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170B1 - 구명 조끼 - Google Patents

구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170B1
KR101930170B1 KR1020170113742A KR20170113742A KR101930170B1 KR 101930170 B1 KR101930170 B1 KR 101930170B1 KR 1020170113742 A KR1020170113742 A KR 1020170113742A KR 20170113742 A KR20170113742 A KR 20170113742A KR 101930170 B1 KR101930170 B1 KR 10193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air
air storage
sp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현
Original Assignee
박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현 filed Critical 박충현
Priority to KR102017011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2Air supply carried by d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2011/123Diving masks comprising integrated headlights, spotligh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 팽창공간으로 가스의 주입을 통해 팽창되는 자켓부; 및 사용자의 얼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켓부는, 상기 내부에 상기 가스 팽창공간과 격리되는 공기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공기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상기 공기 저장공간과 공기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자켓부와 일체 형성되되, 상기 자켓부의 형태에 맞춰 형상이 변경되어 상기 자켓부 상에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을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명 조끼{Life Jacket}
본 발명은 구명 조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마스크가 일체화된 구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 조끼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레프팅 등과 같은 수상레저 스포츠를 할 때에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이다.
수영이 미숙한 사람을 안전하게 물 위로 띄우거나 강이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에 해난사고를 대비하여 구명 조끼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구명 조끼는 두 겹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두 겹으로 형성된 구명 조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명 조끼는 수상 활동에 있어서 수면 위로 몸을 부상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물로 인한 체온저하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구명 조끼는, 항시 부력성으로 인해 선박의 침몰 등의 경우 선내에 존재하는 고립된 생존자들은 물 밑으로의 탈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수상 활동 중 어느 곳에서든지 사고가 일어나도 사고자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구명 조끼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관련 사고 시 장소를 불문하고 사고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구명 조끼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 팽창공간으로 가스의 주입을 통해 팽창되는 자켓부; 및 사용자의 얼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켓부는, 상기 내부에 상기 가스 팽창공간과 격리되는 공기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공기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상기 공기 저장공간과 공기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자켓부와 일체 형성되되, 상기 자켓부의 형태에 맞춰 형상이 변경되어 상기 자켓부 상에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을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저장공간은, 상기 자켓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 상기 자켓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저장공간;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 상기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 상에 구비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가 기설정압력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줄이고,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가 기설정압력 범위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늘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공기 저장공간과 공기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 호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중 호흡기는, 상기 사용자의 들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상기 공기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상기 외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중 호흡기는, 상기 사용자의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구; 상기 공기 연결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마스크부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 및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은,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제1 공간;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위치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 분리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스크부의 전방의 시야를 밝혀주는 라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는, 부력 기능과 잠수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항시 부력성을 탈피함으로써, 해상 관련 사고 중 고립된 상황에서도 탈출이 용이하고 수영을 못하더라도 자동 부력 장치로 해상으로의 탈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는, 마스크부가 자켓부와 일체화 형성되되, 마스크부가 자켓부의 크기에 맞춰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는, 제어부를 통해 자켓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제2 공기 저장공간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중에서 사용자의 안정적인 부력 상승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는, 마스크부에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공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수중 호흡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위한 장치가 단순해져 신뢰성이 향상되고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는, 마스크부에 사용자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공간과 그 외의 공간을 공간 분리대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마스크부의 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마스크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수중 호흡기의 상세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에서 마스크를 보관하는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마스크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수중 호흡기의 상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에서 마스크를 보관하는 절차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 자켓부(20), 공기 연결라인(3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명 조끼(1)를 설명하도록 한다.
마스크부(10)는, 사용자(U)의 얼굴(도시하지 않음)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후술할 공기 저장공간(21) 내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공기 저장공간(21)과 후술할 공기 연결라인(30)을 통해 연결되어 자켓부(20)와 일체 형성되되, 자켓부(20)의 형태에 맞춰 형상이 변경되며, 자켓부(20) 상에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을 가지는 프레임(10b)을 가진다.
도 4를 살펴보면, (a), (b)와 같이 마스크부 탈부착 장치(25)에 마스크부(10)가 부착되고, (c)와 같이 마스쿠부(10)의 프레임(10b)의 자켓부(20)의 제1 몸체(20a)의 형태에 맞춰 형상이 변경되어 자켓부(20)의 제1 몸체(20a) 전방에 보관이 가능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가 자켓부(20)와 일체화 형성되되, 마스크부(10)가 자켓부(20)의 크기에 맞춰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부(10)는, 사용자(U)의 얼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사용자(U)의 시야를 확보해주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창(10a), 전면창(10a)과 연결되어 마스크부(10)의 형태를 유지하되, 탄성의 재질을 가지는 프레임(10b) 및 프레임(10b)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U)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머리 조임 장치(10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부(10)는, 수중 호흡기(11), 공간 분리대(12) 및 라이트(13)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수중 호흡기(11)는, 마스크부(10)의 하측공간인 사용자(U)의 입(도시하지 않음)과 코(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는 공간에 형성되며, 공기 저장공간(21)과 공기 연결라인(30)을 통해 연결되어 공기 저장공간(21) 내의 공기를 공급받아 사용자(U)에게 공급하고, 사용자(U)에게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중 호흡기(11)는, 사용자(U)의 들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공기 저장공간(2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사용자(U)의 날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외부(도시하지 않음)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도 3의 (b) 및 (c)를 토대로 하여 수중 호흡기(11)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중 호흡기(11)는, 사용자(U)의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구(111), 공기 연결라인(30)과 연결되어 공기 저장공간(2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112), 마스크부(10)의 내부 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며, 이산화탄소 배출구(111)와 공기 유입구(1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 및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은, 사용자(U)의 날숨에 의해서 스프링(S)을 가압하며, 이산화탄소 배출관(111)과 연결되며, 사용자(U)의 들숨 및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서 공기 유입구(11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은, 사용자(U)의 날숨에 의해서 하방으로 진행하며 스프링(S)을 가압하고, 하방 진행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배출관(111)과 연결되어 사용자(U)의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은, 하방 진행으로 인해 공기 유입구(112)와는 연결되지 못하고 공기 유입구(112)가 차단된다.
이후, 사용자(U)의 날숨이 끝나 날숨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스프링(S)의 복원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스프링(S)의 복원력과 사용자(U)의 들숨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통해서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113)은 상방 진행하게 되며, 상방 진행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배출관(111)은 차단되고 공기 유입구(112)와 연결되어 공기를 마스크부(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에 사용자(U)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공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수중 호흡기(11)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U)의 호흡을 위한 장치가 단순해져 신뢰성이 향상되고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공간 분리대(12)는, 사용자(U)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제1 공간(12a)과 사용자(U)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위치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12b) 사이에 형성되며, 제1 공간(12a)과 제2 공간(12b)을 구획하도록 사용자(U)의 얼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에 사용자(U)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공간과 그 외의 공간을 공간 분리대(12)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마스크부(10)의 전면창(10a)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라이트(13)는, 프레임(10b)의 전방에 형성되며 좌, 우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마스크부(10)의 전방 시야를 밝혀줄 수 있다.
자켓부(20)는, 좌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20a)와 우측에 형성되는 제2 몸체(20b)가 전방에 자켓 조임 장치(20c)에 의해 사용자(U)의 몸체(도시하지 않음)와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제1 몸체(20a)와 제2 몸체(20b) 각각에 자켓 어깨 끈(20d)이 형성되어 사용자(U)의 어깨와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자켓부(20)는,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 팽창공간(22)으로 가스의 주입을 통해 팽창되며, 내부에 가스 팽창공간(22)과 격리되는 공기 저장공간(21)을 가진다. 이를 통해, 자켓부(20)는, 공기 저장공간(21)을 통한 잠수 기능과 가스 팽창공간(22)을 통한 부력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항시 부력성을 탈피함으로써, 해상 관련 사고 중 고립된 상황에서도 탈출이 용이하고 수영을 못하더라도 자동 부력 장치로 해상으로의 탈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자켓부(20)는, 제1 및 제2 몸체(20a,20b) 각각에 공기 저장공간(21a,21b)과 가스 팽창공간(22)을 가지며, 제1 및 제2 몸체(20a,20b) 각각에 공기 저장공간(21a,21b)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부(23)를 가지고, 제1 몸체(20a)에는 공기 저장공간(21a)과 공기 연결라인(30)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호흡버튼(24) 및 마스크부 탈부착 장치(25)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저장공간(21a,21b)은, 자켓부(20)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20a)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자켓부(20)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몸체(20b)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저장공간(21b)을 가지고,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은, 제1 및 제2 몸체(20a,20b) 각각에 가스 팽창공간(22)과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은,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21c)에 의해서 연결되어 공기를 서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21c) 상에는 제어밸브(21d)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저장공간(21a,21b)은,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내의 각각의 압력을 측정하여 내부 압력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러한 내부 압력의 차이를 통해 제어 밸브(21d)를 제어함으로써,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2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e)는,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간의 압력 차가 기설정압력 범위 이하인 경우 제어 밸브(21d)의 개도를 줄이고,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간의 압력 차가 기설정압력 범위 초과인 경우, 제어 밸브(21d)의 개도를 늘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제어부(21e)를 통해 자켓부(20)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중에서 사용자(U)의 안정적인 부력 상승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가스 팽창공간(22)은, 제1 및 제2 몸체(20a,20b) 각각에 공기 저장공간(21a,21b)과 격리되도록 자켓부(20) 내부에 형성되며, 사용전에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다가 팽창버튼(22a)에 의해 가스 실린더(22b)가 작동하면, 가스 실린더(22b)에 의해 가스가 가스 팽창공간(22)으로 공급되어 팽창될 수 있다.
공기 연결라인(30)은, 마스크부(10)와 자켓부(20)를 연결하며 마스크부(10)와 자켓부(2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공기 연결라인(30)은, 자켓부(20)에 구비되는 공기 저장공간(21)과 마스크부(10)에 형성되는 수중 호흡기(11)를 연결하여, 마스크부(10)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기 구명 조끼(1)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5의 a를 보면 기존 라이프 자켓(구명 조끼)의 경우 항시 부력성 때문에 사용자(U)가 물에 의해 고립되는 위난에 처해 있는 경우 탈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도 5의 b1을 보면 사용자(U)가 물에 의해 고립되는 위난에 처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U)가 본 발명의 구명 조끼(1)를 입고 구명 조끼(1)를 통해서 부력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잠수 기능을 수행하여 잠수한 후 b2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U)는, b2의 위치에서 부력 기능을 사용하여 b3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고, 계속적인 상승으로 b4위치까지 상승하여 살아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들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부력 기능과 잠수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항시 부력성을 탈피함으로써, 해상 관련 사고 중 고립된 상황에서도 탈출이 용이하고 수영을 못하더라도 자동 부력 장치로 해상으로의 탈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가 자켓부(20)와 일체화 형성되되, 마스크부(10)가 자켓부(20)의 크기에 맞춰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제어부(21e)를 통해 자켓부(20)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21a)과 제2 공기 저장공간(21b)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중에서 사용자(U)의 안정적인 부력 상승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에 사용자(U)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공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수중 호흡기(11)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U)의 호흡을 위한 장치가 단순해져 신뢰성이 향상되고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1)는, 마스크부(10)에 사용자(U)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공간과 그 외의 공간을 공간 분리대(12)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마스크부(10)의 전면창(10a)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구명 조끼 10: 마스크부
10a: 전면창 10b: 프레임
10c: 머리 조임 장치 11: 수중 호흡기
111: 이산화탄소 배출구 112: 공기 유입구
113: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 12: 공간 분리대
12a: 제1 공간 12b: 제2 공간
13: 라이트 20: 자켓부
20a: 제1 몸체 20b: 제2 몸체
20c: 자켓 조임 장치 20d: 자켓 어깨 끈
21: 공기 저장공간 21a: 제1 공기 저장공간
21b: 제2 공기 저장공간 21c: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
21d: 제어 밸브 21e: 제어부
22: 가스 팽창공간 22a: 팽창 버튼
22b: 가스 실린더 23: 압력 표시부
24: 호흡 버튼 25: 마스크부 탈부착 장치
30: 공기 연결라인 S: 스프링

Claims (7)

  1.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 팽창공간으로 가스의 주입을 통해 팽창되는 자켓부; 및
    사용자의 얼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켓부는,
    상기 내부에 상기 가스 팽창공간과 격리되는 공기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공기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상기 공기 저장공간과 공기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자켓부와 일체 형성되되,
    상기 자켓부의 형태에 맞춰 형상이 변경되어 상기 자켓부 상에 보관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을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저장공간은,
    상기 마스크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잠수 기능을 가지고,
    상기 가스 팽창공간은,
    사용 전에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다가, 팽창 버튼을 통해 작동되는 가스 실린더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어 팽창되는 부력기능을 가지며,
    상기 공기 저장공간은,
    상기 자켓부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공기 저장공간;
    상기 자켓부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저장공간;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
    상기 공기 저장공간 연결라인 상에 구비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간의 압력 차에 의한 토크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가 기설정압력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줄이고,
    상기 제1 공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2 공기 저장공간 내의 압력의 차이가 기설정압력 범위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밸브의 개도를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조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공기 저장공간과 공기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중 호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중 호흡기는,
    상기 사용자의 들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상기 공기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통해 전달되는 힘으로 상기 외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조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호흡기는,
    상기 사용자의 이산화탄소를 상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구;
    상기 공기 연결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저장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마스크부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 및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에 탄성력을 공급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탄소-공기 분리관은,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조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제1 공간;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배치되는 위치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 분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조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스크부의 전방의 시야를 밝혀주는 라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조끼.
KR1020170113742A 2017-09-06 2017-09-06 구명 조끼 KR10193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42A KR101930170B1 (ko) 2017-09-06 2017-09-06 구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42A KR101930170B1 (ko) 2017-09-06 2017-09-06 구명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170B1 true KR101930170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42A KR101930170B1 (ko) 2017-09-06 2017-09-06 구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361A (ko) 2018-12-31 2020-07-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생산 모듈, 및 전력 생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14B1 (ko) * 2008-05-10 2009-05-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JP2013082412A (ja) * 2011-10-12 2013-05-09 Hiroshi Takeda 津波救命胴衣
KR200483351Y1 (ko) * 2016-10-25 2017-05-02 박효군 스노클링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14B1 (ko) * 2008-05-10 2009-05-08 권칠성 화재대피용 방독마스크
JP2013082412A (ja) * 2011-10-12 2013-05-09 Hiroshi Takeda 津波救命胴衣
KR200483351Y1 (ko) * 2016-10-25 2017-05-02 박효군 스노클링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361A (ko) 2018-12-31 2020-07-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생산 모듈, 및 전력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179B2 (en) Combination inflator and manifold assembly
US11814146B2 (en) Low pressure surface supplied air system and method
US2012027447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cuing a distressed diver
US876360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cuing a distressed diver
US7937770B1 (en) Inflatable swimsuit
US201201284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buoyancy compensation for a scuba diver or underwater device while in any orientation
KR100863845B1 (ko) 개인 휴대용 구명정
US20070157926A1 (en) Heat-retaining lifesaving appliance
KR101930170B1 (ko) 구명 조끼
GB2438606A (en) Buoyant submarine escape suit
JP7222931B2 (ja) ウォータースポーツ用カラー救命具
JP3806574B2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KR20190105397A (ko) 해상활동 및 구명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라이프재킷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KR101961773B1 (ko) 목을 리프팅해줄 수 있는 구명조끼
CA2720574C (en)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KR20150029477A (ko) 무게추 겸용 기도 확보 기능을 가지는 해녀 구명장치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GB2298141A (en) Counterlung breathing apparatus
JP2000318683A (ja) ライフジャケット
CN220391500U (zh) 一种自动充气式脖挂救生衣
CN217893187U (zh) 一种便携式潜水逃生呼吸器
JP3065606U (ja) 救命胴衣として機能する常時着用型の安全衣
CN220701328U (zh) 紧急逃生呼吸系统
RU2775285C2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воротник для водных видов спо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