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90Y1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90Y1
KR200479290Y1 KR2020150007446U KR20150007446U KR200479290Y1 KR 200479290 Y1 KR200479290 Y1 KR 200479290Y1 KR 2020150007446 U KR2020150007446 U KR 2020150007446U KR 20150007446 U KR20150007446 U KR 20150007446U KR 200479290 Y1 KR200479290 Y1 KR 200479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etal
magnetic force
attached
magn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철
Original Assignee
김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철 filed Critical 김호철
Priority to KR2020150007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Abstract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와 영구자석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대에 대한 모바일 기기 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원하는 각도로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가 연결자석 조립체에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의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가 소개된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그 저면이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구와,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금속부재와,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구와 상기 금속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그 일측은 상기 금속부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금속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자석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SUPPORT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을 모바일 기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든 현재, 현대인에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이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소형화되고 경량화되어 이동시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책상,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거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거치대는, 다양한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지만, 모바일 기기가 거치대에 거치되는 각도가 변경 불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일부 거치대의 경우,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거치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 사이의 결합이 강력하지 못해, 모바일 기기의 각도를 변경할 경우 모바일 기기가 거치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모바일 기기의 후면에 영구자석을 부착시키고, 거치대의 몸체를 책상이나 차량의 대시보드에 부착시켜, 거치대의 몸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모바일 기기를 탈부착 시키는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는 모바일 기기에 강력한 자성을 지닌 영구자석을 항상 부착시킨 상태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강력한 자기력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가 왜곡되거나, 모바일 기기 내부의 전자부품이 이 자기력에 영향을 받아 오작동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285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와 영구자석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대에 대한 모바일 기기 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원하는 각도로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가 연결자석 조립체에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의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그 저면이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구와,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금속부재와,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구와 상기 금속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그 일측은 상기 금속부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금속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자석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는 상기 금속구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구의 표면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적은 힘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는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된 연결자석과, 상기 연결자석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자석에 의한 자기력의 영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고, 상기 금속구가 근접 거리에 위치할 때, 상기 연결자석에서 상기 금속구로 작용하는 자기력의 영향으로 상기 금속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금속구에 대해 마찰력을 가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와, 상기 연결자석 및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에는 상기 금속구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구면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의 구면 홈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 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의 하우징에는 간극 형성용 고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와 영구자석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거치대에 대한 모바일 기기 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원하는 각도로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며,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가 연결자석 조립체에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의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자석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자석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는 연결자석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결합된 경우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자석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자석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자석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결합된 경우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각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저면이 구조물(50)에 부착되는 지지체(42)와, 지지체(42)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금속구(41)와, 모바일 기기(10)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금속부재(20)와,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결자석 조립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금속구(41)와 금속부재(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일측은 상기 금속부재(20)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일측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금속부재(20)에 부착되고, 자기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금속부재(2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타측은 상기 금속구(41)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타측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금속구(41)에 부착되고, 자기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금속구(4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50)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를 거치하고자 하는 책상, 차량의 대시보드 등의 구조물(50)이다.
상기 지지체(42)와 상기 금속구(41)는 거치대 본체(40)를 이루는 구성들이다. 상기 지지체(42)는 구조물(5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양면테이프는 상기 지지체(42)의 저면을 구조물(50)에 부착시킨다.
상기 금속구(41)는 지지체(42)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4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금속구(41)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구(41)는 바람직하게는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나, 금속구(41)의 형상이 구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구 형상 등 구면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소형 노트북 등,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금속부재(20)는 모바일 기기(10)의 일면에 부착되며, 이러한 상기 금속부재(20)는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면으로 정의할 때, 모바일 기기(10)의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금속부재(20)는 모바일 기기(1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금속부재(20)는 모바일 기기(10)의 후면 커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 금속부재(20)는 모바일 기기(10)에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상기 금속부재(20)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상기 금속구(41)와 상기 금속부재(20) 사이에 구비되며, 이러한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일반자석에 비해 강한 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영구자석이 갖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금속구(41) 및 상기 금속부재(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부재(20)에 대향된 연결자석 조립체(30)의 일측은 상기 금속부재(20)에 탈부착되고,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금속구(41)에 탈부착된다. 또한,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타측은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구(41)의 표면 형상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상의 결합관계를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모바일 기기(10)의 후면에 금속부재(20)가 부착되고, 금속부재(20)에 연결자석 조립체(30)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구조물(50)에 부착된 지지체(42)에 고정 결합되는 금속구(41)와 자기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를 금속구(41)에 원하는 각도로 부착하거나 모바일 기기(10)를 금속구(41)에 부착한 후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고, 모바일 기기(10)를 구조물(50)에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모바일 기기(10)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20)로부터 연결자석 조립체(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0)의 휴대시에는 모바일 기기(10)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모바일 기기(10)가 분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의 일면에 항상 영구자석을 부착시키는 종래의 거치대에 비해 오작동이감소될 수 있고, 모바일 기기(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금속구(41)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적은 힘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연결자석(31)과,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와, 하우징(35)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자석(31)은 중앙에 관통 홀(32)이 형성된 대략의 도넛(doughnut) 형상으로 형성되며,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상기 금속구(41)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구면 홈(33a)이 그 상면에 형성된 대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자기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금속구(41)에 마찰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내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잇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자기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상면에 형성된 구면 홈(33a)에 상기 금속구(41)에 마찰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대략의 원반 형상의 마찰 패드(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 패드(34)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재질 또는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자석(31)의 관통 홀(32)에 삽입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가 상기 연결자석(31)의 관통 홀(32)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자석(31)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상기 관통 홀(32)의 내부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A)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 홀(32)에 삽입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상기 관통 홀(32)의 내부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유동하지만,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 이는 상기 연결자석(31)의 자기력이 상기 관통 홀(32)의 내주면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의 외주면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의 탄성적인 유동으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구(41)가 연결자석(31) 및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에 대해 근접 한 거리에 위치할 때, 상기 연결자석(31)에서 상기 금속구(41)로 작용하는 자기력의 영향으로 상기 금속구(41)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도 5에서 화살표(B) 방향]으로 미끄럼 방지 구조체(33)가 유동하여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가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는 상기 연결자석(31)에 의한 자력의 영향으로 상기 금속구(41)에 대해 마찰력을 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마찰 작용으로 인해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는 상기 금속구(41)의 표면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 본체(40)의 지지체(42)가 차량과 같이 흔들릴 수 있는 구조물(50)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갑작스런 급출발이나 급제동 또는 차량이 요철 등을 지날 때에도 모바일 기기(10)가 거치된 연결자석 조립체(30)가 금속구(41)에 대해 쉽게 회동하지 않을 수 있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사용자의 시선과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5)은 상기 연결자석(31) 및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 홀(35b)이 형성되며, 수용되는 연결자석(31)의 고정을 위해 자기력의 영향을 받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속구(41)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도록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는 상기 하우징(35)의 관통 홀(35b) 외측에 형성된 환형의 경사진 접촉면(35a)과, 상기 연결자석(31)의 관통 홀(32) 외측에 형성된 환형의 경사진 접촉면(31a)과,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33)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구면 홈(33a)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금속부재(20)가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30)의 하우징(35)에는 간극 형성용 고무링(3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 형성용 고무링(36)이 설치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10)를 거치대 본체(4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모바일 기기(10)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20)가 연결자석 조립체(30)에 부착됨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용 고무링(36)으로 인해 일정의 간극(G)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10)를 거치대 본체(4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간극(G) 사이로 손가락의 끝이나 기타 얇고 단단한 물체를 끼워 넣은 후 화살표(C) 방향으로 힘을 가해줌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와 영구자석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거치대에 대한 모바일 기기 거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와 거치대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원하는 각도로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며,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부재가 연결자석 조립체에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의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을 때, 모바일 기기를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모바일 기기
20 : 금속부재
30 : 연결자석 조립체
31 : 연결자석
33 : 미끄럼 방지 구조체
34 : 마찰 패드
40 : 거치대 본체
41 : 금속구
42 : 지지체
50 : 구조물

Claims (5)

  1. 그 저면이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구;
    모바일 기기의 일면에 탈부착되는 금속부재; 및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구와 상기 금속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그 일측은 상기 금속부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측은 상기 금속구에 자기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자석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는,
    상기 금속구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구의 표면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적은 힘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는,
    중앙에 관통 홀이 형성된 연결자석;
    상기 연결자석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자석에 의한 자기력의 영향으로 상기 관통 홀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고, 상기 금속구가 근접 거리에 위치할 때, 상기 연결자석에서 상기 금속구로 작용하는 자기력의 영향으로 상기 금속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금속구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금속구에 대해 마찰력을 가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체; 및
    상기 연결자석 및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에는 상기 금속구의 볼록한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한 형상의 구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구조체의 구면 홈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 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가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됨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자석 조립체의 하우징에는 간극 형성용 고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20150007446U 2015-11-17 2015-11-17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0479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46U KR200479290Y1 (ko) 2015-11-17 2015-11-17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46U KR200479290Y1 (ko) 2015-11-17 2015-11-17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90Y1 true KR200479290Y1 (ko) 2016-01-12

Family

ID=5517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446U KR200479290Y1 (ko) 2015-11-17 2015-11-17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295B1 (ko) * 2016-12-02 2017-03-20 나윤상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01753U (ko) *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24008165A1 (zh) * 2022-07-07 2024-01-11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磁吸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KR200470827Y1 (ko) *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KR200470827Y1 (ko) *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295B1 (ko) * 2016-12-02 2017-03-20 나윤상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01753U (ko) *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492512Y1 (ko) 2019-01-29 2020-10-28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24008165A1 (zh) * 2022-07-07 2024-01-11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磁吸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99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101957480B1 (ko)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JP6028122B2 (ja) モバイル機器のアクセサリ及びそれ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の車両装着装置
US6883206B2 (en) Swivel hinge with angular fixing structure
EP3757719B1 (en) Kickstand supporting several device orientations
US8467186B2 (en) Tablet PC cover with integral keyboard
US8979040B2 (en) Supporting device
KR200479290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US8459599B2 (en) Support stand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101849112B1 (ko)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TW201321236A (zh)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US11131422B2 (en) Multifunctional stand frame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20130155586A1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KR20150136093A (ko) 회전 컴포넌트 부착용 힌지 기구
TW201321646A (zh) 支撐裝置
WO2014163233A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CN205919084U (zh) 支架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CN111720428A (zh) 旋转球头及万向接头组件
KR101935108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80043495A (ko) 각도분할형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겸 차량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CN211010562U (zh) 电子装置及旋转结构
TWI388736B (zh) 球型軸承組成結構與使用其之固定架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