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55B1 - 해상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55B1
KR101246055B1 KR1020110124465A KR20110124465A KR101246055B1 KR 101246055 B1 KR101246055 B1 KR 101246055B1 KR 1020110124465 A KR1020110124465 A KR 1020110124465A KR 20110124465 A KR20110124465 A KR 20110124465A KR 101246055 B1 KR101246055 B1 KR 10124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boarding
nautical
ra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2Rigid guides, e.g. having arms pivoted near waterline

Abstract

해상 탈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탈출 장치는 이동판용 관통구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탑승대기구역과, 상기 이동판용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상기 바닥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갖는 이동판과,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연직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대기구역과,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장치와, 상기 이동판에 세워져 설치되고, 대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뗏목하우징을 적치하는 적치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탈출 장치{OFFSHORE EVACUATION SYSTEM}
본 발명은 해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탈출 장치는 유사시 선박(vessel), 해양구조물(offshore facility) 등의 인원을 비상 탈출시킬 수 있는 장비, 설비 등을 통칭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예컨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특허문헌의 대피처에서는 잭업형의 드릴링 리그(1)가 데크를 포함한 프레임부(2)와, 복수개의 다리부(3)(feet)와, 레일 및 액추에이터에 의해 프레임부(2) 상에서 수평 이동 가능한 드릴링 유닛(4) 및 체류 유닛(5)과, 체류 유닛(5) 측에 설치된 헬리데크(6)와, 체류 유닛(5)에 마련된 대피처인 구조 스테이션(7)과, 구조 스테이션(7) 내에 마련된 구명 보트(8)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대피처에서 헬리데크(6)와 구명 보트(8) 만으로 대량의 인원을 동시에 탈출시키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의 대피처에 비상 탈출 시스템(9)(MES; Marine Evacuation System)이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더라도,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비상 탈출 시스템(9)은 팽창식 구명뗏목(9a)(liferaft)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 단면적을 갖는 슈트(9b)(chute)를 이용해야만 팽창식 구명뗏목(9a)에 탑승될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인원이 동시에 탑승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비상 탈출 시스템(9)은 순서대로 인원이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비상 탈출 시스템(9)에 익숙하지 않은 인원으로 인해, 인원 탈출 시 병목 현상(bottle neck)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시스템(9)은 팽창식 구명뗏목(9a) 또는 그의 탑승대의 팽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인원 탑승에 따라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1-005241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판용 관통구를 바닥에 형성하고 있는 탑승대기구역과, 이동판용 관통구에 배치되어 탑승대기구역의 바닥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갖는 이동판과, 이동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장치에 의해 대량의 인원을 동시에 탈출시킬 수 있는 해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판용 관통구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탑승대기구역과, 상기 이동판용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상기 바닥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갖는 이동판과,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연직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대기구역과,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장치와, 상기 이동판에 세워져 설치되고, 대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뗏목하우징을 적치하는 적치구조물을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대기구역은, 상기 이동판용 관통구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장비용 관통구와, 상기 장비용 관통구 주변에 설치된 접이식 탈출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대기구역, 상기 상부대기구역 및 상기 이동판의 테두리 일부에는 안전펜스(safety fence)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과 상기 선체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선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취부되는 레일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장착된 작동암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상기 가이드레일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4방향 휠 배치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휠와, 상기 휠들이 2방향씩 분할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글 기억자 단면형상의 휠브래킷 쌍과, 상기 휠브래킷 쌍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휠브래킷 쌍의 연결지점에 형성된 힌지와, 상기 힌지의 반대쪽을 기준으로 일측 휠브래킷에서 회전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된 쪽에 돌출턱을 형성한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돌출턱을 안착시켜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타측 휠브래킷에 형성된 안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은, 골격 또는 격자 형상의 스틸 프레임과, 상기 스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RP)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구속하는 링 형상의 구속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면에 설치된 윈치와, 상기 윈치 주변으로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도르래와, 상기 윈치로부터 도르래를 거쳐 연장된 복수개의 케이블과, 각각의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되는 샤클(shakle)과, 각각의 상기 샤클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판에 고정된 아이피스(eye piece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존의 좁은 통로 단면적의 슈트를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MES)과 달리, 탑승대기구역의 이동판 자체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대량의 인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인원, 즉 대피자보다 높은 위치에 팽창식 구명뗏목용 뗏목하우징을 적치하기 위한 영문 'r' 형상의 적치구조물(rack)을 구비하여, 이동판의 면적 대부분에 인원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공간 극대화를 도모하여 최대 인원 수용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스틸 프레임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RP) 패널로 이동판을 만들어서, 최대 인원 탑승에 따른 하중을 견디면서 승강구동장치의 윈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탈출 용도 외에 접안 상태 또는 선박 대 선박 계류 상태에서 인원을 안전하고 신속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판이 아래로 이동 함에 따라 나타난 탑승대기구역의 이동판용 관통구를 통해서, 탑승대기구역의 연직 상방의 상부대기구역에 마련된 접이식 탈출장비(예: 비상 탈출 사다리, 비상 탈출 슈트 등)가 하향으로 낙하 및 전개될 수 있어서, 추가적으로 상부대기구역에서도 인원의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비바람, 풍랑이 매우 심한 황천시에도 횡요(rolling) 및 횡경사(heeling) 조건(condition)을 고려하여 선체에 가이드되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장치를 이동판과 선체(hull) 사이에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황천시에도 이동판과 선체가 따로따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대피자의 몸을 이동판에 고정해주시기 위한 대피자 구속장치(securing device)(예: 발목 고정장치)가 이동판에 설치되어 있어서, 대피자의 발을 대피자 구속장치에 연결하여, 이동판 하강시 대피자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대피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판 저부의 부구로 인해 자체적으로 해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어, 이동판이 일단 해수면에 도달한 경우라면 승강구동장치의 케이블 파손 또는 절단의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상시에 이동판 자체가 케이블로부터 분리되어 구명정 또는 생존정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방법 및 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레일가이드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해상 탈출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용처는 상선, 운반선, 여객선, 화물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선박이나, 부유식, 고정식, 반잠수식 등 각종 형식의 해양구조물의 선체(10)(이하, '선체'로 통칭 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선체(10)의 바깥쪽으로 해수면(W)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동판용 관통구(101)가 바닥(102)에 형성되어 있는 탑승대기구역(100)과, 이런 탑승대기구역(100)의 연직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대기구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탑승대기구역(100) 및 상부대기구역(200)이 시추용 해양구조물에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탑승대기구역(100)은 해양구조물의 선체(10)의 1층 데크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고, 상부대기구역(200)은 해양구조물의 2층 데크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런 상부대기구역(200)에는 탑승대기구역(100)의 이동판용 관통구(101)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장비용 관통구(20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대기구역(200)의 장비용 관통구(201)는 탑승대기구역(100)의 이동판용 관통구(1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평면적을 갖도록 상부대기구역(200)의 바닥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장비용 관통구(201)의 주변에는 접이식 탈출장비(20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접이식 탈출장비(202)는 비상 탈출용 사다리, 그물형 슈트, 접철식 구조물 등으로서, 탈출장비 하우징에 보관되어 있다가, 장비용 관통구(201)을 통해 하향으로 전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탑승대기구역(100), 이동판(110), 상부대기구역(200)의 테두리 일부에는 안전펜스(109, 119, 209)(safety fence)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안전펜스(109, 119, 209)는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대피자에게 붙잡을 곳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동판(110)용 안전펜스(119)의 일부 영역은 액세스 도어(118)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도어(118)는 상부의 록킹핀을 제거할 경우, 하부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판(110)이 탑승대기구역(100) 아래의 해수면(W)에 도달하였을 때, 안전펜스(119)의 액세스 도어(118)를 개방시켜 대피자가 용이하게 구명정(미 도시)으로 옮겨 탈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동판(110)은 이동판용 관통구(101)에 삽입 배치되어 탑승대기구역(100)의 바닥(102)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동판(110)의 상면에는 장비용 관통구(201)의 연직 하향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이식 탈출장비(202)의 도착지점임을 표시할 수 있는 장비 착지 표식(111)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탑승대기구역(100)으로 접근한 대피자는 장비 착지 표식(111)을 피하여 대기하게 함으로써, 상부대기구역(200)으로부터 낙하 및 전개되는 접이식 탈출장비(202)와 접촉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승강구동장치(130)는 이동판(110)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장치(130)는 상부대기구역(200)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윈치(131, 132)와, 각각의 윈치(131, 132) 주변으로 상부대기구역(200)의 저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 또는 쌍을 이루는 도르래(133)와, 각 윈치(131, 132)로부터 해당 도르래(133)를 거쳐 연장된 복수개의 케이블(134)과, 각각의 케이블(134)의 끝단에 연결되는 샤클(135)(shakle)과, 각각의 샤클(135)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판(110)에 고정된 아이피스(115)(eye piece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이피스(115)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RP) 패널(113)의 설치구멍을 통과하여 스틸 프레임(112)에 용접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윈치 및 액추에이터 제어기(미 도시)를 통해 승강구동장치(130)용 윈치(131, 132)의 권취 작동과, 가이드장치(160)용 액추에이터(165)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함으로서, 케이블(134)로 연결된 이동판(1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거나, 레일가이드부(170)의 전, 후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165)는 수동식(인력을 이용함)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수동식 장치에는 통상적인 수평 이동식 클램프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윈치 및 액추에이터 제어기는 이동판(110) 또는 적치구조물(150)의 기둥 등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윈치(131, 132) 또는 액추에이터(165)는 모터 또는 유압원을 이용한 로터 장치와, 로터 장치에 연결된 동력원(선체의 전원 또는 유압원 내지 자체 동력 발생 장치 등)을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165) 및 윈치(131, 132)는 해당 동력원과 윈치 및 액추에이터 제어기에 통상의 회로 구조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구성을 통해, 기존의 좁은 통로 단면적의 슈트를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MES)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대기구역(100)의 이동판(110) 자체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대량의 대피자를 동시에 이동 및 대피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적치구조물(150)은 이동판(110)에 세워져 설치되고, 대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팽창식 구명뗏목용 뗏목하우징(140)을 적치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적치구조물(150)의 기둥은 대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뗏목하우징(140)의 아래쪽 공간에도 대피자가 서 있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동판(110)에 직접 뗏목하우징(140)이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이동판(110)의 대부분의 면적에 대피자가 탑승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최대 인원을 탑승시킬 수 있게 된다.
적치구조물(150)은 기둥 및 지지대로 이루어져서 뗏목하우징(140)을 적치시킬 있도록 영문 'r' 형상의 적치 골격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복수개로 이동판(110)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판(110)은 골격 또는 격자 형상의 스틸 프레임(112)과, 스틸 프레임(112)의 상부에 결합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틸 프레임(112)과 GRP 패널(113)은 볼트 체결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이동판(110)이 만들어져 있음에 따라, 최대 인원 탑승에 따른 하중을 견디면서 승강구동장치(130)의 윈치(131, 132)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판(110)은 이동판(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구속하거나, 또는 대피자가 자세를 낮춘 상태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링 형상의 구속장치(114, 1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링 형상의 구속장치(114)는 고정식 구조와 같이, 이동판(110) 상부의 복수개의 고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구속장치(114a)는 회동 안착식 구조와 같이, 이동판(110) 상부의 복수개의 홈(116)에서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홈(116)에 안착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회전에 의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판(110)은 그의 저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부구(117)를 더 포함하여, 케이블(134)의 인장력 없이도 물에 부유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판(110)과 선체(10) 사이에는 하기에 설명할 가이드장치(160)와 레일가이드부(17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장치(160)는 이동판(110)의 저부에서 선체(10)를 향하도록 이동판(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장치(160)는 가이드레일(161), 레일가이드부(170), 액추에이터(16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61)은 선체(170)에 마련되도록 레그(leg) 또는 피트(feet)와 같은 선체(170)의 외주면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61)은 통상의 가이드레일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원형 봉단형 형상을 갖는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를 선체(170)에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레일가이드부(170)는 통상의 휠(wheel)을 이용한 가이드 블록과 같은 것으로서,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61)에 취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부(170)는 액추에이터(165)의 작동암(163)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65)는 레일가이드부(170)가 장착된 작동암(163)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레일가이드부(170)를 상기 가이드레일(161)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판(110)의 저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레일가이드부(170)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세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일가이드부(1700)는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이동하도록 4방향 휠 배치 구조의 휠(171a, 171b, 171c, 171d)들을 구비할 수 있다.
4방향 휠 배치 구조에서 각각의 휠(171a, 171b, 171c, 171d) 각각은 상호 간섭을 피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부(170)는 가이드레일(161)에 취부 및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각각 한글 기억자 단면형상을 갖는 휠브래킷 쌍(173, 174)과, 휠브래킷 쌍(173, 174)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171a, 171b, 171c, 171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의 휠브래킷 쌍(173)의 내측에는 2개를 한 쌍으로 구비한 휠(171a, 171b)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의 휠브래킷 쌍(174)의 내측에도 2개를 한 쌍으로 구비한 휠(171c, 171d)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 쌍(173, 174)은 그의 연결지점에서 힌지(175)를 형성하여서, 유한한 원호 범위내에서 개방 또는 폐쇄(R)되어, 가이드레일(130)에 용이하게 탈부착 또는 취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171a, 171b, 171c, 171d)들이 브래킷 쌍(173, 174)에 의해 2방향씩 분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레일가이드부(170)는 그의 힌지(175)의 반대쪽을 기준으로 일측 휠브래킷(173)에서 회전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된 쪽에 돌출턱을 형성한 회전레버(176)와, 상기 회전레버(176)의 돌출턱을 안착시켜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타측 휠브래킷(174)에 형성된 안착부(177)를 갖는다.
이와 같은 레일가이드부(170)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암(163) 끝단에 설치되고, 회전레버(176)와 안착부(177)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방 또는 폐쇄를 수행함으로써, 가이드레일(161)에 취부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가이드부(170)와 가이드레일(161)에 의해 본 실시예는 비바람, 풍랑이 매우 심한 황천시에도 횡요(rolling) 및 횡경사(heeling) 조건(condition)을 고려하여 선체에 가이드되어 안정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황천시에도 이동판과 선체가 따로 따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레일가이드부(170)는 상기와 같이 수동식 취부 구조 이외에도 반자동식 결속 또는 취부 구조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레일가이드부(170)는 압입에 의해 작동하는 그립퍼(gripper)와 같은 구조로서, 미리 벌여져 있던 휠브래킷 쌍(173, 174)이 가이드레일(161)에 접촉에 대응하게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레일(161)을 잡듯이 연결될 수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탈출 장치의 작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해상 탈출 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판(110)은 탑승대기구역(100)의 관통구(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구동장치(130)의 윈치(13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34)에 의해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선체(10)로부터 대피 또는 탈출하려는 인원 또는 대피자는 선체(10)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계단, 통로 등을 통해 탑승대기구역(100) 또는 상부대기구역(200)에 도착할 수 있다.
탑승대기구역(100)의 경우, 대피자는 이동판(110)에 탑승하고, 이동판(110)의 안전펜스(119)를 잡거나, 대피자의 발을 끼울 수 있는 링 형상의 구속장치(114)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다.
탑승대기구역(100)의 모든 대피자들이 이동판(110)에 탑승할 경우, 가이드장치(160) 및 승강구동장치(130)의 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장치(160)의 액추에이터(165)는 레일가이드부(170)를 전진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1)에 접촉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요 및 횡경사 조건 하에서도, 이동판(110)과 선체(10)가 따로따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구동장치(130)의 윈치(131)는 케이블(134)를 풀어 이동판(110) 자체를 도 7과 같이 아래로 이동시켜서, 대량의 대피자들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대피자들은 링 형상의 구속장치(114), 안전펜스(119)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전펜스(119) 근처에 있지 않는 이동판(110)의 중앙쪽에 있는 대피자들도 구속장치(114)에 의지하여 안전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판(110)이 해수면(W)에 도착할 경우, 윈치(131)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동판(110)은 복수개의 부구(117)에 의해 케이블(134)의 인장력 없이도 물에 부유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펜스(119)의 액세스 도어(118)가 열리고, 이동판(110)의 적치구조물(150)의 뗏목하우징(140)으로부터 팽창식 구명뗏목(141)이 팽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는 팽창식 구명뗏목(141) 쪽으로 옮겨 타서 선체(10)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대기구역(200)의 대피자는 접이식 탈출장비(202)를 아래로 전개시킨다.
전개된 접이식 탈출장비(202)는 상부대기구역(200)의 장비용 관통구(201)과 탑승대기구역(100)의 관통구(101)를 통과하여 이동판(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대기구역(200)의 대피자는 접이식 탈출장비(202)을 통해 탑승대기구역(100)의 관통구(101)를 지나 해수면(W) 위의 이동판(110)까지 도달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탑승대기구역 110 : 이동판
130 : 승강구동장치 140 : 뗏목하우징
150 : 적치구조물 160 : 가이드장치
170 : 레일가이드부 200 : 상부대기구역

Claims (9)

  1. 이동판용 관통구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탑승대기구역과,
    상기 이동판용 관통구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상기 바닥과 동일한 수준의 높이를 갖는 이동판과,
    상기 탑승대기구역의 연직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대기구역과,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장치와,
    상기 이동판에 세워져 설치되고, 대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뗏목하우징을 적치하는 적치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대기구역, 상기 상부대기구역 및 상기 이동판의 테두리 일부에는 안전펜스(safety fence)가 설치되어 있는
    해상 탈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대기구역은,
    상기 이동판용 관통구에 대하여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장비용 관통구와,
    상기 장비용 관통구 주변에 설치된 접이식 탈출장비를 더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과 선체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선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취부되는 레일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부가 장착된 작동암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상기 가이드레일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탈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부는,
    4방향 휠 배치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휠와,
    상기 휠들이 2방향씩 분할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글 기억자 단면형상의 휠브래킷 쌍과,
    상기 휠브래킷 쌍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휠브래킷 쌍의 연결지점에 형성된 힌지와,
    상기 힌지의 반대쪽을 기준으로 일측 휠브래킷에서 회전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편심된 쪽에 돌출턱을 형성한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돌출턱을 안착시켜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타측 휠브래킷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탈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골격 또는 격자 형상의 스틸 프레임과,
    상기 스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RP) 패널을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발을 구속하는 링 형상의 구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이동판의 저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부구를 더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장치는,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면에 설치된 윈치와,
    상기 윈치 주변으로 상기 상부대기구역의 저면에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도르래와,
    상기 윈치로부터 도르래를 거쳐 연장된 복수개의 케이블과,
    각각의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되는 샤클(shakle)과, 각각의 상기 샤클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판에 고정된 아이피스(eye pieces)를 포함하는
    해상 탈출 장치.
KR1020110124465A 2011-11-25 2011-11-25 해상 탈출 장치 KR10124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65A KR101246055B1 (ko) 2011-11-25 2011-11-25 해상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65A KR101246055B1 (ko) 2011-11-25 2011-11-25 해상 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055B1 true KR101246055B1 (ko) 2013-03-26

Family

ID=4818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65A KR101246055B1 (ko) 2011-11-25 2011-11-25 해상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5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449A (ko) * 2013-11-08 2015-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KR101540381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를 이용한 비상탈출시스템
KR101549233B1 (ko) * 2013-09-27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를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20150116059A (ko) * 2014-04-04 2015-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KR101563663B1 (ko) 2013-09-24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데크 장치
KR20160050294A (ko) * 2014-10-29 2016-05-1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라이밍 탈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61957B1 (ko) * 2015-04-29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장치
KR101750988B1 (ko) * 2015-08-21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은폐 가능한 선원대피소
WO2018217236A3 (en) * 2017-05-25 2019-01-10 Paturu Sumathi EMERGENCY EXHAUST DEVICES IN THE EVENT OF A FIRE OF MARINE BOREHOLE PLATFORMS, IN PARTICULAR A DETACHABLE ISLAND PLATFORM
CN111409764A (zh) * 2020-03-16 2020-07-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fpso船的伤员救援通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789A (en) * 1979-10-29 1982-11-02 Sedco, Inc.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offshore oil platform
KR20010052415A (ko) * 1998-05-27 2001-06-25 피시 토르마라 대피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789A (en) * 1979-10-29 1982-11-02 Sedco, Inc.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offshore oil platform
KR20010052415A (ko) * 1998-05-27 2001-06-25 피시 토르마라 대피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81B1 (ko) * 2013-09-13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를 이용한 비상탈출시스템
KR101563663B1 (ko) 2013-09-24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데크 장치
KR101549233B1 (ko) * 2013-09-27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를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2037740B1 (ko) * 2013-11-08 2019-10-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KR20150053449A (ko) * 2013-11-08 2015-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KR20150116059A (ko) * 2014-04-04 2015-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KR101599306B1 (ko) 2014-04-04 2016-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KR20160050294A (ko) * 2014-10-29 2016-05-1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라이밍 탈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43963B1 (ko) * 2014-10-29 2016-07-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라이밍 탈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61957B1 (ko) * 2015-04-29 2016-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장치
KR101750988B1 (ko) * 2015-08-21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은폐 가능한 선원대피소
WO2018217236A3 (en) * 2017-05-25 2019-01-10 Paturu Sumathi EMERGENCY EXHAUST DEVICES IN THE EVENT OF A FIRE OF MARINE BOREHOLE PLATFORMS, IN PARTICULAR A DETACHABLE ISLAND PLATFORM
CN111409764A (zh) * 2020-03-16 2020-07-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fpso船的伤员救援通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055B1 (ko) 해상 탈출 장치
EP1910164B1 (en) Gangway apparatus
US20150096485A1 (en) Personnel transport and transfer system
KR20000010566A (ko) 보트의 진수 및 양육 장치
EP2812239B1 (en) A semi-submersible platform with a movable submergible platform for dry docking a vessel
US5160286A (en) Personnel transfer system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US8757954B1 (en) Maritime transfer system
KR101592922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20180052210A (ko) 구난용 선박
KR101306941B1 (ko) 선박용 승강기
KR20140131406A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JP2004314890A (ja) 舷梯装置
EP1336560B1 (en) Marine lifesaving equipment
GB2231844A (en) Maritime emergency escape system
US11066132B2 (en) Boat transfer system
CN211196532U (zh) 一种循环式海上撤离系统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762854B1 (ko) 승선 장치
CN117566041A (zh) 适用于大型船舶多层甲板的救生筏登乘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70011187A (ko) 와전류 감속을 이용한 개인용 탈출기구
WO2018132016A1 (en) Combined module handling and crane system
JP2000504653A (ja) 船舶の安全ステーシ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