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834B1 -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834B1
KR101035834B1 KR1020090024584A KR20090024584A KR101035834B1 KR 101035834 B1 KR101035834 B1 KR 101035834B1 KR 1020090024584 A KR1020090024584 A KR 1020090024584A KR 20090024584 A KR20090024584 A KR 20090024584A KR 101035834 B1 KR101035834 B1 KR 10103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dr
ship
auxiliary
data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119A (ko
Inventor
함진영
이정주
Original Assignee
곽태진
함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태진, 함진영 filed Critical 곽태진
Priority to KR102009002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8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에 관련한 속도, 침로, 위치 및 기관의 작동 상태 등 선박 운항 중 발생되는 많은 데이터를 메인 VDR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여 사고 발생 시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선박의 침몰시 자동 탈출 가능하도록 한 복수개의 보조 VDR을 구비하여서 된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이 침몰되는 유사시 자동으로 보조 VDR이 부상되어 자동으로 전파가 발사되므로, 긴박한 상황에서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난 선박 등에 의하여 회수된 보조 VDR의 데이터는 메인 VDR과 동일한 각종 데이터이므로, 사고 원인 규명 및 과실 비율 산정, 사고 발생의 방지책 마련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선박이 어떠한 자세로 침몰되더라도 하나 이상의 보조 VDR이 전파를 발사하고, 사고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고 선박 및 선원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구난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선박 침몰 항해 데이터 저장

Description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Voyage Data Recorder System for Marine}
본 발명은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운행에 관련한 속도, 침로, 위치 및 기관의 작동 상태 등 선박 운항 중 발생되는 많은 데이터를 메인 VDR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선박의 침몰시 자동 탈출 가능하도록 한 복수개의 보조 VDR을 구비하여서 된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VDR은 선박의 위치, 시간, 속력, 침로 등 항해 상태 및 기관의 작동 상태 등 선박 운항 중 발생될 수 있는 대부분의 상황 데이터를 저장, 기록하는 동시에 만약에 있을 선박 사고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장착하여야 하는 장비이다.
반면에, 이러한 종래의 VDR은 선박에 고정 장착되어 있으므로, 선박의 충돌, 해일 등에 의한 높은 파고 등 각종 사고에 의하여 선박이 침몰되었을 시, 선박을 찾기 전에는 VDR의 데이터를 전혀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침몰 위치만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99797호(고안의 명칭: 침몰 선박 위치 확인 장치;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를 도 1로 도시하였다.
이는 침몰선박 위치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풍선을 이용하여 해저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인용발명 1은 선박이 해저로 침몰하였을 때 갑판 상의 케이싱 안에 보관되어 있으며 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고압 개스통의 개스가 자동으로 분출되고 고압 개스통과 고정되어 있는 밀봉해제장치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풍선이 부풀면서 해수면 위로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 1은 사고 발생 시 밀봉 해제 장치를 일일이 조작하여 부풀어진 풍선이 해수면 위로 부상되도록 하여야 하는 바, 경황이 없는 사고 발생 시점에서 이 같은 조작은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조작 미숙이나 조작 실패에 의한 작동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풍선의 부력만으로는 물에 젖어 중량이 무거운 충분한 길이의 로프를 띄우기 어려우며, 선박이 깊은 바다에 침몰한 경우에는 로프가 짧아 풍선이 수면위로 상승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침몰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 공개 2005-0013463(발명의 명칭: 침몰선박 최종 위치 확인 및 인양장치; 이하 '인용발명 2'라 함)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침몰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와이어로프(Wire Rope)와 안내로프 및 EPIRB 송신기와 항해기록 저장함(Black Box)이 내장된 부이(Bouy)를 선박에 설치된 보관함에 보관하고 있다가 선박의 침몰과 동시에 부력에 의하여 부이가 상승함으로써 침몰 위치를 파악하고, 침몰선박의 최종 위치가 파악되면 인양선의 기중기를 구성하는 그래브(Grab) 또는 클램프 등을 안내로프에 삽입한 다음 유도, 하강시켜 안내로프와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추를 잡아 인양함으로써 잠수부를 동원한 수색작업이 없이 곧 바로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도 2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인용발명 2는 선박의 침몰시 별 다른 수색작업이 없이 곧 바로 침몰선박의 최종위치를 확인한 다음 잠수부 및 잠수정을 동원하지 않고도 안내로프에 유도되어 하강하는 기중기의 그래브 등으로 침몰선박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의 연결 추를 집어 신속하게 인양함으로써 해양오염을 줄일 수 있고, 인양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2는 부이에 중량이 수십 Kg에 달하는 항해 데이터 저장 장치와 수심 이상의 충분한 길이로 되며, 침몰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충분한 굴기의 중량인 와이어로프(Wire Rope)와 안내로프 및 EPIRB 송신기가 모두 실린 부이는 그 크기가 대단히 크게 되므로, 평상시 선박에 적재하고 운항하기 매우 부담스럽게 되고, 더욱이 비상 상황 발생 시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수작업으로 항해 데이터 저장 장치를 탈거하여 부이를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기란 매우 어려우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에 복수개의 보조 VDR을 설치하고, 이에 메인 VDR과 동일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유사시 복수개의 보조 VDR 중 최소 1개 이상의 보조 VDR이 부상하여 전파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침몰 상태에 무관하게 사고와 관련된 각종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 사고 발생 시 보조 VDR의 자동 탈출 및 부상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치 부피가 최소화되어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박의 전, 후, 좌, 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이러한 영상을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보드, GPS 모듈, 수압감지센서 및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 및 전술한 GPS 모듈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GPS 데이터 메모리와 입출력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선박의 속도, 침로, 엔진 등 기관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관제어데이터 메모리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된 메인 VDR과,
다수개로 되어 선박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방 및 선박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부착 설치되는 보조 VDR과,
전술한 메인 VDR의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유사시 탈출을 위하여 래치의 해제를 위하여 작동되는 탈출용 솔레노이드 및 승압회로와, 점화기를 구비한 팽창튜브 그리고 수면위로 부상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압센서 및 구조 전파 송출을 위한 안테나 및 메인 VDR로부터 제공받은 GPS데이터, 기관제어 데이터, 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GPS데이터 메모리, 기관 제어 데이터 메모리, 영상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여서 된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유사시 자동으로 보조 VDR이 부상되어 자동으로 전파가 발사되므로, 긴박한 상황에서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난 선박 등에 의하여 회수된 보조 VDR의 데이터는 메인 VDR과 동일한 것이어서 사고 원인 규명 및 과실 비율 산정, 사고 발생의 방지책 마련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선박이 어떠한 자세로 침몰되더라도 하나 이상의 보조 VDR이 부상하여 전파를 발사하고, 사고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고 선박 및 선원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구난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본 발명은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선박의 전, 후, 좌, 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1) 및 카메라(1)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 메모리(7)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보드(2), GPS 모듈(3), 수압감지센서(4) 및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5) 및 전술한 GPS 모듈(3)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GPS 데이터 메모리(6)와 입출력인터페이스(5)로부터 제공되는 선박의 속도, 침로, 엔진 등 기관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관제어데이터 메모리(8)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9)로 구성된 메인 VDR(10)과,
메인 VDR(10)에 연결되며, 다수개로 되어 선박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방 및 선박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부착 설치되는 보조 VDR(30)로 구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보조 VDR(30)은 도 4, 5로 보인 바와 같이, 유사시 탈출을 위하여 래치(11)의 해제를 위하여 작동되는 탈출용 솔레노이드(13) 및 승압회로(23) 및 점화기(17)로 구성되는 팽창튜브(18) 그리고 수면 부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압센서(4) 및 구조 전파 송출을 위한 안테나(20) 및 안테나 구동 모터(19) 및 메인 VDR(10)로부터 제공받은 GPS데이터, 기관제어 데이터, 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GPS데이터 메모리(26), 기관 제어 데이터 메모리(27), 영상데이터 메모리(28) 그리고, 외부의 메인 VDR(10)과 연결하거나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기 위한 입출력인테페이스(2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관리 가능하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전원 공급이 용이한 안전한 위치에 설치된 메인 VDR(10)에 선박 각 위치에 설치된 다수개의 보조 VDR(30)을 케이블(14)로 연결하여 각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각각의 마이크로컨트롤러(9)가 확보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메인 VDR(10)는 GPS 모듈(3)을 구비하여 GPS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 선박의 위치를 GPS데이터 메모리(6)에 저장하며, 아울러 선박의 속도, 침로, 기관 작동 상태 데이터를 기관 제어 컨트롤러(40)로부터 공급받아 지속적으로 기관 제어 데이터 메모리(8)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전, 후, 좌, 우에 설치된 카메라(1)로부터 선박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여 영상데이터 메모리(7)에 저장한다.
이러한 GPS, 기관제어, 영상 데이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메모리의 제한된 용량을 초과하므로,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데이터를 순차로 삭제하여 예를 들면, 이들 메모리에는 최후의 5분 내지 10분 동안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메인 VDR(10)의 데이터는 불시에 발생하는 사고의 특성상 보조 VDR(30)의 GPS 데이터 메모리(26), 기관제어데이터 메모리(27), 영상데이터 메모리(28)에도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VDR(10)과 보조 VDR(30)이 모든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박의 충돌, 선박내부의 화재나 폭발 사고, 미사일 등 공격 무기에 의한 선체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선박이 침몰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메인 VDR(10)이 물에 잠기면서 대기압을 초과하는 물의 압력으로 수압센서(4)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수압센서(4)는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41)에 의하여 물의 압력이 바이어스 스프링(42)의 탄력을 이기고 내측으로 밀어 줌으로써 그 로드(43)가 적외선 수, 발광 센서(44)간의 교신을 차단하여 침수 상태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침수 상태 출력은 마이크로컨트롤러(9)에 의하여 감지되며, 이에 따라 메인 VDR(10)는 케이블(14)로 연결된 각 보조 VDR(30)에 비상사태 발생을 통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보조 VDR(30)의 마이크로컨트롤러(16)는 즉각 메인 VDR(10)로부터 현재 시간 까지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완료하고, 메인 VDR(10)로 사고 인지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VDR(10)는 각 보조 VDR(30)로 부터의 사고 인지신호를 접수하여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작동을 종료하게 된다.
또한, 메인 VDR(10)로 사고 인지신호를 전송한 보조 VDR(30)는 즉시 탈출용 솔레노이드(13)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보조 VDR(30)의 외부가 고정되도록 걸고 있던 탈출용 솔레노이드(13)가 작동하면서 래치(11)가 빠져 나가 보조 VDR(30)과 설치면 사이에 고정된 VDR(30)의 저면을 밀고 있던 스프링(12)이 탄력으로 탄발하면서 도 7과 같이 보조 VDR(30)을 외부로 밀어 주므로 보조 VDR(30)은 외부로 탈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메인 VDR(10)와 연결시키고 있던 케이블(14)의 콘넥터(15, 15')가 분리되면서 뽑혀 지는 것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탈출한 보조 VDR(30)의 마이크로컨트롤러(16)는 즉시 승압회로(23)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점화기(17)가 작동되어 튜브(18)내부에 채워져 있던 화약을 점화시켜 화약이 연소되면서 그 연소 가스로 인하여 튜 브(18)가 팽창하게 된다.
그 결과, 도1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VDR(30)의 둘레에 설치된 팽창된 튜브(18)가 일면이 수면위로 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VDR(30)는 수면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VDR(30)이 수면 위로 상승함에 따라, 보조 VDR(30)의 수압센서(24)는 수압이 제거된 대기압 상태가 됨에 따른 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16)로 인가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16)는 즉시 안테나 구동모터(19)를 작동시켜 안테나(20)가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도 8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조 VDR(30)의 수압센서(24)는 전술한 수압센서(4)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마이크로컨트롤러(16)는 고주파 송출부(21)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고주파 송출부(21)에 연결된 국제 구난 신호 발생부(22)가 작동함에 따라, 고주파 송출부(21)의 출력으로 지정된 주파수 채널의 고주파 전파가 송출되는 것이다.
이때의 국제 구난 신호는 법규에서 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 "SOS" 3회
나. "DE" 1회
다. 조난선박의 호출부호 3회"로 하거나,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가. "조난" 또는 "MAYDAY" 3회
나. "여기는" 또는 "THIS IS" 1회
다. "조난선박국의 호출부호 또는 호출명칭" 3회"로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근처를 지나던 선박이나 육상의 선박국, 해안국, 해안지구국 등에서는 이를 수신하고, 구조 선박을 신속하게 접근시켜 보조 VDR(30)를 회수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해상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선박이 침몰하면서 대륙사면, 대륙붕, 해령, 대육대, 평정해산, 심해저평원, 해구, 해저 돌출부, 해저 구릉, 해저 협곡 등 다양한 해저 지형에 의하여 선박의 일측에만 보조 VDR(30)이 설치된 경우에는 해당 보조 VDR(30)이 지형면에 닿거나 장애를 받아 탈출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도 9로 보인 바와 같은 해저 협곡에 침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이 어떠한 형태의 해저 지형에 침몰된 경우에도 선박의 전, 후, 좌, 우 및 상단면과 하단면에 하나씩의 보조 VDR(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최소한 어느 하나의 보조 VDR(30)은 수면으로 향하여 있게 되며, 침몰되었을 시 메인 VDR(10)에서는 유사시 즉각 모든 보조 VDR(30)를 탈출시키므로, 최소한 1개 이상의 보조 VDR(30)이 해수면 위로 떠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박 침몰시 해저 지형의 상태에 불구하고 최소한 1개 이상의 보조 VDR(30)이 수면위로 부상하여 구조 전파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선박국이나 육상국에서는 이러한 전파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로 구조 선박을 이동시켜 보조 VDR(30)을 회수한 후, 입출력인터페이스(25)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GPS 데이터 메모리(26), 기관제어데이터메모리(27), 영상데이터메모리(28)에서 데 이터를 독출하여 분석하거나 사고 처리 관련 관서에 전달함으로써 사고 발생 수분 전부터의 시간대별 GPS 데이터, 속도, 침로, 기관 작동상태 데이터 그리고 선박의 전, 후, 좌, 후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고의 발생 경위나 사고 발생의 책임 소재, 책임 비율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은 사고 발생의 경위는 물론, 사고 발생 책임의 비율 산정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운항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보조 VDR(30)에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GPS 모듈(29)을 구비하여 보조 VDR(30)이 수면위에 부상한 시점 이후부터의 위치 데이터를 GPS 데이터 메모리(26)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이전 위치 데이터는 물론 사고 발생 이후 부상한 시점 이후부터 회수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이동 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고 위치 및 조난 선원들의 이동 위치 또는 해류에 의한 선박의 추정 위치 등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조 VDR(30)에 도 11로 보인 바와 같이 고휘도 LED로 된 경광등(31)을 부착함으로써, 보조 VDR(30)의 수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몰 선박 위치 확인 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침몰선박 최종 위치 확인 및 인양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인 VDR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VDR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 VDR의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압센서의 구조를 예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보조 VDR이 탈출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수면위로 상승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 VDR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9는 해저 협곡으로 침몰한 선박을 예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한 보조 VDR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한 보조 VDR의 수면위로 부상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2: 비디오보드
3, 29: GPS모듈 4, 24: 수압센서
5, 25: 입출력인터페이스 6: GPS 데이터 메모리
7, 28: 영상 데이터 메모리 8, 27: 기관제어 데이터 메모리
9, 16: 마이크로컨트롤러 10: 메인 VDR
11: 래치 12: 스프링
13: 탈출용 솔레노이드 14: 케이블
15, 15': 컨넥터 17: 점화기
18: 튜브 19: 안테나 구동 모터
20: 안테나 21: 고주파 송출부
22: 국제 구난 신호 발생부 23: 승압회로
30: 보조 VDR 31: 경광등

Claims (5)

  1. 선박의 전, 후, 좌, 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보드, GPS 모듈, 수압감지센서 및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 및 전술한 GPS 모듈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GPS 데이터 메모리와 입출력인터페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선박의 속도, 침로, 엔진 등 기관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관제어데이터 메모리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된 메인 VDR과,
    다수개로 되어 선박의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 측방 및 선박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부착 설치되는 보조 VDR을 구성하되,
    상기 보조 VDR은 전술한 메인 VDR의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유사시 탈출을 위하여 래치의 해제를 위하여 작동되는 탈출용 솔레노이드와 보조 VDR의 둘레에 설치되며 튜브 내부의 화약을 점화, 팽창시키기 위한 승압회로 및 점화기와, 수면 부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압센서 및 구조 전파 송출을 위한 안테나와,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인 VDR로부터 제공받은 GPS데이터, 기관제어 데이터, 영상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GPS데이터 메모리, 기관 제어 데이터 메모리, 영상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압센서는 다이어프램 및 바이어스 스프링 그리고 로드로 구성되어 압력 변화에 따라 로드가 습동되면서 적외선 수, 발광 센서를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보조 VDR에 GPS 모듈을 구비하여 보조 VDR이 수면위에 부상한 시점 이후부터의 위치 데이터를 GPS 데이터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보조 VDR에 고휘도 LED로 된 경광등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보조 VDR의 탈출을 위한 탄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조 VDR과 설치면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20090024584A 2009-03-23 2009-03-23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103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84A KR101035834B1 (ko) 2009-03-23 2009-03-23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84A KR101035834B1 (ko) 2009-03-23 2009-03-23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19A KR20100106119A (ko) 2010-10-01
KR101035834B1 true KR101035834B1 (ko) 2011-05-20

Family

ID=4312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584A KR101035834B1 (ko) 2009-03-23 2009-03-23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60B1 (ko) * 2016-12-16 2017-10-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안테나 전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0330A2 (en) * 2010-10-22 2013-08-28 National Oilwell Varco, L.P. Hardened data recording system for drilling rigs and other drilling equipment
KR101253601B1 (ko) * 2011-05-20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자동식별장치 기반 선박 조난경보 시스템
KR200471085Y1 (ko) * 2013-10-02 2014-02-06 곽경호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CN104376615A (zh) * 2014-12-01 2015-02-25 国家电网公司 具有gps定位功能的电力手持作业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685A (ko) * 2000-05-30 2001-12-08 이재성 선박 항해 기록장치
KR20020033939A (ko) * 2000-10-31 2002-05-08 김징완 선박항해 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685A (ko) * 2000-05-30 2001-12-08 이재성 선박 항해 기록장치
KR20020033939A (ko) * 2000-10-31 2002-05-08 김징완 선박항해 기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60B1 (ko) * 2016-12-16 2017-10-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안테나 전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19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43B1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CN111301639A (zh) 一种潜航器回收装置及回收方法
US8833288B2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method for recovering such vehicle
US6711095B1 (en) Expenable/recoverabl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system buoy
KR101035834B1 (ko)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JP7109796B2 (ja) 海中ブイを防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5923169B2 (ja) 通信ブイおよび展開の方法
US11258105B2 (en) Subsurface marine battery pack
KR101277002B1 (ko) 무인수상로봇
US20200013263A1 (en) Autonomous aircraft locator system
US4281427A (en) Warning and signalling device, especially for maritime purposes
US5003514A (en) Deep ocean recoverable acoustic sensor vehicle
US20040059476A1 (en) Deep sea data retrieval apparatus and system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Hissmann et al. Manned submersible „JAGO “
KR102107168B1 (ko) 선박용 블랙박스 장치
KR101262082B1 (ko)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 표시기의 자동방출을 위한 수압이탈장치 및 그 방출방법
KR102468822B1 (ko) 선박용 다기능 블랙박스
KR102338081B1 (ko) 쌍방향 이퍼브
RU2770623C1 (ru) Составной автономный необитаем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RU2671065C2 (ru) Поисково-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von Alt et al. Semiautonomous Mapping System
Morris et al. Selecting an acoustic release for a mooring or lander
RU2299446C1 (ru) Способ поиска и подъем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моря затонувшего объекта, а также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оказавшихся в нем
Osipov WHY" KOMSOMOL MEMBER" S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