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19B1 -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19B1
KR102375319B1 KR1020150131402A KR20150131402A KR102375319B1 KR 102375319 B1 KR102375319 B1 KR 102375319B1 KR 1020150131402 A KR1020150131402 A KR 1020150131402A KR 20150131402 A KR20150131402 A KR 20150131402A KR 102375319 B1 KR102375319 B1 KR 10237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ontrol
buoyancy
sonar
unit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552A (ko
Inventor
조아라
이상용
윤동원
김상일
정재원
김대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9Arrangements of sonic watch equipment, e.g. low-frequency, son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8Son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는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센서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예인 소나부; 및 상기 예인 소나부에 설치되며, 비상시 저장되는 평형수를 강제 배수시켜 상기 예인 소나를 강제 부양시키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TTACHABLE TOWED ARRAY SONAR CABLE INTERFERENCE}
본 발명은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는 예인 소나 케이블이 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항 속도가 낮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예인 소나를 부양시키고, 정상 운항시 예인 소나를 가라 앉게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예인 소나는 수상함 및 소형 잠수함에서 부착식(clip-on type)으로 구성되어, 출항 시 보조정이 잠수함에 걸어두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TAS는 선배열 음탐기/선배열예인소나라 불리며, 수상함이나 잠수함의 후미에 있는 소나 방출장치에서 긴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출된다.
TAS 운용 시 선체에서 발생하는 자체 소음 및 유동으로부터 방해 받지 않기 위해, 긴 케이블을 사용해 원거리에서 소나를 운용한다.
일반적으로 중성부력 또는 약 음성부력을 갖도록 소나를 구성하는데, 초기 사출 시에는 사출 지점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소나를 운용하는 함 속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케이블의 사출 지점이 함 아래인 경우 간섭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으나, 잠수함의 적재공간이 부족할 경우 사출 지점을 함 상부로 할 수 있다.
잠수함이 속도를 가지고 전진하는 경우 자체추진력이 없는 소나에 저항이 걸려 케이블 위치가 유지된다.
그러나, 잠수함 속도가 낮은 경우 소나에 걸리는 저항이 작아지므로 케이블에 장력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내에서 운항해야 한다.
종래에는, 잠수함이 유사시 감속하거나 정지하는 경우, 케이블에 장력이 유지되지 않아 케이블이 쳐질 수 있으며, 이 때 잠수함 선미에 위치한 프로펠러 등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수중탐색음탐기 예인 신호케이블 견인장치(특허출원 제10-2012-00514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는 예인 소나 케이블이 잠수함이 유사시 감속하거나 정지하는 경우 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해 처져서 함미부와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운항 속도가 낮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예인 소나를 부양시키고, 정상 운항시 예인 소나를 가라 앉게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는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센서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예인 소나부; 및 상기 예인 소나부에 설치되며, 비상시 저장된 평형수를 강제 배수시켜 상기 예인 소나를 강제 부양시키는 부력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 조절 장치는, 상기 예인 소나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는, 압축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평형수를 강제 배출하여 부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예인 소나부의 양단에서 동일한 부력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 각각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기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평형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 및 평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비상시에 따라,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와 상기 개폐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평형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하여 부력을 형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시 선체의 항해 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항해 속도 이하를 이루는 경우, 비상시로 판단하고, 상기 선체의 항해 속도가 상기 기준 항해 속도에 이르면, 형성된 상기 부력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 각각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선체 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는 예인 소나 케이블이 선체의 속도 변화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항 속도가 낮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예인 소나를 부양시키고, 정상 운항시 예인 소나를 가라 앉게 할 수 있어, 잠수함이 유사시 감속하거나 정지하는 경우 프로펠러와 같은 선미 장비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위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단위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위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단위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는 크게 예인 소나부(100)와, 부력 조절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예인 소나부(100)는 선체(10)와 연결되는 센서 케이블(110)의 끝단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 케이블(110)은 설정된 길이를 이루고, 선체(10)에 부착식(clip-on type)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부력 조절부(200)는 예인 소나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선체(10)에 설치되며, 비상시 상기 예인 소나부(100)를 수직 방향을 따라 부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력 조절부(200)는, 상기 예인 소나부(100)의 양단에서 평형수를 배출함으로써 동일한 부력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부력 조절부(200)는 상기 예인 소나부(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210)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210) 각각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기(211)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211)와 연결관(212)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평형수(213a)가 저장되는 밸러스트 탱크(213)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213)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 및 평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214)와, 상기 연결관(212)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212)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215)와, 상기 선체(10)에 설치되며, 비상시에 따라,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211)와 상기 개폐 밸브(215)를 구동시켜, 상기 밸러스트 탱크(213)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평형수(213a)를 상기 배출구(214)를 통해 강제 배출하여 부력을 형성하는 제어기(21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216)는, 상시 선체(10)의 항해 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항해 속도 이하를 이루는 경우, 비상시로 판단한다.
예컨대, 선체(10)가 저속으로 운항하고 있거나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배출구(214)는 밸러스트 탱크(21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선체(10) 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잠수함과 같은 선체(10)는 일정 속도로 항해 또는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예인 소나부(100)의 센서 케이블(110)은 선체(10)의 후미에 부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유연할 필요는 없다.
제어기(216)는 선체(10) 항해 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항해 속도 이하를 이루는지를 판단하고, 이하를 이루는 경우, 비상시로 판단한다.
이의 경우, 선체(10)는 저속으로 운항 또는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16)는 각 예인 소나부(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각 단위 부력 조절부(210)에 부력을 형성한다.
특히, 제어기(216)는 각 단위 부력 조절부(210)를 통해 동시에 부력을 형성시킨다.
먼저, 압축 공기 공급기(211)를 구동시키고, 개폐 밸브(215)를 개방한다.
따라서 압축 공기는 연결관(212)를 통해 밸러스트 탱크(213)로 공급되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되는 평형수(213a)를 배출구(214)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예인 소나부(100)의 양단에서의 각 단위 부력 조절부(210)에는 부력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선체(10)의 항해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경우, 즉시 예인 소나부(100)의 양단에서 부력을 형성하여 해수면 측으로 수직 부상시킴으로써, 센서 케이블(1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4)의 방향을 선체(10)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평형수 배출 시 운동량 보존에 따라 선체 반대방향으로 힘을 작용해 처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선체(10)인 잠수함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게 되면, 제어기(216)는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해수를 다시 밸러스트 탱크(213)의 내부로 유입시켜 부력을 제거하고, 예인 소나부(100)를 가라앉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체
20 : 윈치
100 : 예인 소나부
110 : 신호 케이블
200 : 부력 조절부
210 : 단위 부력 조절부
211 : 압축 공기 공급기
212 : 연결관
213 : 밸러스트 탱크
213a : 평형수
214 : 배출구
215 : 개폐 밸브
216 : 제어기

Claims (6)

  1. 선체에 부착식으로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센서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예인 소나부; 및
    상기 예인 소나부에 설치되며, 비상시 저장되는 평형수를 강제 배수시켜 상기 예인 소나를 강제 부양시키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예인 소나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는,
    압축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평형수를 강제 배출하여 부력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 각각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기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평형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형성되며, 압축 공기 및 평형수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비상시에 따라, 상기 압축 공기 공급기와 상기 개폐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평형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하여 부력을 형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예인 소나부의 양단에서 동일한 부력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시 선체의 항해 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항해 속도 이하를 이루는 경우, 비상시로 판단하고,
    상기 선체의 항해 속도가 상기 기준 항해 속도에 이르면, 형성된 상기 부력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부력 조절부 각각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선체 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KR1020150131402A 2015-09-17 2015-09-17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KR10237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02A KR102375319B1 (ko) 2015-09-17 2015-09-17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02A KR102375319B1 (ko) 2015-09-17 2015-09-17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52A KR20170033552A (ko) 2017-03-27
KR102375319B1 true KR102375319B1 (ko) 2022-03-15

Family

ID=5849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02A KR102375319B1 (ko) 2015-09-17 2015-09-17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7B1 (ko) *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276Y1 (ko) * 2007-05-21 2009-02-16 (주)보고 잠수정용 발라스트 장치
KR20120051426A (ko)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토너의 제조 방법
KR20140033656A (ko) * 2012-09-10 2014-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소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67B1 (ko) *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52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8712A (en) Buoyant floats for docking and towing seacraft
US6554660B2 (en) Propulsion system for yachts, trawlers and the like
KR102375319B1 (ko) 부력 조절을 이용한 부착식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KR101024547B1 (ko)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횡방향 추진 시스템
RU2446982C1 (ru) Способ проводки судна по каналам и мелководным участкам внутренних водных пут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50111429A (ko) 선박의 저항감소장치
CN104778860B (zh) 一种船舶集装过闸装置及集装过闸方法
KR101411946B1 (ko) 정선장비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CN109263830A (zh) 一种无人艇的回收保护装置
KR101895372B1 (ko) 다목적 이동식 계류장치
KR101717372B1 (ko) 부력 조절을 이용한 권취 타입 예인소나 케이블 간섭방지장치
RU2380274C1 (ru) Подводный танкер
JP2023067297A (ja) 航走体の推進力発生システム、航走体及び航走体の抵抗低減方法
RU2650262C1 (ru) Способ буксирования ледоколом каравана подводных лихтеров
KR20210050744A (ko) 선체 하중 밸런스 제어 장치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US2541652A (en) Self-propelled marine anchor
RU2746865C1 (ru) Букс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JPH10203470A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高速船
RU2540156C1 (ru) Волнодвижитель парус-решётка
JP2006103614A (ja) 係船装置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513069B1 (ko) 잠수함의 승조원 출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