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280A - 개인용 구명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구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280A
KR20090055280A KR1020070122127A KR20070122127A KR20090055280A KR 20090055280 A KR20090055280 A KR 20090055280A KR 1020070122127 A KR1020070122127 A KR 1020070122127A KR 20070122127 A KR20070122127 A KR 20070122127A KR 20090055280 A KR20090055280 A KR 20090055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ersonal
tubes
distres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973B1 (ko
Inventor
박은숙
이현정
Original Assignee
박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숙 filed Critical 박은숙
Priority to KR102007012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9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9/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시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에 있어서, 상황 발생시 즉시 작동 가능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개인용 구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주로 수상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작동 로우프를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배낭 또는 벨트 형태 등으로 된 인체 체결 수단에 결합된 개인용구명기구가 즉시 작동, 전개되어 파도나 출렁임이 심한 수상에 안전하게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작동 로우프를 당겨줌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폭장치인 스퀴브와, 이에 의하여 발화되는 발화제, 발화제에 의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기체발생제로 구성된 팽창수단과, 팽창수단의 기체가 분사되는 팽출부가 튜브에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개인용 구명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팽출부와 복수개의 튜브를 신축 및 굴신 가능한 연결 호스에 의하여 연결하되, 복수개의 튜브와 연결호스를 잇는 직경이 팽창 순서에 따라 차등화 된 직경의 급기관으로 연결하여서 된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용하고 있는 배낭이나 벨트, 구명조끼, 수상작업복 등 형태로 된 인체착용수단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작동 로우프를 당겨주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개인용 구명장치가 즉시 작동 개시될 수 있는 것이어서,
수상 작업 현장이나 선박 등에서 조난을 당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 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귀중한 인명을 효과적으로 구출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개인 구명 튜브 팽창수단 에어백

Description

개인용 구명 장치{Personal Survival Apparatus}
본 발명은 개인용 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 조난시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바다나 강 등에서 조난시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개인용 구명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예를 도 1, 2로 도시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310960호(고안의 명칭: 조난용 구명장치;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해상 조난시 조난자(131)를 보호하고 장기간의 표류에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조난자(131)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공간(132)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조난자(131)가 물에 노출되지 않아 생존확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난용 구명장치(1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구명장치(130)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공기통로(135)를 가지는 링튜브(136)의 내측면을 차단막(137)으로 연결하여 구비되는 상판(138)과 하판(139);
상기 상, 하판(138, 139)상간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140)를 가지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도에어폴(141, 142)과;
상기 경도에어폴(141, 142)상간에 경도에어폴(141, 142)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구명장치(130) 전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통로(140)를 가지고 연결되는 위도에어폴(143, 144)과;
상기 경도에어폴(141, 142) 및 위도에어폴(143, 144) 상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착되는 차단벽(145)과;
상기 상판(138)에 조난자(131)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지퍼(146)로 개폐되는 도어(147)와;
상기 하판(139)에 일체로 연결되어 조난자(131)가 입수시와 입수후 움직일 수 있도록 다리를 삽입할 수 있게 구비되는 레그튜브(150)와;
상기 하판(139)의 차단막(137)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더 구비하는 심재(151)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장치(130)의 내부에는 링튜브(136)와 경도에어폴(141, 142) 및 위도에어폴(143, 144)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통상적인 팽창수단(155)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선박에 승선하는 개인이 휴대하거나 선박에 별도로 구비하여 조난시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데, 평상시에는 공기를 제거하여 부피를 최소화 하고, 내부에는 비상식량이나 조난시 필요한 도구들을 미리 삽입하 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난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조난자(131)는 구명장치(130)의 상판(138)에 구비되는 도어(147)를 개방하여 구명장치(30) 내부의 공간(132)으로 진입한 후 도어(147)를 닫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난자(131)는 하판(139)에 일체로 구비되는 레그튜브(150)에 발을 삽입시킴으로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물속으로 뛰어들 수 있게 되고, 물속으로 뛰어든 후에는 팽창수단(155)을 이용하여 링튜브(136)와 경도에어폴(141, 142) 및 위도에어폴(143, 144)에 공기를 주입시켜 구명장치(130)가 완전한 구(救)형상을 유지하여 수면에 부상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명장치(130)가 구형상을 유지할 경우에는 조난자(131)는 발을 레그튜브(150)로 부터 이탈시켜 구명장치(130) 내부에서 정좌상태나 기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구조를 기다리면 된다.
물론, 물의 온도가 낮지 않거나 파도 및 바람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판(138)에 구비되는 도어(147)를 개방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발을 레그튜브(150)에 삽입하여 발을 움직임으로서 이동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구명장치의 내부에 조난자(131)가 위치하기 때문에 파도나 바람 및 물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보호되고, 구명장치(130)의 내부에 구비된 비상식량이나 구조신호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적극적인 구조를 표명할 수 있어 장기간의 표류에도 구조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다른 개인용 구명장치를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98424(발명의 명칭: 구명기구; 이하 '인용발명2'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이는 인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팽창하여 부력을 받도록 하며, 서로에 대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통된 다수의 부구들과; 상기 부구들을 서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부구들 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용적으로 팽창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다수의 공기기둥들과; 상기 공기기둥들 사이를 밀폐하며, 상기 공기기둥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막들과; 상기 부구들의 양단에 일체로 취부 되어 부구들의 양단을 밀폐하는 커버들과; 상기 커버들 중 어느 하나의 커버의 단부에 형성되어 커버를 조여주어 밀폐시키는 상단조임구와; 상기 상단조임구를 조여주어 상기 상단조임구를 밀폐시키는 커버조임끈과; 상기 커버들 중 다른 하나의 커버에 일체로 고정되며, 조난자가 다리를 넣고, 다리를 뻗음에 따라 연장될 수 있는 주름구조로 형성된 다리삽입부와; 상기 부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조난자가 상기 부구들 중 최하위의 부구를 적어도 조난자의 허리높이까지 들어 올리는 경우에 동작되어 압축공기 또는 화학반응가스 등을 불어넣어 상기 부구들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기기둥들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수단;들을 포함하여서 된 것으로,
미팽창된 상태에서 그대로 상단커버(251)위에 올라서서 상기 제3부구(231)를 허리높이 정도까지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이러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한 팽창수단(281)이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부구들 및 공기기둥들 내로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구명기구가 팽창됨에 따라 조난자의 키보다 더 높 이까지 팽창하고, 완전히 팽창되면서 상기 상단커버(251)에 형성된 상단조임구(252) 내에 끼워지고, 그 양단부가 상기 제3부구(231)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커버조임끈(253)이 긴장함에 따라 상기 상단조임구(52)가 자동적으로 조여지게 된다. 한편, 조난자는 다리를 상기제3부구(231)에 일체로 고정된 하단커버(232)로부터 연장 가능한 주름구조의 다리 삽입부(241) 내로 다리를 삽입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수상에서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다리를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부구(231)의 표면에는 조난자가 허리높이까지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55)가 더 취부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난자는 상기 제3부구(231)를 들어 올릴 때, 상기한 손잡이(255)를 파지하여 들어 올리도록 함으로써 미팽창 된 상태의 제3부구(231)도 손쉽게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구명기구를 쉽게 팽창시켜 위난으로부터 탈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인용발명 1, 2에 의한 종래의 개인용 구명장치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 가져다가 구명장치 내부로 들어가서 착용을 시작하여야 하는 것이나, 위급한 상황에서는 구명장치를 가져다가 착용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높고,
개인용 구명장치의 사용법을 숙지시킬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개인용 구명장치는 선박 등에 별도로 보관할 장소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수상 작업자의 경우에는 보관하거나 위급 상황시 착용할 장소 및 시간적 여유가 전혀 없으므로 조난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인용발명 1, 2 공히 수상에 낙하하였을 시 구명장치 내부에 들어간 조난자가 특히 파도나 출렁임이 상존하는 수상 여건에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심한 경우 뒤집힐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밀폐된 협소한 공간에서 물이 채워지고, 최소한의 유영조차 불가능 상태가 야기되어 오히려 익사할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개인용 구명장치는 인체를 협소한 밀폐 공간에 구속하여 일체의 활동을 제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폐소공포증을 가진 사람에게는 사용에 거부감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폐쇄된 공간에서는 원활한 호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배설등 최소한의 생리 현상 해소조차 불가능하여 장시간의 구조대기는 원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인용발명 1, 2는 튜브를 통하여 발이 수온이 낮은 물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어서 냉기가 인체의 하반부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저체온증으로 구조되기 전에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로 수상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에 작동 로우프를 당겨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배낭 또는 벨트 형태등으 로 된 인체 체결 수단에 결합된 개인용구명기구가 즉시 작동, 전개되어 파도나 출렁임이 심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동 로우프를 당겨줌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폭장치인 스퀴브와, 이에 의하여 발화되는 발화제, 발화제에 의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기체발생제로 구성된 팽창수단과, 팽창수단의 기체가 분사되는 팽출부가 튜브에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개인용 구명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팽출부와 복수개의 튜브를 신축 및 굴신 가능한 연결 호스에 의하여 연결하되, 복수개의 튜브와 연결호스를 잇는 직경이 팽창 순서에 따라 차등화 된 직경의 급기관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등 부분의 제 1튜브를 중심으로 한 양측의 제 2, 3튜브 등으로 구분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할 수 있는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개시 상방으로 팽창되어 돔형태를 이루는 제 2, 3 튜브 일측에 관측공을 형성하고, 이에 채움튜브를 끼워 넣어 필요시 이를 뽑아내면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된 제 2, 3튜브의 단부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튜브가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형태로 되는 것이어서, 파도나 출렁임에도 전복되지 않는 더욱 안정적인 형태의 개인용 구명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조난시 구명장치를 찾아내어 착용하는 방식이 아니고, 착용하고 있는 배낭이나 벨트, 구명조끼, 수상작업복 등 형태로 된 인체착용수단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작동 로우프를 당겨주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개인용 구명장치가 즉시 작동 개시될 수 있는 것이어서,
수상 작업 현장이나 선박 등에서 조난을 당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귀중한 인명을 효과적으로 구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에 떠 있는 조난자가 튜브의 윗면에 누워 있는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므로 파도나 출렁임이 상존하는 수상 여건에서 별도의 중심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도 매우 안정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시에는 착용 벨트 등을 풀고 일어나 앉거나 최소한의 활동을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제 2, 3튜브의 관측공에 끼워진 채움튜브를 뽑아내면 관측공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더욱 효과적인 구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태가 가장 안전한 삼각 형태로 제공되므로 파도나 출렁임에 전복되지 않는 안전한 대피 수단을 제공하여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종 수상 레져나 수상 스포츠 등 수상 활동시에 간편하게 도 4a로 보인 바와 같은 벨트에 적용하여 도 4b로 보인 바와 같이 간편하게 허리에 두르도록 하거나,
도 5a로 보인 바와 같이, 배낭 형태로 적용하여 도 5b로 보인 바와 같이 등에 짊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구명조끼의 후방에 고정시켜 활용하거나,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수상 작업복의 후방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벨트, 배낭, 구명조끼, 수상 작업복 등 다양한 형태의 인체 착용수단(10)에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를 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된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장치는 작동 로우프(21)를 당겨줌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폭장치인 스퀴브(22)와, 이에 의하여 발화되는 발화제, 발화제에 의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기체발생제로 구성된 팽창수단(20)이 하나의 모듈로 제공된다. 이러한 공지된 것으로 자동차 에어백과 거의 같은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팽창수단(20)은 그 기체가 분사되는 분출부(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분출부(23)에서 분사되는 기체가 튜브(3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개인용 구명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분출부(23)와 복수개의 튜브(30)를 신축 및 굴신 가능한 연결 호스(31)에 의하여 연결하되, 복수개의 튜브(30)와 연결호스(31)를 잇는 직경이 차등화 된 급기관(32)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이를 인체 착용수단(10)의 일측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실시를 위하여 튜브(30)를 복수개 준비하되, 도 9로 보인 바와 같이, 인체의 배면으로 전개되는 제 1튜브(30')와, 인체를 감싸는 형태로 전개되는 제1튜브(30) 측면의 제 2, 3튜브(30", 30''')로 된 실시예와 같이 세부분으로 구분된 튜브(30)로 구성하여 작동 로우프(21)를 당기면 스퀴브(22)가 작동되면서 발화제가 점화되고, 이에 따라 기체발생제가 폭발을 일으키면서 순간적으로 막대한 양의 기체를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먼저 급기관(32)의 직경이 가장 큰 제 1튜브(30')가 팽창되면서 인체의 배면에 매트 형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직경이 다소 작은 급기관(32)에 연결된 제 2, 3튜브(30", 30''')에 팽창가스가 주입되어 결국 도 9로 보인 바와 같이 인체를 감싼 형태로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입수함으로써 안전하게 대피하여 구조를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 9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전개되기 위한 단계를 도 10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10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난자가 작동 로우프(21)를 당기면 팽창수단(20)에서 기체가 분사되어 연결호스(31)가 튜브(30)의 이동에 따라 신장되면서 도 10b로 보인 바와 같이, 급기관(32)의 직경이 가장 큰 제 1튜브(30')가 인체의 배면에 매트상으로 전개되며, 이때의 상태를 도 10c로 도시하였다. 이때, 제 1튜브(30')가 팽창되면서 튀어 나가므로, 벨크로테이프(13) 등의 점착 수단으로 닫혀 있는 커버(12)의 외부로 전개되기 시작하며, 이어서 직경이 다소 작은 급기관(32)도 외부로 튀어 나가면서 팽창되는 기체가 제1튜브(30)의 양측에 본격적으로 유입되므로 이에 따라 제 2, 3튜브(30", 30''')가 팽창되기 시작하며, 이러한 상태 를 도 10d로 보였다. 이에 따라 도 10e로 보인 바와 같이 양측이 감싸지게 되는 상태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2, 3튜브(30', 30", 30''')가 순차로 모두 팽창되는 것이며, 제 2, 3 튜브(30", 30''')는 그 제작시 팽창상태에서 도면상 상방으로 전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팽창수단(20)에 의한 기체 분사가 종료된 상태에서 조난자가 제 2, 3튜브(30", 30''')의 상방에 형성된 요입부(33) 및 통공(34)에 돌출부(35) 및 돌기(36)가 맞물리도록 하여 견고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0f로 보였고, 이러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 10f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난시 즉시 인체 착용수단(10)에 설치된 작동 로우프(21)를 당겨는 동작으로 작동 개시되고, 도 10a에서 도 10f, 10g에 이르는 동안 조난자가 단순히 상방으로 전개되어 서로 닿아 있는 제 2, 3튜브(30", 30''')의 상방의 요입부(33) 및 통공(34)에 돌출부(35) 및 돌기(36)가 맞물리도록 하는 동작만으로 대피 완료되는 것이므로, 조난을 당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입수하고 난 후에는 인체의 무게에 의하여 제 1튜브(30')가 아래로 향하게 되고, 제 2, 3튜브(30", 30''')가 상방으로 삼각 형태를 이루어 파도나 물의 출렁임으로부터 조난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인체의 무게가 중심추 역할을 하게 되어 심한 폭풍우 시에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구조를 대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체 착용수단(10)이 도 4로 보인 벨트나 도 5, 6으로 보인 벨트의 버클(11)을 이용하여 조임을 해제하여 몸의 구속을 풀고 일어나 앉아서 구조를 대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인체 착용수단(10)이 도 7로 보인 수상 작업복인 경우에는 수상 작업복을 일상적인 방법으로 벗어 몸을 자유로이 하여 앉아서 구조를 대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로 보인 바와 같이 제 2, 3튜브(30", 30''')의 상단에 벨크로 테이프(42)를 적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벨크로 테이프(42)의 훅(42')과 루프(4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난자가 제 2, 3튜브(30", 30''')를 다물리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상단을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인체의 배면으로 전개되는 제 1튜브(30')와 인체의 두부와 족부로 전개되는 제 4, 5튜브(30'''', 30''''') 그리고 이들의 측면에서 전개되는 제 2, 3튜브(30", 30''')로 세분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각 튜브(30)에 팽창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급기관(32)의 직경은 제1튜브(30)>제2, 3튜브(30", 30''')>제4, 5튜브(30'''', 30''''')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제 4, 5튜브(30'''', 30''''')가 분리 설치되는 것이며, 조난자의 후방에서 제 1튜브(30'), 제 4, 5튜브(30'''', 30''''')가 단계적으로 팽창, 전개되므로 조난자가 자세를 정리하여 더욱 편안한 자세로 대피할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한 대피 상태를 도 13으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피한 직후에는 제 1튜브(30')에 인체 착용수단(1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가 매트 상의 제 1튜브(30')에 안전하게 위치하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난자가 수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체착용수단(10)의 버클(11)을 풀거나 수상작업복을 벗은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구명 장치 내부에서 최소한의 활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바깥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2, 3튜브(30", 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관측공(37)에 끼워진 채움튜브(38)를 뽑아내면 외부를 관측할 수 있는 것이며, 별도의 비상호흡장치 없이 호흡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파도나, 강설, 강우 등으로 인하여 폐쇄시켜야 할 경우에는 다시 채움 튜브(30)를 끼워 막아 안전한 대피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대피 공간내에서 발생한 배설물이나 외부에서 침투한 물은 도 13 또는 도 14로 도시한 제 1튜브의 배수공(39)이나 제 2, 3튜브(30", 3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공(39')을 막아둔 채움튜브(38)를 뽑아내어 배출시키고 다시 막아 둠으로써 안전한 대피 공간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발명은 도 15로 보인 바와 같이, 조난자의 생존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되는 제 1튜브(30')를 2개의 튜브로 구성하고, 2개의 급기관(32)으로 개별 주입되도록 하며, 도 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각 튜브(30)와 급기 관(32) 사이에 각각 첵크밸브(43)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어느 한 튜브가 파손되어 기체가 누설되더라도 다른 튜브의 기체가 첵크밸브(43)에 의하여 나오지 못하여 기밀이 유지되어 부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대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7로 보인 바와 같이, 안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제 1튜브(30') 내부에 하나 이상의 격막(40)으로 복수개의 분리 공간(41)을 설치하고, 이들에 각각 급기관(32)과 첵크밸브(43)를 설치하여 분리 공간(41)에 각각 기체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어느 하나의 분리 공간(41)이 파손되어 압력이 저하되더라도 다른 튜브(30)의 기체가 첵크밸브(43)에 의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에 치명적인 관련이 있는 튜브(30)에는 도 18로 보인 바와 같이, 각 튜브(30)를 한겹이상 두겹 또는 세겹으로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 2, 3튜브(30", 30''')의 원단 색상을 형광색으로 함으로써, 먼 곳에서도 쉽게 목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 레이더에 의한 탐색이 용이하도록 전파 방사 물질을 혼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2, 3튜브(30', 30", 30''')의 원단을 투명으로 함으로써, 외부의 관측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부분적으로 투명한 색상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상 작업이나 수상 레저, 수상 스포츠시에는 물론 고소 에서 작업중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고소에서 작업하다가 추락하거나 높은 배에서 추락하는 경우 본 발명은 작동 로우프(21)를 당기는 것만으로 작동이 개시되며, 팽창수단(20)이 순간적으로 작동되므로 지면이나 수면에 충돌하는 경우 엄청한 충격으로부터 조난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난자가 미처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고 수중으로 추락한 경우에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작동되어 신속히 신체를 감쌀 수 있으므로 기체 튜브(30)에 의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추락속도를 감소시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몇가지 인체 착용수단(10)을 예시하였으나, 수영복, 잠수복, 낚시복, 항해복 등 다양한 형태의 각종 활동복 또는 각종의 구명용품와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로우프(21)를 당겨줌에 의하여 기폭장지인 스퀴브(22)가 작동개시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를 레버식으로 변경하여 레버를 당김에 따라 마찰이 발생하여 발화제가 점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전원이 점화 필라멘트에 공급되어 발화제가 점화되도록 하는 버튼식으로 변경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수단(20)과 복수개의 튜브(30)로 된 개인용 구명 장치를 인체 착용수단(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내부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 8로 보인 바와 같은 커버(12)를 직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직물로 된 커버(12)는 작동시 누워 있는 조난자의 허리에 자극을 주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외부로 부터의 충격 등으로 부셔져 파편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므로 가장 안전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직물로 된 커버(12)는 예리한 물건에 의하여 그 내부의 튜브(30)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연질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며,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2는 종래의 조난용 구명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구명기구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벨트에 적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배낭에 적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구명조끼에 적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수중 작업복에 적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의 작동을 보인 설명도.
도 11, 12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를 보인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를 이용한 대피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4는 관측공, 배수공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명 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각 튜브의 다른 연결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 18은 원단이 복수개의 겹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체 착용 수단 11: 버클 12: 커버
20: 팽창수단 21: 작동 로우프 22: 스퀴브
23: 분출부 30: 튜브 30': 제 1튜브
30'': 제 2튜브 30''': 제3튜브 30'''': 제 4튜브
30''''': 제 5튜브 31: 연결 호스 32: 급기관
33: 요입부 34: 통공 35: 돌출부
36: 돌기 37: 관측공 38: 채움튜브
39, 39': 배수공 40: 격막 41: 분리공간
42: 벨크로 테이프 43: 첵크밸브

Claims (8)

  1. 작동 로우프를 당겨줌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폭장치인 스퀴브와, 이에 의하여 발화되는 발화제, 발화제에 의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기체발생제로 구성된 팽창수단과, 팽창수단의 기체가 분사되는 팽출부가 튜브에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개인용 구명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팽출부와 복수개의 튜브를 신축 및 굴신 가능한 연결 호스에 의하여 연결하되, 복수개의 튜브와 연결호스를 잇는 직경이 팽창 순서에 따라 차등화 된 직경의 급기관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복수개의 튜브는 인체의 배면으로 전개되는 제 1튜브와, 그 양측에서 상방으로 전개되어 삼각 단면 형태를 이루는 제 2, 3튜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제 1튜브에 연결된 급기관의 직경이 제 2, 3튜브에 연결된 급기관의 직경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제 2, 3튜브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요입부 및 통공에 돌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체결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제 2, 3튜브가 서로 접하는 부위에 벨크로 테이프의 훅 및 루프가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체결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 2, 3튜브의 어느 일측에 하나 이상의 관측공을 형성하고, 이에 채움튜브를 삽입하거나 탈거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 2, 3튜브의 하방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이에 채움튜브를 삽입하거나 탈거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제 1튜브 내부에 하나 이상의 격막으로 복수개의 분리 공간을 설치하고, 이들에 각각 급기관과 첵크밸브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구명 장치.
KR1020070122127A 2007-11-28 2007-11-28 개인용 구명 장치 KR10093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27A KR100938973B1 (ko) 2007-11-28 2007-11-28 개인용 구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27A KR100938973B1 (ko) 2007-11-28 2007-11-28 개인용 구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80A true KR20090055280A (ko) 2009-06-02
KR100938973B1 KR100938973B1 (ko) 2010-01-26

Family

ID=4098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127A KR100938973B1 (ko) 2007-11-28 2007-11-28 개인용 구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14B1 (ko) * 2009-02-04 2011-09-27 홍춘기 작업복 장착형 살충장치
CN102849189A (zh) * 2011-06-30 2013-01-02 山东科技职业学院 抛射式施救气囊
KR101278134B1 (ko) * 2011-12-05 2013-06-27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명장치
CN112550638A (zh) * 2019-09-25 2021-03-26 姜正韬 一种防溺水充气救生装置
KR20220163102A (ko) * 2021-06-02 2022-12-0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신체착용식 부력 구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898B1 (ko) 2012-04-18 2012-09-13 김재홍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
KR101762531B1 (ko) * 2016-02-15 2017-07-27 오철규 팽창식 보트 어셈블리를 갖는 해상 인명 구조용 조끼
KR101888499B1 (ko) * 2016-10-27 2018-08-20 대한민국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846A (ko) * 2004-05-10 2005-11-16 주순석 수상구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14B1 (ko) * 2009-02-04 2011-09-27 홍춘기 작업복 장착형 살충장치
CN102849189A (zh) * 2011-06-30 2013-01-02 山东科技职业学院 抛射式施救气囊
KR101278134B1 (ko) * 2011-12-05 2013-06-27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명장치
CN112550638A (zh) * 2019-09-25 2021-03-26 姜正韬 一种防溺水充气救生装置
KR20220163102A (ko) * 2021-06-02 2022-12-09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신체착용식 부력 구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973B1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7267509B1 (en) Floatation device
US9205900B2 (en) Harness assembly having a deployable inflatable life raft attached thereto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US7918701B2 (en) Buoyancy and rescue device
JP7083137B2 (ja) ライフジャケットになるリュックサックの使用方法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JP2002127986A (ja) 首着膨脹式救命胴衣
JP3959496B2 (ja) 個人用救命ボート
CA2837229C (en) Marker and recovery device
WO2010128690A1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20190105397A (ko) 해상활동 및 구명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라이프재킷
US11097817B2 (en) Marker, recovery and flotation device
RU2550597C1 (ru) Одноместн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плот
KR101340942B1 (ko) 수상용 인명구조장비
JP2001310795A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200292609Y1 (ko) 구명벨트
KR20180014892A (ko) 안전 수영복
JP2000318683A (ja) ライフジャケット
US20220281573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50098424A (ko) 구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