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456B1 -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 Google Patents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56B1
KR101578456B1 KR1020140050162A KR20140050162A KR101578456B1 KR 101578456 B1 KR101578456 B1 KR 101578456B1 KR 1020140050162 A KR1020140050162 A KR 1020140050162A KR 20140050162 A KR20140050162 A KR 20140050162A KR 101578456 B1 KR101578456 B1 KR 10157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arge
marine
jack
extrus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596A (ko
Inventor
김기두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0Travelling bridges, i.e. roller bridges; Sliding bridges; Rotary cylinder bridges, i.e. rotating about longitudinal axis to invert and raise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4Folding or telescopic bridges; Bridges built up from folding or telescopic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해상 및 해저에서 발생된 선박의 수리, 인명구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에 대한 것으르로서, 상기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은 승강식 다리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하우징이 형성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는 잭업바지선; 및 부유식 바지선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 상면에 설치된 해상교량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와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 전면부에 설치된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는 해상교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JACK-UP BARGE WITH EXTENDABLE OFFSHORE CABLE STAYED BRIDGES THAT CAN BE ROTATE IN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발명은 해상구조용 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해상 및 해저에서 발생된 선박의 수리, 인명구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갑판 승강형구조물(10, Jack-up Rig)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갑판 승강형구조물은 부유식 갑판(11,선체)과 승강식 다리(1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시에는 다리를 올려, 부유식 갑판의 부력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예인(wet tow)되던가, 데크 바지에 탑재하여 목적지까지 이동된다.
이에 목적지에 도착하면 승강 장치를 조작하여 승강식 다리를 내려 해저면에 착지시키고, 갑판을 해면 위로 파도가 미치지 않는 높이까지 올림으로써 마치 고정식구조물과 같이 된다.
이러한 갑판 승강형구조물은 동력식과 비 동력식이 있는데 대부분은 비 동력식이며 작업수심이 150m정도 이다. 이에 생산 플랫폼으로 보다는 주로 시추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굴착작업 개시 전에 예비 하중을 걸어, 승강식 다리를 해저지반 속으로 충분히 관입시킨다. 이에 한 지점에서 굴착작업이 종료되면 다시 선체를 강하·착수시켜 승강장치와 갑판의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에 뚫고 들어간 승강식 다리를 뽑아내어 일정한 위치까지 다리를 상승시켜서 이동한다.
이때 승강식 다리가 해저 면에 착지된 후에 계속 승강식 다리를 내리면 갑판이 수면위로 뜨게 된다. 이때 갑판과 수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 데 이를 에어 갭(Air Gap)이라 부른다. 이 에어 갭(Air Gap)이 일정높이만큼 되면(보통 2~5ft), 프리로드 탱크(Preload tank, 미도시)에 물을 채운다. 채워진 해수의 무게로 각 승강식 다리를 꾹 눌러 해저 면에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갑판 승강형구조물에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가 장착되는데 용도에 따른 장비, 자재 등을 인양(Lifting) 및 적재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식 다리와 부유식 바지선을 이용하여 해양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면서, 필요 시 부유식 바지선을 해양에 착지 후 고정시키고, 부유식 바지선에 장착된 해상교량을 이용하여 선박 수리, 인명구조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양에 고정된 부유식 바지선에 해상교량을 별도 장착하고, 상기 해상교량은 잠수부 또는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통로역할 하도록 하되 해상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해상 위에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해저로도 연장될 수 있어 해저에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상교량에 잠수부가 해상에서 저체온에 의한 작업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온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본 발명은 승강식 다리와 부유식 바지선을 이용하게 된다. 즉, 이동 시에는 부유식 구조물로 기능하고, 작업 시에는 다리를 내려 해저 지반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해저 착지식 고정 구조물로 기능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잭업바지선에 해상교량을 장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해상교량은 부유식 바지선에 360도 수평회전이 가능한 회전교각부에 해상교량 하우징, 해상교량 회절부 및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는 해상교량을 장착하여 해상교량이 해상에서 수평으로 연장 및 해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해상교량의 안정적인 위치고정 및 수평 연장 및 상하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교각부에 장착된 주탑부에 압출식거더의 케이블에 의하여 매달려지도록 하고, 부유식 바지선에 설치된 와이어로프 권취장치와 역시 압출식거더에 케이블에 의하여 안정적인 위치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넷째, 상기 압출식거더는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이 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가새 부재가 형성된 개방형 박스구조물로 형성되도록 하고, 수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작업발판에는 유수통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압출식거더의 전면에는 회전개폐식 작업대가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정적인 수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출식거더는 복수개의 압출거더가 내부에 수평으로 접혀져있는 상태에서 케이블의 권취에 의하여 1개씩 전방으로 압출되어 일정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섯째, 상기 회전개폐식 작업대에는 온수호스가 장착되어 수온에 따른 작업자의 저 체온증을 방지하기 위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저면에 착지 가능하도록 승강식 다리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하우징이 형성된 부유식 바지선을 포함하는 잭업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바지선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 상기 회전교각부 상면에 설치된 해상교량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와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 전면부에 설치된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는 해상교량;을 포함하도록 하며,상기 압출식거더는 내측 압출식거더를 포함하도록 제작되어 해상교량 회전힌부에 의하여 해저로도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출식거더는
상기 회전힌지부 전면부에 일체로 설치된 박스형 트러스부재로 형성되며 바닥에는 작업발판으로 마감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하며, 내측 압출식거더 복수개가 각각 내부로 겹쳐지도록 하여 케이블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기 내측 압출식거더가 압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승강식 다리와 부유식 바지선을 이용하여 필요한 위치에 해수면 위에 부유식 바지선이 다리에 의하여 고정 되므로 조류 및 파도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해상교량의 안정적인 운용 및 작동이 가능하여 필요한 선박수리, 인명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상교량이 수평으로 자유롭게 연장되어 세팅될 수 있고, 상하로 회절이 가능하여 해저로 해상교량을 연장시킬 수 있어 해저에 침몰한 선박의 필요한 위치에 작업자를 접근시킬 수 있어 신속한 구조용 구조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갑판 승강형구조물(Jack-up Rig) 사진,
도 2a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구성사시도들,
도 2c는 본 발명의 온수호수가 장착된 회전개폐식 작업대의 구성사시도,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압출식 거더의 작동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작업순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작업예시도 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해상교량(200)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 ]
도 2a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구성사시도들, 도 2c는 본 발명의 온수호수가 장착된 회전개폐식 작업대의 구성사시도,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압출식 거더의 작동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잭업바지선(100)과 해상교량(200)을 도 2a 및 도 2b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상기 잭업바지선(100)은 부유식 바지선(110)과 승강식 다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부유식 바지선(110)은 비동력식 또는 동력식 바지선(Barge)으로서 선상과 선미 쪽에 승각식 다리(120)가 관통되어 승강할 수 있는 승강하우징(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승강하우징(111)에 승강식 다리(120)가 상, 하로 승강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는 미 도시된 잭업장치 등을 이용하면 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승강식 다리(120) 4개가 부유식 바지선(110)의 선수 및 선미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어 승강식 다리(120)를 해저면(G)에 박혀지도록 설치하고, 부유식 바지선(110)이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로 이격된 상태로 세팅되도록 지지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부유식 바지선이 수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여 큰 파도나 조류에 부유식 바지선(110)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지 않기 때문에 부유식 바지선(110)에 설치된 해상교량(200)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해상교량(2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회전교각부(210), 해상교량 하우징(220),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 압출식거더(240), 케이블(250) 및 주탑부(2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교각부(210)는 부유식 바지선(110)에 예컨대 중앙부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해상교량(200)이 부유식 바지선(110)에 고정된 교각받침부(211)와 상기 교각받침부(211) 상면에 360도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지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각받침부(211)와 회전지지부(212)의 측면부는 절개된 수직면취부(213)로 형성시켜 압출식거더(240)의 상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해상교량 하우징(220)은 회전교각부(210)의 회전지지부(212)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속이 빈 박스구조물로서 후면부는 마감되고 전면부(A2)가 개방된 박스구조물로 형성시키고, 상기 박스구조물의 양 측면부(A3)에는 힌지홀(221)이 형성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홀(221)은 후술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의 힌지(231)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해상교량 하우징(220)은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를 수용하면서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사각구체 형태의 블럭구조물로서 양 측면에 힌지(231)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231)가 해상교량 하우징(220)의 힌지홀(221)에 삽입되어 있어 결국 압출식거더(24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압출식거더(240)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 전면부에 일체로 설치된 것으로서 사각박스형 트러스부재로서 가새부재(241)에 의하여 수직재와 상현재와 하현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해저에 연장되더라도 수압을 크게 받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하현재 상면인 바닥에는 작업발판(242)으로 마감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직재에 의하여 보행안전을 확보하도록 하면서 수압을 받지 않도록 홀이 다수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를 이용하면 된다.
이러한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는 도 2b와 같이 사각틀 형태의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다수 형성된 마감판부재로서 링크연결재(244)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수평작업이 가능한 작업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2c와 같이 상기 회전개폐식 작업대로 연장되는 온수호스(245)가 장착되어 수온에 따른 작업자의 저체온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압출식거더(240)는 도 2b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내측 압출식거더(240a)가 각각 내부로 겹쳐져 있어 전방으로 내측 압출식거더(240a)가 압출되면서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압출은 미도시된 유압잭등을 내측 압출식거더(240a)에 설치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를 참고로 하면 상기 압출식거더(240)에는 4개의 내측 압출식거더(240a)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250)에 의하여 권취되어 있어 필요한 길이만큼 내측 압출식거더(240a)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250)은 사장교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압출식거더의 안정적인 압출과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250)은 부유식 바지선(110)에 추가 설치된 권취장치(112)와 압출식거더(240) 사이에도 설치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압출식거더의 압출 및 회전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주탑부(260)는 압출식거더(240)를 지지하는 케이블(250)이 권취되도록 상면에 권취부롤러가 형성된 수직구조물로서 회전교각부(210)의 회전지지부(212) 상면에 해상교량 하우징(220) 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탑부(260)는 압출식거더(240)의 압출에 의한 전도방지를 위하여 밸런스웨이트가 하부 후방에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해상교량(200)은 작업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해상, 해저에 안정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의 작업방법 ]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작업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먼저 도 3a와 같이 앞서 살펴본 해상교량(200)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는 잭업바지선(100)의 승강식 다리(120)가 부유식 바지선(110)의 승강하우징(111)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해상교량(200)은 선수쪽 2개의 승삭식 다리(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팅되어 있어 이동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잭업바지선(100)은 비동력식으로서 제작되어 예인선에 의하여 현장에 예인되도록 할 수 있으나 자체 동력에 의한 이동도 가능하다.
이에 도 3b와 같이 잭업바지선(100)을 필요한 위치에 예인 시킨 상태에서 승강식 다리(120)를 하강시켜 해저면에 착지시키고, 잭업바지선의 중량 및 미도시된 프리로드 탱크(Preload tank, 미도시)에 물을 채워 채워진 해수의 무게로 각 다리를 해저 면에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에 부유식 바지선(110)을 승강식 다리(120)를 하강시켜 부유식 바지선(110)이 수면 위로 뜨도록 하여 에어 갭(Air Gap)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부유식 바지선(110)에 설치된 해상교량을 부유식 바지선(110)의 측면으로 회전시키되 케이블(250)을 이용하여 압출식거더(240)의 압출에 따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해상교량(200)의 압출식거더(240)의 내측 압출식거더(240a)를 압출시켜 필요한 위치에 작업자가 접근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해상교량(200)의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는 사각틀 형태의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전면이 막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작업예시도 ]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의 작업예시도 들이다.
즉, 도 3c와 같이 해상교량(200)의 압출식 거더(240)의 수평 압출과 상하 회전에 의한 해저 압출이 가능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와 같이 선박(300)의 해상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선박(300) 주위에 본 발명의 해상교량(200)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을 도 3c와 같은 작업 가능한 상태로 세팅 해 놓은 후에 압출거더(240)가 파손된 부위로 접근 가능하도록 연장시켜 놓고,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펼쳐지면서 작업자가 파손 부위의 공간에서 수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선박(300)이 침몰하여 해상에 일부만 노출되었을 경우에 역시 선박(300) 주위에 본 발명의 해상교량(200)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을 도 3c와 같은 작업 가능한 상태로 세팅 해 놓은 후에 압출거더(240)가 노출된 부위로 접근 가능하도록 연장시켜 놓고,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펼쳐지면서 작업자가 노출 부위의 공간에서 수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선박(300)이 완전히 침몰하여 해저에 잠겨져 있을 때라도 역시 선박(300) 주위에 본 발명의 해상교량(200)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을 도 3c와 같은 작업 가능한 상태로 세팅 해 놓은 후에 압출거더(240)가 해저에 연장되어 원하는 부위로 접근 가능하도록 연장시켜 놓고,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펼쳐지면서 작업자(잠수부)가 노출 부위의 공간에서 수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100)은 압출식거더(240)와 회전개폐식 작업대(243)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해상, 해저에서 작업자의 안정적인 선박 수리(기름 유출방지), 인명 구조등의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잭업바지선 110: 부유식 바지선
111: 승강하우징 112: 권취장치
120: 승강식 다리
200: 해상교량 210: 회전교각부
211: 교각받침부 212: 회전지지부
213: 수직면취부
220: 해상교량 하우징 221: 힌지홀
230: 해상교량 회전힌지부
231: 힌지
240: 압출식거더 240a: 내측 압출식거더
241: 가새부재  242: 작업발판
250: 케이블 260: 주탑부
300: 선박

Claims (9)

  1. 해저면에 착지 가능하도록 승강식 다리(120)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강하우징(111)이 형성된 부유식 바지선(110)을 포함하는 잭업바지선(110); 및
    상기 부유식 바지선(110)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210); 상기 회전교각부(210) 상면에 설치된 해상교량 하우징(220)에 수용되어 힌지 연결됨으로서 상하 회전되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와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 전면부에 설치된 압출식거더(240);를 포함하는 해상교량(200);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압출식거더(240)는,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 전면부에 일체로 설치된 박스형 트러스부재로 형성되며 바닥에는 작업발판(242)으로 마감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하며, 내측 압출식거더(240a) 복수개가 각각 내부로 겹쳐지도록 하여 케이블(25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기 내측 압출식거더(240a)가 압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에는 링크연결재(244)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압출식거더(240)의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수평작업이 가능한 작업대 역할을 하는 회전개폐식 작업대(243)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개폐식 작업대에는 온수호스(245)가 연장되어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압출식거더(240)는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 전면부에 일체로 설치된 사각박스형 트러스부재로서 가새부재(241)에 의하여 수직재와 상현재와 하현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242)과 회전개폐식 작업대(243)는 해상 또는 해저에서 수압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바지선(110)에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교각부(210)는
    부유식 바지선(110)에 고정된 교각받침부(211); 및
    상기 교각받침부(211) 상면에 360도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지지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교각받침부(211)와 회전지지부(212)의 측면부는 절개된 수직면취부(213)로 형성시켜 압출식거더(240)의 상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교량 하우징(220)은
    회전교각부(210)의 회전지지부(212)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부(A2)가 개방되며 양 측면부(A3)에는 힌지홀(221)이 형성된 박스구조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힌지홀(221)은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를 수용하면서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가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상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교각부(210)의 회전지지부(212) 상면에 압출식거더(240)를 지지하는 케이블(250)이 권취되는 수직구조물로서 해상교량 하우징(220) 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주탑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250)은 압출식거더(240)의 상면과 측면으로부터 주탑부(260)와 부유식 바지선(110)에 설치된 권취장치(112)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여 압출식거더(240)의 안정적인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교량 회전힌지부(230)는 블럭구조물로서 양 측면에 힌지(231)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231)가 해상교량 하우징(220)의 힌지홀(221)에 삽입되어 있어 압출식거더(24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은 압출식거더(240)의 수평 연장에 의한 선박의 유지관리 또는 압출식거더(240)의 해저 연장에 의한 침몰 선박의 접근이 가능한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KR1020140050162A 2014-04-25 2014-04-25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KR10157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62A KR101578456B1 (ko) 2014-04-25 2014-04-25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62A KR101578456B1 (ko) 2014-04-25 2014-04-25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96A KR20150123596A (ko) 2015-11-04
KR101578456B1 true KR101578456B1 (ko) 2015-12-18

Family

ID=5460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62A KR101578456B1 (ko) 2014-04-25 2014-04-25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15A (ko) 2018-12-26 2020-07-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볼타입 잭업 시스템의 중량저감을 위한 클램프의 형상 설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500B1 (ko) * 2015-12-24 2016-09-30 아이씨엠 주식회사 교량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N107235123B (zh) * 2017-05-02 2018-12-18 武汉理工大学 一种自带浮桥模块的运输船舶
CN108045514B (zh) * 2017-12-08 2023-10-20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打捞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15A (ko) 2018-12-26 2020-07-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볼타입 잭업 시스템의 중량저감을 위한 클램프의 형상 설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96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5895B2 (ja) 自己昇降式潜水形水中作業台船及びその使用方法
US9914505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submersible platforms and installation vessel
US7815398B2 (en) Methods of positioning an elevating support vessel
US20080237173A1 (en) Arm assembly and methods of passing a pipe from a first vessel to a second vessel using the arm assembly
US20080237175A1 (en) Extension assemblies and methods thereof
US2699321A (en) Deepwater oil drilling and storage craft
US20080237170A1 (en) Extension Bridges and methods of tender assist
CN110099845B (zh) 自推进自升式船舶
US20080243365A1 (en) Methods of holding station and mooring and elevating support vessel
KR101578456B1 (ko)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US20080237174A1 (en) Cran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EP3209548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with buoyancy over water using a vessel, and vessel applied in the method
US2921442A (en) Submergible barge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US20150023737A1 (en) Jack-up ri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on location of operation
KR20100087094A (ko) 드릴링 장치를 리그에 설치하여 드릴링 작업을 준비하는 방법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US4505615A (en) Method of supporting a shallow water drilling barge
KR20150099062A (ko) 이동식 텐션 레그 플랫폼
US28953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submersible vessels
US2873581A (en) Marine platform
KR101579881B1 (ko) 앵글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RU2710876C1 (ru) Судоподъемный модульный комплекс-док
KR101652749B1 (ko) L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JP2020019440A (ja) 浮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