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37B1 -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37B1
KR101630737B1 KR1020140111475A KR20140111475A KR101630737B1 KR 101630737 B1 KR101630737 B1 KR 101630737B1 KR 1020140111475 A KR1020140111475 A KR 1020140111475A KR 20140111475 A KR20140111475 A KR 20140111475A KR 101630737 B1 KR101630737 B1 KR 10163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irbag
tilt
airbag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555A (ko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102014011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전면,후면 및 좌측면,우측면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전방 개폐부재의 여닫힘에 따라 내부가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와, 수용부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과,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기울기 측정수단과, 기울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비교 판단하여 수용부의 개폐부재와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과 관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수면 부분은 물론 선박 상부에도 다수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에어백이 설치되고, 그러한 에어백은 선박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침몰 중 또는 침몰 후 선박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어 선박의 침몰을 효과적으로 지연 내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선박이 침몰되더라도 생존자 구조 및 인양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Airbag for preventing the sinking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에어백을 이용하여 조난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물위에서 사람 또는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구조물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되며, 물위에 뜨는 부양성과 여객 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성 및 적재된 것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이동성의 3요소를 갖춘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선박은 강이나 바다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으며, 암초나 다른 선박과의 충돌 등에 의해 침몰될 위험이 항시 존재한다.
특히, 여객화물겸용 운반선 및 여객선과 같은 선종의 경우 다른 선종에 비하여 많은 수의 승객들이 탑승하기 때문에 손상 복원성의 계산 기준 및 탈출시간의 분석 등 생존성 향상을 위해 관련 규정의 적용 수위를 점차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충돌 및 좌초로 인한 침몰 참사는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에는 침몰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러한 안전장치 중 선박에 설치되는 에어백에 관련된 선행기술은 국내 공개특허 10-2012-0053107호(2012.05.25.)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에어백이 설치되는 선박은 침몰로 판단되는 경우 침몰되는 상태와 관계없이 에어백이 전체적으로 작동됨에 따라 선박의 침몰에 대응하여 에어백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에어백의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의 개별 작동을 통해 선박의 침몰 상태를 제어하면서 침몰의 지연 및 인명의 구조를 돕고, 선박이 침몰된 경우에도 에어백의 개별 작동을 통해 선박의 자세를 조정하면서 생존자의 구출 및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선박의 전면,후면 및 좌측면,우측면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전방 개폐부재의 여닫힘에 따라 내부가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와, 수용부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과,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기울기 측정수단과, 기울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비교 판단하여 수용부의 개폐부재와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기울기 측정수단을 통한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선박 어느 한쪽 수용부의 계폐부재를 개방시킨 다음 개방된 수용부 내의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켜 에어백이 개방된 수용부 외부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선박의 전면, 후면 및 좌측면, 우측면 소정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과,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기울기 측정수단과, 기울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비교 판단하여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기울기 측정수단을 통한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선박 어느 한쪽의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선박의 수면에 근접하는 부위에서 선박의 상부까지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선박의 기울기 측정은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계 센서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 선박 외부에는 선박의 침몰시 수면 위로 부상될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된 수동제어장치가 설치되며, 수동제어장치는 수용부의 개폐부재와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수동제어장치에는 위성조난신호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에어백 모듈의 작동과 함께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전후 및 좌우에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다수의 에어백이 설치됨에 따라 사고에 따른 선박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선박의 기울어지는 부위에 위치한 에어백 전개시켜 선박의 침몰을 지연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선박이 침몰된 상태에서도 에어백을 개별적인 작동을 통해 선박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어 침몰된 선박으로부터 생존자를 효과적으로 구출하고, 침몰된 선박의 인양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박에 에어백이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박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에어백이 작동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에어백이 설치된 선박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박으로부터 수동제어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의 구성은 크게 선박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부와, 그러한 수용부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과, 선박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수단과, 기울기 측정수단을 통해 수용부의 개폐와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 1 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용부(100)는,
선박(5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며, 선박(500)의 표면에서 내부를 향해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후술되는 에어백 모듈(200)이 내재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진다.
선박(50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게 되는 수용부의 전방은 개폐부재(110)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개폐되면서 수용부(100)의 내부를 개폐시켜준다.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는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의해 개폐되며, 이러한 개폐부재(110)는 수용부(100)의 전면에 일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개폐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110)는 에어백 모듈(200)의 작동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의 팽창 압력에 의해 수용부(10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용부(100)는 선박(5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도 3 에서와 같이 물에 잠기지 않는 수면과 근접하는 부위에서 선박(500)의 위쪽까지 분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소형 크기의 다수개로 구성되거나, 대형 크기의 한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부(100)가 대형 크기의 한개로 구성되는 경우 그러한 수용부(100)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200)은 대형 크기로 이루어진 하나의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소형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용부(100)의 설치 위치는 선박(5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선박(500)의 저면이나 상면에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박(500)의 구조에 의한 무게 배분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에어백 모듈(200)은,
전술한 수용부(100)의 내부에 내재되며,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부피가 압축되어 있는 에어백 내부로 압축된 가스를 급속 충전함으로써 에어백을 소정 크기로 팽창시켜 부력을 발생시킨다.
에어백 모듈(200)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제어부(400)의 신호를 받아 점화를 이루어지는 점화장치와, 그러한 점화장치의 점화에 따라 연소에 의해 압축된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발생장치와, 가스 발생장치에 의해 방출된 가스를 수용하여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200)은 선박(500)이 침몰된 상태에서도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방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백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100)에 내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수용부(100) 없이 에어백 모듈(200)을 선박의 외부 표면에 노출시킨 상태로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에어백 모듈(200)을 선박의 외부 표면에 단순히 고정시키지 않고, 별도의 탈착수단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 표면에 에어백 모듈(200)이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에어백 모듈(200)에서 전개되는 에어백의 팽창된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이 길이보다 긴 대략 직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울기 측정수단(300)은,
선박(5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전달해준다.
기울기 측정수단(300)은 선박(500)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소정부위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기울기 측정수단(300)의 일 예로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계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기울기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자이로센서와 가속도계 센서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전술한 기울기 측정수단(300)에 의해 측정되는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그 기울기 값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선박(500)의 기울어진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200)을 작동시켜 에어백을 전개시켜준다.
여기서 에어백 모듈(200)이 개폐부재(110)가 구비된 수용부(100)에 설치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개폐부재(110)를 우선 개방시키고 이후 에어백 모듈(200)을 작동시켜 에어백이 수용부(100) 외부에서 전개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200)이 선박의 외부 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구성인 경우 제어부(400)는 에어백 모듈(200)을 바로 작동시켜 에어백을 선박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전개시킨다.
제어부(400)는 에어백 모듈(200)의 작동과 함께 선박(500)의 사고를 선박(500) 내,외부에 알려줄 수 있도록 선박(500)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조명기구를 통해 경보램프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400)가 선박(500)의 기울기 값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수면의 상태에 따라 선박(500)이 순간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400)는 기울기 측정수단(300)에 의해 감지되는 기울기 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만 개폐부재(110)와 에어백 모듈(20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각 수용부(100)에 내재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200)은 선박(500)의 기울어짐을 판단한 제어부(400)를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그러한 수용부(100)에 내재된 에어백 모듈(200)이 수동제어장치(60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수동제어장치(600)를 작동시켜 선택되는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를 수동으로 개방시키고, 개방된 수용부(100)의 에어백 모듈(200) 또한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수동제어장치(600)의 실시 예로서,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동제어장치(600)에는 선박(500)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그러한 수용부(100)에 내재된 에어백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에어백 모듈(200)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그러한 수용부(100)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200)이 수동제어장치(600)에 설치된 각각의 버튼과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조작될 수도 있지만,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가 개방됨과 동시에 에어백 모듈(200)이 연이어 작동되면서 개방된 수용부(100)로부터 에어백이 전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와 그러한 수용부(100) 내부의 에어백 모듈(200)은 하나의 버튼으로 연결되어 개폐부재(110)의개방과 에어백 모듈(200)의 작동이 하나의 버튼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동제어장치(600)는 조타실과 같은 선박(5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선박(500) 외부에 설치되며, 이때 수동제어장치(600)의 몸체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의 구조를 가지면서 부력체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선박이 침몰되는 경우 제어부(400)의 작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선박(500)의 침몰과 함께 선박(500)으로부터 분리되는 수동제어장치(600)가 수중 또는 수면위로 부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상된 수동제어장치(600)의 조작을 통해 침몰된 선박(500)으로부터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수동제어장치(600)와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 및 에어백 모듈(200)은 방수기능을 가지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동제어장치(600)는 선박(500)이 침몰된 상태에서 선박(500)의 선택된 어느 한 부위 내지 다수 부위의 에어백을 전개시켜 선박(500)의 자세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침몰된 선박(500) 내의 생존자를 효과적으로 구출할 수 있으며, 침몰된 선박(500)을 인양하는 경우에도 인양작업에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이 선박(500)의 침몰시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되는 수동제어장치(600)에는 위성조난신호기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성조난신호기의 조난신호를 통해 침몰된 선박(500)의 위치는 물론 수동제어장치(600)의 위치를 정확히 알려 구조작업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도 있다.
수동제어장치(600)는 에어백 모듈(200)이 선박의 외부 표면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에어백 모듈(200)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다수의 버튼만이 구비되며, 그러한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에어백 모듈(200)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의 작동과정을 도 2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박(500)이 항해 도중 기울어지게 되면 선박(500)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고 있는 기울기 측정수단(300)이 측정된 기울기 값을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이때, 선박(500)의 기울기는 수면의 상태에 따라 설정된 기울기 값을 일시적으로 초과할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측정수단(300)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면서 일정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한 다음 그러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선박(500)의 기울어진 쪽 수용부(100)에 구비된 개폐부재(110)를 개방시키고, 이후 개방된 개폐부재(110) 내의 에어백 모듈(2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선박의 기울기는 기울기 측정수단(300)에 의해 선박(500)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기울기 값이 개별적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선박(500) 전방의 기울기 값이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지 판단하게 되며, 선박(500) 전방의 기울기 값이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면서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제어부(400)는 기울어진 선박(500) 전면 수용부(100)의 개폐부재(110)를 개방시키고, 이후 기울어진 선박(500) 전면의 수용부(100)에 내재되어 있던 에어백 모듈(200)을 연이어 작동시켜 기울어진 선박(500) 전면의 개방된 수용부(100)로부터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기울어지는 선박(500) 전방을 바로 잡아 선박(500)의 침몰을 지연 내지 방지할 수 있고, 승객을 효과적으로 대피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에어백의 전개와 함께 선박(500)의 사고를 선박(500) 내,외부에 신속히 알릴 수 있도록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키거나, 경보음과 경보램프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신속한 구조 요청을 통해 구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선박(500)의 사고 형태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되지 못한 상태로 선박(500)이 침몰되면 선박(500) 외부에 설치되어 있던 수동제어장치(600)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침몰된 선박(500)의 자세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수면 위로 떠오른 수동제어장치(600)의 버튼을 조작하여 선박(500) 전면, 후면 및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100)로부터 에어백을 전개시킴으로써, 침몰된 선박(500)의 자세를 바로잡아 가면서 침몰된 선박(500) 내의 생존자 구출과 이후 선박(500)의 인양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수용부 110 : 개폐부재
200 : 에어백 모듈 300 : 기울기 측정수단
400 : 제어부 500 : 선박
600 : 수동제어장치

Claims (8)

  1. 선박의 전면, 후면 및 좌측면, 우측면 소정 부위에 설치되며, 전방 개폐부재의 여닫힘에 따라 내부가 개폐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내재되는 에어백 모듈;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기울기 측정수단; 및
    상기 기울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비교 판단하여 상기 수용부의 개폐부재와 상기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측정수단을 통한 선박의 전방, 후방 및 좌측, 우측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설정된 기울기 값을 초과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선박 어느 한쪽 수용부의 계폐부재를 개방시킨 다음 개방된 수용부 내의 에어백 모듈을 작동시켜 에어백이 상기 개방된 수용부 외부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선박 외부에는 선박의 침몰시 수면 위로 부상될 수 있도록 부력체로 구성된 수동제어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제어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개폐부재와 에어백 모듈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버튼이 구비되고,
    수동제어장치와 수용부의 개폐부재 및 에어백 모듈은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동제어장치에는 위성조난신호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선박의 수면에 근접하는 부위에서 선박의 상부까지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기울기 측정은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계 센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어백 모듈의 작동과 함께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KR1020140111475A 2014-08-26 2014-08-26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KR10163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75A KR101630737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75A KR101630737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55A KR20160024555A (ko) 2016-03-07
KR101630737B1 true KR101630737B1 (ko) 2016-06-17

Family

ID=5554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75A KR101630737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49B1 (ko) * 2016-10-27 2018-08-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안전 에어백 시스템
KR101890493B1 (ko) * 2016-12-14 2018-09-28 이재찬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KR102086037B1 (ko) * 2018-08-31 2020-03-06 주식회사 대영넥스젠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CN110758667B (zh) * 2019-11-27 2021-04-13 宁波大学 一种用于渔船的防侧翻结构及其使用方法
CN115056935A (zh) * 2022-07-25 2022-09-16 中国海洋大学 一种船舶智能防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863A (ja) * 2005-02-18 2006-08-31 Hitachi Ltd 水中航走体の位置姿勢制御装置及び位置姿勢制御方法
KR101235248B1 (ko)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043B1 (ko) * 2001-10-05 2004-10-02 이인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20110122929A (ko) * 2010-05-06 2011-11-14 조남일 나 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863A (ja) * 2005-02-18 2006-08-31 Hitachi Ltd 水中航走体の位置姿勢制御装置及び位置姿勢制御方法
KR101235248B1 (ko)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55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37B1 (ko)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KR101235248B1 (ko)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US4458618A (en) Safety device for rendering a boat unsinkable
KR0137226B1 (ko) 수상 구명기구
KR101694864B1 (ko) 선박 침몰 예방장치
US9139267B2 (en) Flotation device
US8997673B1 (en) Power boat emergency floatation device
JP3175051U (ja) 浮力用エアバック付き自動車
US3268925A (en) Life-saving raft
EP3468863B1 (en) Water rescue system
US20120009832A1 (en) Inflatable Life Raft
KR20150128631A (ko) 침몰 방지 선박용 에어백 장치
US4033002A (en) Life saving equipment for vessels
US9227707B2 (en) Supplemental lifesaving system integrated in an object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101984979B1 (ko)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JPWO2014192038A1 (ja) 潜水艇および潜水艇の制御方法
JP3179519U (ja) 小型船舶用緊急脱出装置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180068713A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JP3037368U (ja) 自動車
KR101961773B1 (ko) 목을 리프팅해줄 수 있는 구명조끼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