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75B1 -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75B1
KR101673875B1 KR1020150028873A KR20150028873A KR101673875B1 KR 101673875 B1 KR101673875 B1 KR 101673875B1 KR 1020150028873 A KR1020150028873 A KR 1020150028873A KR 20150028873 A KR20150028873 A KR 20150028873A KR 101673875 B1 KR101673875 B1 KR 10167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replacement
front cover
connecto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254A (ko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15002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캔를 받치는 컵홀더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와 같은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컵홀더의 슬라이더(3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전면커버(11)의 후방에 구성된 거치대(12)가 외부로 노출된 되어 거치홈(13)에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슬라이더(32)에 구성된 포착암(34)과 반원지지구(33)와 받침대(35)로 컵이나 음료캔을 거치할 수 있으며, 사용을 마치면 전면커버(11)를 밀어넣어 슬라이더(32)는 수납함(31) 내로 수납되고 거치대(12)는 전면커버(11) 내로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스마트기기와 음료캔을 동시에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고, 자동차 실내의 심미감을 높이며 실내공간의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CAR CUPHOLDER WITH SMART DEVICE SUPPOR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음료캔을 받치는 컵홀더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와 같은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컵홀더는 외부로 노출된 전면프레임(19)의 후방에 구성된 수납함(31)이 자동차시트의 팔걸이(36)나 대시보드 등에 매립되고, 수납함(31) 내에는 전면프레임(19)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수납함(31) 내부로 수납되는 슬라이더(32)가 구성되며, 슬라이더(32)에는 반원지지구(33)와 탄성력으로 회동되어 컵이나 음료캔을 거치하는 포착암(34)이 구성되고, 슬라이더(32)의 전방에 구성된 전면커버(11)의 후방에는 스마트기기의 하단이 끼워져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13)이 형성된 거치대(12)가 구성되되, 거치대(12)는 전면프레임(19) 내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더(3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전면커버(11)의 후방에 구성된 거치대(12)가 외부로 노출된 되어 거치홈(13)에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슬라이더(32)에 구성된 포착암(34)과 반원지지구(33)와 받침대(35)로 컵이나 음료캔을 거치할 수 있으며, 사용을 마치면 전면커버(11)를 밀어넣어 슬라이더(32)는 수납함(31) 내로 수납되고 거치대(12)는 전면프레임(19) 내로 수납되도록 하여, 스마트기기와 음료캔을 동시에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고, 자동차 실내의 심미감을 높이며 자동차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컵홀더는 자동차 제작시 실내에 설치되는 편의장치로, 자동차시트의 팔걸이(36) 내에 매립되거나, 기어박스 주변 또는 자동차 대시 보드에 매립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사용할 때는 컵홀더의 전면커버(11)를 누르면 슬라이더(32)가 수납함(31)에서 빠져나와 외부로 노출되어 탑승자가 음료를 마시는 동안에 슬라이더(32)에 구성된 반원지지구(33)와 포착암(34)에 컵이나 음료캔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수납함(31)에 슬라이더(32)가 수납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스마트기기는 현대인 대부분이 하나 이상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피씨(Tablet PC)와 같은 정보기기로, 자동차 운행중에는 내비게이션으로 사용되거나, 정보검색, 음악청취, 동영상 감상, 뉴스시청, 전화통화, 텍스트메시지 등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대부분 휴대하기 편하도록 무게가 1kg 이내로 가볍고, 두께는 대부분 10mm 이내로 얇은 특징이 있으며, 배터리의 전력으로 구동되는데 제조사나 제품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가지나 기본적으로 장방형 판체 형태를 가진다.
스마트기기를 자동차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개특허 제2013-105799호와 같이 구성된 유리에 부착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나, 공개특허 제2014-123837호와 같이 구성된 대시보드 상단에 부착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별도로 구매한 후 설치하거나, 기어박스 부근에 마련된 작은 수납공간에 스마트기기를 올려놓고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방유리나 대시보드에 부착하는 거치대를 사용할 경우, 전방의 시야 일부를 가려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고, 실내 인테리어와의 통일감이 없어 심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으며, 기어박스 부근의 수납공간에 보관할 경우 스마트기기가 눕혀져 보관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가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보기 어려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에 편의장치로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에 스마트기기 거치대(12)를 동시에 구성하여, 운행중에도 음료컵 또는 음료캔과 함께 스마트기기도 간단히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컵홀더나 거치대(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여 자동차 실내의 공간활용도와 심미감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반원지지구(33)와 포착암(34) 및 전면커버(11)가 구성된 슬라이더(32)가 전면프레임(19)이 구성된 수납함(31)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전면커버(11)의 후방에는 스마트기기의 하단이 끼워져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13)이 형성된 거치대(12)가 구성되되, 거치대(12)는 수납함(31) 내로 수납되는 슬라이더(32)와 함께 전면프레임(19) 내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와,
전면커버(11)의 상단 중앙에는 교체구(21)가 끼워지도록 교체구결합홈(15)이 형성되고, 교체구결합홈(15)에는 교체구(21)의 접점(26)과 맞닿으며 전원케이블(25)과 연결된 탄성단자(27)가 구성되며,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져 결합되는 교체구(21)의 거치홈(13)에는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24)가 구성되며, 교체구(21)의 하단에는 탄성단자(27)와 맞닿는 접점(26)이 구성되고, 접점(26)과 커넥터지주(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와,
커넥터지주(23)의 양단에는 회동축(22)이 형성되고, 교체구(21)에는 커넥터지주(23)가 끼워져 회동 되도록 형성된 몸체삽입홈(17)과, 회동축(22)이 끼워지는 회동축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의 전면커버(11)에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12)를 구성함으로써, 음료컵 또는 음료캔과 함께 스마트기기를 거치대(12)에 간단히 거치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스마트기기를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실내의 공간활용도와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뒷좌석 중앙의 팔걸이에 구성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스마트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커버에 끼워지는 교체구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커버에 교체구가 끼워진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교체구에 구성된 커넥터지주가 회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종래의 자동차용 컵홀더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내부에 슬라이더(32)가 구성된 수납함(31)은 자동차시트의 팔걸이(36)나. 기어박스 주변 또는 자동차 대시 보드 중앙에 매립되고, 수납함(31)의 전방에는 전면프레임(19)이 부착되며, 슬라이더의 전방에는 전면프레임(19)에 삽입되는 전면커버(11)가 구성되어,
전면커버(11)를 누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더(32) 배후부에 구성된 스프링 등의 이송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더(3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슬라이더(32)에 구성된 포착암(34)과 반원지지구(33) 및 받침대(35) 사이에 음료캔이나 음료컵을 거치하여 운행 중에도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사용을 마치면 전면커버(11)를 수납함(31) 방향으로 밀어넣어 슬라이더(32)가 수납함(31)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차용 컵홀더에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2)를 구성한 것으로서, 통상 자동차 뒷좌석의 팔걸이(36), 대시보드, 또는 기어박스 주변에 설치되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뒷좌석의 팔걸이(36)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컵홀더의 수납함(31)은 팔걸이(36)에 매립되고, 수납함(31) 전방에 구성된 전면프레임(19)과 슬라이더(32) 전방에 구성된 전면커버(11)는 팔걸이(36)에서 노출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면커버(11)의 후방에는 스마트기기의 하단이 끼워진 후 비스듬히 기울여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13)이 형성된 거치대(12)를 일체로 구성하되, 거치대(12)는 수납함(31)에 수납되는 슬라이더(32)와 함께 전면프레임(19) 내로 수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거치홈(13)의 폭과 깊이는 모두 14mm 내외로 형성하여 두께가 10mm 내외인 대부분의 스마트기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고, 거치홈(13)에는 운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충격음을 흡수, 저감하고, 마찰력을 부여하여 스마트기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쿠션(14)을 구성하여 거치홈(13)을 감싸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거치대(12)의 거치홈(13)에 삽입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이면 스마트기기가 간단하게 거치 되므로 운행중에도 탑승자가 스마트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기기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도 거치홈(13)에서 스마트기기를 간단하게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거치하면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커버(11)의 상단 중앙에는 교체구(21)가 끼워지도록 교체구결합홈(15)이 형성되고, 이 교체구결합홈(15)에는 교체구(21)의 접점(26)과 맞닿으며 자동차 자체전원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케이블(25)이 연결된 탄성단자(27)가 구성된다.
교체구(21)는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지되,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졌을 때 전면커버(11) 및 거치대(12)의 형상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며, 거치홈(13)에는 커넥터(24)가 구성된 커넥터지주(23)가 구성되어 커넥터(24)에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교체구(21)의 하단에는 탄성단자(27)와 맞닿는 접점(26)이 구성되며, 접점(26) 및 커넥터지주(23)와 연결된 전원케이블(25)이 구성된다.
그리고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진 교체구(2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교체구(21)의 양측에는 끼움돌기(28)가 형성되고, 교체구결합홈(15)에도 끼움돌기(28)가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안내홈(16)이 형성된다.
상기 교체구(21)에 구성된 커넥터(24)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연결커넥터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탑승자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계열의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경우, 안드로이드 계열의 표준연결커넥터인 Micro 5pin USB 커넥터가 구성된 교체구(21)를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 IOS 운영체제 계열의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경우 IOS 계열의 표준연결커넥터인 30pin 라이트닝 커넥터 또는 8pin 라이트닝 커넥터가 구성된 교체구(21)를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스마트기기에 대응하는 교체구(21)를 간단히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스마트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용 전원은 대부분의 스마트기기 표준 입력전압인 500mA ~ 2A, 5V 의 전원 요구되는데, 자동차의 전원인 12V 전원이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변환되어 탄성단자(27)와 연결된 전원케이블(25)을 경유하여, 탄성단자(27)와 접점(26)으로 전달된 후, 다시 접점(26)과 연결된 전원케이블(25)을 통해 커넥터지주(23)의 커넥터(24)로 전달되어, 커넥터(24)와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므로, 스마트기기는 거치대(12)의 커넥터(24)와 연결된 상태로 거치되어 충전되거나 충전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교체구(21)에 커넥터지주(23)가 삽입되는 몸체삽입홈(17)과 회동축홈(18)을 형성하고, 몸체삽입홈(17)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커넥터지주(23)의 양측에는 커넥터지주(23)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회동축(22)을 형성하면, 스마트기기의 연결커넥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넥터(24)를 전·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마트기기의 연결커넥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넥터(24)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차용 컵홀더에 스마트기기 거치대(12)를 구성한 것으로, 스마트기기를 거치하지 않을 경우 내부에 수납되고,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경우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별도의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구매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하고 자동차 실내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11: 전면커버
12: 거치대
13: 거치홈
14: 쿠션
15: 교체구결합홈
16: 안내홈
17: 몸체삽입홈
18: 회동축홈
19: 젼면프레임
21: 교체구
22: 회동축
23: 커넥터지주
24: 커넥터
25: 전원케이블
26: 접점
27: 탄성단자
28: 끼움돌기
31: 수납함
32: 슬라이더
33: 반원지지구
34: 포착암
35: 받침대
36: 팔걸이

Claims (3)

  1. 반원지지구(33)와 포착암(34) 및 전면커버(11)가 구성된 슬라이더(32)가 전면프레임(19)이 구성된 수납함(31)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전면커버(11)의 후방에는 스마트기기의 하단이 끼워져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13)이 형성된 거치대(12)가 구성되되, 거치대(12)는 수납함(31) 내로 수납되는 슬라이더(32)와 함께 전면프레임(19) 내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전면커버(11)의 상단 중앙에는 교체구(21)가 끼워지도록 교체구결합홈(15)이 형성되고, 교체구결합홈(15)에는 교체구(21)의 접점(26)과 맞닿으며 전원케이블(25)과 연결된 탄성단자(27)가 구성되며,
    교체구결합홈(15)에 끼워져 결합되는 교체구(21)의 거치홈(13)에는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24)가 구성되며, 교체구(21)의 하단에는 탄성단자(27)와 맞닿는 접점(26)이 구성되고, 접점(26)과 커넥터지주(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넥터지주(23)의 양단에는 회동축(22)이 형성되고, 교체구(21)에는 커넥터지주(23)가 끼워져 회동 되도록 형성된 몸체삽입홈(17)과, 회동축(22)이 끼워지는 회동축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3. 삭제
KR1020150028873A 2015-03-02 2015-03-02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KR10167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73A KR101673875B1 (ko) 2015-03-02 2015-03-02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73A KR101673875B1 (ko) 2015-03-02 2015-03-02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54A KR20160106254A (ko) 2016-09-12
KR101673875B1 true KR101673875B1 (ko) 2016-11-08

Family

ID=5695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873A KR101673875B1 (ko) 2015-03-02 2015-03-02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08U (ko) 2018-05-01 2019-11-11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DE102021109771A1 (de) 2021-04-19 2022-10-20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ponente mit einer Aufnahmevorrichtung, Fahrzeugsitz und Fahrze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3841B (zh) * 2018-03-23 2021-09-21 杭州群核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设计的饰品智能摆放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22B1 (ko) * 2009-11-17 2017-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KR101163892B1 (ko) * 2010-07-12 2012-07-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전자기기 트레이장치
KR102045078B1 (ko) * 2013-01-11 2019-11-14 주식회사 대창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08U (ko) 2018-05-01 2019-11-11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DE102021109771A1 (de) 2021-04-19 2022-10-20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ponente mit einer Aufnahmevorrichtung, Fahrzeugsitz und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254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2354B2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4742817B (zh) 用于车辆的移动电话保持架
KR101673875B1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US9296325B2 (en) Vehicle USB port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JP2015217937A (ja) 車両用スマートフォン据置台
CN104369696B (zh) 车载支架及车载支架音响
GB2533812A (e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20005258U (ko)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US11375055B2 (en) Holder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00119191A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CN210867215U (zh) 一种车载充电器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CN107351778B (zh) 隔空式无线充电车载平视显示器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11280844U (zh) 一种可无线充电的汽车用储物盒
KR101543532B1 (ko) 휴대기기 각도 조절용 거치장치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