커 블록(41c)과, 수면 또는, 수면 부근에 계류된 다목적 부이 본체(1)와,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41b) 및 공유 싱커 블록(41c)과 다목적 부이 본체(1)의 사이에 위치하여 수면 아래 30m에서 50m에 위치하는 해중 플랫폼 (70)과,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41b) 및 공유 싱커 블록(41c)과 해중 플랫폼(70)을 연결하는 기준 와이어(42c) 및 와이어(42d)와, 공유 싱커 블록(41c) 및 싱커 블록(41b)과 다목적 부이 본체(1)를 연결하는 와이어(42d)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70)은 기준 싱커 블록(41a)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격자 부재로서의 그레이팅(76, 도 5에 나타냄)을 제거한 상태의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목적 부이 본체(1)를 계류하는 공유 싱커 블록(41c) 및 싱커 블록(41b)은 해면에서 해저를 보았을 때에, 해중 플랫폼(70)의 외측이 되도록 침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목적 부이 본체(1)와 공유 싱커 블록 (41c) 및 싱커 블록(41b)을 연결하는 와이어(42d)는 해중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하 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목적 부이 본체(1)는 해중 플랫폼(7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다목적 부이를 구성하는 다목적 부이 본체, 해중 플랫폼, 싱커 블록과 와이어에 대해 상술한다. 맨 처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다목적 부이 본체에 대해 서술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목적 부이 본체(1)는 센터 폴(2)을 중심으로서 상면 휠부(3)와 하면 휠부(5)의 사이에 개장(介裝)된 플로트(6)와, 상면 휠부(3) 및 하면 휠부(5)를 센터 폴(2)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파이프(10)와, 센터 폴(2)의 상부에 설치되어 표지등(7c), 안테나 등을 탑재하는 상부 폴(7)과, 센터 폴(2)과 상부 폴(7)의 사이에 개장된 연결 폴(8)과, 센터 폴(2)의 하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9)로 구성된다.
센터 폴(2)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된 것이다. 센터 폴(2)의 단부에는 연결 폴(8), 카운터 웨이트(9)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센터 폴(2)의 상부와 하부 부근에는 플로트(6)를 연결파이프(10)를 통하여 센터 폴(2)에 결합하기 위한 상면 고정 섀클(2b)와 하면 고정 섀클(2c)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 고정 섀클(2b)과 하면 고정 섀클(2c)에는 연결파이프(1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멍을 갖고 있다. 또, 센터 폴(2)의 상부 단부의 플랜지(2a)와 상면 고정 섀클(2b)의 사이에는 손잡이(2d)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 휠부(3)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도넛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 휠부(3)의 상부에는 연결파이프(10)와 결합하기 위한 섀클(3a), 원둘레 방향을 따라 연결파이프(1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볼트구멍, 그레이팅부(4)를 탑재하기 위한 볼트구멍, 다목적 부이 본체를 와이어로 계류하기 위한 섀클(3b)을 갖고 있다. 연결파이프(10)와 결합하기 위한 섀클(3a)에는 볼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면 휠부(3)의 다른 면은 플로트(6)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레이팅부(4)는 작업원에 의한 상부 폴(7)에 탑재, 내장된 기기의 설치, 점검 등을 실행할 때의 발판이 되는 것이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으로, 상면 휠부(3)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해저 측에 면한 하면 휠부(5)는 상면 휠부(3)와 동일한 구성이며, 그레이팅부(4)는 장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면 휠부(3), 하면 휠부(5)는 환상(環狀)의 것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로트(6)는 다목적 부이 본체(1)에 부력을 부여하는 부재이며, 상부 휠부 (3) 및 하부 휠부(5)에 대응하여 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휠부(3) 및 하부 휠부(5)와 등등한 외경 및 내경을 가지며,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상부 휠부(3)의 볼트구멍 및 하부 휠부(5)의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6)는 설치 수역까지의 반송, 현지 조립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할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목적 부이 본체(1)는 상부 휠부(3)와 하부 휠부(5)의 사이에 플로트(6)를 개장하고, 상기 볼트구멍에 각각 볼트를 끼워 통하여 와셔 및 너트에 의해서 체결 고정된다. 또한, 플로트(6)는 압연 강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인리스), 내부에 부력체로서의 발포스티롤을 충전해서 밀봉되어 있다. 또, 플로트(6)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에 충전하는 부력체로서 우레탄발포수지 등을 사용해도 좋다. 플로트(6)의 형태는 상면 휠부(3) 및 하면 휠부(5)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또, 플로트(6)의 주위에는 다목적 부이 본체(1)의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 플로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6)의 주위에 한하지 않고 다목적 부이 본체(1)에 보조 플로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목적 부이 본체(1)에 설치한 각종 장치의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보조 플로트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파이프(10)는 플로트(6)를 개장한 상면 휠부(3) 및 하면 휠부(5)를 센터 폴(2)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상면 휠부(3) 및 하면 휠부(5)에 설치한 섀클(3a)의 볼트구멍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파이프(10)의 선단을 고정하고, 연결파이프(10)의 타단은 센터 폴(2)의 상면 고정 섀클(2b) 및 하면 고정 섀클(2c)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면 휠부(3)와 하면 휠부(5)에 각 6개의 연결파이프(10)를 사용한 예이다.
상부 폴(7)은 센터 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있으며, 양단에는 플랜지(7a)를 갖고 있다. 상부 폴(7) 한쪽의 플랜지(7a)는 연결 폴(8)과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 폴(7) 다른 쪽의 플랜지(7a)에는 표지등(7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폴(7)은 다목적 부이 본체(1)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지등 (7c), GPS나 위성의 안테나, 솔라패널 등을 탑재하도록 되어 있다(도 1에는 표지등 (7c)만 기재). 상부 폴(7)의 내부는 수밀(水密)하게 유지되어 있으며, 송수신기, 데이터의 수집을 실행하는 데이터ㆍ로거, 배터리의 각종 장치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종 장치를 센터 폴(2) 상부의 내부에 수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부 폴(7)에는 암(7b)이 설치되어 있으며, 암(7b)의 선단에는 연결 폴 (8)의 섀클(8a)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폴(8)은 센터 폴(2)과 상부 폴(7)의 사이에 개장되고, 양단면에 플랜지 (8a)를 가지며, 플랜지(8a)에는 센터 폴(2), 상부 폴(7)에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연결 폴(8)에는 상부 폴(7)의 암(7b)과 연결하기 위한 섀클(8b)을 가지며, 섀클(8b)의 선단부에는 상부 폴(7)로부터의 암(7b)의 선단을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폴(7)은 연결 폴(8)의 섀클(8b)의 볼트구멍을 지점으로서 상면 휠부(3) 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점선의 상부 폴(7)은 볼트 및 너트를 빼고서 상면 휠부(3) 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9)는 해상에서의 다목적 부이 본체의 부유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센터 폴(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9)는 센터 폴(2)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9a)와, 타단에 추(9c)를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9a)와, 플랜지(9a)의 중심에 추(9c)용의 가이드 봉(9b)이 설치되어 있다. 추(9c)는 가이드 봉(9b)에 삽입 가능하도록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볼트구멍을 갖고 있다. 소정 수의 추(9c)를 가이드 봉(9b)에 삽입하고, 볼트를 플랜지(9a) 및 추(9c)의 볼트구멍에 끼워 통하여 너트로 고정한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9)에 사용하는 추(9c)의 수는 상부 폴(7)에 탑재하는 기기의 크기, 위치 등에 의해서 결정하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카운터 웨이트 (9)는 5개의 추(9c)를 사용한 예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목적 부이 본체(1)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저로부터의 3개의 와이어(42d)에 의해 해상에 계류된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는 센터 폴(2)의 상면 고정 섀클(2b) 및 하면 고정 섀클(2c)에 대신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섀클을 설치하고, 회전 섀클에 연결파이프 (10)를 결합하도록 하여, 센터 폴(2)과 상면 휠부(3) 및 하면 휠부(5)에 결합한 연결파이프(10)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9)의 해저 측의 선단을 1개의 와이어로 계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플로트(6)가 회전하는 것에 의한 와이어, 전송케이블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를 계류하는 와이어는 1개로 좋으며, 다목적 부이 본체의 설치비용 등을 저가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목적 부이 본체(1)와 수저의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 (41b) 및 공유 싱커 블록(41c)의 사이에 위치하는 해중 플랫폼(70)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은 프레임(71) 및 그레이팅(76)으로 이루어진다. 해중 플랫폼(70)은 해중에서 프레임(71) 의 그레이팅(76)이 설치된 면을 해면 측이 되도록, 또, 해면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의 전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은 스트레이트 파이프(73) 및 L자 파이프(74)를 조합해서 이루어지고, 스트레이트 파이프(73) 및 L자 파이프 (74)는 접속 섀클(75)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파이프(73) 및 L자 파이프(74)를 구성하는 재질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파이프(73)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의 둥근 파이프(73a)와 둥근 파이프(73a)의 양단에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73b)를 갖고 있다. 스트레이트 파이프(73)의 원통 형상의 둥근 파이프(73a)의 단면과 플랜지(73b)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원통형의 둥근 파이프(73a)의 단면 부근과 플랜지 (73b)에는 둥근 파이프(73a)의 단면과 플랜지(73b)의 용접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 (73d)이 용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둥근 파이프(73a)의 단면에 걸리는 응력에 견디도록 되어 있다. 또, 스트레이트 파이프(73)는 둥근 파이프(73a)의 공간 내로 해수가 침투하지 않도록 방침(防浸)이 도모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파이프(73)의 플랜지(73b)의 둥근 파이프(73a)의 단면에 접하는 면과 반대의 면은 접속 섀클(75)과 결합하는 면이며, 플랜지(73b)에는 접속 섀클(75)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구멍(73c,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소)을 갖고 있다.
L자 파이프(7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고 각도 90도로 형성된 엘보(74a)와, 엘보(74a)의 양단에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74b)를 갖고 있다. 원통 형상인 엘보(74a)의 단면과 플랜지(74b)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L자로 형성한 엘보(74a)의 단면 부근과 플랜지(74b)에는 엘보(74a)의 단면과 플랜지(74b)의 용접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74d)이 용접되어 설치되어 있고, 엘보(74a)의 단면에 걸리는 응력에 견디도록 되어 있다. 또, L자 파이프(74)는 엘보(74a)의 공간 내로 해수가 침투하지 않도록 방침이 도모되어 있다. L자 파이프 (74)의 플랜지(74b)의 엘보(74a)의 단면에 접하는 면과 반대의 면은 접속 섀클(75)과 결합하는 면이며, 플랜지(74b)에는 접속 섀클(75)과 결합하기 위한 볼트구멍(74 c,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소)을 갖고 있다.
접속 섀클(75)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파이프(73)와 L자 파이프(74), 스트레이트 파이프(73)와 다른 스트레이트 파이프(73)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중심 위치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볼트구멍(75c,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섀클(75)의 코너 부근에는 해저에 설치한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를 끼워 통하여 해중 플랫폼(70)을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관통구멍 (75a,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접속 섀클(75)에는 중심에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의 구멍(75b)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멍(75b)은 접속 섀클 (75)을 경량화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해중 플랫폼(70)의 해저로부터의 계류는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를 접속 섀클(75)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관통구멍 (75a)에 고정함으로써 실행된다.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에 배치한 4개의 L자 파이프(74)와, 각 L자 파이프(74)간에 결합한 6개의 스트레이트 파이 프(73)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파이프(73) 및 L자 파이프(74)는 각각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이다. 이로 인해, 프레임(71)은 사용할 스트레이트 파이프 (73)의 개수를 증감함으로써, 필요한 크기의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파이프(73)를 12개 사용하여 해중 플랫폼(70)을 대형화하는 동시에, 그레이팅(76)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은 스트레이트 파이프(73)의 플랜지(73b)와 L자 파이프(74)의 플랜지(74b) 사이에 접속 섀클(75)을 개장하고, 각각의 볼트구멍 (73c, 74c, 75c)에 볼트를 끼워 통하여 와셔 및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의 그레이팅(76)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레이팅(76)의 하면에 고정된 바(76a)와, 바(76a)의 장착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고정된 브리지 (76b)에 의해서 프레임(71)에 고정되어 있다. 그레이팅(76)의 프레임(71)으로의 고정은 브리지(76b)의 선단부를 프레임(71)의 둥근 파이프(73a) 위에서 고정 섀클, U자 볼트를 이용하여 와셔 및 너트에 의해서 체결된다. 관측기기, 방수를 시행한 전원으로서의 배터리 등은 프레임(71) 내측의 그레이팅(76) 위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은 해중 플랫폼을 복수 사용하고, 평면적으로 결합해서 해중 플랫폼의 크기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70)을 4개 사용하여, 평면적으로 결합해서 해중 플랫 폼(70)의 4배의 크기로 확장한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확대도와 같이, 접속판(79)을 사용하고, 접속 섀클(75)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을 이용하여 볼트, 너트로 해중 플랫폼(70)과 다른 해중 플랫폼(70)의 결합을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은 스트레이트 파이프 (73)와 L자 파이프(74)의 사이에 접속 섀클(75)을 개장하고, 각각의 볼트구멍에 볼트를 끼워 통하여 와셔 및 너트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또, 그레이팅(76)은 고정 섀클, U자 볼트를 이용하여 와셔 및 너트에 의해서 프레임(71)에 고정 체결된다. 이로 인해, 해중 플랫폼(70)은 설치하기 전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 공기(工期)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트레이트 파이프(73), L자 파이프(74), 그레이팅(76) 단위로 분해하여 용이하게 수송할 수도 있다.
해중 플랫폼(7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의 둥근 파이프(73a) 및 내부가 중공인 엘보(74a)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중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그레이팅(76)에는 수백 킬로그램의 질량을 갖는 기기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해중 플랫폼의 프레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트 파이프를 사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다음으로, 스트레이트 파이프에 부유체로서 발포스티롤을 이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스트레이트 파이프(73)의 둥근 파이프(73a)에 대신하여, 부유체로서 발포스티롤을 이용한 해중 플랫폼(70)을 나타낸다. 도 10은 부유체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부유체 스트레이트 파이프(78)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에 소켓형 플랜지(78a)를 배치하고, 소켓형 플랜지(78a)의 한쪽 단면은 접속 섀클(75)에 접하는 면이며, 소켓형 플랜지(78a)의 다른 면은 부유체로서의 발포스티롤(78b)을 삽입하도록 통 형상으로 소켓을 형성하고 있다. 또, 통 형상의 소켓의 바깥둘레에는 보강판(78d)이 설치되어 있다. 부유체로서의 발포스티롤(78b)은 원기둥 형상이며, 원기둥의 중심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지주 (78c)를 내장하고 있다. 소켓형 플랜지(78a)에 발포스티롤(78b)이 끼워 맞추어지고, 소켓형 플랜지(78a)의 단면으로부터 볼트에 의해 발포스티롤 원기둥의 중심에 위치하는 지주(78c)와 체결 고정하며, 원기둥의 발포스티롤(78b)을 소켓형 플랜지(78a)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부유체로서의 발포스티롤을 사용하여 해중 플랫폼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L자 파이프(74)는 도 6에 나타내는 L자 파이프(74)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은 현장에서의 조립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송비가 저가로 된다. 또한, 해중 플랫폼의 크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에 탑재하는 기기 크기의 제한이 완화된다. 또, 해중 플랫폼의 해저로부터의 계류는 프레임 주위 10개소의 접속 섀클로부터의 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중에서의 안정성이 좋고, 깊은 수심에서의 관측에 적합하고 있다.
다음으로, 수저에 침착된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41b), 공유 싱커 블록(41c), 및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41b), 공유 싱커 블록(41c)과 해중 플랫폼(70)을 연결하는 기준 와이어(42c), 와이어(42d)에 대해 도 1을 참조해서 설 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싱커 블록(41a), 싱커 블록(41b), 공유 싱커 블록(41c)은 해중 플랫폼(70) 및 다목적 부이 본체(1)를 계류하기 위해 수저에 배로부터 가라앉혀지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제이고 중량이 수 톤이나 하는 것도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기준 싱커 블록(41a)을 중심으로서 그 주위에 등간격으로 싱커 블록(41b)이 복수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기준 싱커 블록(41a) 및 싱커 블록(41b)은 그 상단에 기준 와이어(42c) 또는 와이어(42d)와 연결하기 위한 기준 섀클(44a, 도 1에 도시) 또는 섀클(44b)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유 싱커 블록(41c)은 해중 플랫폼(70) 및 다목적 부이 본체(1)를 와이어(42d)로 각각을 연결한다.
기준 와이어(42c)는 기준 싱커 블록(41a)과 해중 플랫폼(70)을 연결하는 것이며, 해중 플랫폼(70)의 와이어 관통구멍(75a) 및 기준 싱커 블록(41a) 상단의 기준 섀클(44a)에 있어서 연결되는 것이다. 기준 와이어(42c)가 장설(張設)되면, 해중 플랫폼(70)의 부력에 의해서 스스로 긴장한다.
와이어(42d)는 해중 플랫폼(70)의 와이어 관통구멍(75a) 및 싱커 블록(41b)의 상단에 배치 설치된 섀클(44b)에 있어서 연결되는 것인데, 해중 플랫폼(70)은 유사 해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와이어(42d)의 길이는 해중 플랫폼(7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다이버에 의해 조정된다. 그 결과, 해중 플랫폼(7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수심에 부유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해중 플랫폼(70)은 수면에서 수중 40m 부근에 위치한다. 심도 40m 부근은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이버가 잠수할 수 없는 심도 50m 이상의 수역에 있어서도 해중 플랫폼(70)을 유사 해저로 할 수 있어 다목적 부이 본체(1)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다목적 부이 본체(1)로의 파도 등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준 와이어(42c) 및 와이어(42d)는 취급이 용이한 섬유로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설치의 실시형태에서는 다목적 부이 본체(1) 및 해중 플랫폼(70)은 공유 싱커 블록(41c)을 공용하고 있는데, 공유 싱커 블록(41c)에 대신하여 다목적 부이 본체(1) 및 해중 플랫폼(70)에 각각의 싱커 블록(41b)을 설치해서 다목적 부이 본체(1) 및 해중 플랫폼(70)을 각 싱커 블록 (41b)으로 계류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설치의 실시형태에서는 공유 싱커 블록(41c)을 1개 사용하고 있는데, 싱커 블록(41b)에 대신하여 공유 싱커 블록(41c)을 설치해서 복수의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 다목적 부이 본체(1) 및 해중 플랫폼(70)의 계류를 실행해도 좋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의 플로트가 회전 가능하고, 1개의 와이어로 계류하는 다목적 부이 본체는 공유 싱커 블록(41c)에 의해 해중 플랫폼(70)과 공용하도록 한다. 또한, 다목적 부이 본체의 계류에 있어서는 다목적 부이 본체의 특성, 수심 등에 의해 싱커 블록의 설치 수, 설치 위치를 적절히 결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방법에 대해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방법으로서, (a)~(d)를 공 정순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의 소정의 4개소의 접속 섀클(75)의 해저 측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을 사용하여, 4개소의 접속 섀클(75)에 기준 와이어(42c)를 걸어 매고, 4개소로부터의 기준 와이어(42c)의 결합점이 해중 플랫폼(70)의 중심이 되도록 조정하며, 결합점으로부터 기준 와이어(42c)를 기준 싱커 블록(41a)에 연결한다. 또, 해중 플랫폼(70)의 해면 측의 소정의 4개소의 접속 섀클(75)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에 와이어를 가고정하고, 4개소의 접속 섀클(75)로부터의 와이어의 결합점이 해중 플랫폼(70)의 중심이 되도록 조정하며, 결합점으로부터의 와이어를 파일럿 부이(60)에 연결한 것을 준비한다. 선박에 설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기준 싱커 블록(41a)의 설치점을 계측하고, 선박으로부터 기준 싱커 블록(41a), 해중 플랫폼(70), 파일럿 부이(60)의 순으로 크레인 등으로 침착시킨다. 또한, 기준 싱커 블록(41a)과 해중 플랫폼(70)을 연결하는 기준 와이어(42c)의 길이는 해중 플랫폼(70)이 해면 아래 40m 부근에 부유하도록 설치 지점의 심도를 고려해서 산출된 것이다. 이 공정에 의해 해저에서 해면까지 기준 싱커 블록(41a), 해중 플랫폼(70), 파일럿 부이(60) 순으로 설치ㆍ부유하게 된다. 또, 해중 플랫폼(70)은 해면 아래 40m 부근에 부유하게 되기 때문에 파일럿 부이(60)와 해중 플랫폼(70)간의 길이는 해면까지의 약 40m 정도가 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파일럿 부이(60)가 해면에 부유하여 설치공정상의 표적이 되며, 선박으로부터의 시인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싱커 블록(41a)의 설치 지점을 중 심으로 하고, 해당 중심의 주위에 복수의 싱커 블록(41b), 해당 싱커 블록(41b)과 와이어(42d)에 의해서 연결된 파일럿 부이(60) 및 와이어(42d)에 복수개 장착된 플로트 부이(61)를 선박으로부터 침착시킨다. 또한, 플로트 부이(61)는 다이버가 싱커 블록(41b)으로부터의 와이어(42d)를 해중 플랫폼(70)에 고정할 때에 와이어 (42d)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했을 때에 와이어(42d)가 해저에 가라앉지 않도록 띄워 두기 위한 것이다. 싱커 블록(41b)의 설치지점은 기준 싱커 블록(41a)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이며, 기준 싱커 블록(41a)과 똑같이 GPS에 의해서 설치지점을 계측하는 것이다.
또, 플로트 부이(61)를 장착한 2개의 와이어(42d) 양단의 한쪽을 공유 싱커 블록(41c)에, 타단을 파일럿 부이(60)에 연결하고, 공유 싱커 블록(41c), 파일럿 부이(60)의 순으로 선박으로부터 침착시킨다.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부터의 2개 와이어(42d)의 1개는, 해중 플랫폼(70)에 사용하는 것이며, 다른 1개는 다목적 부이 본체(1)의 계류에 사용하는 것이다. 공유 싱커 블록(41c)은 기준 싱커 블록 (41a)의 설치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부터의 와이어(42d)가 해중 플랫폼(7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의 계류용에 싱커 블록(41b), 해당 싱커 블록(41b)과 와이어(42d)에 의해서 연결된 파일럿 부이(60) 및 와이어(42d)에 복수개 장착된 플로트 부이(61)를 침착시킨다. 이때에 다목적 부이 본체(1) 계류용의 싱커 블록(41b)을 2개 사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유 싱커 블록(41c)과 대략 정삼각형이 되는 위치에 침착시킨다.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커 블록(41b)과 파일럿 부이(60)에 연결된 와이어(42d)를 다이버에 의해 해중 플랫폼(70)의 해저 측의 소정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에 걸어 매어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해중 플랫폼(70)을 유사 수저로 하기 위해 와이어(42d)를 장설하여 긴장시켜서 해중 플랫폼(70)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여분의 와이어(42d)는 다이버에 의해 둥글게 말아서 와이어에 감아 두도록 한다. 해중 플랫폼(70)은 해면 아래 40m 부근에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버에 의해서 충분히 해중 플랫폼(70)에 와이어(42d)를 연결 가능한 것이다. 또,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부터의 와이어 2개의 1개는 해중 플랫폼(70)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에 걸어 매어 연결한다.
다음으로, 다목적 부이 본체(1)를 해면에 띄워서 파일럿 부이에 연결된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부터의 와이어(42d) 및 다목적 부이 본체(1) 계류용의 싱커 블록(41b)으로부터의 와이어(42d)를 다목적 부이 본체(1)의 섀클(5c)에 걸어 매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다목적 부이 본체는 해중 플랫폼의 바로 위의 해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계류된다. 이 경우의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황은 도 2에 나타내는 형태가 된다. 또한, 해중 플랫폼 바로 위의 해면 위치에서 다목적 부이 본체(1)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공유 싱커 블록(41c)으로부터 해중 플랫폼에 걸어 맨 와이어 (42d)의 장력각도(도 11의 (c)에 나타낸다θ)가 30도, 해중 플랫폼에서 해저까지의 거리를 50m, 다목적 부이 본체(1)가 공유 싱커 블록(41c)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했을 경우에는 약 29m이다. 이로 인해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해중 플랫폼 바로 위의 해면 위치에서 다목적 부이 본체(1)까지의 거리는 29m 이상이다.
다목적 부이 본체(1)는 복수의 싱커 블록과 연결하여 복수의 와이어로 계류되어 있으며, 복수의 와이어로 계류함으로써, 다목적 부이 본체의 위치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인 등에 의해 관측기기를 해중으로 가라앉히고, 다이버에 의해 해중 플랫폼(70) 위에 관측기기(82)를 탑재한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로부터의 전송케이블(81)을 관측기기에 접속한다.
또한, 해중 플랫폼에 탑재하는 관측기기(82)는 다목적 부이의 설치시에 미리 해중 플랫폼(70)에 탑재하여 두고, 해중 플랫폼의 설치와 동시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전송케이블(81)의 설치도 해중 플랫폼의 설치와 동시에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에 의해, 다목적 부이가 완성된다.
도 12는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황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의 짧은 변에 위치하는 접속 섀클(75)의 2개소와 싱커 블록(41b)을 와이어(42d)로 고정한 것이다. 또, (b)는 해중 플랫폼(70)의 프레임(71)의 긴 변에 위치하는 접속 섀클(75)의 3개소와 2개의 싱커 블록(41b)을 와이어(42d)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는 상기한 이외의 것도 가능하고, 적절히 선택해서 다목적 부이의 설치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유사 해저로 하고, 다이버가 잠수할 수 없는 심도의 수역에 있어서도 관측기기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다목적 부이의 다목적 부이 본체(1) 및 해중 플랫폼(70)에 설치한 관측기기 등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70) 위에는 부호 82로 나타내는 초음파식의 파고계, 수온, 염분 등의 측정을 실행하는 수질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다목적 부이 본체(1)에는 상부 폴(6)을 통하여 솔라패널, GPS안테나, 위성안테나, 표지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의 상부 폴(7) 내에는 부호 80으로 나타내는 GPS파고계, 위성 송수신기, 데이터ㆍ로거, 충방전 제어기, 배터리, 접속 상자가 내장되어 있다. 또, 다목적 부이 본체(1)의 상부 폴(7) 내의 기기와 해중 플랫폼(70) 위의 기기는 전송케이블 (8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는 종래의 다목적 부이에서는 설치할 수 없었던 파고계 등의 관측기기를 해면 아래 30m에서 50m에 설치한 해중 플랫폼상에 설치하고, 해중 플랫폼을 가상 해저로 함으로써 깊은 수심에서의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종래의 다목적 부이는 해면에 위치하는 부이 본체가 중간 부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 부이에 초음파식 파고계를 설치한 경우에는, 부이 본체에 의해 초음파가 흩뜨려져서 파고 등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부이 본체가 초음파식 파고계를 설치한 위치의 바로 위에 없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은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고, 또, 복수의 해중 플랫폼을 조합하거나 해중 플랫폼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늘림으로써, 크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을 인공어초로서 이용하는 실시형태를 도 1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을 인공어초로서 이용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중 플랫폼을 이용한 인공어초는 해중 플랫폼 (70)을 해면을 향해 복수개 겹친 것이다(도 14는 5개 사용한 예).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인공어초는 해중 플랫폼(70)의 와이어 관통구멍(75a)에 연결 섀클(83)을 고정하여 해중 플랫폼(70)을 소정의 간격으로 겹쳐 쌓아 올리고, 해중 플랫폼(70)간의 필요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 연결 섀클(83)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류에 의한 연결 섀클(83)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구멍(83a)이 설치되어 있다. 해중 플랫폼(70)을 겹쳐 쌓아 올린 후에, 해중 플랫폼(70)에 해초를 번무해서 조장(藻場)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는 해중 플랫폼(70)에 인공어초를 설치함으로써 다목적 부이의 설치 수역에 있어서의 어업 자원 환경 조사를 실행하는 것이다. 즉, 해면 아래 50m까지의 임의의 심도에 해중 플랫폼(70)을 설치하고, 유사 해저인 해중 플랫폼(70)에 인공어초를 설치하여, 다목적 부이의 설치 수역을 유람하는 어류를 모은다. 도 1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는데, 해중 플랫폼(70)의 위쪽에 계류된 다목적 부이 본체(1)에 설치한 서치라이트 소나(searchlight sonar) 등의 어군 탐지기에 의해서 어업 자원 환경 조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무선 또는, 전화회선 등의 통신수단을 다목적 부이에 설치함으로써 다목적 부이의 설치 수역에 있어서의 수온, 파고 및 서치라이트 소나 등에 비추어진 어군에 관한 정보를 부근의 어협, 어선 등에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어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과거의 어획고를 검토한 후, 해중 플랫폼(70)의 설치 심도, 설치 해역을 적절히 변경하여, 어느 수역 및 심도에 어떠한 어류가 생식하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장기적으로도 효율이 좋은 어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의 사시도이며, (b)는 도 3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 본체에 그레이팅부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 프레임의 전개도이다.
도 7은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사용 수를 늘린 해중 플랫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해중 플랫폼의 사용 수를 늘린 해중 플랫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부유체로서 발포스티롤을 이용한 해중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부유체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부이의 설치방법으로서, (a)~(d)를 공정순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황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해중 플랫폼 프레임의 짧은 변에 위치하는 접속 섀클의 2개소와 싱커 블록을 와이어로 고정한 것이고, (b)는 해중 플랫폼 프레임의 긴 변에 위치하는 접속 섀클의 3개소와 2개의 싱커 블록을 와이어로 고정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목적 부이의 다목적 부이 본체 및 해중 플랫폼에 설치한 관측기기 등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목적 부이의 해중 플랫폼을 인공어초로서 이용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부이를 부표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다목적 부이의 설치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여장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목적 부이 본체 2: 센터 폴
2a: 플랜지 2b: 상면 고정 섀클
2c: 하면 고정 섀클 2d: 손잡이
3: 상면 휠부 3a: 섀클
3b: 섀클 4: 그레이팅부
5: 하면 휠부 5a: 섀클
5b: 섀클 6: 플로트
7: 상부 폴 7a: 플랜지
7b: 암 7c: 표지등
8: 연결 폴 8a: 플랜지
8b: 섀클 9: 카운터 웨이트
9a: 플랜지 9b: 가이드 봉
9c: 추 10: 연결파이프
41a: 기준 싱커 블록 41b: 싱커 블록
41c: 공유 싱커 블록 42c: 기준 와이어
42d: 와이어 44a: 기준 섀클
44b: 섀클 60: 파일럿 부이
61: 플로트 부이 70: 해중 플랫폼
71: 프레임 73: 스트레이트 파이프
73a: 둥근 파이프 73b: 플랜지
73c: 볼트구멍 73d: 보강판
74: L자 파이프 74a: 엘보
74b: 플랜지 74c: 볼트구멍
74d: 보강판 75: 접속 섀클
75a: 와이어 관통구멍 75b: 구멍
75c: 볼트구멍 76: 그레이팅
76a: 바 76b: 브리지
78: 부유체 스트레이트 파이프 78a: 소켓형 플랜지
78b: 부유체(발포스티롤) 78c: 지주
78d: 보강판 79: 접속판
80: 상부 폴 내의 기기 81: 전송케이블
82: 해중 플랫폼상의 관측기기 83: 연결 섀클
83a: 구멍

Claims (9)

  1.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수저에 침착된 싱커 블록과, 상기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에 의해 해중에서 해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유지된 중간 부이로서의 해중 플랫폼과, 해면에 계류되는 다목적 부이 본체를 가지며,
    상기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기 해중 플랫폼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상기 해중 플랫폼은 바깥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기기를 탑재하는 그레이팅부를 갖고,
    상기 해중 플랫폼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둥근 파이프에 플랜지를 설치한 스트레이트 파이프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부이 본체는 상기 싱커 블록으로부터의 와이어가 상기 해중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상기 싱커 블록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 플랫폼은 바로 위의 해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하는 초음파식 파고계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 플랫폼은 해면 방향으로 상기 해중 플랫폼을 겹쳐 쌓아 올려서 어초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 플랫폼의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 플랫폼은 수면과의 수평방향에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해중 플랫폼을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이.
KR1020070133977A 2006-12-26 2007-12-20 다목적 부이 KR10118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50648 2006-12-26
JP2006350648A JP4453842B2 (ja) 2006-12-26 2006-12-26 海中プラットホ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158A KR20080060158A (ko) 2008-07-01
KR101185293B1 true KR101185293B1 (ko) 2012-09-21

Family

ID=3969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977A KR101185293B1 (ko) 2006-12-26 2007-12-20 다목적 부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53842B2 (ko)
KR (1) KR101185293B1 (ko)
TW (1) TW200909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28B1 (ko) * 2014-05-14 2015-04-08 (주)하나 에프알피 폰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20230124366A (ko) 2022-02-18 2023-08-25 (주)이알코리아 긴급 구조기능을 갖는 다기능 안전 감시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69B1 (ko) * 2011-03-02 2012-06-20 한국해양연구원 부이형 수중감시장치
KR200471954Y1 (ko) 2012-01-10 2014-04-01 김은숙 부유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웨이트
KR101500844B1 (ko) * 2013-02-13 2015-03-10 장영주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1717778B1 (ko) * 2016-03-25 2017-03-17 (주)씨텍 해양 관측용 부이 장치
KR101979228B1 (ko) * 2017-12-22 2019-05-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수중 음향 센싱 장치
CN110254672A (zh) * 2019-06-21 2019-09-20 上海亨通海洋装备有限公司 水下立体观测系统用拼装式海床基
CN114537588B (zh) * 2020-11-24 2023-02-03 舟山市自然资源测绘设计中心 一种借助人工鱼礁固定的浮标锚系系统
CN112874696B (zh) * 2021-01-27 2022-03-11 青岛海研电子有限公司 基于断面调查的子母波浪观测浮标
CN113602430B (zh) * 2021-08-25 2022-11-01 深圳市自然资源和不动产评估发展研究中心(深圳市地质环境监测中心) 一种海洋生态监测浮标
CN113650741B (zh) * 2021-09-13 2022-09-13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自浮拖航海上风电浮式基础及其施工方法
CN114778790B (zh) * 2022-06-20 2022-09-06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海洋生态修复工程海洋环境监测装置
CN116576829B (zh) * 2023-07-14 2023-10-03 山东国立环境检测科技股份有限公司 测量海底采样位置深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686U (ko) * 1977-04-26 1978-11-2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686U (ko) * 1977-04-26 1978-11-2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28B1 (ko) * 2014-05-14 2015-04-08 (주)하나 에프알피 폰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20230124366A (ko) 2022-02-18 2023-08-25 (주)이알코리아 긴급 구조기능을 갖는 다기능 안전 감시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158A (ko) 2008-07-01
JP2008162299A (ja) 2008-07-17
JP4453842B2 (ja) 2010-04-21
TW200909300A (en) 200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293B1 (ko) 다목적 부이
US7476074B2 (en) Method for realising a submerged floating foundation with blocked vertical thrust for the coordinated production of mariculture and electrical energy using wind in open sea conditions and submergeable floating foundation for carrying loads to be used in said method
US4850190A (en) Submerged ocean current electrical generator and method for hydrogen production
JP2014169625A (ja) 風力発電施設における基礎構造の施工方法
CN105857527B (zh) 三体组合式海上激光雷达测风浮标装置
KR102090876B1 (ko) 해양관측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CN100542882C (zh) 传递波浪势能的锚定装置
KR102311739B1 (ko) 파랑에 강한 해양관측부이의 구조
CN112407154A (zh) 一种浮标系统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elikkol et al. Open ocean aquaculture engineering: Mooring & net pen deployment
JP7017200B6 (ja) 監視計測システム及び監視計測塔の設置方法
CN206485522U (zh) 一种漂浮电站桩锚系统
CN113148055A (zh) 临时试验水池假底单元及基于该装置的耐波性试验方法
JP4111694B2 (ja) 多目的ブイ
CN115902874A (zh) 一种基于鱼礁上的监视系统
CN214267883U (zh) 一种浮标系统
Turner Offshore mariculture: Mooring system design
CN200993575Y (zh) 一种波浪能传递装置
JP2019151186A (ja) 浮体式環境観測装置
JP7459024B2 (ja) 洋上風力発電装置
US20210180558A1 (en) Underwater installation-type water-flow power generation system
CN215500922U (zh) 一种随水位升降的近海围网养殖装置
KR102485655B1 (ko)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JP5936040B2 (ja) 小型観測ブ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