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986A -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986A
KR20140062986A KR1020120129360A KR20120129360A KR20140062986A KR 20140062986 A KR20140062986 A KR 20140062986A KR 1020120129360 A KR1020120129360 A KR 1020120129360A KR 20120129360 A KR20120129360 A KR 20120129360A KR 20140062986 A KR20140062986 A KR 2014006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bin
fixed
releas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신
Priority to KR102012012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986A/ko
Publication of KR2014006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는 고정기재에 수력에 의해 부상이 이루어지는 하우징 형태의 선실을 설치하여 고정하고 선박의 침몰 시점에 고정기재에 고정된 선실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선실을 고정기재로부터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선체(hull; 2)의 상부 갑판(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재(20)와, 고정기재(20) 상부에 안치되는 선실(30)과, 고정기재(20)와 선실(30) 간에 설치되어 선실(30)을 고정하거나 분리시켜 주기 위한 고정/분리장치(11)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몰 또는 침수 사고시에 선실을 선체로부터 분리시켜 주도록 하고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선실이 부상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토록 구성함으로써 선실 자체가 부유 피난수단이 되어 선실 내부의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a ship having water floating type cabin}
본 발명은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는 고정기재에 수력에 의해 부상이 이루어지는 하우징 형태의 선실을 설치하여 고정하고 선박의 침몰 시점에 고정기재에 고정된 선실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선실을 고정기재로부터 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선박은 외부 영향으로 인한 침몰에 대비하여야 하며, 종래의 선박은 소규모 구명정이나 개인 안전장구 등을 비치하고 있다.
종래의 선박은 선체와 선실이 견고하게 고정된 일체화 구성으로 침몰시에는 선체와 선실이 함께 침몰하면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명정이나 기타 안전장비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선실 내에 위치한 탑승객은 침몰과정에서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과정에서 탑승자를 위험한 상황에서 보호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별도로 건조되는 선박의 갑판과 선실을 고정시켜 사용하다가 침몰 및 침수 등의 사고시에는 선실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구명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침몰 및 침수에 따른 인명사고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 고정기재와, 부력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정기재 상부에 안치되는 선실과, 고정기재와 선실을 고정해주기 위한 고정/분리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은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 고정기재에 부력 소재로 별도 제작되는 선실을 고정/분리장치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평시에는 통상의 선박용 선실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박의 침몰 및 침수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고정/분리장치가 작동하여 선실을 고정기재로부터 분리시켜 부력 소재로 이루어진 선실이 수면으로 부상토록 함으로써 선실을 구명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침몰 및 침수사고에 따른 사상자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으며, 선실 자체가 상당한 부력을 가지고 있어 선실이 분리되기 전까지 선박의 침몰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구조작업을 시간을 좀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력을 이용하여 고정기재 상에 설치된 선실을 고정기재부터 분리시켜 주도록 하고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선실이 부상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토록 구성함으로써 선실 자체가 부유 피난수단이 되어 선실 내부의 탑승객을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안전장치를 선박의 구성 및 건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많은 건조비를 투입하지 않고도 침몰 및 침수사고에 적극 대비하는 안전한 선박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결국 선박의 효용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재와 선실을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실의 내부 구조 및 고정/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A],[B],[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 [A],[B],[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A],[B],[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발췌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 수단 및 해제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16,17,18은 클램핑 수단 및 결합수단과 해제수단의 작동관계에 의해 선실이 부상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 및 해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 및 해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선박(1)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체(hull; 2)의 상부 갑판(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재(20)와, 고정기재(20) 상부에 안치되는 선실(30)과, 고정기재(20)와 선실(30) 간에 설치되어 선실(30)을 고정하거나 분리시켜 주기 위한 고정/분리장치(11) 등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체(2) 및 상부 갑판(3)은 선박의 건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소재로 이루어지며, 선박의 운항을 위한 조타실 및 기타 설비 등은 선실(30)과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선실(3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바, 조타실 및 기타 설비 등은 통상적인 선박의 구성과 같은 것이고 그것이 본 발명의 본질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것이어서 조타실 및 기타 설비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재(20)와 선실(30)을 발췌한 사시도 및 선실(30)의 내부 구조와 고정/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의 상부 갑판(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재(20)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분리장치(11)에 의해 고정되는 선실(3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금속재 내,외판(33,34) 사이에 불연성 발포 수지(35)를 충진한 벽체(32)로 외벽을 형성하여 부력을 발휘하도록 한 컨테이너 형태로 구성된 박스 구조물(31)로 구성되며, 박스 구조물(31)의 일측에 출입문(D) 및 창(W)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분리장치(11)는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3) 및 박스 구조물(31)에 설치되는 체결수단(36)과, 체결수단(36)을 해제 작동시켜 주기 위한 해제수단(50)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3)은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 상부에 고정대(25)를 결합하고, 고정대(25)에 수평의 통공(2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체결수단(36)은 박스 구조물(31)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시(37)에 고정핀(3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부시(37)에 결합된 고정핀(38)의 선단은 고정대(25)의 통공(26)을 통과하게 하며, 고정핀(38)의 후단에는 견인줄(Y)의 결속을 위한 결속고리(A)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핀(38)의 결속고리(A)에 결속된 견인줄(Y)의 단부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에 결속하여 부력체(53)가 상승하면 견인줄(Y)이 고정핀(38)을 슬라이드 후진시켜 고정핀(38)의 선단이 고정대(25)의 통공(26)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38)과 부력체(53) 간에 결속되는 견인줄(Y)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구조물(31)에 특정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로울러(R1,R2,R3)를 경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견인줄(Y)이 고정핀(38)을 수평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하고 견인줄(Y)에 발생하는 마찰부하 등을 최소화시켜 고정핀(38)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제수단(50)은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의 부상영역(52)을 구비하는 케이스(51) 내부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며, 부력체(53)의 상승으로 견인줄(Y)을 당겨서 고정수단(23)에 체결된 체결수단(35)을 해제작동시켜 고정기재(20)와 선실(30)을 분리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 상부에 고정대(25)를 결합하고, 고정대(25)에 수평의 통공(26)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3)을 구성하며, 박스 구조물(31)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시(37)에 고정핀(3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부시(37)에 결합된 고정핀(38)의 선단은 고정대(25)의 통공(26)을 통과하게 하여 체결수단(36)을 구성하며, 고정핀(38)의 후단에 박스 구조물(31)에 고정설치되는 작동 실린더(C)의 롯드(L)를 결합시켜 구성한다.
해제수단(50)은 중공의 부상영역(52)을 구비하는 케이스(51) 내부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며, 케이스(51)의 내벽에 가이드 레일(5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54)에 리미트 스위치(55)를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54)을 따라 리미트 스위치(55)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리미트 스위치(55)는 상승하는 부력체(53)와 접촉이 이루어져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55)의 센서신호에 의해 작동 실린더(C)가 작동하여 롯드(L)에 결합된 고정핀(38)을 슬라이드 후진시켜 고정핀(38)의 선단이 고정대(25)의 통공(26)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23) 및 체결수단(36)과 해제수단(50)을 구성할 경우 체결수단(36)과 해제수단(50)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견인줄(Y)이나 기타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해제수단(50)의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해제수단(50)을 고정기재(20) 또는 선실(30)의 적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선박(1)의 침몰 및 침수사고에 대한 대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에 고정축(27)을 결합하여 고정수단(23)을 구성하며, 박스 구조물(31)에 고정설치되는 축핀(P)에 체결고리(39)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체결고리(39)의 일측에 고정축(27)이 삽입되는 후크부(H)를 형성하며, 체결고리(39)의 타측에 견인줄(Y)의 결속을 위한 결속공을 형성하여 체결수단(36)을 구성한다.
상기 체결고리(39)의 결속공에 결속되는 견인줄(Y)의 타단부를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에 결속하여 부력체(53)가 상승하면 견인줄(Y)이 체결고리(39)를 회전시켜 후크부(H)가 고정수단(20)의 고정축(27)에서 벗어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38)과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 간에 결속되는 견인줄(Y)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구조물(31)에 특정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로울러(R1,R2)를 경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견인줄(Y)이 체결고리(39)를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서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견인줄(Y)에 발생하는 마찰부하 등을 최소화시켜 체결고리(39)의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제수단(50)은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의 부상영역(52)을 구비하는 케이스(51) 내부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며, 부력체(53)의 상승으로 견인줄(Y)을 당겨서 고정수단(23)에 체결된 체결수단(35)을 해제작동시켜 고정기재(20)와 선실(30)을 분리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3)에 선실(30)에 설치되는 체결수단(36)이 체결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므로 평시에는 견고한 선실(30)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선박(1)이 침몰하거나 선박에 침수현상이 발생하여 바닷물이 차오르면 적의의 위치에 설치한 해제수단(50)에 마련되는 부력체(53)가 부상하게 되고, 부력체(53)가 부상한 결과로 고정수단(23)에 체결된 체결수단(36)의 해제 작동이 이루어져 고정기재(20)와 선실(30)이 분리 상태가 되며, 고정기재(20)와 선실(30)이 분리된 상태에서 수위가 더 올라가면 벽체(32)에 발포 수지(35)를 충진하여 부력을 가지는 박스 구조물(31)로 이루어진 선실(30)이 수력(수압)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여 탑승자가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2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클램핑 수단(40) 및 해제수단(50)과, 선실(30)에 설치되는 결합수단(60) 등으로 고정/분리장치(11)를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분리장치(11)의 상세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13에 고정/분리장치(11)를 구성하는 클램핑 수단(40) 및 해제수단(50)을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수단(40)은 지지 플레이트(41)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1)을 통과하는 체결볼트를 이용해 고정기재(20) 일측에 설치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전면에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지지하는 회전축에 외주면에 원형 톱니(43a,43b)를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하부 가이드(44b,44a)에 승강로드(L)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승강로드(L)에 회전 클램프(42a,42b)의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간섭 톱니(45)를 설치하며, 상부 가이드(44b)와 간섭 톱니(45) 사이에 탄발 스프링(46)을 개재하여 탄발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간섭 톱니(45)가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게끔 구성한다. 이때, 간섭 톱니(45)는 원형 톱니(43a,43b)가 마련되는 회전 클램프(42a,42b)의 회전축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탄발 스프링(46)의 탄성을 극복한 외부 상승력으로 승강로드(L)가 승강하여 상부로 들려지면 간섭 톱니(45)와 원형 톱니(43a,43b)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상승력이 없을 시에는 탄발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간섭 톱니(45)가 하방으로 밀려 간섭 톱니(45)와 원형 톱니(43a,43b)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 수단(40)을 구성함으로써 양측 회전 클램프(42a,42b)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회전하강할 시에는 탄발 스프링(46)에 의해 탄력설치된 간섭 톱니(45)가 상부로 들려지면서 회전 클램프(42a,42b)의 자연스러운 회전하강이 이루어져 양측 회전 클램프(42a,42b)가 벌어지게 되며, 일상적으로는 탄발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간섭 톱니(45)에 하방으로 밀리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 클램프(42a,42b)의 회전 중심축에 마련된 원형 톱니(43a,43b)가 간섭 톱니(45)에 물려 회전 클램프(42a,42b)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혀지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해제수단(50)은 부력 케이스(51)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2)에 의해 고정기재(20)의 일측(클램핑 수단의 하방)에 설치되며, 부력 케이스(51)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고, 부력체(53) 상부에 클램핑 수단(40)을 구성하는 승강로드(L)의 하단을 결합시켜서 구성한다.
도 14에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6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60)은 결합 케이스(61) 양측에 마련된 고정 브라켓(B3)에 의해 선실(30)의 일측(클램핑 수단과 대응하는 상방)에 설치되며, 체결 케이스(61) 내부에 클램핑 수단(40)의 회전 클램프(42a,42b) 상단부가 인입되는 하부 개방형 클램핑 홈(62)을 마련하고, 클램핑 홈(62)의 양측에 상부로 가면서 넓어지는 클램핑 면(63)을 마련하며, 클램핑 면(63)의 하방에 양측 클램핑 면(63)의 간격보다 협소한 개구(64)를 마련하여 구성한다.
도 19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40) 및 해제수단(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의해서는 클램핑 수단(40)은 지지 플레이트(41)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1)에 의해 고정기재(20)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전면에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지지하는 축부에 원형 톱니(43a,43b)를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하부 가이드(44b,44a)에 승강로드(L)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승강로드(L)에 회전 클램프(42a,42b)의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간섭 톱니(45)를 설치하며, 상부 가이드(44b)와 간섭 톱니(45) 사이에 탄발 스프링(46)을 개재하여 탄발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간섭 톱니(45)가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게끔 구성하고;
해제수단(50)은 부력 케이스(51)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2)에 의해 고정기재(20) 또는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게 하여 클램핑 수단(40)과 해제수단(50)의 비슷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하며, 부력 케이스(51)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고, 부력체(53) 상부와 승강로드(L)를 복수의 연결로드(L1,L2,L3,L4) 및 연결구(J)로 연결하여 클램핑 수단(40)과 해제수단(5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밑에서 차오르는 수위가 선실(30)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시점에서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가 부상하여 클램핑 수단(40)을 작용시킬 수 있어 좀더 원활한 선실(30)의 부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0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40) 및 해제수단(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의해서는 클램핑 수단(40)은 지지 플레이트(41)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1)에 의해 고정기재(20)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전면에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지지하는 축부에 원형 톱니(43a,43b)를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하부 가이드(44b,44a)에 승강로드(L)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승강로드(L)에 회전 클램프(42a,42b)의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간섭 톱니(45)를 설치하며, 상부 가이드(44b)와 간섭 톱니(45) 사이에 탄발 스프링(46)을 개재하여 탄발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간섭 톱니(45)가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게끔 구성하고;
해제수단(50)은 2개의 부력 케이스(51a,51b)로 분할하여 각각의 부력 케이스(51a,51b)가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2)에 의해 고정기재(20) 또는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게 하며, 부력 케이스(51a,51b)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a,52b)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a,53b)를 각각 설치하고, 각각의 부력체(53a,53b)와 승강로드(L)를 연결부재에 의해 직교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로드(L1,L2,L3)로 연결하여 클램핑 수단(40)과 해제수단(5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밑에서 차오르는 수위가 선실(30)에 직접 영향을 주는 시점에서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가 부상하여 클램핑 수단(40)을 작용시킬 수 있어 좀더 원활한 선실(30)의 부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부력 케이스(51a,51b)에서 발생한 부력을 이용하므로 승강로드(L)의 원활한 승강과 그에 따른을 클램핑 수단(40)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고정기재(20)에 고정·설치되는 각 클램핑 수단(40)의 회전 클램프(42a,42b)를 인위적으로 회전승강시켜 양측 회전 클램프(42a,42b)의 간격을 좁힌 상태에서 선실(30)에 고정·설치되는 각 클램핑 수단(60)의 개구(62)를 통해 회전 클램프(42a,42b)를 인입시키고,(도 15 참조) 회전 클램프(42a,42b)가 결합수단(60)의 클램핑 홈(62)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 회전 클램프(42a,42b)에 대한 인위적인 회전상태를 해제시키면 각 회전 클램프(42a,42b)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강하며 벌어지고(회전 클램프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음) 회전 클램프(42a,42b)의 회전하강은 양측의 회전 클램프(42a,42b)가 클램핑 면(63)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지며, 각 클램핑 수단(40)의 회전 클램프(42a,42b)가 각 결합수단(60)의 클램핑 면(63)에 접하면서 고정기재(20)와 선실(3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1)이 침몰하거나 침수사고가 발생하면 적의의 위치에 설치한 해제수단(50)에 마련되는 부력체(53)가 부상하게 되고, 부력체(43)가 부상한 결과로 승강로드(L)가 승강하여 승강로드(L)에 설치된 간섭 톱니(45)가 승강하여 간섭 톱니(45)와 회전 클램프(42a,42b)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며,(도 16 참조) 차오르는 수위에 의해 선실(30)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양측의 회전 클램프(42a,42b)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승강하면서 회전 클램프(42a,42b)가 결합수단(60)의 클램핑 면(63)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들려지며 좁혀지고,(도 17 참조) 선실(30)이 수위에 의해 지속적으로 부상하면 회전 클램프(42a,42b)가 결합수단(50)의 개구(62)를 통해 하방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고정기재(20)와 선실(3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며,(도 18 참조) 선실(30)은 수면에 부상한 상태가 되므로 선박(1)의 침몰 또는 침수사고 시에 선실(30)을 구명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주거용 조립가옥 20: 고정 구조물
23: 고정수단 30: 선실
31: 박스 구조물 36: 체결수단
40: 클램핑 수단 41: 지지 플레이트
42a,42b: 회전 클램프 43a,43b: 원형 톱니
50: 해제수단 51: 부력 케이스
53: 부력체 60: 결합수단
62: 클램핑 케이스 63: 클램핑 홈
64: 클램핑 면

Claims (6)

  1. 선체(hull; 2)의 상부 갑판(3)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재(20)와, 고정기재(20) 상부에 안치되는 선실(30)과, 고정기재(20)와 선실(30) 간에 설치되어 선실(30)을 고정하거나 분리시켜 주기 위한 고정/분리장치(11)로 구성하며;
    상기 선실(3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내,외판(33,34) 사이에 불연성 발포 수지(35)를 충진한 벽체(32)로 외벽을 형성하여 부력을 발휘하도록 한 컨테이너 형태로 된 박스 구조물(31)의 일측에 출입문(D) 및 창(W)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장치(11)는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3) 및 박스 구조물(31)에 설치되는 체결수단(36)과, 체결수단(36)을 해제 작동시켜 주기 위한 해제수단(50)으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수단(23)은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 상부에 고정대(25)를 결합하고, 고정대(25)에 수평의 통공(2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체결수단(36)은 박스 구조물(31)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시(37)에 고정핀(3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부시(37)에 결합된 고정핀(38)의 선단은 고정대(25)의 통공(26)을 통과하게 하며, 고정핀(38)의 후단에는 견인줄(Y)의 결속을 위한 결속고리(A)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정핀(38)의 결속고리(A)에 결속된 견인줄(Y)의 단부를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에 결속하여 부력체(53)가 상승하면 견인줄(Y)이 고정핀(38)을 슬라이드 후진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수단(50)은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51)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장치(11)는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3) 및 박스 구조물(31)에 설치되는 체결수단(36)과, 체결수단(36)을 해제 작동시켜 주기 위한 작동 실린더(C)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수단(23)은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 상부에 고정대(25)를 결합하고, 고정대(25)에 수평의 통공(2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체결수단(36)은 박스 구조물(31)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부시(37)에 고정핀(38)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부시(37)에 결합된 고정핀(38)의 선단은 고정대(25)의 통공(26)을 통과하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핀(38)의 후단에 박스 구조물(31)에 고정설치되는 작동 실린더(C)의 롯드(L)를 결합시켜 구성하고;
    상기 해제수단(50)은 중공의 부상영역(52)을 구비하는 케이스(51) 내부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며, 케이스(51)의 내벽에 가이드 레일(5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가이드 레일(54)에 리미트 스위치(55)를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54)을 따라 리미트 스위치(55)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리미트 스위치(55)는 상승하는 부력체(53)와 접촉이 이루어져 센서신호를 발생시켜 센서신호에 의해 작동 실린더(C)가 작동하여 롯드(L)에 결합된 고정핀(38)을 슬라이드 후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부상식 선실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장치(11)는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3) 및 박스 구조물(31)에 설치되는 체결수단(36)과, 체결수단(36)을 해제 작동시켜 주기 위한 해제수단(50)으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수단(23)은 고정기재(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4)에 고정축(27)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체결수단(36)은 박스 구조물(31)에 고정설치되는 축핀(P)에 체결고리(39)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체결고리(39)의 일측에 고정축(27)이 삽입되는 후크부(H)를 형성하며, 체결고리(39)의 타측에 견인줄(Y)의 결속을 위한 결속공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체결고리(39)의 결속공에 결속되는 견인줄(Y)의 타단부를 해제수단(50)의 부력체(53)에 결속하여 부력체(53)가 상승하면 견인줄(Y)이 체결고리(39)를 축핀(P) 중심으로 회전시켜 후크부(H)가 고정수단(20)의 고정축(27)에서 벗어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해제수단(50)은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51)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장치(11)는 고정기재(20)에 설치되는 클램핑 수단(40) 및 해제수단(50)과, 선실(30)에 설치되는 결합수단(60)으로 구성하며;
    상기 클램핑 수단(40)은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1)에 의해 고정기재(2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1) 전면에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 클램프(42a,42b)를 회전지지하는 축부에 원형 톱니(43a,43b)를 형성하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하부 가이드(44b,44a)에 승강로드(L)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승강로드(L)에 회전 클램프(42a,42b)의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간섭 톱니(45)를 설치하며, 상부 가이드(44b)와 간섭 톱니(45) 사이에 탄발 스프링(46)을 개재하여 탄발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간섭 톱니(45)가 원형 톱니(43a,43b)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해제수단(50)은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2)에 의해 고정기재(20)에 고정설치되는 부력 케이스(51)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를 설치하며, 부력체(53) 상부에 클램핑 수단(40)에 마련되는 승강로드(L)의 하단을 결합시켜 구성하고;
    상기 결합수단(60)은 양측에 마련된 고정 브라켓(B3)에 의해 선실(30)에 고정설치되는 체결 케이스(61) 내부에 클램핑 수단(40)의 회전 클램프(42a,42b) 상단부가 인입되는 클램핑 홈(62)을 마련하고, 클램핑 홈(62)의 양측에 위로 가면서 넓어지는 클램핑 면(63)을 마련하며, 클램핑 면(63)의 하방에 양측 클램핑 면(63)의 간격보다 협소한 개구(64)를 마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 케이스(51a,51b)로 분할하여 각각의 부력 케이스(51a,51b)가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B2)에 의해 고정기재(20) 또는 선실(30)의 일측에 설치되게 하며, 부력 케이스(51a,51b)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의 부상영역(52a,52b)에 밑에서 차오르는 수력에 의해 부상하는 부력체(53a,53b)를 각각 설치하고, 각각의 부력체(53a,53b)와 클램핑 수단(40)의 승강로드(L)를 연결부재에 의해 직교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로드(L1,L2,L3)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KR1020120129360A 2012-11-15 2012-11-15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KR20140062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60A KR20140062986A (ko) 2012-11-15 2012-11-15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60A KR20140062986A (ko) 2012-11-15 2012-11-15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986A true KR20140062986A (ko) 2014-05-27

Family

ID=5089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360A KR20140062986A (ko) 2012-11-15 2012-11-15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9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0814A (zh) * 2015-06-09 2015-09-0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具有独立逃生舱室模块的快艇
US10640183B2 (en) 2016-05-04 2020-05-05 Chongchul KIM Ship having anti-sinking and anti-capsize device for emergency
KR102518792B1 (ko) 2021-10-21 2023-04-06 주식회사 공신 선박 선실의 비상부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0814A (zh) * 2015-06-09 2015-09-0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具有独立逃生舱室模块的快艇
US10640183B2 (en) 2016-05-04 2020-05-05 Chongchul KIM Ship having anti-sinking and anti-capsize device for emergency
KR102518792B1 (ko) 2021-10-21 2023-04-06 주식회사 공신 선박 선실의 비상부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31B1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US20130291779A1 (en) Apparatus to launch and recover a boat
KR101246055B1 (ko) 해상 탈출 장치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FR2556309A1 (fr) Procede et ensemble pour la mise a la mer ou la recuperation d'un canot de sauvetage, d'une embarcation de recuperation ou analogue
CA1188676A (en) Boat lift
KR20140062986A (ko)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KR101497444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CA1262218A (en) Free fall submersible life saving device particularly for offshore structures working in extremely heavy weather conditions
CN103373446B (zh) 导管架拆除船及拆除方法
GB2378472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WO2008099109B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descente ou remontee de l'extremite d'une conduite sous-marine a partir d'un navire de pose
KR101497442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101578456B1 (ko)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DE2424648C3 (de) Rettungsgerät für Schiffe
DE1909823A1 (de) Unterwasserhaus
KR20150018338A (ko)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CN110683003A (zh) 螺旋式海上撤离系统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581392B1 (ko) 리그선의 리빙쿼터 구명보트 시스템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458618B1 (ko)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20160060954A (ko) 선박용 비상 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