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529A -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529A
KR20160135529A KR1020150068963A KR20150068963A KR20160135529A KR 20160135529 A KR20160135529 A KR 20160135529A KR 1020150068963 A KR1020150068963 A KR 1020150068963A KR 20150068963 A KR20150068963 A KR 20150068963A KR 20160135529 A KR20160135529 A KR 2016013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unit
power suppl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514B1 (ko
Inventor
박정훈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14B1/ko
Priority to US15/156,962 priority patent/US10409249B2/en
Publication of KR2016013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 H02H5/08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responsive to the entry or leakage of a liquid into an electrical appli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에 위치하는 침수 감지부,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escription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침수를 판단하여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상황에 노출되어 오동작하거나 동작이 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 전자 장치가 침수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전자 장치의 침수를 판단하고자, 전자 장치 내에 침수 라벨을 부착하거나, 습도 센서 등을 구비하여 전자 장치의 침수 시에, 전자 장치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침수 라벨은 이미 침수가 진행된 이후, 침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반해, 습도 센서는 제어부가 전자 장치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습도 센서를 통한 방법은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허브(sensor hub) 또는 제어부가 침수된 경우, 상기 방법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센서 허브 또는 제어부가 침수되지 않아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차단 된 이후에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면, 전원 버튼 누름)에 의해 전원이 전자 장치의 회로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침수된 회로의 피해를 막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일부에 침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 및 회로를 구비하여, 침수 시 또는 침수 후 전자 장치의 회로와 배터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침수 시 또는 침수 후 사용자에 의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에 위치하는 침수 감지부,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 스위치를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를 감지하는 분해 감지부 및 상기 전원 감지부와 분해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전원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침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침수가 확인된 경우, 전원 공급을 비활성화 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가 감지된 경우, 전원 공급을 활성화하고 전원 공급이 활성화된 경우 전원 버튼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된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침수 감지부 및 침수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침수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침수 상황이 감지될 시, 배터리로부터 전자 장치의 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침수 상황 감지 후 사용자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공급 시 발생할 수 있는 회로의 누전, 쇼트(Short)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자 장치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침수를 감지하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진 침구 감지부의 구성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침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침수 감지부가 실장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e 내지 도 2g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일부의 분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침수 감지부가 실장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회로도 100은 침수 감지부 110, 전원 제어 스위치 120, 전원 버튼 130, 전원 관리부 140 및 전원부 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침수 감지부 110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분, 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내부 지지구조(support member) 또는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침수 감지부 1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예를 들면, 물(water))에 의해 전자 장치가 침수되기에 취약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침수에 취약한 부분의 예로는, 상대적으로 개방된 부분인 이어잭 부(미도시), 스피커부(미도시), 마이크부(미도시), SIM CARD 삽입부(미도시) 또는 충전단자(미도시) 등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침수 여부 판단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자 장치 내부 또는 표면의 다수의 위치에 다수개의 침수 감지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침수 감지부 1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도성 단자는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 19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레벨이 침수 감지부 110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변화됨에 따라 침수 감지부 110의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스위치 120은 침수 감지부 110의 단자 간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수되지 않은 경우, 즉 침수 감지부 110가 전기적으로 연결 되지 않은 경우(개방된 경우, open), 전원부 190로부터 공급되어 전원 제어 스위치 120으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제 1레벨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1 레벨에 대응되는 신호는 ‘하이’(High)일 수 있다. 또한, 침수된 경우, 즉 침수 감지부 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폐쇄된 경우, short) 전원 제어 스위치 120으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제 2레벨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2 레벨에 대응되는 신호는 ‘로우’(Low)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원 제어 스위치는 침수 감지부 110가 침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된 경우 ‘로우’ 신호를 입력 받으며, 침수 감지부 110가 침수되지 않거나 침수 후 다시 건조된 경우, 즉 전기적으로 개방(open)된 경우, ‘하이’ 신호를 입력 받는다고 설명할 수 있다.
전원 버튼 130은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전원 버튼 130는 전자 장치의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센서(예를 들어, 압력센서, 온도 센서, IR센서, 조도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 객체 등을 표시하여 구현하는 소프트 버튼일 수도 있다.
전원 버튼 130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원 관리부 140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 관리부 140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회로(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 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외부충전장치 또는 보조 배터리팩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일 수 있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 190에 가까운 위치에 풀업(pull-up)저항 101을 달아 침수 감지부 110가 전기적으로 연결 되었을 시에 누설 전류를 최소로 할 수 있다. 풀업 저항 101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저항들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업 저항 101은 1Mohm의 값을 가지는 저항일 수 있다. 또한, 침수 시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풀업 저항 101에 침수 방치 처리를 할 수 있다. 침수방지 처리는 침습이 되지 않는 물질을 이용한 도포, 예를 들어 수지 처리, 등이 될 수 있다. 풀업 저항 101이 침수방지 처리 되는 이유는 전자 장치가 침수될 시에 풀업 저항 101이 전기적으로 단락(short)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회로도는 제 1 스위치 202, 제 2 스위치 203, 논리 연산부 204(예를 들어, OR gate)를 포함한 침수 감지 회로 200와 침수 감지부 210, 전원 제어 스위치 220, 전원 버튼 230, 전원 관리부 240, 분해 감지부 250 및 전원부 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가 침수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의 동작에 대한 회로를 나타낸다. 제 1 스위치 202는 전원부 290로부터 전압과 연관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들 들어, 도6의 601)가 침수되지 않아 침수 감지부 210이 전기적으로 연결 되지 않은(open) 경우 제 1스위치 202는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인‘하이’ 신호를 입력(input)받을 수 있다. 제1 스위치 202는 전원 291로부터 제1스위치 202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enable signal)로 ‘하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인에이블(enable)로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인 경우 스위치는 동작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스위치 202는 입력으로 받은 ‘하이’신호를 출력으로 내보낼 수 있다. 제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는 논리 연산부 204에 입력될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는 제1 스위치 202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와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를 판별하여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작 상태에 있어서 논리 연산부 204는 제1 스위치로부터 ‘하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분해 감지부로부터 ‘하이’또는 ‘로우’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분해가 감지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전자 장치의 분해가 감지되면 ‘하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분해 감지는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의 배터리 커버의 이탈, 전자 장치의 하우징과 하우징 또는 하우징과 내부 구조물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부(예를 들어, 스크류, hock 구조)의 이탈, 하우징 내부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고 있는 지지구조 또는 하우징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e내지 도 2g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일부의 분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e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분리 가능한 커버(211)가 적용된 전자 장치에서의 분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커버(211)는 탈착 가능한 배터리 커버,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면을 덮을 수 있는 플립 커버가 될 수 있다. 도 2f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예를 들어 스크류, hook 구조)의 분해를 나타낸다. 도 2g는 일체형 커버 또는 하우징(212)이 적용된 전자 장치에서의 분해를 나타낸다.
다시 도 2a 설명으로 돌아오면, 일반적인 동작 상태에 있어서, 논리 연산부 204에 입력되는 제1 스위치의 출력 신호는 항상 ‘하이’이므로,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는 분해 감지장치 25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관 없이‘하이’일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 ‘하이’는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선택(select) 입력이 ‘하이’이면 출력 신호는 플로팅(floating) 상태일 수 있으며, 출력선택(select) 입력이 ‘로우’이면 출력 신호는 ‘로우’일 수 있다.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은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 및 논리 연산부 204의 입력과 연결(bridge)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작 상태에 있어서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은 플로팅 상태가 되므로,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은 논리 연산부 204로 입력되는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 ‘하이’는 전원 제어 스위치 220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스위치 220의 출력선택(select)입력이 ‘하이’이면, 전원 292로부터 입력되는 ‘하이’신호를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스위치 220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 전원 버튼 230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신호가 전원 제어 장치 20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장치 203으로 전원 버튼 230의 출력이 전달되면, 전원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b는 전자 장치가 침수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분해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에 대한 회로를 나타낸다. 제 1 스위치 202는 전원부 290로부터 전압에 연관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들 들어, 도6의 601)가 침수되어 침수 감지부 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short) 제1 스위치 202는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인‘로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1스위치 202는 전원 291으로부터 스위치 동작을 위한 인에이블(enable) 신호로 ‘하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인에이블의 입력이 ‘하이’인 경우 제1 스위치는 동작 상태일 수 있으며, 제 1스위치 202는 입력 받은 ‘로우’ 신호를 출력으로 내보낼 수 있다.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는 논리 연산부 204에 입력될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는 제 1스위치 202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와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를 판별하여 출력을 결정한다. 전자 장치가 침수된 상태에서 논리 연산부 204는 제1 스위치로부터 ‘로우’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하이’또는 ‘로우’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침수된 상태에 있어서, 논리 연산부 204에 입력되는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는 ‘로우’이므로,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는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입력 받는 신호에 따라‘하이’또는 ‘로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분해가 감지되지 않아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로우’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는 ‘로우’일 수 있으며, 이 ‘로우’ 신호는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선택(select) 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제 2스위치 203은 출력선택(select)이 ‘로우’이면‘로우’신호를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및 논리 연산부 204의 입력과 연결(bridge)되는 제 2스위치 203의 출력은 ‘로우’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 1스위치 202의 출력 신호에 상관 없이 논리 연산부 204의 입력에 항상 ‘로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논리 연산부 204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는 제 1스위치 202의 인에이블 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제 1스위치 202의 인에이블 입력이 ‘로우’이면, 제1스위치 202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위치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전원 29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변화한다고 하더라도 출력은 변함없이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인 ‘로우’신호는 전원 제어 스위치 220의 출력선택(select)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스위치의 출력선택(select)가 ‘로우’입력인 경우 출력은 ‘로우’ 또는 플로팅(floating) 상태 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 230에서 입력이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입력이 전원 관리부 2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원 관리부 240은 전자 장치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c는 전자 장치가 침수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서 분해가 감지된 동작에 대한 회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들 들어, 도6의 601)의 일부에 분해가 감지되면 논리 연산부 204는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하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분해 감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의 배터리 커버의 이탈, 전자 장치의 하우징과 하우징 또는 하우징과 내부 구조물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부(예를 들어, 스크류, hock 구조)의 이탈, 하우징 내부 PC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고 있는 지지구조 또는 하우징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하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논리 연산부 204는 제1 스위치 202 또는 제2 스위치 203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과는 상관없이 항상 ‘하이’신호를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된 ‘하이’신호는 전원 제어 스위치 220으로 출력선택(select) 신호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 입력에 대하여 전원 제어 스위치 220은 출력으로 ‘하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 23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전원 관리부 24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부 240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d는 전자 장치가 침수 후 건조된 경우의 동작에 대한 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침수 시의 회로 동작에서, 침수가 된 상태에서 분해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제 1스위치 202의 입력, 출력 및 인에이블 신호와 제2스위치 203의 출력 신호 및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 신호는 ‘로우’신호일 수 있다.
침수된 전자 장치가 건조된 상태가 되면, 예를 들어 침수 감지부 210의 전도성 단자가 물에 의해 단락(short)되었다가 물이 제거되어 개방(open)되는 경우, 제1 스위치의 입력 신호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위치 202의 인에이블 신호는 계속 ‘로우’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제 1스위치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스위치의 입력이 변화한다 하더라고 출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경우 전원 제어 스위치 220에는 계속 ‘로우’가 입력될 수 있고, 전원 버튼 230의 입력이 전원 관리부 240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수 후 건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분해가 감지가 되는 경우, 분해 감지부 250으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논리 연산부 204로 입력될 수 있다. 논리 연산부 204가 ‘하이’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논리 연산부 204의 출력은 제1 스위치 202 또는 제2 스위치 203의로부터 수신되는 입력과 상관없이 ‘하이’로 결정될 수 있다. 논리합 게이트 204 에서‘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버튼 230의 입력이 전원 관리부 24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부 240은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d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침수 감지부 301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conductive element) 3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단자 302은 통전이 가능한 물질(conductive material) 30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전 가능한 물질 303은, 예를 들면 물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이 위치하는 공간은 침수 감지부와 301과 또 다른 침수 감지부 사이일 수도 있고, 침수 감지부 301과 전자장치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하우징, 지지구조, 배터리, PCB) 304 사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이 침수 감지부 301과 전자장치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하우징, 지지구조, 배터리, PCB) 30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침수 감지부 301 상의 전도성 단자 302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침수 감지부 301은 Flexible PCB(Printed Circuit Board), Rigid PCB로 구성될 수 있다. 침수 감지부 301은 전자 장치가 포함하는 지지 구조(support member), 하우징, 디스플레이, 배터리 중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a과 같이 하나의 침수 감지부 301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도성 단자 302가 위치할 수 있고, 각각 다른 침수 감지부 301에 하나의 전도성 단자 30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침수 감지부 301에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 302들이 위치하고, 전도성 단자 302는 돌출부 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310은 전도성 단자 302가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전도성 단자 302와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 310이 전도성 단자 302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돌출부 310은 저항, 인덕터, 전도성 테이프(tape), 가스킷(Gasket)일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상기 전도성 단자 302와 연결되어 돌출되는 돌출부 310에 더하여 돌출부 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320은 돌출부 310과 동일 재질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다른 재질, 예를 들어 저항, 인턱터, 전도성 테이프, 가스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이 가능한 물질 303, 예를 들면, 물이 침수 감지부 301와 전자장치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하우징, 지지구조, 배터리, PCB) 304 사이에 위치할 시에, 침수 감지부 301의 전도성 단자 302에 제대로 접촉되지 않아 단자 간 전기적인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 단자 302로부터 연장된 돌출부 310 (또는 310과 320)를 이용하여 전도성 단자 간의 전기적 연결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침수 감지부 301은 하나 이상의 전도성 단자 302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단자 302에 돌출부 310을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통전 가능한 물질 303이 유동성 있는 물질일 경우에 대비하여 비 전도성 흡수재(absorber) 330를 전도성 단자 302 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비 전도성 흡수재, 예를 들면, 스폰지 330는 통전 가능한 물질 303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전도성 단자 302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2d 의 회로도를 도 4 및 도 5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동작 500에서 전자 장치가 침수되는 경우 부품 및 전원부 쇼트(short), 또는 전원 차단 회로를 통하여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동작 501에서 침수 감지 회로 401는 침수 감지부 410로부터 침수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침수 감지 회로 401이 전자 장치가 침수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동작 502에서와 같이 침수 감지 회로 401을 통하여 전원 제어 스위치 42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 스위치 420를 개방(open)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분해 감지부 450을 통하여 전자 장치가 분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분해가 감지되었다면, 동작 504로 진행하고 동작 504에서 침수 감지 회로 401는 전원 제어 스위치 42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 스위치 420를 폐쇄(short)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작 505에서 전원부 490의 전원 및 전원버튼 460의 신호를 전원 관리부 44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원 관리부 44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카메라 등의 전자 장치 내의 부품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분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분해가 감지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6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610, 통신 모듈 620, (가입자 식별 모듈 624, 메모리 630, 센서 모듈 640, 입력 장치 650, 디스플레이 660, 인터페이스 670, 오디오 모듈 680, 카메라 모듈 691, 전력 관리 모듈 695, 배터리 696, 인디케이터 697, 및 모터 6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6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 6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6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6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61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6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6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 6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블루투스 모듈 625, GNSS 모듈 6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6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6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 6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6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 6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은 프로세서 6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623, 블루투스 모듈 625, GNS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블루투스 모듈 625, GNS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 6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 6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블루투스 모듈 625, GNS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 6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6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632 또는 외장 메모리 6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 6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6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6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 6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 6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6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6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640A, 자이로 센서 640B, 기압 센서 640C, 마그네틱 센서 640D, 가속도 센서 640E, 그립 센서 640F, 근접 센서 640G, 컬러(color 센서 6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640I, 온/습도 센서 640J, 조도 센서 6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6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 6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6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601는 프로세서 6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 6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 6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 6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 6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6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654, 키(key)6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6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 6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6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 6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 6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 6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 658는 마이크(예: 마이크 6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6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 662, 홀로그램 장치 664, 또는 프로젝터 6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6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 662은 터치 패널 6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 6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 6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6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660는 패널 662, 홀로그램 장치 664, 또는 프로젝터 6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6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672, USB(universal serial bus) 6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676, 또는 D-sub(D-subminiature) 6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 6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6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 6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682, 리시버 684, 이어폰 686, 또는 마이크 6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6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6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6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 6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 6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6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697는 전자 장치 6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6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 6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 6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회로도
110, 210, 301, 410: 침수 감지부
120, 220, 420: 전원 제어 스위치
130, 230, 460: 전원 버튼
140, 240, 440: 전원 관리부
250, 450: 분해 감지부
290, 490: 전원부
401: 침수 감지 회로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에 위치하는 침수 감지부;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침수 감지부의 전압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원 관리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부는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단자 중 하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단자 중 하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부는,
    비 도전성 흡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부는,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원 및 상기 전원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전원 관리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를 감지하는 분해 감지부; 및
    상기 전원 감지부와 분해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침수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감지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감지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연산부는,
    논리합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침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침수가 확인된 경우, 전원 공급을 비활성화 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의 분해가 감지된 경우, 전원 공급을 활성화하는 동작; 및
    전원 공급이 활성화된 경우 전원 버튼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된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침수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을 비활성화 하는 동작은,
    침수 감지 회로의 제 1 스위치가 상기 침수 감지부로부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개방되는 동작;
    상기 제 1 스위치가 개방됨에 따라 논리 연산부가 상기 제 1 스위치로부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논리 연산부의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원 제어 스위치가 입력 받는 동작; 및
    상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상기 전원 제어 스위치를 통해 전원 관리부를 비활성화하여 전원 공급을 비활성화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를 감지하는 동작은,
    분해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에서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로 천이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를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침수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에서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로 천이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분해를 감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을 활성화 하는 동작은,
    상기 논리 연산부가 상기 분해 감지부로부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전원 제어 스위치가 상기 논리 연산부로부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 동작; 및
    상기 전원 제어 스위치를 통해 전원 관리부를 활성화하여 전원 공급을 활성화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50068963A 2015-05-18 2015-05-18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63A KR102353514B1 (ko) 2015-05-18 2015-05-18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5/156,962 US10409249B2 (en) 2015-05-18 2016-05-17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63A KR102353514B1 (ko) 2015-05-18 2015-05-18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29A true KR20160135529A (ko) 2016-11-28
KR102353514B1 KR102353514B1 (ko) 2022-01-20

Family

ID=573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963A KR102353514B1 (ko) 2015-05-18 2015-05-18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09249B2 (ko)
KR (1) KR1023535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671A1 (en) * 2019-07-11 2021-0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64589A (ko) * 2019-11-26 2021-06-0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저전력 딥러닝 가속 장치
KR102304031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4022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US11520380B2 (en) 2018-01-31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firming whether submergence has occurred by using submergence sens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230003756A (ko) * 2021-06-30 2023-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수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822B (zh) * 2018-12-21 2021-03-02 中航华东光电有限公司 显示器上电控制电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20Y1 (ko) * 2005-06-20 2005-09-02 김연수 침수시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키는 휴대형전자기기용밧데리 자동제어퓨즈회로팩
JP4574895B2 (ja) * 2001-05-14 2010-11-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端末
US20140300489A1 (en) * 2011-09-21 2014-10-09 Imprenditore Pty Limited Power monitoring and signal unit
KR20140130954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186A (en) * 1977-02-23 1979-01-16 Hitachi, Ltd. Liquid level detecting apparatus
DE102009020559B4 (de) * 2009-05-08 2011-05-05 Auto-Kabel Management Gmbh Kurzschlusssicherung für eine Elektrofahrzeugbatterie
US8550331B2 (en) 2011-05-20 2013-10-08 Multi Packaging Solutions, Inc. Foldable container and attach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4895B2 (ja) * 2001-05-14 2010-11-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端末
KR200394520Y1 (ko) * 2005-06-20 2005-09-02 김연수 침수시 전원을 순간적으로 차단시키는 휴대형전자기기용밧데리 자동제어퓨즈회로팩
US20140300489A1 (en) * 2011-09-21 2014-10-09 Imprenditore Pty Limited Power monitoring and signal unit
KR20140130954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0380B2 (en) 2018-01-31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firming whether submergence has occurred by using submergence sens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1006671A1 (en) * 2019-07-11 2021-0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7473A (ko) * 2019-07-11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64589A (ko) * 2019-11-26 2021-06-0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저전력 딥러닝 가속 장치
KR102304031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4022B1 (ko) * 2020-12-30 2021-09-24 (주)우보재난시스템 침수감지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출력제어장치
KR20230003756A (ko) * 2021-06-30 2023-01-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침수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9249B2 (en) 2019-09-10
KR102353514B1 (ko) 2022-01-20
US20160342143A1 (en)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0297B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usb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for usb interface
KR102382003B1 (ko) 복수의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56658B2 (e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375142B1 (ko) 연결 장치 및 장치 인식 방법
KR102353514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6551B1 (ko) 연결 장치 및 장치 인식 방법
KR102663256B1 (ko) 커넥터의 부식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10713B1 (ko)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펜 및 그것으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880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접속부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
KR1023919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어폰 삽입 오인식 방지 방법
US110418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in an electronic device
US102287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42269B1 (ko)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79912A (ko) 밴드 체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4522A (ko)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14461A (ko)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20160131696A (ko) 안테나 및 안테나가 구비된 전자 장치
KR201600471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
KR20170068938A (ko) 기판 고정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KR201700002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도 판단 방법
KR10263051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물 검출방법
KR2016013977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전력 관리 방법
KR20180058420A (ko) 도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144065A (ko)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20180128579A (ko) 배터리의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