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043B1 -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043B1
KR100451043B1 KR10-2001-0061448A KR20010061448A KR100451043B1 KR 100451043 B1 KR100451043 B1 KR 100451043B1 KR 20010061448 A KR20010061448 A KR 20010061448A KR 100451043 B1 KR100451043 B1 KR 10045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mmersion
buoyancy
sink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984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riority to KR10-2001-006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0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1)의 측면 흘수선 부근에 각각 장착되어, 선박(1) 각 부위의 수압을 각각 측정하는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 선박(1)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가,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선박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 및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으로부터 각각의 수압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그 수압 데이터들을 토대로 선박(1) 각 부위에 대한 침수 상태를 파악하고, 이후 선박(1)의 침수 부위가 감지되면 해당 부위에 장착된 침수 방지 수단(200)으로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긴급 사태 발생시 선박의 측면에 장착된 공기 튜브를 통해 선박의 침수 부위에 대한 부력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미연에 막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SINKING PRIVENTION DEVIC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긴급 사태 발생시 선박의 측면에 장착된 공기 튜브(Air Tube)를 통해 선박의 침수 부위에 대한 부력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는 침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의 조난시 이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침몰 방지용 장치가 없었다. 그러므로 선박의 침몰로 인해 귀중한 생명을 잃거나 물적, 재산적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침몰에 따른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막아주기 위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는, 선박의 측면 흘수선 부근에 각각 장착되어, 선박 각 부위의 수압을 측정한 후 그 측정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
선박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가,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선박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 및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수압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그 수압 데이터들을 토대로 선박 각 부위에 대한 침수 상태를 파악하고, 이후 선박의 침수 부위가 감지되면 해당 부위에 장착된 침수 방지 수단으로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침수 방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가 선박의 측면 흘수선 부근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서 공기 튜브가 팽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가 부착된 선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선체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수 감지 수단 200 : 침수 방지 수단
201 : 공기 튜브 202 :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
203 : 모터 204 : 케이스
300 : 제어 수단 400 : 엘리베이터
500 : 고정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는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 제어 수단(300), 및 다수개의 엘리베이터(Elevator)(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은 선박(1)의 측면 흘수선 부근에 각각 장착되어, 선박(1) 각 부위의 수압을 측정한 후 그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각각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은 선박(1)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가,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선박(1)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튜브(201),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 모터(Motor)(203), 및 케이스(Case)(204)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내에 각각 장착된 공기 튜브(201)는 선박(1)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수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가 상기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에 의해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도 3과 같이 팽창하여 그 선박(1)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내에 각각 장착된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는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공기 튜브(201)로 압축 공기를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내에 각각 장착된 모터(203)는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내에 각각 장착된 케이스(204)는 선박(1)의 정상 상태시 상기 공기 튜브(201),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 및모터(203)를 보관하다가 선박(1)에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상기 공기 튜브(201)가 팽창되면 도 3과 같이 오픈되어 상기 공기 튜브(201)를 외부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으로부터 각각의 수압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그 수압 데이터들을 토대로 선박(1) 각 부위에 대한 침수 상태를 파악하고, 이후 선박(1)의 침수 부위가 감지되면 해당 부위에 장착된 침수 방지 수단(200)으로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을 작동시키는 한편, 이와 동시에 상기 해당 엘리베이터(400)를 구동시켜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을 선박(1) 측면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 선박(1)의 침수로 인한 선박(1)의 기울어짐을 보상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엘리베이터(400)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200) 중 임의의 침수 방지 수단(200)인 상기 공기 튜브(201)의 측면과 상기 엘리베이터(400)의 전면에 고정 수단(500)인 "ㄱ"모양의 연결대를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켜, 상기 제어 수단(300)의 제어하에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을 선박(1) 측면의 수직으로 각각 상/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어 수단(300)은 해당 엘리베이터(400)를 제어하여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의 위치를 선박(1) 측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은 선박(1) 각 부위의 수압을 측정한 후 실시간적으로 그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 각각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 수단(300)은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100)으로부터 각각의 수압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그 수압 데이터들을 토대로 선박(1) 각 부위에 대한 침수 상태를 파악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300)은 각 부위의 수압을 기준 값과 비교하게 되는데, 측정된 수압이 기준 값보다 높을 경우 그 해당 부위에 대해 침수 상태라고 판정을 내리게 되며, 특히 파도나 선박(1)의 롤링 등에 의한 오동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수압이 유지되어야만 침수로 판정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수단(300)은 선박(1)의 특정 부위가 침수 상태로 판정되면,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으로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내에 장착된 모터(203)는 상기 제어 수단(300)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를 구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202)는 상기 모터(203)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자신과 접속된 상기 공기 튜브(201)로 압축 공기를 주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해당 공기 튜브(2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204)가 오픈되어 공기 튜브(201)가 외부로 이탈된다. 이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침수 방지 수단(200)의 상태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됨을 의미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 수단(300)은 선박(1)의 침수 부위에 위치한 엘리베이터(400)를 작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튜브(201)가 팽창된 해당 침수 방지 수단(200)을 침수 정도에 따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선박(1)은 공기 튜브(201)의 부력에 의해 기울어짐이 보상되고, 이로 인해 선박(1)이 중심을 잡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300)은 선박(1)이 침몰 상태라고 판정되면, 모든 침수 방지 수단(200)과 엘리베이터(400)를 적절히 구동시켜 선박(1)의 침몰을 방지하게 되며, 선박(1)의 여러 군데에 침수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해당 부위의 침수 방지 수단(200)과 엘리베이터(400)만을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다, 강, 호수 등의 물위나 물 속을 운행하는 모든 운송체에 적용 가능하며, 그 뿐만 아니라 침수 위험이 있는 운송 수단에 적용하여 변형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에 의하면, 선박의 긴급 사태 발생시 선박의 측면에 장착된 공기 튜브를 통해 선박의 침수 부위에 대한 부력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미연에 막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박의 측면 흘수선 부근에 각각 장착되어, 선박 각 부위의 수압을 측정한 후 그 측정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
    선박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가,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선박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 및
    상기 다수개의 침수 감지 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수압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그 수압 데이터들을 토대로 선박 각 부위에 대한 침수 상태를 파악하고, 이후 선박의 침수 부위가 감지되면 해당 부위에 장착된 침수 방지 수단으로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침수 방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은, 선박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수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가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그 선박의 해당 부위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튜브;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공기 튜브로 압축 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부력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선박의 정상 상태시 상기 공기 튜브, 압축공기 발생용 콤프레서, 및 모터를 보관하다가 선박에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상기 공기 튜브가 팽창되면 오픈되어 상기 공기 튜브를 외부로 이탈시키는 케이스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박 측면의 흘수선 부근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개의 침수 방지 수단 중 임의의 침수 방지 수단을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켜,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하에 해당 침수 방지 수단을 선박 측면의 수직으로 각각 상/하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2001-0061448A 2001-10-05 2001-10-05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045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448A KR100451043B1 (ko) 2001-10-05 2001-10-05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448A KR100451043B1 (ko) 2001-10-05 2001-10-05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984A KR20030028984A (ko) 2003-04-11
KR100451043B1 true KR100451043B1 (ko) 2004-10-02

Family

ID=2956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448A KR100451043B1 (ko) 2001-10-05 2001-10-05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26B1 (ko) 2010-11-10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침몰 방재 장치 및 침몰 방재 시스템
KR101616395B1 (ko) * 2014-07-30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체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26B1 (ko) * 2010-05-20 2016-09-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KR101235248B1 (ko) *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1486209B1 (ko) * 2013-10-21 2015-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복원 기능을 갖는 세미 리그
KR102131246B1 (ko) * 2014-06-30 2020-07-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1630737B1 (ko) * 2014-08-26 2016-06-17 서종근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KR101530573B1 (ko) * 2014-12-31 2015-06-22 (주) 호신 선박용 에어백장치
KR102304022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KR102304031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4577A (en) * 1939-02-08 1942-05-26 Goodrich Co B F Vulcanization of rubber
JPS62231886A (ja) * 1986-04-01 1987-10-12 Hitachi Zosen Corp 海洋構造物の転倒防止装置
JPH04113988A (ja) * 1990-09-05 1992-04-15 Mamoru Kikui 船舶のてんぷく防止装置
EP0568501A1 (en) * 1992-04-27 1993-11-03 Giuseppe Floris Inflatable hull protecting device for boats
JPH0616182A (ja) * 1992-07-01 1994-01-25 Shunichi Yanagisawa 予備浮力装置
JP2517620Y2 (ja) * 1992-05-29 1996-11-20 マルホ産業株式会社 地中電線埋設自在保護管
KR200190084Y1 (ko) * 2000-03-03 2000-07-15 이종규 공기부양백을 이용한 선박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4577A (en) * 1939-02-08 1942-05-26 Goodrich Co B F Vulcanization of rubber
JPS62231886A (ja) * 1986-04-01 1987-10-12 Hitachi Zosen Corp 海洋構造物の転倒防止装置
JPH04113988A (ja) * 1990-09-05 1992-04-15 Mamoru Kikui 船舶のてんぷく防止装置
EP0568501A1 (en) * 1992-04-27 1993-11-03 Giuseppe Floris Inflatable hull protecting device for boats
JP2517620Y2 (ja) * 1992-05-29 1996-11-20 マルホ産業株式会社 地中電線埋設自在保護管
JPH0616182A (ja) * 1992-07-01 1994-01-25 Shunichi Yanagisawa 予備浮力装置
KR200190084Y1 (ko) * 2000-03-03 2000-07-15 이종규 공기부양백을 이용한 선박의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26B1 (ko) 2010-11-10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침몰 방재 장치 및 침몰 방재 시스템
KR101616395B1 (ko) * 2014-07-30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체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984A (ko)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043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CN106167078A (zh) 一种船舶和钻井平台助浮系统及施工方法
CN110155270A (zh) 船舶防碰装置
CN107390293A (zh) 一种用于浅水岛礁区的海洋探测系统和控制方法
KR20140062489A (ko) 호스트 선박으로부터 또한 호스트 선박으로의 주정의 진수 및 회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184643A (zh) 船用双滑道安全气囊及使用方法
WO2008032918A1 (en)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vessel salvage
CN109263830A (zh) 一种无人艇的回收保护装置
CN205916302U (zh) 一种船舶和钻井平台助浮系统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CN107700536B (zh) 沉管隧道合拢段沉管接合腔排水方法
CN210712334U (zh) 充气增浮绳
JPH1016884A (ja) 水上浮遊構造物底面に対する潜水作業装置
CN207241985U (zh) 一种声学释放器
KR20110128012A (ko)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CN207037123U (zh) 一种用于浅水岛礁区的海洋探测系统
KR100528315B1 (ko) 부유식 반잠수형 시추 플랫폼을 수리하는 방법
RU2249533C2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CN115402493B (zh) 一种用于检修海底电缆的打捞设备和打捞方法
US6914530B2 (en) Liquid ingress detection
US4341174A (en) Bow dock
CN110629805A (zh) 一种监测控制装置
CN114572360B (zh) 一种破损船实验辅助装置及实验方法
CN212388513U (zh) 钢结构架下潜定位安装用气囊浮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