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920A -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920A
KR20170086920A KR1020160006555A KR20160006555A KR20170086920A KR 20170086920 A KR20170086920 A KR 20170086920A KR 1020160006555 A KR1020160006555 A KR 1020160006555A KR 20160006555 A KR20160006555 A KR 20160006555A KR 20170086920 A KR20170086920 A KR 20170086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ing
expansion
present
buoyancy
buoyanc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덕
홍성진
조운혁
Original Assignee
(주)신스테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스테이블 filed Critical (주)신스테이블
Priority to KR102016000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6920A/ko
Publication of KR2017008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재가 압축 또는 말림되어 구명조끼의 보관공간의 최소화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해상 조난시 복원력에 의해 부력재가 자동 충전 팽창하는 팽창부력재에 의해 조난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평소에는 말림 또는 압착된 상태를 이루다 말림 또는 압착상태가 해소되면 형상기억에 의해 자가 복원력을 이루고, 자가 복원력에 의해 에어가 자가 충전되어 팽창을 이루는 팽창부력재와; 상기 팽창부력재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팽창부력재의 자가 복원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개방되고, 외부유입이 없을 때 자동으로 막힘되며, 일정압력 이상시 자동 개방되는 에어충전부와; 상기 팽창부력재가 가슴 및 등 부분에 삽입되는 구명조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Life jackets with inflated buryeokjae}
본 발명은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재가 압축 또는 말림되어 구명조끼의 보관공간의 최소화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해상 조난시 복원력에 의해 부력재가 자동 충전 팽창하는 팽창부력재에 의해 조난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어선, 선박, 낚시, 해양레포츠, 해상작업, 안전요원 등과 같은 해상 활동중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해난사고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신체의 목 뒤에서 어깨, 가슴 앞쪽을 포함하는 상반신에 착용함으로써 물에 빠져도 몸이 뜰 수 있어 소중한 인명을 보호한다.
한편 해상에서 발생하는 익사사고의 경우, 익사자 중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는 선박의 비상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구명조끼(구명동의)를 꺼내서 착용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구명조끼의 착용감은 물론 활동성이 나빠서 대부분 착용을 기피하고 있었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명조끼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조끼를 구성하고 조끼 내부에는 가벼운 부력재를 투입하거나 또는,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공기팽창식 구명조끼의 가스발사기가 입수와 동시에 에어튜브에 기체(공기)를 주입하여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의 부력재는 다소 딱딱하여서 신체 활동이 불편하여 착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후자의 공기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에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하며 부력이 크지만, 에어튜브 및 에어유니트가 날카로운 것에 긁히거나 찔리면 쉽게 손상 및 파손됨으로 위급상황 시, 재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재가 압축 또는 말림되어 구명조끼의 보관공간의 최소화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해상 조난시 복원력에 의해 부력재의 자동 충전으로 팽창하여 부력재에 조난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자동 충전 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난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이루어 조난자 수색을 신속하게 이룰수 있는 자동 충전 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난자의 체온을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충전 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에 있어서, 평소에는 말림 또는 압착된 상태를 이루다 말림 또는 압착상태가 해소되면 형상기억에 의해 자가 복원력을 이루고, 자가 복원력에 의해 에어가 자가 충전되어 팽창을 이루는 팽창부력재와; 상기 팽창부력재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팽창부력재의 자가 복원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개방되고, 외부유입이 없을 때 자동으로 막힘되며, 일정압력 이상시 자동 개방되는 에어충전부와; 상기 팽창부력재가 가슴 및 등 부분에 삽입되는 구명조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는 다수의 에어 충전 공간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의 복원력을 증대하기 위한 팽창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 내에 열선이 구비되어 배터리에 의해 일정시간 일정한 온도로 발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의 내측면에 발열수단이 더 구비되어 팽창부력재의 팽창시 일정시간 발열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에 위치발송 수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는 부력재가 압축 또는 말림되어 구명조끼의 보관공간의 최소화와,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해상 조난시 복원력에 의해 부력재의 자동 충전으로 팽창하는 팽창부력재에 의해 조난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난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이루어 조난자 수색을 신속하게 이룰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난자의 체온을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가 구비된 구명조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제1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가 말림된 상태에서 풀림되어 팽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가 압착된 상태에서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에 열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 내측면에 발열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에 구비되는 위치발송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는 평소에는 말림 또는 압착된 상태를 이루다 말림 또는 압착상태가 해소되면 형상기억에 의해 자가 복원력을 이루고, 자가 복원력에 의해 에어가 자가 충전되어 팽창을 이루는 팽창부력재(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력재(2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팽창부력재(20)의 자가 복원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개방되고, 외부유입이 없을 때 자동으로 막힘되며, 일정압력 이상시 개방되는 에어충전부(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력재(20)가 가슴 및 등 부분에 삽입되는 구명조끼(10)로 구비된다.
상기 팽창부력재(20)는 외피(22) 및 내피(24)가 구비되고 상기 외피(22) 및 내피(24) 사이에 충전재(26)가 충전되며, 상기 충전재(26)는 팽창부력재(22)가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시 파손된 부위를 차단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의 충격시 파손된 부분에 충전재(26)가 집중되어 파손부위를 차단하여 에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재(26)는 파손부위를 차단하기 위해 평소 액체상태를 이루다 공기 또는 물과 접촉시 경질되어 파손부위가 차단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모리 폼과 같이 파손시 파손부분만 부풀어 파손부분을 차단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팽창부력재(20)의 내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셀(28)에 의해 각각으로 구분되어 에어셀(28)의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어 에어 충전 공간(30)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팽창부력재(20)는 말림 및 압축이 용이하고, 형상기억에 의해 자체 복원력을 이루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충전부(40)에 팽창부력재(20)의 팽창을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 가스 또는 에어가 충전된 충전부재(42)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시 인위적으로 충전부재(42)를 구동하여 팽창부력재(20)의 팽창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의 가슴 및 등 또는 어깨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구비된 팽창부력재 삽입부(12)에 팽창부력재(20)를 삽입한다.
상기 팽창부력재(20)는 구명조끼(10) 내에 구비되는 팽창부력재 삽입부(12)에 삽입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거나 탈착되게 구비되고, 지퍼 또는 벨트로에 의해 구명조끼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부력재(20)의 에어 충전부(40)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이루기 위해 외부에 일부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구명조끼(10)는 사용자가 평소 보관을 위해 팽창부력재(20)와 구명조끼(10)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림 또는 진공 압축하여 보관한다.
이때, 팽창부력재(20)는 말림 또는 진공압축에 의해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어 압착된 상태를 이룬다.
그러므로, 구명조끼(10)의 보관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구명조끼의 말림상태 또는 진공압축을 풀어주면 팽창부력재(20)의 에어셀(28)이 형상기억에 의해 복원된다.
이때,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부력재(20)의 에어 충전 공간(30)에 외부공기가 에어 충전부(40)를 통해 자가 충전되어 자연스럽게 에어 충전 공간(30)이 충전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부력재(20)를 팽창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팽창부력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에어의 충전을 이루며 팽창하여 구명조끼(10)의 부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시 팽창부력재(20)가 형상기억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에어가 충전되는 상태를 이룸으로 외부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착되더라도 다시 복원됨으로 항시 일정한 부력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노약자도 용이하게 구명조끼를 펼치고 구명조끼를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팽창부력재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력재(20)의 복원력을 증대하기 위한 팽창부재(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팽창부재(32)는 3D 메쉬로 구비되어 에어 충전 공간(30)의 어느 일면에 고루게 배열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팽창부력재(20)의 말림시 팽창부재(32)는 압착된 상태를 이루다 팽창부력재(20)의 팽창시 3D메쉬의 팽창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팽창부력재(20)가 더욱 신속하게 복원되어 에어를 자가 충전하고 팽창부력재(20)가 고르게 팽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에 열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력재(20)의 에어 충전 공간(30)에 배터리(44)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열선(46)이 배열되어 에어 충전 공간(3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체온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난시 차가운 수온에 의해 발생하는 심장마비 또는 체온저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존 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 내측면에 발열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발열수단 삽입부(14)에 발열수단(16)이 삽입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수단(16)은 팽창부력재(20)의 팽창시에 발열을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으로 공지의 발열팩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발열수단(16)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발열되어 사용자의 체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난시 차가운 수온에 의해 발생하는 심장마비 또는 체온저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존 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수단(16)에 의해 먼저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다 일정시간의 경과 후에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된 시간 경과 후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팽창부력재(20)의 열선(46)에 의한 발열에 의해 장시간 체온을 유지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10)에 구비되는 위치발송수단(6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10)의 포켓 또는 위치발송 삽입부(18)에 위치발송 수단(60)이 삽입고정되어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된다.
상기, 위치발송 수단(60)은 팽창부력재(20)의 팽창 또는 구명조끼의 착용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되며, 조난자의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이 일정 시간 점멸되게 구비되어 조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발송 수단(60)은 일정한 주파수로 조난자의 위치를 발송하는 전파를 발송하여 일정거리 이상에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구명조끼 12: 팽창부력재 삽입부
14: 발열수단 삽입부 16: 발열수단
18: 위치발송 삽입부 20: 팽창부력재
22: 외피 24: 내피
26: 충전재 28: 에어셀
30: 에어 충전 공간 32: 팽창부재
40: 에어 충전부 42: 충전부재
44: 배터리 46: 열선
60: 위치발송 수단 62: 배터리

Claims (6)

  1. 평소에는 말림 또는 압착된 상태를 이루다 말림 또는 압착상태가 해소되면 형상기억에 의해 자가 복원력을 이루고, 자가 복원력에 의해 에어가 자가 충전되어 팽창을 이루는 팽창부력재와;
    상기 팽창부력재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팽창부력재의 자가 복원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개방되고, 외부유입이 없을 때 자동으로 막힘되며, 일정압력 이상시 자동 개방되는 에어충전부와;
    상기 팽창부력재가 가슴 및 등 부분에 삽입되는 구명조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는 다수의 에어 충전 공간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의 복원력을 증대하기 위한 팽창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력재 내에 열선이 구비되어 배터리에 의해 일정시간 일정한 온도로 발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의 내측면에 발열수단이 더 구비되어 팽창부력재의 팽창시 일정시간 발열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에 위치발송 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KR1020160006555A 2016-01-19 2016-01-19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KR20170086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555A KR20170086920A (ko) 2016-01-19 2016-01-19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555A KR20170086920A (ko) 2016-01-19 2016-01-19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920A true KR20170086920A (ko) 2017-07-27

Family

ID=5942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555A KR20170086920A (ko) 2016-01-19 2016-01-19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69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씨뱅크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KR2021007866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라이칸스로프 구명조끼에 부착가능한 발열 팽창튜브
KR102568711B1 (ko) * 2022-12-01 2023-08-22 이시준 공기 정화 방독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1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씨뱅크 조난구조 효율성이 향상된 조난신호 송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명 조끼
KR2021007866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라이칸스로프 구명조끼에 부착가능한 발열 팽창튜브
KR102568711B1 (ko) * 2022-12-01 2023-08-22 이시준 공기 정화 방독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957B1 (ko)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KR101182898B1 (ko)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
KR20170086920A (ko)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CN101607588A (zh) 水中救生衣
US20190061889A1 (en) Inconspicuous Flotation Apparatus
CN107719606A (zh) 一种智能救生圈
KR20160090082A (ko) 휴대용 구명튜브 장치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101968138B1 (ko) 수상용 구명장비
CN210258789U (zh) 一种双气室气胀救生衣
WO2018141471A1 (en) Extensible life-preserving device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CN111017159A (zh) 一种拼装式夜间自动发光的保暖救生衣
CN206900609U (zh) 一种水上救生用收纳箱
CN210284559U (zh) 一种具有快速充气功能的救生腰包
KR20190105397A (ko) 해상활동 및 구명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라이프재킷
KR101227043B1 (ko) 구명조끼
CN110920835B (zh) 一种穿戴式水下救生装置
CN210212720U (zh) 一种救助救生衣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20200084148A (ko) 휴대용 구명백
CN201400302Y (zh) 一种救生衣
CN104908908A (zh) 一种自助呼吸充气式救生衣
CN105083496B (zh) 一种水难逃生潜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