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022B1 -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022B1
KR102304022B1 KR1020200186996A KR20200186996A KR102304022B1 KR 102304022 B1 KR102304022 B1 KR 102304022B1 KR 1020200186996 A KR1020200186996 A KR 1020200186996A KR 20200186996 A KR20200186996 A KR 20200186996A KR 102304022 B1 KR102304022 B1 KR 10230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rol unit
submersion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석
Original Assignee
(주)우보재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보재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보재난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8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7/00Measuring gravitational fields or waves; Gravimetric prospecting or det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 H02H5/08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responsive to the entry or leakage of a liquid into an electrical appli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60Analysis
    • G01V2210/61Analysis by combining or comparing a seismic data set with other data
    • G01V2210/616Data from specific type of measurement
    • G01V2210/6165Gravitati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사용 장치와 배터리가 침수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와 배터리 사용 장치의 고장을 방치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는 제어부와 연결된 침수감지부를 통해 침수를 감지하여 침수 상황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며, 제어부에서 통신선으로 차단 전에 중지신호를 발신하여 장비가 정상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OUTPUT WITH IMMERSION DETECTION MEANS}
본 발명은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사용 장치와 배터리가 침수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와 배터리 사용 장치의 고장을 방치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외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들은 전원공급에 의해 작동된다. 그런데 전자기기들 중 정전 등에 의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계속 동작해야하는 기기들이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무중단 상시작동을 위해 비상용 백업 배터리를 구비하게 된다.
그런데 폭우등으로 침수가 발생할 경우엔 위의 설계가 오히려 문제를 일으킨다.
상용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경우 침수에 대비하여 누전차단장치 등의 차단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되는데, 비상용 백업 배터리의 경우 상용 전기의 차단시에 작동하기 위한 것으로 침수 대비가 되지 않고 있다.
전자장비가 동작중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침수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내부 회로에 파손이 생겨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 이르게 된다.
이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분이라는 유전물질이 침투하면 내부회로에 단락(short)이 발생하여 흐르는 전압이 변동되며, 심한 경우 회로소자들의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수와 같이 유전물질이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낮은 레벨의 전압으로 동작하는 소자에 높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 해당 소자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전압을 제공하는 전극이 접지전극과 낮은 저항의 물을 통해 연결되면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여 미세하고 정교하게 설계된 회로의 선로 및 구동부에 충격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옥외에서 무인으로 동작하는 장비의 경우 침수상황시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등의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어, 침수상황에 대하여 대비가 안되고 있다.
따라서, 비상용 백업배터리를 통한 중단없는 동작이라는 장점은 살리되, 침수상황시엔 상황을 감지하여 배터리전원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후속장비의 동작을 중지시켜 침수로부터 내부 회로 및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6376호, 2002년 11월 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침수 상황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며, 차단 전에 중지신호를 발신하여 장비가 정상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침수 수위가 급속히 상승하는 경우는 중지신호 없이 즉시 차단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접한 다른 장비에 침수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침수시간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전원복구할 수 있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침수가 아닌 결로, 표면이 빗물에 젖은 경우는 감지할 수 있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는 하부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 상부에는 방수기능을 구비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에는 AC전원과 연결된 제1배선, 제2배선을 구비하고, 장비와 연결되어 DC전원을 공급하는 제1출력선, 제2출력선과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을 구비하며, 전기의 차단과 변환, 신호를 발송하고 수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 침수신호를 보내는 침수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는 제어부와 연결된 침수감지부를 통해 침수를 감지하여 침수 상황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며, 제어부에서 통신선으로 차단 전에 중지신호를 발신하여 장비가 정상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침수감지부는 높이가 다른 다수의 침수센서를 구비하여 침수 수위 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수위가 급속히 상승하는 경우는 중지신호 없이 즉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인접한 다른 장비에 침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침수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침수시간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전원복구할 수 있다.
또한 침수감지부는 전기전도식 센서와 함께 수압센서를 구비하여 침수가 아닌 결로, 표면이 빗물에 젖은 경우는 침수가 아닌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일부의 회로도이다.
도 4,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10)는 상부케이스(101), 배터리(110), 제어부(120), 침수감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4, 도5는 본 발명의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출력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1단계(S3), 제2단계(S4), 제3단계(S6), 제4단계(S7, S8)을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부에 단자(111,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해주게 된다.
상부케이스(101)은 배터리(110)의 상부를 덮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부분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였으며 내부의 공간에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수가 되도록 기밀하게 형성하였다. 상부케이스(101)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제1배선(102)과 제2배선(103)이 형성되고,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출력선(104)과 제2출력선(105)이 형성된다. 아울러 장비(20)와 통신하는 통신선(10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침수감지부(130)는 배터리(110)의 일측면에 배치된 부분으로 전선에 의해 상부케이스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침수센서(131,132,133)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침수센서는 전기전도식 센서나 수압감지식 센서가 될 수 있는데 2가지를 모두 구비하여 전기전도식 센서가 빗물이나 결로에 의해 침수로 오인하는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수감지부는 각 침수센서의 높이 차이와 각 침수센서의 침수시간을 토대로 침수속도를 계산하는 침수계산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계산부는 상부케이스까지 침수되는 예상잔여침수시간을 제어부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상부케이스(10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선(102), 제2배선(103), 제1출력선(103), 제2출력선(104), 통신선(106)과 연결되고, 침수감지부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전원부(121), 침수판단부(122), 출력제어부(123), 출력단자부(124)를 포함한다. 아울러 통신부(미도시), 중력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21)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111,11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배터리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의 다른 부분에 전기를 공급한다.
침수판단부(122)는 침수감지부(130)와 연결되어 침수감지부에서 전기전도율 신호를 보내거나 수압 정보를 보내면 그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침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3에서와 같은 회로에서 R3와 R4의 비율에 따른 참조 기준전압(2.5V)를 상회하는 경우 전기전도율이 침수판단설정값을 초과하여 침수라고 판단하였다.
출력제어부(123)는 침수판단부에서 침수신호를 받는 경우 전원의 공급을 단절시키는 부분으로 평소에는 전원을 공급하나 침수신호를 받았을 때는 릴레이 코일이 접점을 단절시켜 전원을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출력단자부(124)는 출력제어부에서 전원을 전달받아 제1출력선(103)과 제2출력선(104)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통신부는 제어부가 전력을 차단하기 전에 통신선(106)을 통해 장비에 차단 예비신호를 보내기 위한 부분이다. 통신부는 통신선(106)을 통해 장비에 신호를 보낼 수도 있으며 무선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연결된 장비가 아닌 인접한 다른 장비에 무선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배선(102), 제2배선(10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압과 전류를 조정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데 일반적인 배터리 충전기술을 사용하며 과충전 방지 등 배터리 특성에 맞도록 충전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어부는 침수감지부의 침수계산부에서 예상잔여침수시간를 전달받아 설정시간된 시간보다 작은 경우 예비신호와 장비가 정상종료하는 대기시간 없이 출력제어부에서 즉시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위가 너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경우 장비가 정상종료하도록 기다리는 것이 장비 고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중력센서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장치가 태풍 등의 강한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해 전도되어 넘어지는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20 : 장비
101 : 상부케이스
102 : 제1배선
103 : 제2배선
104 : 제1출력선
105 : 제2출력선
106 : 통신선
111 : 제1단자
112 : 제2단자
110 : 배터리
120 : 제어부
121 : 전원부
122 : 침수판단부
123 : 출력제어부
124 : 출력단자부
130 : 침수감지부
131 : 제1침수센서
132 : 제2침수센서
133 : 제3침수센서

Claims (6)

  1. 옥외에 설치된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한 출력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상부를 덮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의 일측면에 배치된 침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기밀하여 내부 공간이 방수되도록 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는 제어부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침수감지부는 제어부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제1배선과 제2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배선, 제2배선, 제1출력선, 제2출력선은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부와 상기 침수감지부와 연결되는 침수판단부와 상기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과 연결되는 출력단자부와 상기 침수판단부에서 신호를 받고 상기 출력단자부에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장비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며,
    상기 침수감지부는 전기전도식 센서와 수압감지식 센서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침수감지부는 높이의 차이가 있는 다수의 침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감지부는 각 침수센서의 높이 차이와 각 침수센서의 침수시간을 토대로 침수속도를 계산하는 침수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계산부는 상부케이스까지 침수되는 예상잔여침수시간을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침수판단부에 의해 침수판단될 때 통신선을 통해 장비가 정상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지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예상잔여침수시간이 설정시간보다 작은 경우 출력제어부에서 즉시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중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KR1020200186996A 2020-12-30 2020-12-30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KR10230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96A KR102304022B1 (ko) 2020-12-30 2020-12-30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96A KR102304022B1 (ko) 2020-12-30 2020-12-30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022B1 true KR102304022B1 (ko) 2021-09-24

Family

ID=7791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96A KR102304022B1 (ko) 2020-12-30 2020-12-30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8966A (zh) * 2024-03-29 2024-05-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防水测试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76Y1 (ko) 2002-09-10 2002-11-23 김승호 전자기기의 침수 보호장치
KR20030028984A (ko) * 2001-10-05 2003-04-11 이인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20070096452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워터콤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제품용 배터리
KR20120117477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30037455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35529A (ko) * 2015-05-18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85101B1 (ko) * 2015-12-03 2016-12-09 주식회사 대경산전 내진 기능을 구비한 전력 제어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84A (ko) * 2001-10-05 2003-04-11 이인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200296376Y1 (ko) 2002-09-10 2002-11-23 김승호 전자기기의 침수 보호장치
KR20070096452A (ko) * 2006-03-24 2007-10-02 주식회사 워터콤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제품용 배터리
KR20120117477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30037455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35529A (ko) * 2015-05-18 201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85101B1 (ko) * 2015-12-03 2016-12-09 주식회사 대경산전 내진 기능을 구비한 전력 제어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8966A (zh) * 2024-03-29 2024-05-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防水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6677B2 (en) Automatic control switch for an electric motor
CA2342614A1 (en) Control system for bathers
US9383244B2 (en) Fluid level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2304022B1 (ko)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JP2018132307A (ja) 水位判定装置、水位判定システム
US10096863B2 (en) Electrical accumulator with water sensor
KR102304031B1 (ko)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0757056B1 (ko) 우수유입에 의한 합선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배전기 제어구조
CN207116342U (zh) 一种电弧故障断路器
CN205666452U (zh) 一种使用安全性高的防爆配电柜
WO2020011172A1 (zh) 防水连接器及使用该防水连接器的电池
KR101029577B1 (ko) 중성선 결상관리모듈이 장착된 회로차단기
KR200386135Y1 (ko) 침수검지 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자동점멸기
US11841403B2 (en) Motor leakage current detector, devices using same and related methods
CN202068173U (zh) 一种潜水排污泵电机进水检测及保护装置
CN209955783U (zh) 带有小电流注入功能的便携式电动汽车充电器
CN201489444U (zh) 多功能电脑待机自动断电节能装置
CN110435457A (zh) 带有小电流注入功能的便携式电动汽车充电器
KR100385568B1 (ko) 저수조 제어시스템
CN216210673U (zh) 一种功能井水位控制装置
CN218151067U (zh) 一种电缆通道水位报警系统
JP593499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209200766U (zh) 一种智能多脉冲浪涌保护器
CN219779454U (zh) 一种户外箱式变电站
CN210224925U (zh) 一种集成高压启动的动态自供电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