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48U -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48U
KR20180001448U KR2020160006475U KR20160006475U KR20180001448U KR 20180001448 U KR20180001448 U KR 20180001448U KR 2020160006475 U KR2020160006475 U KR 2020160006475U KR 20160006475 U KR20160006475 U KR 20160006475U KR 20180001448 U KR20180001448 U KR 201800014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nd portion
charging
vehicl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타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6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448U/ko
Publication of KR20180001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가잭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단부(20)의 흡착빨판(41)에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에
흡착 거치하면, 상기 상단부(2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코일(32)가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에 형성된 충전용 단자
충전코일(2)와 맞물려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인가하여 무선충전을 한다.
또한 하단부(10) 둘레부에 구비된 USB단자(11)와 휴대 단말기(1)를 USB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합시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을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를 거치하는 기능과 충전하는 기능을 동시에 실행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1)를 흡착력을 이용하여 거치하는기능과 충전하는 기능을 동시에 실행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각도조절을 하여 차량의 대쉬보드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Mobile device wireless charger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의 시가잭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흡착패드를 이용하여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화되어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풍부한 컨텐츠가 보급되게 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핸즈프리 및 오디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상기한 휴대폰의 활용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시가잭에 결합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충전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거치대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본체의 선단부와 둘레부에 시가잭 내부의 접점과 접촉되는 전극판이 구비되며, 후단부에는 휴대폰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가 있으며, 또한 후단부에는 충전코일(2)이 내장되어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후단부와 휴대폰이 접촉할 시 충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다른 기종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면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폐기하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1332388에서는 휴대폰을 고정하는 상,하부 암을 이용하여 거치를 하고 동시에 무선충전을 할 수 있지만, 탈부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번거롭게 탈부착을 행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무선충전을 지원하지 못하는 기기에서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차량의 기종에 따라 시가잭의 위치가 상이하여,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 사용시 화면이 잘 안보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가잭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 및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되는 하단부(10)와, 상기 하단부(10)의 선단부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시가잭 내부의 접점과 접촉되는 전극판(13)과, 상기 하단부(10)의 후단부와 힌지(30)로 결합되어 있는 상단부(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단부(20)의 일측에 구비된 흡착판(40)와 휴대 단말기(1)의 배면 부분과 흡착하여 휴대 단말기를 거치를 할 수 있는 흡착빨판(41)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40)에 휴대 단말기(1)를 흡착빨판(41)의 흡착효과를 이용하여 거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일(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되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단부(10)의 둘레면에 구비된 USB단자(11)와 USB커넥터를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1)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단부(10)의 후단부에는 고정홈이 구비되고, 고정버튼(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버튼 홈(30a)이 형성되고, 하단하우징(25)에는 상기 고정버튼(16)과 상기 고정홈이 끼움 결합되며 끼움 결합되며, 상기 푸쉬버튼(33)을 가압할시 상기 고정버튼 홈(30a)가 밀려나게 되어 상기 고정홈(32)의 홈 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상단부(1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푸쉬 버튼의 가압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고정버튼 홈(30a가)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홈(32)과 맞물려 상기 상단부(1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단부(20)의 합착빨판에 휴대 단말기(1)의 배면을 부착하
면, 상기 상단부(20)의 내부에 구비된 충전코일(42)이 휴대 단말기(1)의 배면에 형성된 충전코일(2)와
맞물려 휴대 단말기(1)에 무선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을 하며, 또한 USB단자(11)와 휴대 단말기(1)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충전을 하며, 또한 상단부(20)와 하단부(10)가 30(힌지)에 의하여 상하회동을 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를 거치하는 기능과 무선 및 유선 충전하는 기능을 동시에 실행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상단부(20)의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상하구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상하구동 구조 작용 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상하구동 구조 작용 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부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시가잭 내부의 접점과 접촉되는 전극판(20)과 USB단자(11)이 구성되며, 본 고안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상단부(20)와 상기 하단부(10)와 상기 상단부(10)를 결합 및 상하회동을 조작할 수 있는 힌지(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단부(10)와 상단부(20)는 힌지(30)와의 연결로 인하여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의 상단부(20)는 휴대폰을 흡착 거치할 수 있는 상기 흡착빨판(11)이 구비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부(10)가 차량의 시가잭에 결합된 상태에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는 흡착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판(13)은 종래의 차량용 충전기에 구비된 전극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코일(23)은 종래의 무선충전기에 구비된 전극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30)의 내부에는 탄성재질의 스프링(35)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버튼(30)의 고정버튼 홈(30a)와 고정홈 (32)간의 홈이 맞물리면서 하단부(10)와 상단부(20)가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33)을 가압할 시, 상기 스프링(35)의 압박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버튼이(30)이 밀려나면서 상기 고정홈(32)과의 홈이 맞물리는 것이 이격이 되어 상기 하단부 (10)와 상기 상단부(20)가 상기 힌지(3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40)의 상기 흡착빨판(41)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를 거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에 형성된 충전코일(2)과 본 고안의 충전코일(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를 흡착력을 이용하여 거치하는 기능과 충전하는 기능을 동시에 실행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각도 조절을 하여 차량의 대쉬보드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하단부 20.상단부
30. 힌지 40.흡착판

Claims (3)

  1. 청구항 1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되는 하단부(10)와,
    상기 하단부(10)의 선단부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시가잭 내부의 접점과 접촉되는 전극판(13)과,
    상기 한단부(10)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는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가 흡착빨판(41)에 의해 흡착 결합되는 상단부(20)와,
    상단하우징(25)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착빨판(41)에
    휴대 단말기(1)를 흡착 결합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의 배면부에 형성된 충전코일(2)에 끼워져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일(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10)의 후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상되고 , 양측으로 푸쉬버튼(33)과 고정버튼(30)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단부(20)와 상기 하단부(10)는 상기 푸쉬버튼(33)과 고정버튼(30)의 끼움 결합 및 고정 되며,
    푸쉬버튼(33) 가압시 고정버튼(30)이 밀려나면서 고정버튼 홈(30a)과 고정홈(32)이 이격되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20)에 구비된 흡착빨판(41)과 상기 휴대 단말기(1)가 흡착 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0)와 상기 상단부(20)를 결합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단부(20)를 상하구동을 하게 하는 힌지(30)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20160006475U 2016-11-07 2016-11-07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KR201800014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75U KR20180001448U (ko) 2016-11-07 2016-11-07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75U KR20180001448U (ko) 2016-11-07 2016-11-07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48U true KR20180001448U (ko) 2018-05-16

Family

ID=6229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75U KR20180001448U (ko) 2016-11-07 2016-11-07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44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5376A4 (en) * 2019-05-22 2022-12-07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WIRELESS CHAR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088A (ja) * 1998-04-20 1999-11-09 Ichita Kawashima 携帯電話器ホルダー付きシガーライター用充電器
KR200437162Y1 (ko) * 2006-11-27 2007-11-06 (주)에릭소코퍼레이션 휴대단말기 거치 기능을 갖는 충전 시거잭
KR200468324Y1 (ko) * 2013-03-21 2013-08-13 강세원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30142853A (ko) *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KR20150093529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088A (ja) * 1998-04-20 1999-11-09 Ichita Kawashima 携帯電話器ホルダー付きシガーライター用充電器
KR200437162Y1 (ko) * 2006-11-27 2007-11-06 (주)에릭소코퍼레이션 휴대단말기 거치 기능을 갖는 충전 시거잭
KR20130142853A (ko) *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KR200468324Y1 (ko) * 2013-03-21 2013-08-13 강세원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50093529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5376A4 (en) * 2019-05-22 2022-12-07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WIRELESS CHAR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CN203854782U (zh) 带充电器的车载手机支架
JP2015217937A (ja) 車両用スマートフォン据置台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CN1929693A (zh) 耳机和耳机布置装置
KR20120005258U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80001448U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CN207705869U (zh) 一种车载手机充电器
TW201528643A (zh) 車載式無線充電裝置
CN212604857U (zh) 一种多功能车载手机支架
KR101673875B1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846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8468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7800835B (zh) 一种车用手机支架
CN210867816U (zh) 一种角度易调节的车载手机支架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CN207705868U (zh) 一种车载手机充电器
KR200468324Y1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