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04B1 -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 Google Patents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604B1
KR100839604B1 KR1020070016500A KR20070016500A KR100839604B1 KR 100839604 B1 KR100839604 B1 KR 100839604B1 KR 1020070016500 A KR1020070016500 A KR 1020070016500A KR 20070016500 A KR20070016500 A KR 20070016500A KR 100839604 B1 KR100839604 B1 KR 10083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support
compressed air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회
Original Assignee
김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회 filed Critical 김정회
Priority to KR102007001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63C2009/0058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using means soluble in water, or weakening when w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공기를 개폐하는 공기충진장치와, 상기 공기충진장치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충진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공기가 이송되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고정 및 작동시키도록 지지장치와 잠금장치가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에는 중앙부에 펄프로 형성된 고정대가 형성되어 사고발생시, 물에 접촉하면 상기 고정대의 펄프가 물에 젖어 찢어짐으로써, 상기 개폐장치가 이탈되면서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가 빠르게 구명튜브에 흡입되어 해면 부유에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고를 감소시키고, 인명구조에 공헌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공기충진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압축공기탱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와 연통되어 공기를 구명튜브에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를 구명튜브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와;
상기 이송로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송로를 밀폐하도록 중앙부의 외주면에 오링이 형성되어 이송로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이송로를 오픈(OPEN)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평소에 개폐장치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평평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대와,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지지대와 연결대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일단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의 연결대에 결합되어 지지장치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과 동일하게 연결대에 결합되어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장치가 슬라이딩 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대,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명튜브, 튜브, 공기충진장치, 압축공기탱크, 펄프

Description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Air Charging Equipent of Life-tu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튜브와 공기충진장치 및 압축공기탱크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충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고정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명튜브 3 : 고무호스
4 : 압축공기탱크 10 : 케이스
20 : 공기유로 21 : 유입로
22 ; 이송로 23 : 배출로
30 : 개폐장치 31 : 오링
40 : 지지장치 41 : 지지대
42 : 연결대 43 : 가이드대
50 : 잠금장치 51 : 탄성스프링
52 : 고정대 53 : 펄프
60 : 스프링 100 : 공기충진장치
본 발명은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공기를 개폐하는 공기충진장치와, 상기 공기충진장치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충진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공기가 이송되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고정 및 작동시키도록 지지장치와 잠금장치가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에는 중앙부에 펄프로 형성된 고정대가 형성되어 사고발생시, 물에 접촉하면 상기 고정대의 펄프가 물에 젖어 찢어짐으로써, 상기 개폐장치가 이탈되면서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가 빠르게 구명튜브에 흡입되어 해면 부유에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고를 감소시키고, 인명구조에 공헌하는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계절에는 많은 사람들이 물가에서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피하게 된다. 하지만 물놀이를 함에는 많은 위험이 따르며,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키더라도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모두 대처하기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계절에는 물놀이중 사람들이 익사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수영미숙자나 어린이들의 사고가 전체 익사사고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사고에 대비해서 튜브 등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는 선박의 조난 또는 비행기 사고 등에서 해면 부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끼식 튜브나 목에 착용하여 잡아매는 목걸이식 튜브가 있으며, 재질은 외피 및 내피가 구명천 또는 고무로 되어 있고, 부력재로 코르크, 케이폭(kapok) 등이 삽입되어 사용되거나 간단하게 가스를 팽창시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튜브는 차가운 바다에 의한 온도 변화에 대하여 수축, 파손, 팽창, 녹거나 기계적 물성치가 저하되지 않아야 하고, 부력에 관해서도 초기 부력과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은 후의 부력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가 딱딱하지 않아 해난 사고자의 수영이나 기타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견인, 구조할 수 있도록 치밀하고, 견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튜브는 폴리에틸렌 폼이나 코르크, 케이폭(kapok) 등이 3∼4겹 겹쳐져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어 부력재로 사용되어, 튜브 착용자의 수영이나 기타 움직임을 방해하고, 비중이 크며, 개방된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폼이 사용되기도 하여 부력 및 방한성이 나쁘고 특히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는 경우에 개방된 셀에 해수가 침투되어 부력의 감소가 심하고 해수에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공기를 개폐하는 공기충진장치와, 상기 공기충진장치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충진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공기가 이송되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고정 및 작동시키도록 지지장치와 잠금장치가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에는 중앙부에 펄프로 형성된 고정대가 형성되어 사고발생시, 물에 접촉하면 상기 고정대의 펄프가 물에 젖어 찢어짐으로써, 상기 개폐장치가 이탈되면서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가 빠르게 구명튜브에 흡입되어 해면 부유에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고를 감소시키고, 인명구조에 공헌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고무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공기충진장치와;
상기 공기충진장치와 고무호스로 연통되어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충진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압축공기탱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와 연통되어 공기를 구명튜브에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를 구명튜브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로,로 이루어진 공기유로와;
상기 이송로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송로를 밀폐하도록 중앙부의 외주면에 오링이 형성되어 이송로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이송로를 오픈(OPEN)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평소에 개폐장치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평평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대와,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지지대와 연결대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일단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의 연결대에 결합되어 지지장치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과 동일하게 연결대에 결합되어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장치가 슬라이딩 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대,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튜브와 공기충진장치 및 압축공기탱크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구조는 구명튜브(1)와, 공기충진장치(100)와, 압축공기탱크(4)로 구성된다.
상기 구명튜브(1)는 일반적인 구조로, 방수 재질의 외피 내부에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부(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상에 사람의 체중을 견디면서 부상(浮上)할 수 있는 정도의 공기나 부유체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재난 시 물에 빠져 익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튜브(1) 이외에 인명구조에 사용되는 모든 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구명튜브(1)의 공간부(2) 외주면에는 고무호스(3)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고무호스(3)를 통해 공기 또는 부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고무호스(3)의 타단부에는 공기 또는 부유체를 조절할 공기충진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탱크(4)는 구명튜브(1)에 공기가 꽉 찰 정도 또는 95%정도의 용량으로 형성되고, 캡슐형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소재인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탱크(4)의 일단부에는 압축공기를 개폐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기충진장치(100)가 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충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공기충진장치(100)는 케이스(10)와, 공기유로(20)와, 개폐장치(30)와, 지지장치(40)와, 잠금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양한 부속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도 내부의 부속장치들(개폐장치(30), 지지장치(40), 잠금장치(50))이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제(미도시)가 내부와 외부(케이스(10)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완충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로 일반적인 스펀지,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부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속장치 및 완충제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오픈부(미도시)와, 상기 오픈부를 덮는 커버(12)와 결속장치(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고무호스(3)에 의해 구명튜브(1)와 압축공기탱크(4)를 연결할 수 있도록 너트부(14)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부속장치들을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5)가 부속장치들의 형상에 맞춰서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로(20)는 상기 케이스(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너트부(14)로 압축공기탱크(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너트부(14)의 일단부에서 케이스(10)의 내부로 형성되는 유입로(21)와, 상기 유입로(21)가 측면에 연통되어 공기를 구명튜브(1)에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는 이송로(22)와, 상기 유입로(21)가 형성된 이송로(22)의 반대측 측면에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를 구명튜브(1)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로(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입로(21)와 배출로(23)는 이송로(22)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로(21)와 배출로(23)는 동일선상에서 도면상 상,하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단을 지게 형성되어 유입로(21)로 유입된 공기가 바로 배출로(23)로 빠져 나가지 않고, 이송로(22) 내부에 머물다 빠져나갈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로(23)는 케이스(10)와 구명튜브(1)가 연결된 고무호스의 장치부에서 케이스(10)의 내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로(22)의 끝단부 내주면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개폐장치(30)의 일단부가 일정간격 이송로(22)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2a)은 개폐장치(30)의 축대 원통 둘레 크기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30)는 원통형의 축대로 형성되어 충격이나 압력에도 파손이나 휘어지지 않도록 스테인레스(STS)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송로(22)에 유입된 공기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개폐장치(30)가 이송로(22)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장치(30)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오링(31)이 끼워져, 상기 오링(31)이 이송로(22)의 내주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상기 이송로(22)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오링(31)은 일반적인 원통형 또는 원형막으로 형성되어 개폐장치(30)의 외주면과 이송로(22)의 내주면 사이를 밀접하게 개폐하고, 상기 오링(31)은 유입로(21)와 배출로(23)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폐장치(30)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장치(30)는 항시 오링(31)이 유입로(21)와 배출로(2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3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개폐장치(30)의 일단부가 스 프링(60)에 내삽되고, 상기 스프링(60)은 끝단부가 케이스(10)의 내주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60)의 일단부는 개폐장치(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2)에 접촉되어 한쪽방향으로 평소에 압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30)는 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이송로(22)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며, 상기 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송로(22)를 이탈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60)이 설치된 개폐장치(30)의 반대측에는 지지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장치(40)는 개폐장치(30)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평소에 개폐장치(30)가 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평평한 지지대(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4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주면에 결합돌기(42a)가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대(4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42a)가 끼워져 지지대(41)와 연결대(42)가 도면상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일단면에 가이드홀(43a)이 형성된 가이드대(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대(43)는 케이스(10)의 내부면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42a)에 결합부재가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대(43)와 케이스(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장치(40)는 지지대(41)와 연결대(42)가 단면상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4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2a)가 가이드대(43)의 가이드홀(43a)을 따라 도면상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41)는 케이스(10) 내주면 평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5)의 지지에 의해 도면상 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고정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 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잠금장치(50)는 탄성스프링(51)과, 상기 탄성스프링(5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대(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51)은 외측으로 튀어나가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는 스프링으로써, 일측이 상기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에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프링 결합고리(51a)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결합고리(51a)에 탄성스프링(51)의 일측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51)의 타측은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51)은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와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압축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52)는 탄성스프링(51)과 동일하게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51)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케이스(10)의 내주면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52)는 지지장치(40)가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외측(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52)는 중앙부가 펄프(53)로 형성되고, 상기 펄프(53)에 물이 접촉하면 펄프(53)가 찢어지면서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외측(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지지장치(40)가 슬라이딩되어 이송로(22) 내부에 형성된 개폐장 치(30)가 이송로(22)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펄프(53)는 신문용지와 같은 재질의 종이를 여러겹 적층하여 형성하거나, 평소에는 풀이 먹여진 것처럼 빳빳하고 딱딱하다 물에 젖으면 삽시간에 찌져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구명튜브와 공기충진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충진장치가 이탈시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공기배출이 차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압축공기탱크의 공기를 개폐하는 공기충진장치와, 상기 공기충진장치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충진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공기가 이송되도록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장치를 고정 및 작동시키도록 지지장치와 잠금장치가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에는 중앙부에 펄프로 형성된 고정대가 형성되어 사고발생시, 물에 접촉하면 상기 고정대의 펄프가 물에 젖어 찢어짐으로써, 상기 개폐장치가 이탈되면서 공기유로를 개방하여 압축공기탱크의 압축공기가 빠르게 구명튜브에 흡입되어 해면 부유에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고를 감소시키고, 인명구조에 공헌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탱크(4)와;
    상기 압축공기탱크(4)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개폐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단부에서 내부로 압축공기탱크(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로(21)와, 상기 유입로(21)와 연통되어 공기를 구명튜브(1)에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이송로(22)와, 상기 이송로(22)와 연통되어 유입된 공기를 구명튜브(1)에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로(23)로 이루어진 공기유로(20)와; 상기 이송로(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이송로(22)를 밀폐하도록 중앙부의 외주면에 오링(31)이 형성되어 이송로(22)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이송로(22)를 오픈(OPEN)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스프링(6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개폐장치(30)와; 상기 개폐장치(30)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평소에 개폐장치(30)가 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평평한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주면에 결합돌기(42a)가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대(42)와, 상기 결합돌기(42a)가 끼워져 지지대(41)와 연결대(42)가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일단면에 가이드홀(43a)이 형성되는 가이드대(43),로 이루어지는 지지장치(40)와; 상기 지지장치(40)의 연결대(42)에 결합되어 지지장치(40)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탄성스프링(51)과, 상기 탄성스프링(51)과 동일하게 연결대(42)에 결합되어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지지장치(40)가 슬라이딩 되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대(52),로 이루어진 잠금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충진장치(100)와;
    상기 공기충진장치(100)와 고무호스(3)로 연통되어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명튜브(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50)는 고정대(52)의 중앙부가 펄프(53)로 형성되고, 상기 펄프(53)에 물이 접촉하면 펄프(53)가 찢어지면서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지지장치(4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3. 삭제
KR1020070016500A 2007-02-16 2007-02-16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KR10083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00A KR100839604B1 (ko) 2007-02-16 2007-02-16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00A KR100839604B1 (ko) 2007-02-16 2007-02-16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04B1 true KR100839604B1 (ko) 2008-06-20

Family

ID=3977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500A KR100839604B1 (ko) 2007-02-16 2007-02-16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78B1 (ko) * 2013-03-11 2014-11-05 연승모 수상 인명 구조장치
WO2018043849A1 (ko) * 2016-08-31 2018-03-08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CN109131782A (zh) * 2018-08-11 2019-01-04 李俊松 飞饼式水上救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541A (en) * 1988-03-24 1989-12-19 Rodemann Will B Deployable flotation device
JPH03121990A (ja) * 1989-04-17 1991-05-23 Satoshi Kubo 救命具の緊急ガス充填装置
KR960010448A (ko) * 1994-09-03 1996-04-20 문병준 구명튜브
KR20030025250A (ko) * 2003-02-15 2003-03-28 용 달 장 구명복의 자동팽창장치
US20050245149A1 (en) 2004-04-29 2005-11-03 Irvin Aerospace Canada Limited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541A (en) * 1988-03-24 1989-12-19 Rodemann Will B Deployable flotation device
JPH03121990A (ja) * 1989-04-17 1991-05-23 Satoshi Kubo 救命具の緊急ガス充填装置
KR960010448A (ko) * 1994-09-03 1996-04-20 문병준 구명튜브
KR20030025250A (ko) * 2003-02-15 2003-03-28 용 달 장 구명복의 자동팽창장치
US20050245149A1 (en) 2004-04-29 2005-11-03 Irvin Aerospace Canada Limited Water activated inflator for inflatable device and method of air deploy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78B1 (ko) * 2013-03-11 2014-11-05 연승모 수상 인명 구조장치
WO2018043849A1 (ko) * 2016-08-31 2018-03-08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CN109131782A (zh) * 2018-08-11 2019-01-04 李俊松 飞饼式水上救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1783A1 (fr) Dispositif de sauvetage marin anti-chavirage
KR101624055B1 (ko) 수상 인명 구조용 튜브
JP5961014B2 (ja) 背負いバッグ
KR100839604B1 (ko)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KR101357279B1 (ko) 개량형 개인 구명장치
CN202147831U (zh) 一种水上逃生舱
CN107380372A (zh) 一种便携式潜水设备
US20070157926A1 (en) Heat-retaining lifesaving appliance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20180069150A (ko) 헬륨풍선이 구비된 구명조끼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JP2009083850A (ja) 水難救助装置
EP2417015B1 (en) Marine safety device
CN205076012U (zh) 一种水难逃生潜囊
KR200420884Y1 (ko) 보온 구명 기구
CN207747997U (zh) 具有呼吸功能的折叠式救生衣
JP2001310795A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KR200458268Y1 (ko) 안전 구명튜브
KR101930170B1 (ko) 구명 조끼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CN105083496B (zh) 一种水难逃生潜囊
CN213292660U (zh) 一种海洋救生浮网
JP2000318683A (ja) ライフジャケット
US572109A (en) goedon
CN220640199U (zh) 开关控制的充气系统及防溺水自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