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21B1 -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21B1
KR102049721B1 KR1020190110203A KR20190110203A KR102049721B1 KR 102049721 B1 KR102049721 B1 KR 102049721B1 KR 1020190110203 A KR1020190110203 A KR 1020190110203A KR 20190110203 A KR20190110203 A KR 20190110203A KR 102049721 B1 KR102049721 B1 KR 102049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inding
wing
expansion bod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이재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1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4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zip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가 개시된다. 튜브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좌측 날개부는 일단이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우측 날개부는 일단이 상기 튜브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Tube apparatus for rescuing multiple lives}
본 발명은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상 조난자가 발생한 경우에, 이들 모두를 구조할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수욕장에서 수영하는 사람이 물에 빠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물에 빠진 사람, 즉 수상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해서 환형 튜브나 레스큐캔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구조자가 환형 튜브나 레스큐캔을 휴대하고 입수하여 조난자 근처에 다가가 구조를 수행한다.
하지만, 다수의 조난자가 발생한 경우에는, 종래의 환형 튜브나 레스큐캔으로는 1인 구조만 가능하여, 조난자의 수와 대응하는 구조자들이 있어야 하거나, 구조자가 여러 번 입수하여 수상 조난자들을 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특히, 해수욕장에서 갑작스러운 이안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수 입욕객이 파도에 휩쓸려 다수의 조난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환형 튜브나 레스큐캔으로는 이안류로 인해 조난된 다수의 입욕객을 한꺼번에 구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091823(2011년 12월 12일)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624055(2016년 5월 2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에 수상 조난자가 방생한 경우에, 이들 모두를 한번에 구조할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상오토바이 또는 보트 등으로 다수의 수상 조난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상 조난자가 특정 위험 지점을 넘지 않도록 경계선 및 구조물로 이용할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은 사이즈로 분해 및 접철되어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간단하여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해수욕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한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익사자가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한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상기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튜브, 일단이 상기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좌측 날개부, 및 일단이 상기 튜브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우측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와 체결되기 위한 결속부, 상기 몸체부 타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동체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조난자가 잡기 위한 복수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손잡이는, 하나의 끈이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일면에 지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퍼부가 열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 내부로 상기 레스큐튜브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은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면에 지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퍼부가 열려, 상기 파티션 내부로 상기 레스큐튜브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에는, 측면에 복수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손잡이는, 하나의 끈이 상기 복수의 파티션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측면에서 형성된 복수의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상단 일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몸체에는, 상기 팽창 몸체 및 상기 팽창 기둥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 몸체는,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의 좌측변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좌측 팽창 기둥, 및 상기 팽창 몸체의 우측변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우측 팽창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날개부는, 상기 팽창 몸체의 좌측변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우측 날개부는, 상기 팽창 몸체의 우측변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튜브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바닥부 상부로 입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좌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상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좌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하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팽창 몸체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하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와 체결되기 위한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상부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 우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하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하부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는, 상기 팽창 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음편, 및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이음편과 연결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 하부에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는, 상면이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결속 지지대, 및 상기 결속 지지대에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옆면에 상기 이음편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장홀이 형성된 결속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관은, 양 밑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장홀로 각각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이음편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속관의 공간부에 게재될 수 있다.
상기 결속관 옆면에 각각 제1 나사홀 및 제2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지지대에 상기 제1 나사홀 및 제2 나사홀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제3 나사홀 및 제4 나사홀이 형성되어,제1 나사홀 및 제3 나사홀에 제1 나사가 삽입되고, 제2 나사홀 및 제4 나사홀에 제2 나사가 삽입되어 너트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관의 삽입홀을 막음으로써 상기 게재된 결합부재가 상기 결속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 및 상기 결속부재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은 천 또는 연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금속 또는 경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팽창 몸체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의하면, 튜브, 좌측 날개부, 우측 날개부로 다수의 인명이 매달릴 수 있어, 다수에 수상 조난자가 방생한 경우에, 이들 모두를 한번에 구조할 수 있고,
좌측 날개부 또는 우측 날개부에 형성된 연결부를 통해, 수상오토바이 또는 보트 등의 이동체와 연결될 수 있어, 다수의 수상 조난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좌측 날개부 및 우측 날개부의 연결부를 통해 특정 장소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 수상 조난자가 특정 위험 지점을 넘지 않도록 경계선 및 구조물로 이용할 수 있고,
튜브, 레스큐튜브, 좌측 날개부 및 우측 날개부가 각각 분해되고, 접철됨으로, 작은 사이즈로 분해 및 접철되어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간단하여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으며,
튜브에 체결되는 좌측 날개부 및 우측 날개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해수욕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하고,
좌측 날개부 및 우측 날개부에 삽입된 레스큐투브 및 튜브를 개별적으로 이용이 가능하여 부품 재활용이 가능하며,
팽창 기둥이 구비되어, 수상 조난자가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좌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좌측 상부 결합부 및 좌측 하부 결합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우측 상부 결합부 및 우측 하부 결합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바닥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튜브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및 레스큐튜브를 삽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날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사용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튜브 및 우측 날개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상부 결속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상부 결합부 및 결속관이 체결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관에 나사가 결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좌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좌측 상부 결합부 및 좌측 하부 결합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우측 상부 결합부 및 우측 하부 결합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는, 튜브(100), 우측 날개부(200), 좌측 날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00)는 팽창 몸체(110), 바닥부(120), 손잡이(130), 팽창 기둥(140), 공기주입구(150), 좌측 상부 결합부(160), 좌측 하부 결합부(170), 우측 상부 결합부(180) 및 우측 하부 결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몸체(110)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팽창 몸체(110)는, 다각형 형상 또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몸체(110)는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팽창 몸체(110)는 도우넛 모양과 같이 내부에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바닥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부(120)는 상부가 팽창 몸체(110)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한다. 바닥부(120)는 팽창 몸체(110) 하부에 결합되어 팽창 몸체(110)의 홀(111)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닥부(120)에는, 바닥부(120) 상부로 입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파도 등으로 인해 팽창 몸체(110)의 홀(111)을 통해 입수된 물은 바닥부(120)의 홀(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입수된 물에 의해 팽창 몸체(110)가 가라앉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조난자가 잡기 위한 것으로 팽창 몸체(110)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팽창 몸체(110)에는 복수의 손잡이(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팽창 몸체(110)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 변마다 손잡이(130)가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기둥(140)은 팽창 몸체(110) 상단 일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팽창 기둥(140)은 좌측 팽창 기둥(143) 및 우측 팽창 기둥(14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팽창 기둥(143)은 팽창 몸체(110)의 좌측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우측 팽창 기둥(146)은 팽창 몸체(110)의 우측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팽창 몸체(110)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좌측 날개부(300)는 좌측 팽창 기둥(143)이 위치한 팽창 몸체(110)의 좌측변 측면에 체결되고, 우측 날개부(200)는 우측 팽창 기둥(146)이 위치한 팽창 몸체(110)의 우측변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튜브(100)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튜브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주입구(150)는 팽창 몸체(110) 및 팽창 기둥(140)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팽창 몸체(110) 및 팽창 기둥(140)은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공기주입구(150)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팽창 몸체(110) 내부를 거쳐 팽창 기둥(14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좌측 상부 결합부(160)는, 팽창 몸체(110) 좌측 상부에 형성되고, 좌측 날개부(300)와 체결될 수 있다. 좌측 하부 결합부(170)는 팽창 몸체(110) 좌측 하부에 형성되고 좌측 날개부(300)와 체결될 수 있다.
우측 상부 결합부(180)는, 팽창 몸체(110) 우측 상부에 형성되고 우측 날개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우측 하부 결합부(190)는, 팽창 몸체(110) 우측 하부에 형성되고 우측 날개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및 레스큐튜브를 삽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날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측 날개부(200)는, 일단이 튜브(100)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1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날개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날개부(200)는 몸체부(210), 연결부(230), 손잡이(240), 지퍼부(250) 및 결속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내부에 레스큐튜브(1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400)는, 몸체부(210) 일측면에 형성되며, 튜브(1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사용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부(230)는 몸체부(210) 타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동체와 연결된 연결부재(25)가 삽입되기 위한 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는 수상 오토바이 및 수상 보트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는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4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물과 연결된 연결부재(25)가 홀(231)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5)는 로프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손잡이(240)는 조난자가 잡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10) 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손잡이(240)가 몸체부(210) 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복수의 손잡이(240)는, 하나의 끈이 몸체부(210)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지퍼부(250)는 몸체부(210) 일면에 형성되고, 지퍼부(250)가 열리면, 우측 날개부(200) 내부로 레스큐튜브(15)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복수의 파티션(220, 220-2)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파티션(220, 220-2) 각각은 내부에 레스큐튜브(1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면에 지퍼부(250)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지퍼부(250)가 열리면, 파티션(220) 내부로 레스큐튜브(15)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다. 파티션(220)에는, 측면에 복수의 손잡이(24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손잡이(240)는, 하나의 끈이 복수의 파티션(220)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총길이가 14480mm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100)의 길이는 1400mm이고, 우측 날개부(200)는 3930mm 파티션(220) 및 2620 mm 파티션(220-2)으로 형성되고, 좌측 날개부(300)는 3930mm 파티션(220) 및 2620 mm 파티션(22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총길이가 17120mm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를 도시한 것으로, 튜브(100)의 길이는 1400mm이고, 우측 날개부(200)는 2620mm 파티션 3개로 형성되고, 좌측 날개부(300)는 2620mm 파티션 3개로 형성되고,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는, 파티션의 수 및 크기를 변경하여 다양한 크기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결속부(400)는 몸체부(210)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부 결속부(410) 및 하부 결속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속부(410)는 몸체부(210) 좌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우측 상부 결합부(180)와 체결될 수 있다. 하부 결속부(420)는 몸체부(210) 좌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우측 하부 결합부(19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튜브 및 우측 날개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우측 상부 결합부(180)는, 이음편(183) 및 결합부재(18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음편(183)은 팽창 몸체(110)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86)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이음편(183)과 연결될 있다. 여기서 팽창 몸체(110), 이음편(183) 및 결합부재(186)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상부 결속부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상부 결속부(410)는, 돌출편(430) 및 결속부재(440)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편(430)은 몸체부(210) 좌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470)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70)는 로프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결속부재(440)는 돌출편(430)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결속 지지대(450) 및 결속관(460)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 지지대(450)는 상면이 돌출편(430)에 결합되고,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결부재(470)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470)가 돌출편(430)의 홀에 삽입되고, 결속 지지대(450)의 홀에 삽입되어 매듭지어져 돌출편(430) 및 결속 지지대(45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상부 결합부 및 결속관이 체결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결속관(460)은 결속 지지대(45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부재(186)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옆면에 이음편(183)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장홀(4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관(460)은, 양 밑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삽입홀(463, 465)이 형성되고, 삽입홀(463, 465) 및 장홀(461)로 각각 결합부재 및 이음편이 삽입되어, 결합부재(186)가 결속관(460)의 공간부에 게재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의 결속관에 나사가 결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결속관(460) 옆면에 제1 나사홀(467) 및 제2 나사홀(468)이 형성되고, 결속 지지대(450)에 제1 나사(467)홀 및 제2 나사홀(468)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제3 나사홀(457) 및 제4 나사홀(458)이 형성되어,제1 나사홀 (467) 및 제3 나사홀(457)에 제1 나사(480)가 삽입되고, 제2 나사홀(468) 및 제4 나사홀(458)에 제2 나사(490)가 삽입되어 너트에 고정되어, 결속관(460)의 삽입홀(463, 465)을 막음으로써 결합부재가 결속관(4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편(430) 및 결속부재(44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돌출편(430)은 천 또는 연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결속부재(440)는, 금속 또는 경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 및 돌출편(430)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음편(183), 결합부재(186) 및 팽창 몸체(110)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로 연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하부 결합부(190)는, 팽창 몸체(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음편(193),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이음편(193)과 연결된 결합부재(19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하부 결합부(190)의 이음편(193) 및 결합부재(196)은 우측 상부 결합부(180)의 이음편(183) 및 결합부재(186)와 대응됨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결속부(420)는, 돌출편(421) 및 결속부재(423)는 포함할 수 있다. 돌출편(421)은 몸체부(210) 좌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로프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결속부재(423)는 돌출편(421)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결속 지지대(425) 및 결속관(427)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 지지대(425)는 하면이 돌출편(421)에 결합되고,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가 돌출편(421)의 홀에 삽입되고, 결속 지지대(425)의 홀에 삽입되어 매듭지어져 돌출편(421) 및 결속 지지대(425)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결속관(427)은 결속 지지대(425)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옆면에 이음편(193)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속부(420)의 돌출편(421), 결속부재(423), 결속 지지대(425), 및 결속관(427)은 각각 상부 결속부(410)의 돌출편(430), 결속부재(440), 결속 지지대(450), 및 결속관(460)과 대응됨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날개부(300)는, 일단이 튜브(100)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1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날개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날개부(300)는 몸체부(310), 연결부(330), 손잡이(340), 지퍼부(350) 및 결속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360)는 몸체부(310)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부 결속부(370) 및 하부 결속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속부(370)는 몸체부(310)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좌측 상부 결합부(160)와 체결될 수 있다. 하부 결속부(380)는 몸체부(310) 우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좌측 하부 결합부(170)와 체결될 수 있다.
좌측 날개부(300)의 몸체부(310), 연결부(330), 손잡이(340), 지퍼부(350), 상부 결속부(370) 및 하부 결속부(380)는 각각 우측 날개부(200)의 몸체부(210), 연결부(230), 손잡이(240), 지퍼부(250), 상부 결속부(410) 및 하부 결속부(420)와 대응됨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상부 결합부(160)는 이음편(163) 및 결합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상부 결합부(160)의 이음편(163) 및 결합부재(166)는 우측 상부 결합부(180)의 이음편(183) 및 결합부재(186)과 대응됨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하부 결합부(170)는 이음편(173) 및 결합부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하부 결합부(170)의 이음편(173) 및 결합부재(176)는 우측 하부 결합부(190)의 이음편(193) 및 결합부재(196)와 대응됨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10)
튜브(100) 팽창 몸체(110)
바닥부(120) 손잡이(130)
팽창 기둥(140) 좌측 팽창 기둥(143)
우측 팽창 기둥(146) 공기주입구(150)
좌측 상부 결합부(160) 좌측 하부 결합부(170)
우측 상부 결합부(180) 우측 하부 결합부(190)
우측 날개부(200) 좌측 날개부(300)

Claims (23)

  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상기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튜브;
    일단이 상기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좌측 날개부; 및
    일단이 상기 튜브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우측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상단 일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와 체결되기 위한 결속부;
    상기 몸체부 타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동체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조난자가 잡기 위한 복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잡이는,
    하나의 끈이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일면에 지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퍼부가 열려,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 내부로 상기 레스큐튜브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파티션 각각은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면에 지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퍼부가 열려, 상기 파티션 내부로 상기 레스큐튜브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에는,
    측면에 복수의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잡이는,
    하나의 끈이 상기 복수의 파티션의 측면을 감싸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측면에서 형성된 복수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몸체에는,
    상기 팽창 몸체 및 상기 팽창 기둥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몸체는,
    팔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3.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상기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튜브;
    일단이 상기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좌측 날개부; 및
    일단이 상기 튜브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우측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몸체는,
    팔각형 형상을 갖으며,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의 좌측변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좌측 팽창 기둥; 및
    상기 팽창 몸체의 우측변 상단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우측 팽창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날개부는,
    상기 팽창 몸체의 좌측변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우측 날개부는,
    상기 팽창 몸체의 우측변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튜브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 상부로 입수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좌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상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좌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하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팽창 몸체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하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와 체결되기 위한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상부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 우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하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하부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는,
    상기 팽창 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음편; 및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이음편과 연결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 하부에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는,
    상면이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결속 지지대; 및
    상기 결속 지지대에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옆면에 상기 이음편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장홀이 형성된 결속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관은,
    양 밑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장홀로 각각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이음편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속관의 공간부에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19.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몸체, 및 상부가 상기 팽창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튜브;
    일단이 상기 튜브의 좌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좌측 날개부; 및
    일단이 상기 튜브의 우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에 레스큐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우측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팽창 몸체 좌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상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좌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좌측 하부 결합부;
    상기 팽창 몸체 우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팽창 몸체 우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날개부와 체결되기 위한 우측 하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날개부는,
    내부에 상기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우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와 체결되기 위한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상부 결속부; 및
    상기 몸체부 우측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좌측 하부 결합부 체결되기 위한 하부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상부 결합부는,
    상기 팽창 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이음편; 및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이음편과 연결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 우측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 하부에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는,
    상면이 상기 돌출편에 결합되는 결속 지지대; 및
    상기 결속 지지대에서 연장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가 게재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옆면에 상기 이음편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장홀이 형성된 결속관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관은,
    양 밑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장홀로 각각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이음편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속관의 공간부에 게재되고,
    상기 결속관 옆면에 제1 나사홀 및 제2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지지대에 상기 제1 나사홀 및 상기 제2 나사홀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제3 나사홀 및 제4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홀 및 상기 제3 나사홀에 제1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제2 나사홀 및 상기 제4 나사홀에 제2 나사가 삽입되어 너트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관의 삽입홀을 막음으로써 상기 게재된 결합부재가 상기 결속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및 상기 결속부재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천 또는 연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금속 또는 경질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팽창 몸체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날개부 또는 상기 우측 날개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KR1020190110203A 2019-09-05 2019-09-05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KR10204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03A KR102049721B1 (ko) 2019-09-05 2019-09-05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03A KR102049721B1 (ko) 2019-09-05 2019-09-05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721B1 true KR102049721B1 (ko) 2019-12-03

Family

ID=6883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203A KR102049721B1 (ko) 2019-09-05 2019-09-05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795A (ko) 2020-03-16 2021-09-28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NO20201242A1 (no) * 2020-06-15 2021-12-16 Hals Nils Henrik Aaroe Oppblåsbar redningsinnretning for lokalisering og redning i vann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6548A (en) * 1961-01-23 1962-03-27 Dollinger Corp Combination boat fender and life preserver
KR200313520Y1 (ko) * 2003-02-18 2003-05-16 신승평 다기능 수영 보조 기구
KR20070005301A (ko) * 2005-07-06 2007-01-10 전달양 수난 인명 구조선
KR101091823B1 (ko)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KR20110135569A (ko) * 2010-06-11 2011-12-19 김태일 팽창전개식 구조튜브
KR200469725Y1 (ko) * 2012-01-02 2013-11-05 이청종 튜브
KR101402244B1 (ko) * 2012-04-26 2014-06-27 황윤상 화초식재대
KR101478503B1 (ko) * 2013-10-28 2015-01-05 김정빈 문어발형 구명장치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KR101546006B1 (ko) * 2015-03-25 2015-08-24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KR101624055B1 (ko) 2014-11-21 2016-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상 인명 구조용 튜브
KR101763687B1 (ko) * 2016-08-12 2017-08-01 주식회사시울프마린 투척형 지퍼 열림방식의 자동팽창 구명의
KR101975280B1 (ko) * 2017-11-29 2019-05-07 이용남 구명장치
KR101970266B1 (ko) * 2017-08-07 2019-08-13 박시언 탈출부를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6548A (en) * 1961-01-23 1962-03-27 Dollinger Corp Combination boat fender and life preserver
KR200313520Y1 (ko) * 2003-02-18 2003-05-16 신승평 다기능 수영 보조 기구
KR20070005301A (ko) * 2005-07-06 2007-01-10 전달양 수난 인명 구조선
KR101091823B1 (ko)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KR20110135569A (ko) * 2010-06-11 2011-12-19 김태일 팽창전개식 구조튜브
KR200469725Y1 (ko) * 2012-01-02 2013-11-05 이청종 튜브
KR101402244B1 (ko) * 2012-04-26 2014-06-27 황윤상 화초식재대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KR101478503B1 (ko) * 2013-10-28 2015-01-05 김정빈 문어발형 구명장치
KR101624055B1 (ko) 2014-11-21 2016-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상 인명 구조용 튜브
KR101546006B1 (ko) * 2015-03-25 2015-08-24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KR101763687B1 (ko) * 2016-08-12 2017-08-01 주식회사시울프마린 투척형 지퍼 열림방식의 자동팽창 구명의
KR101970266B1 (ko) * 2017-08-07 2019-08-13 박시언 탈출부를 구비한 선박
KR101975280B1 (ko) * 2017-11-29 2019-05-07 이용남 구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795A (ko) 2020-03-16 2021-09-28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팽창형 구명장구를 이용한 다수인명 구조장치
NO20201242A1 (no) * 2020-06-15 2021-12-16 Hals Nils Henrik Aaroe Oppblåsbar redningsinnretning for lokalisering og redning i vann
NO346742B1 (no) * 2020-06-15 2022-12-12 Hals Nils Henrik Aaroe Oppblåsbar redningsinnretning for lokalisering og redning av en person i vann, og et system som omfatter redningsinnretnin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721B1 (ko)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US2863467A (en) Combination shelters
US6170100B1 (en) Self-opening towel
US7322868B2 (en) Wate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devices
US3869743A (en) Kayak
US4295302A (en) Inflatable tent
US4086874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fish nets or the like
US20050235921A1 (en) Self-deployable open ocean aquaculture cages and underwater structures
US4159551A (en) Separable boat
US1538311A (en) Collapsible bathhouse
KR20110135569A (ko) 팽창전개식 구조튜브
US3754348A (en) Floating fish trap
US8485206B1 (en) Collapsible buoyant sun shade
US3230962A (en) Collapsible shelter
US20170130478A1 (en) Storage Basket
US6397774B1 (en) Floating boat house
GB2162129A (en) Life jackets
US4058862A (en) Water safety device
KR101644756B1 (ko) 튜브용 필러가 구비된 휴대용 팽창식 구명정
CN104089227A (zh) 一种带应急装置的路灯
KR101703794B1 (ko) 해난 구조 시스템
US2898924A (en) Portable chapel tent frame
US4223415A (en) Waterborne life-saving apparatus
US2365446A (en) Watercraft
KR20110005132A (ko)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