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505B1 -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505B1
KR101777505B1 KR1020160035042A KR20160035042A KR101777505B1 KR 101777505 B1 KR101777505 B1 KR 101777505B1 KR 1020160035042 A KR1020160035042 A KR 1020160035042A KR 20160035042 A KR20160035042 A KR 20160035042A KR 101777505 B1 KR101777505 B1 KR 10177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roove
spring
hole
attach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호
Original Assignee
김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호 filed Critical 김길호
Priority to KR102016003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면의 중간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의 양 측으로 조립면에는 다수의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면의 가장자리 일단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스프링 및 볼이 수납되도록 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요홈에 끼워지는 판스프링; 일단에 직선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서 판스프링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고리; 판형으로 되어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면에 밀착되며, 상기 통공의 주연부에는 연결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상기 볼의 회전 경로에 접촉되는 다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의 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조립돌기가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부착판의 외측에서 조립면에 끼워진 후 조립돌기의 리벳팅에 의해 조립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연결부재와 고리 및 커버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고리가 휴대폰에 대하여 일정 구간 회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하여 고리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안정적인 단말기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모바일폰, MP3, 휴대용동영상플레이어 등과 같은 기기는 이제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활기기이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일상적인 통화 외에도 다양한 컨텐츠의 기능을 향유하게 되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촬영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휴대폰에 MP3 기능과 동영상플레이어, DMB 기능 등을 부가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TV 시청 등을 하게 되었고, 보다 편안한 시청을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거치대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휴대가 불편하여 실내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는 한 손으로 들고 다른 손으로 조작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점점 컴팩트화되고 있어서 사용중에 쉽게 떨어뜨리게 되고, 이로 인해 단말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와 같이 단말기를 떨어뜨려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래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커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고, 급기야는 휴대단말기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함으로써 떨어뜨리는 것을 예방하도록 된 핑거홀더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휴대폰의 악세사리 형태로 부착되는 핑거홀더가 거치대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불편하게 휴대해야 하는 종래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게 되었다.
특허문헌1은 그러한 종래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상기 고리의 개방부에 배치되는 연결 블록과,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의 양단과 상기 연결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고리와 상기 연결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축 사이에 상기 연결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연결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축이 상기 연결 블록에 대해 자연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블록과 상기 연결축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고리가 상기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리의 개방부와 상기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고리를 임의의 각도로 세워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고리를 회전시켜서 휴대단말기의 시청 각도를 임의대로 고정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렇게 고리를 임의의 세워진 각도 및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연결 블록(131)과 고리(120)를 연결하는 연결축(132) 및 이 연결축(132)을 감싸고 있는 탄성부(133)의 마찰력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1은 사용함에 따라 탄성부(133)의 마모에 따라 거치대로서의 각도를 유지하는 마찰력이 손상될 수 있고, 더불어 고리의 회전각을 유지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수명이 매우 짧아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1의 기술은 일시적인 거치대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나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서 단순히 핑거홀더로서의 기능만이 유지될 뿐이었다.
1. 대한민국특허 제10-1481256호(2015.01.05.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안정적인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립면의 중간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의 양 측으로 조립면에는 다수의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면의 가장자리 일단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 및 볼이 수납되도록 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요홈에 끼워지는 판스프링; 일단에 직선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서 판스프링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고리; 판형으로 되어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면에 밀착되며, 상기 통공의 주연부에는 연결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상기 볼의 회전 경로에 접촉되는 다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의 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조립돌기가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부착판의 외측에서 조립면에 끼워진 후 조립돌기의 리벳팅에 의해 조립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연결부재와 고리 및 커버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판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점착패드가 부착되어 이 점착패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점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렇게 부착판이 고정되면, 이 부착판에 대하여 고리 및 연결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 회전은 상기 코일스프링 및 볼과 부착판의 걸림구멍의 접촉에 의해 일정 각도에서 걸림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고리는 요홈을 중심으로 하여 자체적인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회전축부의 단면 각에 따라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일정 각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요홈의 바닥면 양 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는 조립면의 중심에 대하여 사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의 통공은 상기 조립돌기의 외측으로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통공이 상기 조립돌기를 내접 지지하여 연결부재와 부착판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은 일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양 측이 절곡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요홈 바닥면과 양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스프링기부와 스프링측부로 이루어지고, 스프링기부와 스프링측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돌부의 압력에 의해 고리의 회전축부가 단면 형상에 따라 고정되려고 하는 각도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리의 회전축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되 각 모서리는 곡면 처리된 형태로서 상기 탄성돌부의 압력에 저항하여 어느 정도의 압력을 가하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커버의 일면에는 연결부재와의 조립 시에 요홈의 내측으로 돌출 진입되어 고리의 회전축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부착판에 대하여 고리를 회전시킬 때 일정 구간마다 걸림 현상이 있도록 함으로써 고리의 특정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할 수 있고, 고리 자체도 특정 각도마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보다 편리한 거치대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의 회전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작용 상태도.
도 9는 상기 도 7의 A-A선 부분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 명칭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부착판(30)과 고리(20) 및 상기 부착판(30)과 고리(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로 대별된다.
연결부재(10)는 일측에 조립면(11)을 형성하고, 이 조립면(11)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요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12)의 양 측으로 조립면(11)에는 다수의 조립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조립돌기(13)는 연결부재(10)의 중심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립면(11)의 외곽 일단에는 스프링홈(14)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5)과 볼(16)이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요홈(12)에는 판스프링(40)이 수납되는데, 이 판스프링(40)은 스프링기부(41)에 대하여 양 측이 절곡되어 스프링측부(42)를 형성함으로써 요홈(12)의 바닥면과 양 측면에 밀착 조립되고, 스프링기부(41)와 스프링측부(42)의 자유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부(43)가 형성되어 요홈(12)의 바닥면과 양 측면에 탄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12)의 바닥면 양 측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40)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리(20)는 일단에 직선구간으로서 회전축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회전축부(21)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되면서 각 모서리는 곡면 처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21)는 사각형이 아닌 오각형이나 육각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부(21)는 연결부재(10)의 요홈(12)에서 판스프링(4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며, 판스프링(40)의 탄성으로 압박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부착판(30)은 도 3에서와 같이 휴대단말기(1)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에 별도의 점착패드를 부착하여 이 점착패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에 부착하게 되며, 점착패드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부착판(30)의 외주연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30)의 중앙에는 연결부재(10)와의 조립을 위해 통공(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공(31)은 상기 조립돌기(13)들을 수용하는 직경으로서 그 내주연이 각 조립돌기(13)의 외측면에 근접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통공(31)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구멍(32)은 상기 연결부재(10)에 설치되는 볼(16)이 고리(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때의 회전경로에 위치하게 되고, 볼(16)이 걸림구멍(32)에 접촉될 때 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볼(16)의 일부가 걸림구멍(32)에 걸려서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부착판(3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조립돌기(13)에는 커버(50)가 결합되는데, 이 커버(50)는 통공(31)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구멍(32)을 가리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커버(50)에는 각 조립돌기(13)가 끼워질 수 있는 조립구멍(51)이 형성되어 조립돌기(13)가 끼워진 상태에서 리벳팅 고정되며, 이 때에도 부착판(30)과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커버(50)는 연결부재(10)에 조립되는 판스프링(40)과 고리(20) 및 부착판(30)의 조립 상태를 단속하지만, 부착판(30)은 상기 연결부재(10)와 고리(20) 및 커버(50)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커버(50)의 일면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52)는 연결부재(10)와의 조립 시에 요홈(12)의 내부쪽으로 돌출 진입되는 형태로 되며, 고리(20)의 회전축부(21)를 외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부착판(30)의 외측면에 별도의 점착패드를 부착하게 되며, 이 점착패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에 점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축부(21)를 중심으로 회동시켰을 때 회전축부(21)와 판스프링(40)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회전축부(21)는 사각형을 이루고 있어서 회전할 때 곡면으로 다듬어진 모서리가 판스프링(40)의 각 탄성돌부(43)를 밀면서 회전 이동하게 되고, 평면 구간으로 됨과 동시에 각 탄성돌부(4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부(21)는 순간적으로 탄성돌부(43)와 평면이 밀착되는 각도로 자리를 잡게 되고, 이 형태는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부(21)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고리(20)는 90°간격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 각도에서는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부착판(30)에 대하여 고리(20)를 측방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상기 도 8의 A-A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부착판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점착패드가 부착되어 이 점착패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점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렇게 부착판이 고정되면, 이 부착판(30)에 대하여 고리(20) 및 연결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부재(10)의 조립돌기(13)는 조립면(11)의 중심에 대하여 사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30)의 통공(31)은 상기 조립돌기(13)의 외측으로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통공(31)이 상기 조립돌기(13)를 내접 지지하여 연결부재(10)와 부착판(30)이 상호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회전은 상기 코일스프링(1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볼(16)이 부착판(30)의 걸림구멍(32)에 접촉됨에 따라 일정 각도마다 걸림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고리(20)를 일정 각도마다 회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고리의 형태나 연결부재 및 판스프링 등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임의적인 변경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1 : 휴대단말기 10 : 연결부재
11 : 조립면 12 : 요홈
13 : 조립돌기 14 : 스프링홈
15 : 코일스프링 16 : 볼
17 : 걸림턱 20 : 고리
21 : 회전축부 30 : 부착판
31 : 통공 32 : 걸림구멍
40 : 판스프링 41 : 스프링기부
42 : 스프링측부 43 : 탄성돌부
50 : 커버 51 : 조립구멍
52 : 돌출부

Claims (6)

  1. 조립면의 중간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의 양 측으로 조립면에는 다수의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면의 가장자리 일단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스프링 및 볼이 수납되도록 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요홈에 끼워지고, 일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양 측이 절곡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요홈 바닥면과 양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스프링기부와 스프링측부로 이루어지고, 스프링기부와 스프링측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
    일단에 직선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서 판스프링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고리;
    판형으로 되어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조립면에 밀착되며, 상기 통공의 주연부에는 연결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상기 볼의 회전 경로에 접촉되는 다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 및
    상기 부착판의 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조립돌기가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부착판의 외측에서 조립면에 끼워진 후 조립돌기의 리벳팅에 의해 조립 고정되며, 일면에는 상기 요홈의 내측으로 돌출 진입되어 고리의 회전축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연결부재와 고리 및 커버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35042A 2016-03-24 2016-03-24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KR10177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42A KR101777505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042A KR101777505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505B1 true KR101777505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042A KR101777505B1 (ko) 2016-03-24 2016-03-24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5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15B1 (ko)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85473B1 (ko) * 2020-05-07 2021-08-03 김태권 휴대 연결 고리
KR102308163B1 (ko)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거치대
US11290140B2 (en) * 2018-05-18 2022-03-29 Medway Plastics Corporation Cover for a region of a mobile phone
KR102382177B1 (ko) 2020-10-08 2022-04-05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220134870A (ko) * 2021-03-29 2022-10-06 문석호 휴대폰용 링체 조립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140B2 (en) * 2018-05-18 2022-03-29 Medway Plastics Corporation Cover for a region of a mobile phone
US11979183B2 (en) 2018-05-18 2024-05-07 Medway Plastics Corporation Cover for a region of a mobile phone
KR102196015B1 (ko)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WO2021172814A1 (ko) 2020-02-24 2021-09-02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85473B1 (ko) * 2020-05-07 2021-08-03 김태권 휴대 연결 고리
KR102382177B1 (ko) 2020-10-08 2022-04-05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308163B1 (ko)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거치대
KR20220134870A (ko) * 2021-03-29 2022-10-06 문석호 휴대폰용 링체 조립구조
KR102469352B1 (ko) * 2021-03-29 2022-11-18 문석호 휴대폰용 링체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US10554799B2 (en)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US11292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multi-positional device holder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91795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WI630340B (zh) 固持裝置
CN106896867B (zh) 用于保持装置的适配器
KR20047299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20130034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9079747B2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able
TW201326628A (zh) 支撐裝置
TW201345382A (zh) 保護殼
TW201308046A (zh) 底座及使用該底座的電子設備組件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KR20190006413A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CN104954693A (zh) 一种分离式摄像装置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CN218482886U (zh) 电子设备支架保护壳
US10014095B1 (en) Cable with magnetic mounting assembly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