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44U -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 Google Patents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44U
KR20170003144U KR2020160001102U KR20160001102U KR20170003144U KR 20170003144 U KR20170003144 U KR 20170003144U KR 2020160001102 U KR2020160001102 U KR 2020160001102U KR 20160001102 U KR20160001102 U KR 20160001102U KR 20170003144 U KR20170003144 U KR 20170003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transmitter
pouch
separator
floating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Original Assignee
김민주
주식회사 일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주, 주식회사 일성이엔지 filed Critical 김민주
Priority to KR2020160001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44U/ko
Publication of KR20170003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63B27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63C2009/0052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by wat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과 동시에 응급 신호 혹은 조난 신호 송출이 가능한 장치를 구비한 자동 팽창형 구명 부표 장치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상단에 수압 분리기(2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수압 분리기(200)와 대응된 일측 상단에 위치 발신부(300)가 구비된 부양체(20)가 내부면에 접혀있는 상태로 구비된 파우치(10)와, 일측면에 봄배(299)가 구비되고, 상단에 에어 발출막(291)이 구비된 에어 발출부(290)가 상기 부양체(20)에 내장되고, 상기 수압 분리기(200)는 부양체(20)가 접힌 상태에서 파우치(10)의 상면을 향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에 있어서,
상기 위치 발신부(300)는 그 상부 일측에 LED 발광센서(309)가 더 구비되고, 상단에 벨크로(129)가 구비된 1차 잠금문(110)이 파우치(10)의 세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더 구비되고, 상단에 벨크로(129)가 구비된 2차 잠금문(120)이 파우치(10)의 가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더 구비되고, 파우치(10)의 하면에 거치끈(1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성이 우수하고 원거리 송신 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한 편, 해난 사고를 당했을 때에 한해서 자동적이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Auxiliary hydraulic tube to Satellite transmitters}
본 고안은 작동과 동시에 조난 신호 송출이 가능한 장치를 구비한 팽창형 보조 부양체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익수 시 자동으로 수압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휴대 부위에서 자동 발출하여 안정적인 조난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보조 부양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수상에서 익수자가 발생할 경우 근방에 구조 시설이나 구조자가 있으면 쉽게 구조가 이루어 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익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이러한 상황은 어선 등의 선박을 이끌고 간 어부나 항해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인명이 위급할 수 있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실종사고와 샅은 경우는 특히 야간일 경우 구조 위치를 파악하기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익수자의 신원 정보를 파악하여 빠른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 해결책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에 의거하여 국내에도 위치 추적 기능의 제공과 함께 익수자가 수면 위에서 부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여러 건 공개되어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08-0082753호로 게시된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는 비상시에 전개함으로써 수상에서 인명을 구할 수도 있는 한 편 GPS 기반의 신호 송수신으로 익수자의 위치와 신원을 알?? 룻 있는 기능이 있다.
당해 문헌을 더욱 상세히 설명했을 때,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밀봉되어진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기탱크의 일측을 파손시키는 파손침과, 상기 파손침 전체와 공기탱크의 일측을 감싸며 상측에 공기튜브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파손침을 이송시켜 공기탱크를 파손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공기주입구에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되어지면 부푸러 오르는 공기튜브를 포함함으로써 비상 튜브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한 편, 당해 장치는 비상튜브장치가 내재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상측에 덮개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덮개에 위치추적시스템(GPS)이 내장된 휴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위치추적 비상튜브장치를 더욱 제공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비슷한 문헌으로써 일본 공개 특허공보 공개평 H11-049088호로 게시되어 있는 해난 사고 위치 표시 장치를 더욱 참조할 수 있다.
당해 기술은 해난 사고를 당했을 때에 보다 빠르게 발견하게 하기 위해서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쪽 다리에 위치추적 기능이 구비된 팔찌를 구비함으로써 그곳에 부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헌들은 송신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위치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국한하는 특징이 있는데, 대부분의 송수신 수단은 물 속과 물 밖에서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통상 송수신 송달 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며, 수신 장치가 반드시 사용자에게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손목과 같은 운동성이 많은 관절이 구비된 신체부위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껴서 착용을 하려고 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2014년 12월 1일 러시아의 베링해에서 발생했던 오룡호 침몰사건과 같은 선원 전원 사망 사건과 같은 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오작동 발생 시 관계 기관 혹은 업체에 신호가 오전달 될 수 있는 문제점 및 휴대 및 보관 시 보빈에 습기가 차서 쉽게 균열이 생기고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착용성이 우수한 한 편, 원거리 송신 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한 편, 해난 사고를 당했을 때 자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동과 동시에 응급 신호 혹은 조난 신호 송출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우치(10)의 내부면에 부양체(20)가 접혀있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수압 분리기(2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수압 분리기(200)와 대응된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수분 센서(301)가 구비된 위치 발신부(300)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 분리기(200)는 부양체(20)가 접힌 상태에서 파우치(10)의 상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양체(20)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는 위치 발신부(3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숨겨져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가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우치(10)가 내부에서 비교적 열람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10)의 세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구비된 1차 잠금문(110)이 구비되게 하고, 상기 파우치(10)의 가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구비된 2차 잠금문(120)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1차 잠금문(110) 및 2차 잠금문(120)의 상단에는 벨크로(129)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고압에 의한 부양체(20)의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부양체(20)가 팽창한 후 익수자는 상기 부양체(20)를 잡고 구조대가 올 때 까지 수면 위에서 부양할 수 있게 되는데, 그와 동시에 위치 발신부(3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대에게 위치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구비되는 위치 발신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상과 같은 특징은 익수자가 구조대를 기다리기 위해 부양체(20)를 이용해 부양을 수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수면 위로 위치 발신부(300)가 스스로 부양하는 특징을 지니게 되므로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통신수단(321)을 통해 익수자가 구조대에게 구조를 성공적으로 받게 하도록 하기 위함에 있어서, 상술한 위치 발신부(300)는 그 상부 일측에 LED 발광센서(309)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술한 LED 발광센서(309)는 야간에 부양체(20)가 발출되어 수분 센서(301)의 수분 감지 후 위치 발신부(300)를 작동시켰을 때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311)의 내주면에 더 구비된 램프(312)를 빛나게 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익수자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익수 시 자동으로 수압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휴대 부위에서 자동 발출해서 안정적인 조난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원 고안에 의하면 착용성이 우수하고 원거리 송신 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한 편, 해난 사고를 당했을 때에 한해서 자동적이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이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이 파우치(10)에 매장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우치(10)의 상면 각 대응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잠금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이 작동 직후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압 분리기(200)의 유기적 장치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압 분리기(200)의 내부적 결합 및 작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배치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발신부(300)의 유기적 장치 결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발신부(300)의 내부적 결합 및 작용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배치도.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발신부(300)를 부분 확대도시한 부분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우치(10)의 하면에 구비된 거치끈(131)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실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익수자가 해난 사고를 당한 모습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실시도.
도 8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익수자 파우치(10)를 장착한 부위에서 부양체(20)가 터져 나오는 모습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실시도
도 8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익수자가 부양체(20)를 잡고 구조대가 올 때 까지 기다리는 상황을 도시한 시뮬레이션 실시도.
이하, 본 고안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고안은 작동과 동시에 위성 신호 송출 및 LED 발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파우치(10)의 내부면에 부양체(20)가 접혀있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수압 분리기(2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수압 분리기(200)와 대응된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수분 센서(301)가 구비된 위치 발신부(300)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 분리기(200)는 부양체(20)가 접힌 상태에서 파우치(10)의 상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양체(20)가 접혀있는 상태에서는 위치 발신부(3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숨겨져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를 토대로 상세히 서술한다.
수상에서 익수자가 발생했을 경우 수압 분리기(200)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술한 수압 분리기(200)는 경우 도 5 및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일측단에 구비된 입수부(211)로 물이 입수되는데, 일정한 수압이 발생할 경우, 즉 익수자가 일정 이상의 수심에서 익수자가 익수될 경우 수압에 의해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진공부(231)의 내부에 구비된 공벽(221)이 진공부(231)의 내주면 상단쪽으로 올라간다.
그 후 상기 공벽(221)의 중심면 하단에 구비된 트리거 축(241)이 동시에 올라가면서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하단에 구비된 블레이드(251)가 작동 용수철(252)에 의해 풀려서 튕겨 나간다.
작동된 블레이드(251)는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하단에 결합 구비되는 한 편, 일측면에 봄배(299)를 구비하는 한 편, 상기 부양체(20)에 내장되어 있는 에어 발출부(290)의 상단에 구비된 에어 발출막(291)에 구멍을 뚫게 되고, 공기의 발출을 억제하는 막으로써의 기능을 상실한 에어 발출막(291)은 공기를 내뿜어서 도 4와 같이 부양체(20)를 전개한다.
이때, 반드시 일정한 수압이 발생 하여야지만 공벽(221)이 진공부(231)의 내주면 상단부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절 용수철(232)의 세기를 달리 설정하여야 한다. 상술한 진공부(231)의 내부에는 진공상태이므로 조절 용수철(232)의 장력을 통해 공벽(221)을 밀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발출막(291)은 수압 분리기(200)를 에어 발출부(290)로부터 분리한 후 교환하여 재사용 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는 익수 상태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강제로 부양체(20)를 개방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일측부에 구비된 당김부(270)를 당김으로써 연결되어있는 트리거 축(241)을 강제로 개방해서 블레이드(251)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가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우치(10)가 내부에서 비교적 열람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10)의 세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구비된 1차 잠금문(110)이 구비되게 하고, 상기 파우치(10)의 가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구비된 2차 잠금문(120)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1차 잠금문(110) 및 2차 잠금문(120)의 상단에는 벨크로(129)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고압에 의한 부양체(20)의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부양체(20)가 팽창한 후 익수자는 도 8 및 도 8a 내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양체(20)를 잡고 구조대가 올 때 까지 수면 위에서 부양할 수 있게 되는데, 그와 동시에 위치 발신부(3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대에게 위치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구비되는 위치 발신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양체(20)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상과 같은 특징은 익수자가 구조대를 기다리기 위해 부양체(20)를 이용해 부양을 수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수면 위로 위치 발신부(300)가 스스로 부양하는 특징을 지니게 되므로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다.
위치 발신부(300)의 내부에는 GPS(325)와 RFID(326) 중 GPS(325)가 통신수단(321)으로써 내장되어 있도록 하며 이상과 같은 통신수단은 전파 혹은 음파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는 특징이 있는데, 이상과 같은 통신수단은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는 그 신호가 왜곡되어버리므로 제대로 구조대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없게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위치 발신부(300)는 반드시 수면 위에 떠 있어야만 하는 특징이 있는데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을 하게 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왜곡 문제가 생기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위치 발신부(300)는 최소한의 수분으로도 작동이 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센서(301)가 상기 위치 발신부(3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위치 발신부(3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양체(20)가 접혀 있는 상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어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발신부(300)는 보다 상세히 서술했을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구조를 지니게 된다. 수분 센서(301)에 의해 수분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분 센서(301)와 이격 대응된 위치 발신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커버(311)의 내부에서 상기 위치 발신부(300)의 내부에 구비된 통신수단(321)이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수단(3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GPS(325)와 RFID(326) 중 GPS(325)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송신 범위에 따른 사용처에 따라 그 실시 수단을 지정하여 제조하거나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에 따른 사용 보편화를 위해서이다.
상술한 통신수단(321)을 통해 익수자가 구조대에게 구조를 성공적으로 받게 하도록 하기 위함에 있어서, 상술한 위치 발신부(300)는 그 상부 일측에 LED 발광센서(309)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술한 LED 발광센서(309)는 야간에 부양체(20)가 발출되어 수분 센서(301)의 수분 감지 후 위치 발신부(300)를 작동시켰을 때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311)의 내주면에 더 구비된 램프(312)를 빛나게 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익수자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LED 발광센서(309)는 수분과 조도가 50럭스 이하일 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전력 공급 시 68시간 내지 78시간동안 빛을 낼 수 있는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위치 발신부(300)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술한 전기는 위치 발신부(300)의 하단에 구비된 배터리 커버(390)에 내장된 배터리(39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커버(390)는 부양체(20)의 내부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상단에 충전 단자(399)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방수에 의한 전력공급과 더불어 재사용 및 유지 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발신부(300)와 배터리 커버(390)의 결합면에는 방수 링(401)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도 8,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익수 시 자동으로 수압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휴대 부위에서 자동 발출해서 안정적인 조난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파우치(10)의 하면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치끈(131)이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를 끼우고 휴대하기에 용이한 방향으로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결합과 작용 및 효과를 지니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의 내용을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하여 그에 근거한 보호범위를 지니도록 하고, 그 실시범위는 구체적인 내용 및 하기 청구항 및 도면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일반인이 자명하게 도출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 파우치 20 : 부양체
110 : 1차 잠금문 120 : 2차 잠금문
129 : 벨크로 131 : 거치끈
200 : 수압 분리기 211 : 입수부
221 : 공벽 231 : 진공부
232 : 조절 용수철 241 : 트리거 축
251 : 블레이드 252 : 작동 용수철
270 : 당김부 290 : 에어 발출부
291 : 에어 발출막 299 : 봄배
300 : 위치 발신부 301 : 수분 센서
309 : LED 발광센서 311 : 커버
312 : 램프 321 : 통신수단
325 : GPS 326 : RFID
390 : 배터리 커버 391 : 배터리
399 : 충전 단자 401 : 방수 링

Claims (5)

  1. 일측 상단에 수압 분리기(20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수압 분리기(200)와 대응된 일측 상단에 위치 발신부(300)가 구비된 부양체(20)가 내부면에 접혀있는 상태로 구비된 파우치(10)와,
    일측면에 봄배(299)가 구비되고, 상단에 에어 발출막(291)이 구비된 에어 발출부(290)가 상기 부양체(20)에 내장되고,
    상기 수압 분리기(200)는 부양체(20)가 접힌 상태에서 파우치(10)의 상면을 향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에 있어서,
    상기 위치 발신부(300)는 그 상부 일측에 LED 발광센서(309)가 더 구비되고,
    상단에 벨크로(129)가 구비된 1차 잠금문(110)이 파우치(10)의 세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더 구비되고,
    상단에 벨크로(129)가 구비된 2차 잠금문(120)이 파우치(10)의 가로방향 상면의 양 대응단에 더 구비되고,
    파우치(10)의 하면에 거치끈(1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일측단에 입수부(211)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벽(221)이 구비된 진공부(231)가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공벽(221)의 중심면 하단에 구비된 트리거 축(241)과,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하단에 블레이드(251) 및 작동 용수철(25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분리기(200)의 일측부 당김부(2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는 트리거 축(24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4. 제 1항에 있어서,
    수분 센서(301)가 상기 위치 발신부(3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램프(312)를 구비한 커버(311)가 수분 센서(301)와 이격 대응된 위치 발신부(300)의 상부 일측에 더 구비되며,
    상기 위치 발신부(300)의 내부에는 GPS(325)가 통신수단(321)으로써 택일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5. 제 1항에 있어서,
    위치 발신부(30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부양체(20)의 내장되는 한 편 상단에 충전 단자(399)를 더 구비한 배터리 커버(390)와,
    상기 위치 발신부(300)와 배터리 커버(390)의 결합면에는 방수 링(40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KR2020160001102U 2016-02-29 2016-02-29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KR20170003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02U KR20170003144U (ko) 2016-02-29 2016-02-29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02U KR20170003144U (ko) 2016-02-29 2016-02-29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44U true KR20170003144U (ko) 2017-09-06

Family

ID=6057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02U KR20170003144U (ko) 2016-02-29 2016-02-29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43B1 (ko) * 2018-06-24 2019-11-21 김민주 능동 부양형 전복 방지 복원백
KR20220042942A (ko) * 2020-09-28 2022-04-05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사고에 대한 2차 사고의 예방 및 안전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245B1 (ko) * 2021-02-25 2022-07-18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WO2022182056A1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인명구조장치 및 인명구조관리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43B1 (ko) * 2018-06-24 2019-11-21 김민주 능동 부양형 전복 방지 복원백
KR20220042942A (ko) * 2020-09-28 2022-04-05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사고에 대한 2차 사고의 예방 및 안전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1245B1 (ko) * 2021-02-25 2022-07-18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조난자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인명구조용 키트
WO2022182056A1 (ko) *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이스턴스카이 인명구조장치 및 인명구조관리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0437B1 (en) Flotation device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KR20170003144U (ko)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DK2397401T3 (en) Dummy with a positioning system to help in rescue operations of persons and ships at sea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RU2759033C2 (ru) Автономная лок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US6935911B1 (en) Aquatic alarm, security and rescue station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CN101402395B (zh) 水上超高亮度发光搜救控制器
US20200017172A1 (en) Auto-releasable new danger mark buoy
US7886682B1 (en) Multifunctional emergency kit and associated method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CN205418032U (zh) 一种溺水救援装置
KR102114276B1 (ko) 인명구조용 led 구명장비
KR20030086493A (ko) 침몰선박의 위치확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203364B (zh) 海底高压管充气自救系统
KR20160010837A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구명벌의 자동 탈착 장치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102537636B1 (ko)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398845B1 (ko) 해상인명구조 스마트부표시스템
KR101653495B1 (ko)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20190083744A (ko) 해상 조난시 위치 표시하고 조난자가 사용할 수 있는 조난 구명구
KR101982685B1 (ko) 조난용 구명동의
CN206900613U (zh) 一种多功能救生衣用自亮浮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