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80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80B1
KR102084680B1 KR1020180117478A KR20180117478A KR102084680B1 KR 102084680 B1 KR102084680 B1 KR 102084680B1 KR 1020180117478 A KR1020180117478 A KR 1020180117478A KR 20180117478 A KR20180117478 A KR 20180117478A KR 102084680 B1 KR102084680 B1 KR 10208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holder
arm
portab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호
조경훈
Original Assignee
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호 filed Critical 조규호
Priority to KR102018011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상대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의 양 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연동하여 각각 인장 또는 압축되도록 슬라이딩 이송되는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해제 버튼; 상기 홀더 및 상기 해제 버튼이 서로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CRADL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에서 탑승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설정된 위치나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단순히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이 아닌 MP3, PMP, PC,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보급이 증대되면서 다목적 용도로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나 또는 탑승자가 운행 중에도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설정된 위치에 거치시키는 휴대폰 거치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2469호에는 차량 내부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이 거치된 후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 휴대폰이 탈거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하여 거치대에 올려서 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한 손으로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상대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의 양 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연동하여 각각 인장 또는 압축되도록 슬라이딩 이송되는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해제 버튼; 상기 홀더 및 상기 해제 버튼이 서로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설치홈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충전 패드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 패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패드는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권선코일과, 상기 권선코일을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선코일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 회로부와,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나 USB단자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된 제1랙과, 상기 제2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랙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버튼은 상기 제1가압부에 구비된 제3랙과, 상기 제2가압부 상에서 상기 제3랙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4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랙과 제2랙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3랙과 제4랙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제2피니언 기어가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또는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제5랙과, 상기 제2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제6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5랙과 제6랙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제2피니언 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랙이 형성된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2암과, 상기 제1암 및 제2암이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제1장공과,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되어 휴대용 단말기 일 측을 지지하는 제1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랙이 형성된 제3암과, 상기 제3암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4암과, 상기 제3암 및 제4암이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제2장공과,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 타 측을 지지하는 제2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홀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송 과정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일체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암과 간섭되는 간섭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첫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완료된 후에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해제 버튼을 눌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간격이 확보된 상태에서 스위치부에 의해 원터치로 거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탈착이 용이하며,
셋째, 차량 내에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및 탈거가 용이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넷째,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섯째, 충전 패드와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분리하여 충전중인 휴대용 단말기에 발열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섯째, 무선 충전부를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무선 충전부만 탈거하여 차량 밖에서도 무선 충전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홀더가 인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무선 충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본체(110)와, 홀더(120)와, 해제 버튼(130)과, 구동부(140), 스위치부(150) 및 거치고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MP)는 모바일폰, 테블릿 PC, PMP, 전자책 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모바일폰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후면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전면 플레이트(111)는 상면에 모바일폰(MP)이 올려지면서 거치되는 면이고, 후면 플레이트(112)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하우징을 구성하게 된다. 전면 플레이트(111)의 상면에는 스위치부(150)의 일부가 돌출되어 모바일폰(MP)이 거치되는 과정에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후면 플레이트(112)의 배면에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를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거치수단은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 상면이나, 송풍구 또는 CD 플레이어 입구 등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면 플레이트나 후면 플레이트(112) 내측에는 후기할 구동부(140)의 승강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3)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13)은 후기할 승강부(14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제1피니언 기어(141) 및 제2피니언 기어(142)와 치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20)는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는 서로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휴대폰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1지지부(121)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송되며 제1랙(1212)이 형성된 제1암(1211)과, 제1암(1211)과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암(1213)과, 제1암(1211)과 제2암 사이에서 제1지지부(121)를 전면 플레이트(111) 상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장공(1214)과, 제1암(1211)과 제2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면 플레이트(111)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바일폰(MP)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파지부재(1215)를 포함한다. 제1암(1211)과 제2암(1213)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면서 본체(1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동시에 제2지지부(122)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제1랙(1212)과 구동부(140)가 안정적으로 치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2지지부(122)는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송되며 제2랙(1222)이 형성된 제3암(1221)과, 제3암(1221)과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암(1223)과, 제3암(1221)과 제4암(1223) 사이에서 제2지지부(122)를 전면 플레이트(111) 상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장공(1224)과, 제3암(1221)과 제4암(1223)으로부터 연장되고 전면 플레이트(111)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바일폰(MP)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파지부재(1225)를 포함한다. 제1랙(1212)과 제2랙(1222)은 서로 치형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후기할 구동부(140)의 제1피니언 기어(141)와 치합하여 서로 좌우방향으로 각각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를 슬라이딩 이송시킨다. 또한 제1암(1211)과 제4암(1223)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암(1213)과 제3암(1221)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파지부재(1215)와 제2파지부재(1225)의 내측에는 모바일폰(MP)과 접촉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폼패드 또는 고무 재질의 마감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 버튼(130)은 모바일폰(MP)의 탈거 시, 홀더(120)의 하측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압축함으로써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장시킬 때 사용한다. 해제 버튼(130)은 제1가압부(131)와 제2가압부(132)를 포함한다. 제1가압부(131)는 제3랙(1311)이 구비되고, 제2가압부(132)는 제3랙(1311)과 대향하도록 마련된 제4랙(1321)을 포함한다. 제3랙(1311)과 제4랙(1321)은 후기할 구동부(140)의 제2피니언 기어(142)와 치합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각각 제1가압부(131)와 제2가압부(132)를 슬라이딩 이송시킨다.
그리고 구동부(140)는 제1피니언 기어(141)와, 제2피니언 기어(142)와, 제1피니언 기어(141) 및 제2피니언 기어(142)를 서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승강부(143)와, 승강부 또는 홀더(120)에 연결되어 홀더(120)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제1피니언 기어(141)는 제1랙(1212)과 제2랙(1222)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구조를 가지고, 제2피니언 기어(142)는 제3랙(1311)과 제4랙(1321)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승강부(143)는 제1피니언 기어(141)와 치합하는 제5랙(144)과, 제2피니언 기어(142)와 치합하는 제6랙(145)을 포함하고, 승강부(143)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송에 따라서 제1피니언 기어(141)와 제2피니언 기어(142)를 연동하여 회전시킨다. 승강부(143)는 제1피니언 기어(141)와 제2피니언 기어(14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더(120)가 인장되면 해제 버튼(130)은 압축되고, 반대로 홀더(120)가 압축되면 해제 버튼(130)은 인장된다. 따라서 승강부(143)에서 제5랙(144)과 제6랙(145)은 서로 다른 영역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피니언 기어(141)와 제2피니언 기어(142)의 회전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탄성부(146)는 승강부(143), 홀더(120) 및 해제 버튼(1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홀더(120)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스위치부(150)가 홀더(120)와 간섭된 상태에서 간섭된 상태가 해제되면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압축되어 모바일폰(MP)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홀더(120)가 압축되거나 해제 버튼(130)이 인장되거나 또는 이와 연동하는 승강부(143)가 승하강 하도록 탄성부(146)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위치부(150)는 접촉부재(151)와 간섭턱(152) 및 스프링(153)을 포함한다. 접촉부재(151)는 전면 플레이트(111) 상에서 돌출되어 거치중인 모바일폰(MP)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접촉부재(151)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53)에 의해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접촉부재(151)가 전면 플레이트(111) 상면 외측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간섭턱(152)은 접촉부재(151)와 일체로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며, 홀더(120)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와 간섭된다. 홀더(120)가 인장된 상태에서 접촉부재(151)는 전면 플레이트(111)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간섭턱(152)은 본체(110) 내부에서 제2암(1213) 또는 제3암(1221)의 측면과 간섭되어 홀더(120)가 압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모바일폰(MP)이 거치되면서 접촉부재(151)를 가압하면 간섭턱(152)이 제1지지부(121) 또는 제2지지부(122)와 이격되면서 제2암(1213) 또는 제3암(1221)과의 간섭이 해제되고, 다시 접촉부재(151)가 전면 플레이트(111)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암(1213)의 배면과 간섭턱(152)이 간섭되면서 접촉부재(151)가 전면 플레이트(111)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섭턱(152)은 제2암(1213) 및 제3암(1221)에 동시에 간섭되도록 제3암(1221)의 상면에 간섭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인장되면, 제1지지부(121)의 제2암의 단부 측면에 간섭턱과 간섭되고, 제2지지부(122)의 제3암 상면 또는 측면에 간섭홈과 간섭턱이 간섭되면서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모두 압축방향으로 간섭턱(152)과 간섭되기 때문에 홀더(120)가 인장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거치고리(160)는 승강부(143)와 연결되어 본체(110)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모바일폰(MP)이 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거치고리(160)는 승강부(14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연동하여 승강한다. 거치고리(160)와 모바일폰(MP)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충전기 터미널이 충전단자의 접속에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공(161)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부가 구비된다.
무선 충전부는 휴대용 단말기와 거치대 사이에 유선으로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의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홀더(120)가 인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사용자가 해제 버튼(130)을 가압하여 거치된 모바일폰(MP)을 한 손으로 탈거할 수 있고, 다시 원터치 방식으로 모바일폰(MP)을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 제1가압부(131)와 제2가압부(1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고, 반대로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 제1가압부(131)와 제2가압부(13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송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해제 버튼(130)의 양 측 제1가압부(131)와 제2가압부(132)를 압축하면 홀더(120)는 인장되면서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이격되어 모바일폰(MP)의 거치 가능한 상태가 되고, 모바일폰(MP)을 거치하면 스위치부(150)를 가압하면서 간섭턱(152)이 제2암(1213) 또는 제3암(1221)과 이격되고, 탄성부(146)의 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부(121)와 제2지지부(122)가 압축되고 거치고리(160)가 상승하기 때문에 모바일폰(MP)의 좌우측과 하측이 모바일폰(MP)을 가압하면서 거치가 완료된다.
물론 모바일폰(MP)을 거치고리(160)에 먼저 올려 놓고 스위치부(150)를 가압하여 홀더(120)의 압축력을 조절하면서 모바일폰(MP)을 거치할 수 있다. 그러면 홀더(120)가 압축되면서 모바일폰(MP)의 측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무선 충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양 측면 및 하측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에 무선 충전부가 구비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무선 충전부는 거치식, 접착식, 부착식, 견착식, 수납식 등의 거치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무선 충전부(170)는 충전 패드(171)와 제어부(175)를 포함한다.
먼저, 충전 패드(171)는 전면 플레이트(111)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115)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충전 패드(171)는 패드 하우징(172)과, 패드 하우징(172) 내부에 장착되는 권선코일(173)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충전 패드(171)와 전면 플레이트(111) 사이에는 흡착시트, 양면테이프, 진공 흡착판, 자성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충전 패드(171)를 전면 플레이트(111)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권선코일(173)은 전자 유도를 위한 자기장(자속)을 생성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플레이트(111)의 설치홈(115)은 패드 하우징(172)의 위치에 따른 충전효율을 고려하여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패드 하우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75)는 권선코일(173)에 공급될 전류 또는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 회로부(176)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콘센트나 USB 단자 또는 차량 시거잭 단자에 삽입되는 전원부(177) 및 회로부(176)와 전원부(177)를 수납하는 수납 하우징((178)을 포함한다. 변환 회로부(176)는 인버터 또는 컨버터가 마련되어 권선코일(173)에 알맞은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75)는 일반적으로 충전 패드(171)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가 많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전 패드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충전 패드(171)와 별도의 위치에 제어부(175)가 구비된다. 또한 전원부(177)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다양한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USB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의 전원부(177)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 전원의 콘센트나, 차량의 시거잭 등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충전부(170)가 구비되면서 휴대용 단말기(MP)의 거치와 동시에 무선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무선 충전부(170)가 탈부착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뿐만 아니라 충전이 필요한 어느 장소에서도 무선 충전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10 : 본체
120 : 홀더
130 : 해제 버튼
140 : 구동부
150 : 스위치부
160 : 거치고리
170 : 무선 충전부

Claims (12)

  1.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본체;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상대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의 양 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연동하여 각각 인장 또는 압축되도록 슬라이딩 이송되는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를 구비하는 해제 버튼; 및
    상기 홀더 및 상기 해제 버튼이 서로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된 제1랙과, 상기 제2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1랙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버튼은 상기 제1가압부에 구비된 제3랙과, 상기 제2가압부 상에서 상기 제3랙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4랙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랙과 제2랙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3랙과 제4랙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제2피니언 기어가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또는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제5랙과, 상기 제2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제6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5랙과 제6랙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 기어와 제2피니언 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설치홈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충전 패드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 패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패드는,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권선코일과,
    상기 권선코일을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패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선코일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 회로부와,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나 USB단자에 삽입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랙이 형성된 제1암과,
    상기 제1암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2암과,
    상기 제1암 및 제2암이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제1장공과,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되어 휴대용 단말기 일 측을 지지하는 제1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랙이 형성된 제3암과,
    상기 제3암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4암과,
    상기 제3암 및 제4암이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제2장공과,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상면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되어 상기 제1파지부재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 타 측을 지지하는 제2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홀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송 과정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 상면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일체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가 압축 또는 인장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암과 간섭되는 간섭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2. 삭제
KR1020180117478A 2018-10-02 2018-10-0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8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8A KR102084680B1 (ko) 2018-10-02 2018-10-0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8A KR102084680B1 (ko) 2018-10-02 2018-10-0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680B1 true KR102084680B1 (ko) 2020-03-04

Family

ID=6978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78A KR102084680B1 (ko) 2018-10-02 2018-10-02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0U (ko) * 2020-07-29 2022-02-07 선전 아이츠크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 지지대
KR20230046104A (ko) *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69U (ko) * 2012-09-18 2014-03-26 송순영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150093439A (ko) * 2014-02-07 2015-08-18 강준묵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101B1 (ko) *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JP2018075875A (ja) * 2016-11-07 2018-05-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69U (ko) * 2012-09-18 2014-03-26 송순영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150093439A (ko) * 2014-02-07 2015-08-18 강준묵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101B1 (ko) *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JP2018075875A (ja) * 2016-11-07 2018-05-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0U (ko) * 2020-07-29 2022-02-07 선전 아이츠크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 지지대
KR200496771Y1 (ko) * 2020-07-29 2023-04-19 선전 아이츠크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충전 지지대
KR20230046104A (ko) *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KR102544410B1 (ko) * 2021-09-29 2023-06-16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32388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909617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KR10208468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20106237A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1461101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CN105449766B (zh) 无线充电设备
CN110913050A (zh) 一种带蓝牙耳机的手机支架及其蓝牙耳机座的驱动方法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714275B1 (ko)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CN208143286U (zh) 按压感应自动张合式手机支架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KR1020846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US7507123B2 (en) Contacting appliance and contacting arrangement for mobile electrical devices
CN209201128U (zh) 车载无线充电手机支架
CN204046221U (zh) 无线充电汽车遮阳板
US10594352B2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N209402565U (zh) 一种自动感应支架
CN207504944U (zh) 一种可无线充电的车载手机支架
CN205304300U (zh) 无线充电设备
CN210670196U (zh) 一种带蓝牙耳机的手机支架
CN213367487U (zh) 无线充电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