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91B1 - 팽창식 부력가방 - Google Patents

팽창식 부력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91B1
KR101905691B1 KR1020170133666A KR20170133666A KR101905691B1 KR 101905691 B1 KR101905691 B1 KR 101905691B1 KR 1020170133666 A KR1020170133666 A KR 1020170133666A KR 20170133666 A KR20170133666 A KR 20170133666A KR 101905691 B1 KR101905691 B1 KR 10190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ship
bag
buoyant body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남
김경원
김해영
안상용
고태일
임선영
신재길
김승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3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63B2728/00
    • B63B2738/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식 부력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팽창 전에는 부피가 작아 구조요원이 용이하게 소지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 시 간단한 조작으로도 부력체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거나 이음줄 을 연결할 수 있어, 조난자 구조 및 침수 선박의 부력 유지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가방을 이용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보다 신속하게 침수 선박의 부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팽창식 부력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식 부력가방{Flatable buoyancy bag}
본 발명은 팽창식 부력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작아 구조요원이 부력체를 용이하게 이동하며 소지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 시 간단한 조작으로도 부력체를 신속하게 팽창시킴으로써, 조난자 구조는 물론 침수 선박의 부력 유지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팽창식 부력가방에 관한 것이다.
수면 위에 부유되는 부력장치는 인명 구명 뿐만 아니라, 침수 선박의 부력 유지 등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수상 구조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부력장치는 일정 이상의 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구조요원이 이를 운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침수 중인 선박에 부력 유지를 위해 선박 구조용 부력장치를 설치하려면 상당히 큰 부피의 부력장치들이 필요한데, 이러한 부력장치들을 상호 이음줄로 묶어 선박에 부착하기까지 상당히 많은 인력, 장비, 시간 등이 투입되므로 신속한 구조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8223호(2010.03.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2019호(2014.04.0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창 전에는 부피가 작아 구조요원이 용이하게 소지하며 이동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 시 간단한 조작으로도 부력체를 신속하게 팽창시키거나 이음줄 을 연결할 수 있어, 조난자 구조 및 침수 선박의 부력 유지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팽창식 부력가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력가방을 이용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보다 신속하게 침수 선박의 부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침수 선박 구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를 수용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팽창식 부력가방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방수 재질의 피복부; 일정한 가압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를 개방시켜 상기 피복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상기 팽창한 피복부가 외부로 확장하도록 개방되는 개방구; 및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구는 상기 보관부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피복부가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피복부의 중앙 지점을 보관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이음줄을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관부는 상기 다수의 고리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피복부가 팽창되도록 고리 배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수 선박 구조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부력가방 내 피복부 좌우측 각 지점을 한 쌍의 이음줄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이음줄의 중심부가 선박의 아래 부분을 지나고, 상기 한 쌍의 이음줄 양 끝단이 상기 선박의 중앙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이음줄을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부력가방 내 피복부를 팽창시켜 상기 선박의 부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피폭부에 가스 주입시켜 신속하게 부력체를 팽창시킬 수 있으며,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가방의 형상을 띄고 있어 구조요원의 소지 및 이동 시에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력체가 좌우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되므로, 구조요원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가방을 파지한 상태에서 팽창시키더라도, 부력의 평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작업할 수 있으며, 이를 침수 선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선박 좌우측 부력의 평형을 보다 손쉽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부에 이음줄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부가 있어서, 여러 개의 부력가방을 상호 연결하면 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부에 상기 다수의 고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피복부가 팽창되도록 하는 고리 배출홈이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인 부력가방 한 쌍을 팽창시키기 전 이음줄로 먼저 연결하고, 상기 이음줄이 침수 선박의 아래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한 후에 부력가방을 팽창시키면 침수 선박의 부력을 적은 인원으로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이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부력가방이 이음줄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한 쌍의 부력가방을 이용하여 구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침수 선박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침수 선박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급적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10)이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부력가방(10)은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부력체(100) 및 상기 부력체(100)를 수용하는 보관부(2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부력체(100)는 방수 재질의 피복부(110) 및 상기 피복부(110)와 가스 카트리지(300)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가스 카트리지(300)를 개방시켜 상기 피복부(110) 내부의 공간으로로 가스를 주입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피복부(110)는 방수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기는 PVC 또는 비닐이 코팅된 나일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연결부(120)에 의해 CO2 등의 가스가 내부로 충진되면 팽창하면서 부력가방(10)이 일정한 부력을 갖도록 한다. 팽창 과정에서 상기 피복부(110)가 찢겨지지 않도록 약 2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부(110)는 가스 주입에 따른 팽창 시, 좌우측 길이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피복부(11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가스 카트리지(3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인플레이터(inflater) 등과 같은 개방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터치 가압 동작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300)가 개방되어 상기 피복부(110)가 신속히 팽창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카트리지(300)는 팽창되는 부력체의 부피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CO2 가스 등이 충진된 카트리지일 수 있다.
상기 보관부(200)는 팽창되기 전 압착된 부력체(100)를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부력체(100)가 팽창 시 외부로 개방되어 확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개방구(210)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구(210)는 필요에 따라 덮개(미도시)로 덮혀질 수 있으나, 상기 부력체(100)의 팽창 시 상기 개방구(210)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찢겨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상기 피복부(110)는 가스 주입에 따른 팽창 시,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팽창된 부력가방(10)을 파지하고 있을 경우 좌우측 부력이 평형을 이루어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데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방구(210)는 보관부(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복부(110)가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 시 상기 피복부(100)가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피복부(110)의 중앙 지점을 보관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부(2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200)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보관부(2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서류 가방과 유사한 형태를 띄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100)의 연결부(120)가 돌출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0)가 외부로 나오도록 연결부 홈(25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가방(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부력가방(10)은 부력체(100)를 수용하는 보관부(200)가 가방 형상의 수용공간(240) 일측면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240)에 구조활동에 필요한 각종 장비 등을 넣어둘 수는 장점을 가진다.
도 4와 같이 한쌍의 부력가방(10)을 이음줄로(400)로 상호 연결하면 보다 큰 부력이 형성되므로, 침수하는 선박 구조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용이하게 이음줄(40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피복부(110)에는 다수의 고리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한 이음줄(400) 연결을 위해서는 상기 피복부(110) 일측 선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리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부(110)가 팽창되기 전 압착된 상태에서 이음줄(400)을 먼저 연결하고 이후 피복부(110)를 좌우 방향으로 팽창시키면 보다 신속하게 침수 선박(500)의 부력유지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리부(130)가 보관부(200)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130)와 맞닿는 보관부(200)의 저면 등에 고리 배출홈(23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음줄(400)과 연결된 피복부(110)의 고리부(130)가 고리 배출홈(230)을 따라 위치해 있다가 상기 피복부(110)가 팽창되면 고리 배출홈(2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외부로 이동하므로, 이음줄(400)까지 외부로 팽창한 피복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가방(10)을 이용하여 침수한 선박(500)을 구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상호 연결된 한 쌍의 부력가방(10)을 이용하여 부력을 유지하는 선박(5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선박(500)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침수 선박(500) 구조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부력가방(10)은 상기 보관부(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개방구(210)가 위치하여 피복부(110)가 좌우측 방향으로 대칭하여 팽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복부는 이음줄 연결이 용이하도록 고리부(130)를 포함하되 팽창 전 피복부(110)와 연결한 이음줄(400)이 용이하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 배출홈(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한 쌍의 부력가방(10)의 보관부(200) 내에 수용된 피복부(110)의 좌측 및 우측 지점 각각을 한 쌍의 이음줄(400-1, 400-2)로 상호 연결한다. (S10 단계) 보다 안전한 선박 지지 및 견인을 위해 한 쌍의 이음줄(400-1, 400-2)에 다수의 보강줄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이음줄(400)의 중심부가 선박(500)의 아래 부분을 지나면서, 상기 한 쌍의 이음줄(400) 양 끝단이 상기 선박(500)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부력가방(10)을 이동시킨다. (S20 단계) 만약, 선박(500)의 선상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선박(500)의 선수 또는 선미에서 상기 한 쌍의 이음줄(400)의 중심부를 바다로 투척한 후, 한 쌍의 부력가방(10)을 선박(500) 좌우 측면 중앙으로 각각 이동시키게 되면 보다 최소의 인원으로도 용이하게 상기 한 쌍의 이음줄(400)을 도 5와 같이 배치시킬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작업을 선박(500) 외부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이음줄(400)이 연결된 한쌍의 부력가방을 선박(500) 너비 이상 이격시킨 후 상기 이음줄(400)의 중심부가 선박의 아래 부분을 지나도록 하면서 한 쌍의 부력가방(10)을 선박(500) 좌우 측면 중앙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필요에 따라, 상기 부력가방(10)을 선박(500)에 고정시켜 향후 팽창 시 부력가방(10)이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이음줄(400) 중심부에 일정한 무게의 무게추(미도시)를 부착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이음줄(400)을 바다 밑으로 가라 앉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부력가방(10)에 수용된 피복부(110)를 팽창시켜 상기 선박(500)의 부력을 유지시킨다. (S30 단계) 만약 선박(500)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부력가방(10)을 먼저 팽창시켜 선박(500)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상기 침수 선박 구조방법에 적용되는 부력가방(10)은 필요한 부력 정도에 따라 더 많이 투입될 수 있으며, 선박의 침수 지점에 따라 배치되는 부력가방(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단순한 설계 변경 등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 : 부력가방 100 : 부력체
110 : 피복부 120 : 연결부
130 : 고리부 200 : 보관부
210 : 개방구 220 : 손잡이
230 : 고리 배출홈 240 : 수용공간
250 : 연결부 홈 300 : 가스 카트리지
400 : 이음줄 500 : 선박

Claims (5)

  1.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를 수용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팽창식 부력가방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이음줄을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고리부가 하단에 형성된 방수 재질로 피복부; 일정한 가압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를 개방시켜 상기 피복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좌우측에 각각 상기 팽창한 피복부가 외부로 확장하도록 개방되는 개방구; 상기 피복부의 고리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팽창 전이라도 용이하게 이음줄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이음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팽창한 피복부가 외부로 용이하게 확장하도록 상기 피복부의 팽창 방향에 따라 상기 보관부의 저면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고리 배출홈; 및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부력가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33666A 2017-10-14 2017-10-14 팽창식 부력가방 KR10190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66A KR101905691B1 (ko) 2017-10-14 2017-10-14 팽창식 부력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66A KR101905691B1 (ko) 2017-10-14 2017-10-14 팽창식 부력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691B1 true KR101905691B1 (ko) 2018-10-11

Family

ID=6386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666A KR101905691B1 (ko) 2017-10-14 2017-10-14 팽창식 부력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87B1 (ko) * 2018-12-31 2020-02-04 오철규 구명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42A (ja) * 2003-08-05 2005-03-03 Fujikura Parachute Co Ltd 救命具
KR200430186Y1 (ko) * 2006-08-25 2006-11-03 백승만 부력을 이용한 선박인양기구
JP2009083833A (ja) * 2007-09-12 2009-04-23 Yoshitake Yamada 水難救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342A (ja) * 2003-08-05 2005-03-03 Fujikura Parachute Co Ltd 救命具
KR200430186Y1 (ko) * 2006-08-25 2006-11-03 백승만 부력을 이용한 선박인양기구
JP2009083833A (ja) * 2007-09-12 2009-04-23 Yoshitake Yamada 水難救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87B1 (ko) * 2018-12-31 2020-02-04 오철규 구명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509B1 (en) Floatation device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KR20110135569A (ko) 팽창전개식 구조튜브
US7918701B2 (en) Buoyancy and rescue device
JP7083137B2 (ja) ライフジャケットになるリュックサックの使用方法
US37774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ver operations
KR20090055280A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905691B1 (ko) 팽창식 부력가방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US4058862A (en) Water safety device
US7335078B2 (en) Tactical flotation support system
US5624292A (en) Ladder bridge mat
US20040033740A1 (en) Flotation device
US3992739A (en) Water safety device
IT201700010263A1 (it) Dispositivo salvagente estensibile
KR102133378B1 (ko) 수상용 인명구조 장치
CN108284927A (zh) 一种救生气囊
SE507965C2 (sv) Räddningsflotte
KR101930170B1 (ko) 구명 조끼
JPH09240584A (ja) 携帯用救命浮袋
CA1245914A (en) Ocean survival suit
KR20070009065A (ko) 구명보트
KR20150029477A (ko) 무게추 겸용 기도 확보 기능을 가지는 해녀 구명장치
RU186103U1 (ru) Надувн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30113114A (ko) 구명튜브 겸용 인양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