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610A -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 Google Patents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610A
KR20230015610A KR1020210096949A KR20210096949A KR20230015610A KR 20230015610 A KR20230015610 A KR 20230015610A KR 1020210096949 A KR1020210096949 A KR 1020210096949A KR 20210096949 A KR20210096949 A KR 20210096949A KR 20230015610 A KR20230015610 A KR 2023001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grip
craft
attached
artef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영 filed Critical 이수영
Priority to KR102021009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610A/ko
Publication of KR2023001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이 개시된다. 상기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은,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대폰 그립에 있어서,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다양한 직경으로 굴곡지도록 이루어져 외주면의 손가락 파지 부분이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상부에 설치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상에 부착되고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물인 공예품; 및 상기 공예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고,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반구 형상의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MOBILE PHONE GRIP WITH CRAFTS ATTACHED}
본 발명은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그립에 반려동물 모형의 다양한 공예품을 부착하고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을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을 보호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을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술의 발전에 의해 음성통화와 더불어 문자전송이나 영상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과 더불어, 외형적으로도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더욱 더 큰 비중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영상 컨텐츠의 개발 및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을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들고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나 어깨, 목 등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용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핸즈프리 기능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하우징을 가로 또는 세로로 집게 형태로 잡거나 스마트폰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어 비교적 크기가 크고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지만 사용 시간이 길고 휴대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날로 커짐에 따라 순간 낙하 위험이 크게 된다. 휴대단말기는 케이스를 끼워 측면과 후면은 보호하고 있으나 전면은 보호에 한계가 있어 낙하 시 화면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낙하 위험 방지와 거치 등의 목적으로 휴대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거치대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13264)'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폰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휴대폰 사용 시 낙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 그립이 출시되고 있다.
그중에 하나로 휴대폰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본 기능 외에 심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악세사리가 결합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휴대폰 그립을 베이스로 수공예 제품이 부착된 '라탄 디자인 제품이 구성된 스마트 기기용 그립톡(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20-0001982)'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라탄 디자인 제품이 구성된 스마트 기기용 그립톡의 경우 별도의 보호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공예 디자인 제품이 외부게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휴대폰을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고 다니기 어렵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1326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20-0001982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그립에 반려동물 모형의 다양한 공예품을 부착하고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을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을 보호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을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은,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대폰 그립에 있어서,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다양한 직경으로 굴곡지도록 이루어져 외주면의 손가락 파지 부분이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상부에 설치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상에 부착되고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물인 공예품; 및 상기 공예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고,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반구 형상의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예품은, 상기 그립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 반대측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노출부에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조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노출부에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형상화 한 몸통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은, 동물의 얼굴을 형상화 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형상부는, 상기 노출부으로부터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형상부는, 상기 노출부에 평면적으로 그래픽이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예품은, 양모(wool), 드라이 플라워(dry flower),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예품은, 양모(wool),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적어도 두 가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물은, 양모(woo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투명의 액상 물질이 충전되고, 반짝거리는 얇은 장식 조각의 반사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공간은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의 액상 물질에는, 유색(有色)의 오일(Oil)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에는, 일측으로 인출되도록 회동되어, 휴대폰의 거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그립에 반려동물 모형의 다양한 공예품을 부착함으로써 휴대폰의 파지 안정성을 높여 낙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예품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을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을 보호하여 휴대폰 사용 시 공예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최초 형태를 보존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된 투명 아크릴 돔을 통해 별도의 동작 없이도 쉽게 휴대폰을 바닥에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반려동물 모양의 공예품을 항상 소지할 수 있어 심미적인 느낌을 제공함은 물론 반려동물과 항상 함께 한다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반려동물을 보고싶은 그리움이 있을 경우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몸통형상부가 입체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
도 3은 몸통형상부가 평면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 단면도.
도 7은 거치대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은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대폰 그립으로서,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그립에 반려동물 모형의 다양한 공예품을 부착하고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을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을 보호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을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1)은 크게 그립부(10), 공예품(20) 및 보호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그립부(10)는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는 접착면(11), 상기 접착면(11)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다양한 직경으로 굴곡지도록 이루어져 외주면의 손가락 파지 부분이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절곡부(12) 및 상기 절곡부(12) 상부에 설치되는 상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면(11)은 휴대폰 후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곡부(1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서, 외주면은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 단면이 굴곡진 절곡부분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압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120)를 일측에서 눌러 압축시키면 외주면의 굴곡진 절곡부분이 서로 겹쳐지 듯 접히면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절곡부(12)를 당기면 압축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 듯 신장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길이가 늘어난 외주면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면(13)은 상기 절곡부(12) 상부에 평평한 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처럼, 상기 그립부(10)는 상기 절곡부(12)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거나 또는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공예품(20)은 상기 그립부(10)의 상면(13)에 부착되는 베이스(21)상에 부착되고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물이다.
상기 공예품(20)은 상기 그립부(10)의 상면(13)에 부착되는 접착부(22)와 상기 접착부(22) 반대측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3)를 포함하는 베이스(21) 및 상기 노출부(23)에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조형물(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상면(13)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면(13)의 면적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22)는 상기 상면(13)과 접합되기 위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착부(22)와 상기 상면(13)의 접합 방식은 접착 또는 결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22)가 접착제 또는 결합수단(예: 나사 등)을 통해 상기 상면에 접착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21) 상면에 부착되는 공예품(20)을 사용자가 취향 및 분위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쉽게 탈부착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노출부(23)는 상기 접착부(22)의 반대측 부분으로, 조형물(24)이 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조형물(24)은 상기 노출부(23)상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디자인 요소로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취항에 맞게 각종 모형으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조형물(24)은 대표적으로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제작된 모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형물(24)은 양모(wool),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형물(24)은 양모(wool)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동물 형태일 수 있고, 수제작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형물(24)은 반려동물 등 동물의 머리 부분이 제작되어 상기 베이스(21)의 노출부(23)에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반려동물 모형의 조형물(24)을 휴대폰 그립에 부착함으로써, 휴대폰을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반려동물 모양의 공예품(20)을 항상 소지할 수 있어 심미적인 느낌을 제공함은 물론 반려동물과 항상 함께 한다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반려동물을 보고싶은 그리움이 있을 경우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형물(24)은 양모(wool) 소재 외에도 점토, 레진,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제작할 수 있고, 2가지 이상의 재료가 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조형물(24)의 소재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제작으로 제작되는 것은 물론 자동설비를 통해 대량으로 반복 생산된 제품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보호부(30)는 상기 공예품(2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1) 상부에 설치되고,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보호부(30)는 상기 공예품(20)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공예품(20)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 형태의 보호부(30)를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20)을 보호하여 휴대폰 사용 시 공예품(20)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최초 형태를 보존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몸통형상부가 입체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이고, 도 3은 몸통형상부가 평면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예품(20)은 상기 베이스(21)의 노출부(23)에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형상화 한 몸통형상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24)은 동물의 얼굴을 형상화 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공예품(20)은 조형물(24)이 동물의 얼굴으로 구성하고, 상기 몸통형상부(25)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형상화 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보다 다양한 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통형상부(25)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표현하는데 있어 여러 형태의 자세로 제작됨으로써, 다양하고 특색있는 모형을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형상부(25)는 상기 노출부(23)으로부터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형상부(25)는 상기 조형물(24)과 같이 입체적으로 돌출된 형태의 모형으로 형성되어 보다 실물에 가깝게 디테일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몸통형상부(25)는 동물이 옷을 입은 모습으로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예품(20)은 상기 베이스(21)의 노출부(23)에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형상화 한 몸통형상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24)은 동물의 얼굴을 형상화 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통형상부(25')는 상기 노출부(23)에 평면적으로 그래픽이 프린팅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통형상부(25')를 평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제조단가는 낮추고 보다 디테일한 모양 및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예품(20)은 상기 조형물(24) 및 상기 몸통형상부(25)는 양모(wool),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적어도 두 가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조형물(24) 및 상기 몸통형상부(25)는 각기 다른 소재가 적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형물(24)은 양모(wool)로 제작되고, 몸통형상부(25)는 점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소재에 따른 디테일 표현의 한계 및 심미적으로 느껴지는 감각에서 각각 다른 특성이 있고 각각 장단점이 있기에 선택적으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실예에 따른 공예품(20)은 상기 설명한 동물 모양을 대신하여 또 다른 모형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 플라워(dry flower) 또는 조화(造花)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공예품(20)은 드라이 플라워(dry flower) 또는 조화(造花)로 이루어진 조형물(24')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조형물(24, 24')은 어느 한 모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류의 형태를 바탕으로 모형을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꽃을 장기간 변형되지 않고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를 한 드라이 플라워(dry flower) 또는 조화(造花)를 조형물(24')로써 베이스(21)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부(30')는 내부공간(31)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31)에는 투명의 액상 물질(32)이 충전되고, 반짝거리는 얇은 장식 조각의 반사부재(33)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부(30')의 내부공간(31)에 일부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유동성을 가지는 투명의 액상 물질(32)이 충전되어 내부공간(31) 내에서 투명의 액상 물질(32)이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충전되고, 내부공간(31) 내에 반짝거리는 얇은 장식 조각의 반사부재(33)가 함께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31) 내에서 투명의 액상 물질(32)과 반사부재(33)가 공간을 이동하면서 보호부(30')가 움질일 때마다 반사부재(33)에 의해 반짝거리는 효과를 얻어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부(30')는 내부공간(31')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공간(31')은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31')은 보호부(30')의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됨으로써 보호부(30') 내부에 설치된 공예품(20)을 감상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되, 반사부재(33)에 의한 반짝거리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의 액상 물질(32)에는 유색(有色)의 오일(Oil)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명의 액상 물질(32)이 물일 경우 유색(有色)의 오일(Oil)이 함께 포함됨으로써 유색(有色)의 오일(Oil)이 혼합되거나 흩어짐에 따른 효과에 의한 심미적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내부공간(31, 31')에 충전되는 투명의 액상 물질(32)을 포함하는 액체는 공예품(20)을 감상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투명도가 높은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내부공간(31, 31')에 충전되는 투명의 액상 물질(32)을 포함하는 액체는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거치대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호부(30)에는 일측으로 인출되도록 회동되어, 휴대폰의 거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3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대(34)는 상기 보호부(30)의 일측 표면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부분으로, 수납된 상태에서는 보호부(30)의 표면과 일체감을 가지도록 돌출되지 않게 반구 형태의 외측면과 같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필요시 축회전되어 인출하면 휴대폰이 세워지는 바닥으로부터 보다 멀게 이격시킬 수 있어, 휴대폰을 바닥에 세워놓고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 및 선호에 따라 휴대폰이 세워지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34)는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회동될 수도 있고, 회동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1)은,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그립에 반려동물 모형의 다양한 공예품을 부착함으로써 휴대폰의 파지 안정성을 높여 낙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공예품 외부에 투명 아크릴 돔을 덮어 외부로부터 공예품을 보호하여 휴대폰 사용 시 공예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최초 형태를 보존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돌출된 투명 아크릴 돔을 통해 별도의 동작 없이도 쉽게 휴대폰을 바닥에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반려동물 모양의 공예품을 항상 소지할 수 있어 심미적인 느낌을 제공함은 물론 반려동물과 항상 함께 한다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반려동물을 보고싶은 그리움이 있을 경우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휴대폰 그립 10: 그립부
11: 접착면 12: 절곡부
13: 상면 20: 공예품
21: 베이스 22: 접착부
23: 노출부 24, 24': 조형물
25, 25': 몸통형상부 30, 30': 보호부
31, 31': 내부공간 32: 투명의 액상 물질
33: 반사부재 34: 거치대

Claims (12)

  1.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폰 파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대폰 그립에 있어서,
    휴대폰에 후면에 부착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다양한 직경으로 굴곡지도록 이루어져 외주면의 손가락 파지 부분이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 상부에 설치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상에 부착되고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물인 공예품; 및
    상기 공예품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고,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반구 형상의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예품은,
    상기 그립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 반대측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노출부에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조형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노출부에는,
    동물의 몸통 및 다리를 형상화 한 몸통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형물은,
    동물의 얼굴을 형상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형상부는,
    상기 노출부으로부터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형상부는,
    상기 노출부에 평면적으로 그래픽이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예품은,
    양모(wool), 드라이 플라워(dry flower),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예품은,
    양모(wool), 점토, 레진, 합성수지 중 적어도 두 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은, 양모(wool)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투명의 액상 물질이 충전되고, 반짝거리는 얇은 장식 조각의 반사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공간은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의 액상 물질에는,
    유색(有色)의 오일(Oil)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에는,
    일측으로 인출되도록 회동되어, 휴대폰의 거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KR1020210096949A 2021-07-23 2021-07-23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KR20230015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49A KR20230015610A (ko) 2021-07-23 2021-07-23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949A KR20230015610A (ko) 2021-07-23 2021-07-23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10A true KR20230015610A (ko) 2023-01-31

Family

ID=8510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949A KR20230015610A (ko) 2021-07-23 2021-07-23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5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76B1 (ko) * 2023-09-22 2024-02-19 (주)오가프린스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82U (ko) 2020-05-09 2020-09-10 최나리 라탄 디자인 제품이 구성된 스마트 기기용 그립톡
KR20210013264A (ko) 2019-11-27 2021-02-03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264A (ko) 2019-11-27 2021-02-03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0001982U (ko) 2020-05-09 2020-09-10 최나리 라탄 디자인 제품이 구성된 스마트 기기용 그립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76B1 (ko) * 2023-09-22 2024-02-19 (주)오가프린스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56744U (zh) 臂挂式手机套
KR20230015610A (ko)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CN204291083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KR101390427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핸드그립
CN207382395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KR20130001825A (ko) 거치 기능을 갖는 포장 케이스
JP3181524U (ja) 立てられ、保持可能、コード巻取可能な携帯電話ケース
CN207819993U (zh) 一种具有磁性的移动终端屏幕保护壳
CN105800112A (zh) 一种手机包装盒
CN205105262U (zh) 使用方便的手机保护壳
KR200468689Y1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08754368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08509026U (zh) 一种新型电子产品保护套
CN207884705U (zh) 全包式手机保护套
CN202714366U (zh) 一种变形铁片和手机保护套相结合的装置
CN205179144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CN212137758U (zh) 一种手机壳
CN205584264U (zh) 一种手机外壳保护套
KR20100003756U (ko) 가죽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케이스
CN206350041U (zh) 移动终端
ITRM20060242U1 (it) Capi e accessori di abbigliamento equipaggiati di cuffiette e tasca per l'utilizzo di dispositivi elettronici multimediali dotati di uscita audio
CN212969766U (zh) 一种便捷式支架手机壳
CN206524881U (zh) 具有耳机集线器的高弹性万能手机套
CN205490727U (zh) 手机保护壳
KR101585923B1 (ko) 휴대기기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