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853A - 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853A
KR20130142853A KR1020120066432A KR20120066432A KR20130142853A KR 20130142853 A KR20130142853 A KR 20130142853A KR 1020120066432 A KR1020120066432 A KR 1020120066432A KR 20120066432 A KR20120066432 A KR 20120066432A KR 20130142853 A KR20130142853 A KR 2013014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ll
link
base plat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하이텍파츠
Priority to KR102012006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2853A/ko
Publication of KR2013014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 조립체와, 상기 링크 조립체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한다. 장치홀더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된 거버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과 동심이 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 그립퍼와; 상기 기어의 상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2 그립퍼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치 거치대{DEVICE SUPPORTER}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폭과 두께가 다른 다양한 휴대용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PMP(portable media player)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과 같은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기능이 통합되어가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이나 태블릿 PC가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대부분의 기능을 통합하게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것을 자동차 등으로 이동 시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
종래 차량의 운행중에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 장치를 장착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작업장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고안의 명칭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373호에는 폭이 다른 휴대폰을 장착하기 위하여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그립을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은 스프링에 의하여 연결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휴대폰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의 몸체에는 거치된 휴대폰을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납지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26562호에는 거치된 장치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인트 장치로 볼조인트를 이용한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공개된 볼 조인트는 볼과, 볼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볼 삽입부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또한, 볼조인트의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대에는 각각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에 조임볼트를 삽입하여 지지대를 조여서 지지대의 단부에 삽입될 볼과 지지대가 상대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모니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지지대의 걸림편을 삽입하여 모니터를 거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373호에 개시된 거치대는 가변형 그립을 구비하고 있어서 폭이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거치된 단말기를 제거하기가 불편하다. 이는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한 쌍의 그립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거치대에서 단말기를 제거할 경우 그립을 두 손으로 벌리거나 단말기를 상부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거치대에 설치된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관절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서 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26562호에 개시된 거치대는, 거치된 장치의 설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조인트의 각도유지구조가 불완전하여, 차량이 비포장 도로나 요철 구간을 주행할 경우와 같이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될 경우 설치 각도가 유지되지 못하고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볼조인트를 이용한 거치대의 경우, 볼이 삽입된 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대를 조임볼트로 조이도록 되어 있어서, 지지대가 변형이 일어난다. 지지대가 변형되면 조인트부분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대를 볼의 면에 가압하는 압력이 약해지고, 볼과 지지대의 접촉면에서 슬립이 일어나게 되어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지지대는 장치를 지지대에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 거치된 장치가 지지대로 부터 탈락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을, 2011년 5월 9일자로 대한민국에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43693호(발명의 명칭,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를 출원하였다. 상기 특허로 출원된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내용으로 합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과 두께가 다양한 휴대용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하고 제거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된 장치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인트를 구비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 조립체와, 상기 링크 조립체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한다. 장치홀더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된 거버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과 동심이 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 그립퍼와; 상기 기어의 상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2 그립퍼와; 상기 제1 그립퍼 또는 제2 그립퍼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기 위한 잠금수단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 그립퍼를 용이하게 벌려서 장치를 파지하도록 하고 파지된 상태에서 장금수단으로 그립퍼 들의 이동을 구속하여 용이하게 장치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에 있어서, 푸셔는, 푸싱캡과, 상기 푸싱캡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푸싱캡이 연속적으로 눌려질 경우, 전방으로 최대로 전진된 제1 위치와 후방으로 최대로 후진된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에 푸싱캡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구속하고 구속된 푸싱캡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을 구비한 장치 거치대는, 상기 푸셔가 장치가 거치된 경우에는 장치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장치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푸셔를 가압할 경우 푸셔가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하고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전방 단부에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텝부과, 상기 스텝부의 내주면에 전방은 폐쇄되고 후방은 개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이웃하는 가이드 홈들 사이에 가이드 홈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잠금홈과, 상기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는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홈에 삽입되지 않는 높이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의 후방에는 상기 스텝부에 걸리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의 전방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록킹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캡은, 전방이 돌출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된 후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실린더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단부면에는 상기 록킹 실린더의 톱니와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실린더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퓨셔가 후진된 상태에서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하고 다시 한 번 푸셔를 가압하면 푸셔의 잠금이 해제되어 장치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장착된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복수의 링크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량된 볼 조인트를 포함한다. 개량된 볼 조인트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고정된 볼과, 일단이 상기 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볼에는, 상기 제1링크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볼의 중심을 지나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변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볼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조인트바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조인트바와 볼의 상대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볼과 제2링크의 유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지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는 두 개의 조인트 바로 구성되고, 상기 볼과 연결되는 조인트 바의 단부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주면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볼 수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각도조절수단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을 구비한 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는 좌우로 이동하능한 한 쌍의 그립퍼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후방의 푸셔가 거치된 장치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하여 조정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폭과 두께가 다양한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이동중에도 거치된 장치의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 홀더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 홀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링크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장치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장치 홀더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장치 홀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100)는 자동차의 대시 보드나 유리창에 고정되기 위한 받침대(10)와, 받침대(1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 조립체(20)와, 링크 조립체(20)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장치홀더(30)를 포함한다.
받침대(10)는 몸체(11)와, 몸체(11)의 하부에 고정된 흡착판(11)과, 흡착판(11)을 가압하여 받침대(10)를 자동차의 대시 보드나 유리창에 고정하기 위한 레버(12)를 포함한다. 몸체(11)의 상부에는 링크 조립체(20)의 일단을 수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링크연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홀더(30)는 케이스(30-1)와, 케이스(30-1)의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그립퍼(30-2)와,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푸셔(30-3)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장치홀더(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홀더(30)의 케이스(30-1)는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커버 플레이트(35)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에는 링크조립체(20)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35)에는 푸셔(30-3)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35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35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실린더(3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35)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받침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의 관통구멍(31a)과 커버 플레이트(35)의 관통구멍(35a)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기어(34)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실린더(35c)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그립퍼(32)는 래크기어(32b)가 형성된 가동아암(32a)과 가동아암(32a)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핑거부(32c)를 구비한다. 핑거부(32c)는 장치수용홈(32d)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그립퍼(33)는 래크기어(33b)가 형성된 가동아암(33a)과 가동아암(33a)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핑거부(33c)를 구비한다. 핑거부(33c)는 장치수용홈(33d)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제1 그립퍼(32)의 래크기어(32b)는 기어(34)의 하부에서 맞물리도록 캐이스(3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2그립퍼(33)의 래크기어(33b)는 기어(34)의 상부에서 맞물리도록 캐이스(3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푸싱캡(38)은 제1스프링(33a)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푸싱캡(38)은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연결 실린더(38a)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실린더(38a)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걸림턱(38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36)은 일단이 푸싱캡(38)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31)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져서 푸싱캡(38)이 눌려질 경우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잠금바(36)의 손잡이(36)가 돌출되기 위한 관통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그립퍼(33)의 가동아암(33a)의 후면에는 가동아암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바(36)의 단부에는 요철부(33d)에 삽입되어 가동아암(33a)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바(36)는 슬라이딩에 단부가 요철부를 가압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링크(21)의 리셉터클(25)에 베이스플레이트(31)의 후면이 결합되고, 제1링크(21)의 스템부(24)는 관통구멍(31a)에 삽입되어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고, 스템부(24)에는 제2스프링(33b)이 끼워져 있다. 또한, 제2 스프링(33)의 일단은 가압링(39)과 접촉하여 가압링(39)을 가압하고, 가압링(39)은 베이스플레이트(31)를 리셉터클(25)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스프링(33b)의 타단은 스템부(24)의 단부에 볼트(41)로 결합된 와셔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다. 케이스(30-1)를 회전시키면 가압링(39-1)에 형성된 톱니(39-1)에 의하여 가압링(39-1)이 제2스프링(33b)의 가압력을 이기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31)의 관통구멍(31a)으로 돌출되어 리셉터글(25)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구속되어 있던 가압링(39)의 단부의 구속이 해제되어 케이스(30-1)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플러그(42)는 나사(41)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푸싱캡(38)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푸싱캡(38)의 걸림턱(38b)은 와셔(40)에 의하여 구속되어 푸싱캡(38)이 케이스(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100)에 사용되는 링크 조립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링크 조립체(20)는 일단에 볼(22)이 고정되고 타단에 리셉터글(25)이 형성된 제1링크(21)와, 일단이 볼(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23)를 포함한다. 제2 링크(21)의 타단에는 제3링크(26)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3링크(26)는 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링크연결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볼(22)에는 볼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링크(2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축선 방향으로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2-2)은 삽입되는 체결볼트(29-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조인트의 각도 조절 범위가 확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2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22-1)가 관통구멍의 양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링크(23)는 두 개의 조인트 바로 구성된다. 한 쌍의 조인트 바의 양단부에는 볼을 외주면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볼수용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볼 수용부(23-1)에는 체결볼트(29-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다. 볼(22)과 제2링크(23)의 일단의 볼 수용부(23-1) 사이에는 탄성 시트 부재(28)가 배치된다. 탄성 시트 부재(28)에는 체결볼트(29-1)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구멍(28-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 수용부(23-1)에는 탄성시트부재(28)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홈(23-3)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시트부재(28)에는 슬립방지홈(23-3)에 삽입되기 위한 슬립방지돌기(2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의 관통구멍(23-2)과 탄성시트부재(28)의 관통구멍(28-2)과 볼(22)의 관통구멍(22-2)을 통과한 체결볼트(29-1)를 나사산이 형성된 노브(29-2)를 회전시켜서 체결하여 조정된 조인트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노브(29-2)를 회전시켜서 체결볼트를 조이면, 제1조인트의 볼수용부(23-3)가 탄성시트부재(28)를 매개로 직접 볼(22)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볼(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2-1)가 탄성시트부재(28)의 볼수용부(28-1)를 요철형상으로 변형시켜서볼(22)과 탄성시트부재(28) 사이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탄성시트부재(28)는 슬림방지돌기(28-3)가 슬립방지홈(23-3)에 삽입되어 있어서 제1링크(23)의 볼수용부(23-1)와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볼조인트는 조정된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링크(23)와 제3링크(26) 및 제3링크(26)와 몸체(11)의 링크연결부(14)는 푸시버튼(27-1)을 이용한 조인트 기구로 상대운동을 구속하고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푸시버튼(27-1)은 제3링크(26)의 단부에 형성된 링크연결부(26-1)의 한 쌍의 관통구멍(26-2)에 삽입된다. 일단부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구속링(27-2)은 링크연결부(26-1)의 관통구멍(26-3)에 삽입되어 볼트(27-3)로 푸시버튼(27-1)과 체결되고, 푸시버튼(27-1)과 일체로 이동하고 스프링(27-4)에 의해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23)의 단부는 링크연결부(26-1) 사이에 끼워지고 관통구멍(23-5)으로 푸시버튼(27-1)이 삽입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링크의 두 개의 조인트 바 중 구속링(27-2)과 접촉하는 조인트 바의 관통구멍(23-5)의 주위에는 구속링(27-2)의 요철(27-6)과 맞물리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버튼(27-1)을 누르면, 구속링(27-2)의 요철과 조인트바의 관통구멍(23-5)에 형성된 요철(26-6)의 구속이 해제되어 제2링크(23)와 제3링크(26)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누름을 해제하면 요철이 맞물려서 상대적인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거치대의 장치홀더(3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홀더(30)는, 푸싱캡(38)이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된 제1 위치와 푸싱캡이 후방으로 완전히 눌려진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에서 구속되어 정지할 수 있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푸싱캡(38)을 제2위치까지 도달하도록 눌렀다가 누름을 해제하면 제3위치에서 구속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푸싱캡이 제3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푸싱캡(38)을 한번 더 제2위치까지 눌렀다가 누름을 해제하면, 푸싱캡(38)은 제3위치에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방해받지 않고 제1위치까지 전진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홀더(30)의 이러한 기능을 일명 '푸시 잠금 푸시 해제 기능'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 잠금 푸시 해제 기능'은 푸싱캡(38)이 연속적으로 눌려질 경우, 전방으로 최대로 전진된 제1 위치와 후방으로 최대로 후진된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에 푸싱캡(38)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구속하고 구속된 푸싱캡(38)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잠금수단은, 커버 플레이트(35)의 관통구멍(35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실린더(35c)와, 로킹실린더(45)와, 푸시캡(38)과, 제1스프링(33a)을 포함한다. 가이드 실린더는(35c)는 전방 단부에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텝부(35d)와, 스텝부(35d)의 내주면에 전방은 폐쇄되고 후방은 개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35e)과, 이웃하는 가이드 홈들(35e) 사이에 가이드 홈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잠금홈(35f)을 구비한다. 또한 록킹실린더(45)에는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35e)에는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홈(35f)에는 삽입되지 않는 높이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45a)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45a)의 후방에는 상기 스텝부(35d)에 걸리도록 플랜지(45b)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45a)의 전방에는 복수의 톱니(4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싱캡(38)은 전방이 돌출되도록 후단부가 가이드 실린더(38)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된 후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실린더(35c)에 형성된 가이드 홈(35e)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돌기(38c)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단부면에는 상기 록킹 실린더(45)의 톱니들(45c)과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톱니(38d)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6)은 베이스 플레이트(31)와 록킹 실린더(4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 실린더(35c)의 가이드홈(35e)에 푸싱캡(38)의 돌기(38c)와 록킹실린더(45)의 가이드 돌기(45a)가 동시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푸싱캡(38)의 톱니들(38d)과 록킹 실린더(45)의 톱니들(45c)은 정확히 맞물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푸싱캡(38)이 가압되어 록킹실린더(45)의 가이드 돌기(45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실린더(35c)의 가이드홈(35e)을 벗어난 경우에 록킹 실린더(45)의 톱니들(45c)은 푸싱캡(38)의 톱니들(38d)의 경사면을 타고서 미끌어 지면서 회전하여 맞물리게 된다. 이 때 록킹실린더(45)의 가이드 돌기(45a)는 가이드 실린더(35c)의 잠금홈(35f)이 위치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록킹실린더(45)가 잠금홈(35f)에 걸리어, 푸싱캡(38)의 가압을 해제하여도 제1스프링(33a)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한 상태로 구속된다. 한번 더 푸싱캡(38)을 누르면 록킹 실린더(45)의 톱니들(45c)은 푸싱캡(38)의 톱니들(38d)의 경사면을 타고서 미끌어 지면서 회전하여 록킹실린더(45)의 가이드 돌기(45a)는 가이드 실린더(35c)의 가이드홈(35e)이 위치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푸싱캡(38)의 가압을 해제하면 록킹실린더(45)는 최초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푸싱캡(38)을 한 번 눌렀다 놓으면 록킹실린더(45)가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중간 지점에서 정지하고, 한 번 더 푸싱캡(45)을 눌렀다 놓으면 록킹실린더(45)가 제1 위치로 완전이 이동하는 푸시 잠금 푸시 해제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 거치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푸시캡(38)을 눌러서 푸시캡(38)이 눌려진 제3 위치에 잠기도록 한다. 한 쌍의 그리퍼를 벌려서 휴대용 장치를 장치홀더(30)에 장착하고, 그리퍼의 벌어진 폭을 좁혀서 장치의 폭에 맞도록 조정하고, 잠금수단으로 그리퍼가 벌어지지 않도록 잠근다. 다음으로 푸시캡(38)이 눌리도록 장착된 장치를 후방으로 가볍게 눌러서 푸시캡(38)이 제3 위치에서 해제되어 장착된 장치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하여 장치가 핑거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장치를 장치홀더에서 제거할 경우에는 장치를 다시 한번 후방으로 가볍게 밀어서, 푸시캡(38)이 후진하여 제3위치에서 잠기도록 하고 장치를 상부로 들어서 장치 홀더로부터 제거한다. 다시 장치를 장착할 경우에는 장치홀더(30)의 상부에서 장치의 양측이 핑거부의 장치수용홈(32d, 33d)에 삽입되도록 장착하고, 후방으로 가압하여 푸시캡(38)이 제3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전진하여 장치를 가압하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받침대 20 링크 조립체
30 장치 홀더 31 베이스 플레이트
32 제1그립퍼 33 제2그립퍼
35 커버 플레이트 38 푸싱캡

Claims (6)

  1. 받침대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 조립체와,
    상기 링크 조립체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장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홀더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과 동심이 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하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1 그립퍼와,
    상기 기어의 상부에서 맞물리도록 래크 기어가 형성된 가동 아암과, 상기 아암에서 전방으로 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제2 그립퍼와,
    상기 제1 그립퍼 또는 제2 그립퍼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기 위한 잠금수단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푸싱캡과,
    상기 푸싱캡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푸싱캡이 연속적으로 눌려질 경우, 전방으로 최대로 전진된 제1 위치와 후방으로 최대로 후진된 제2 위치 사이의 제3 위치에 푸싱캡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구속하고 구속된 푸싱캡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관통구멍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전방 단부에서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내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텝부과,
    상기 스텝부의 내주면에 전방은 폐쇄되고 후방은 개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과,
    상기 이웃하는 가이드 홈들 사이에 가이드 홈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잠금홈과,
    상기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는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잠금홈에 삽입되지 않는 높이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의 후방에는 상기 스텝부에 걸리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의 전방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록킹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캡은, 전방이 돌출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된 후방 단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실린더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단부면에는 상기 록킹 실린더의 톱니와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실린더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볼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 조인트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고정된 볼과, 일단이 상기 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볼에는, 상기 제1링크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볼의 중심을 지나는 축선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변의 외주면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볼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조인트바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조인트바와 볼의 상대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볼과 제2링크의 유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지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두 개의 조인트바로 구성되고, 상기 볼과 연결되는 조인트 바의 단부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상기 볼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주면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볼 수용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각도조절수단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상기 나산산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을 구비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거치대.
KR1020120066432A 2012-06-20 2012-06-20 장치 거치대 KR20130142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32A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2-06-20 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32A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2-06-20 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53A true KR20130142853A (ko) 2013-12-30

Family

ID=4998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32A KR20130142853A (ko) 2012-06-20 2012-06-20 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2853A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CN104960479A (zh) * 2015-07-07 2015-10-07 安徽泽众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车载支撑装置
KR200479290Y1 (ko) 2015-11-17 2016-01-12 김호철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WO2016004708A1 (zh) * 2014-07-09 2016-01-14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支架系统
WO2016004707A1 (zh) * 2014-07-09 2016-01-14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支架系统及其锁止机构和夹持装置
WO2016064025A1 (ko) * 2014-10-23 2016-04-28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KR20160132640A (ko) * 2015-05-11 2016-11-21 박승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6394423A (zh) * 2016-09-26 2017-02-15 嘉兴职业技术学院 可调角度的车载夹具
WO2017202216A1 (zh) * 2016-05-25 2017-11-30 深圳市和臻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
WO2018012884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180001448U (ko)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지스타코리아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CN108449468A (zh) * 2018-05-21 2018-08-24 黄超 一种车载手机支架的弹性体手机夹具
KR200488233Y1 (ko) * 2018-02-07 2018-12-31 강영철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KR101968670B1 (ko) * 2017-10-11 2019-04-1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CN109649287A (zh) * 2018-11-07 2019-04-19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平板电脑固定架
CN110266865A (zh) * 2019-04-19 2019-09-20 东营奇好日用品有限公司 一种跟随式手机支架
CN110696734A (zh) * 2019-10-28 2020-01-17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车载平板电脑支架的锁紧机构
US10554799B2 (en) 2016-07-13 2020-02-04 Rearth, Inc.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KR102141335B1 (ko) * 2020-04-23 2020-08-05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CN113188003A (zh) * 2021-05-26 2021-07-30 深圳市索麦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电脑用调节型放置座
KR102344410B1 (ko) * 2021-03-05 2021-12-27 서재홍 블랙박스 거치대
KR102344413B1 (ko) * 2021-03-05 2021-12-27 서재홍 블랙박스 거치대
WO2023167344A1 (ko) * 2022-03-02 2023-09-07 고무생 거치대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4707A1 (zh) * 2014-07-09 2016-01-14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支架系统及其锁止机构和夹持装置
WO2016004708A1 (zh) * 2014-07-09 2016-01-14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支架系统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WO2016064025A1 (ko) * 2014-10-23 2016-04-28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KR20160132640A (ko) * 2015-05-11 2016-11-21 박승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4960479A (zh) * 2015-07-07 2015-10-07 安徽泽众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车载支撑装置
KR200479290Y1 (ko) 2015-11-17 2016-01-12 김호철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WO2017202216A1 (zh) * 2016-05-25 2017-11-30 深圳市和臻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
WO2018012884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US10554799B2 (en) 2016-07-13 2020-02-04 Rearth, Inc.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CN106394423A (zh) * 2016-09-26 2017-02-15 嘉兴职业技术学院 可调角度的车载夹具
KR20180001448U (ko) * 2016-11-07 2018-05-16 주식회사 지스타코리아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KR101968670B1 (ko) * 2017-10-11 2019-04-12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
KR200488233Y1 (ko) * 2018-02-07 2018-12-31 강영철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CN108449468A (zh) * 2018-05-21 2018-08-24 黄超 一种车载手机支架的弹性体手机夹具
CN109649287A (zh) * 2018-11-07 2019-04-19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平板电脑固定架
CN109649287B (zh) * 2018-11-07 2020-07-17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平板电脑固定架
CN110266865A (zh) * 2019-04-19 2019-09-20 东营奇好日用品有限公司 一种跟随式手机支架
CN110696734A (zh) * 2019-10-28 2020-01-17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车载平板电脑支架的锁紧机构
CN110696734B (zh) * 2019-10-28 2020-11-27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车载平板电脑支架的锁紧机构
KR102141335B1 (ko) * 2020-04-23 2020-08-05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WO2021215587A1 (ko) * 2020-04-23 2021-10-28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다용도 거치대
KR102344410B1 (ko) * 2021-03-05 2021-12-27 서재홍 블랙박스 거치대
KR102344413B1 (ko) * 2021-03-05 2021-12-27 서재홍 블랙박스 거치대
CN113188003A (zh) * 2021-05-26 2021-07-30 深圳市索麦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电脑用调节型放置座
WO2023167344A1 (ko) * 2022-03-02 2023-09-07 고무생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853A (ko) 장치 거치대
CN109196265B (zh) 用于可调节电子装置保持器的系统和方法
US7407143B1 (en) Communication device holder for vehicles
US20180001950A1 (en) Handlebar accessory mount
CN106256672B (zh) 保持器
US20070048599A1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WO2021203222A1 (zh) 一种车载手机支架
HK1068941A1 (en) Hinge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it
MY121920A (en) Electronic equipment
EP2529640B1 (en) Buckle
CN210129071U (zh) 伸缩调节式绑带及头戴设备
EP3244594A1 (en) Mounting member
US9188143B1 (en) Motorcycle paraphernalia latching system
US20090048007A1 (en) Mobile phone holder for mechanical vehicles
JP2012024592A (ja) 浴槽用手摺り
CN104608705B (zh) 一种隐藏式移动设备夹紧装置
WO2010101050A1 (ja) ロック解除装置、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
JP2014106027A (ja) 巻尺ホルダ
KR101465079B1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JPWO2009008116A1 (ja) リモコン保持装置
KR20080037399A (ko)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
JP2022088534A (ja) 道具ホルダ
US20050130029A1 (en) Battery pack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WM561965U (zh) 行動裝置重力夾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