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410B1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410B1
KR102544410B1 KR1020210129185A KR20210129185A KR102544410B1 KR 102544410 B1 KR102544410 B1 KR 102544410B1 KR 1020210129185 A KR1020210129185 A KR 1020210129185A KR 20210129185 A KR20210129185 A KR 20210129185A KR 102544410 B1 KR102544410 B1 KR 10254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obile phone
link
plat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104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21012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를 다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링크; 상기 각도조절 링크가 결합되는 링크 고정부를 구비하며, 설치면에 대면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링크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이트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파티션 벽면, 모니터의 수직면, 원통형상의 설치대상에 대해서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cellular phone holder}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 등의 소형 전자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즉, 휴대폰을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외에 다양한 영상컨텐츠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장시간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장시간 사용자가 휴대폰을 시청할 때 손으로 직접 잡고 있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휴대폰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휴대폰을 테이블 위에 올려 놓거나 차량의 유리 또는 대쉬보드에 고정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휴대폰 거치대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설치대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크게 진공 흡착방식과 자석을 이용한 자력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차량 실내 등의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응할 수 없어 그 활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각각의 사용 환경 조건에 맞는 별도의 거치대를 각각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용 거치대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이 늘어나게 됨은 물론, 구조가 서로 다른 거치대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25196호(2013.11.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응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를 다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링크; 상기 각도조절 링크가 결합되는 링크 고정부를 구비하며, 설치면에 대면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링크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이트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제1, 2 가변 플레이트 사이에는 굴절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연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 고정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이용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에는 설치면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띠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띠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제1 가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에 기어치합 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1 지지부,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기어치합 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2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프레이트,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를 구비한 고정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원통형상의 설치대상에 대해서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 고정부에는 출입이 가능한 걸이용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파티션 벽면 또는 모니터의 수직면에 대해 거치대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10)을 구비한 홀더 본체(100), 상기 홀더 본체(100)를 다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링크(200), 상기 각도조절 링크(200)가 결합되는 링크 고정부(310)를 구비하며, 설치면에 대면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는 고정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홀더 본체(100)는 휴대폰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휴대폰의 후면이 맞닿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11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110)은 상기 홀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11), 상기 구동기어(111)의 상부에 기어치합 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1 지지부(112), 상기 구동기어(111)의 하부에 기어치합 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2 지지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1)의 후방에는 상기 구동기어(1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는 회전 조작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상기 몸체(101)에 휴대폰을 밀착시킨 후 상기 회전 조작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11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11)에 기어치합된 제1 지지부(112)와 제2 지지부(113)는 상기 몸체(1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휴대폰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물림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하부를 받치는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판(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링크(200)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홀더 본체(100)의 후방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고정 받침대(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 본체(100)를 다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 링크(200)의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힌지(R)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상기 각도조절 링크(200)가 결합되는 링크 고정부(310)를 구비하며, 설치면에 대면하여 밀착되어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링크 고정부(310)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320),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이트(320)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제1 가변 플레이트(330) 및 제2 가변 플레이트(3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 받침대(300)는 1개의 고정 플레이트(320)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2개의 가변 플레이트(330,34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링크 고정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 고정부(310)는 앞서 설명한 각도조절 링크(200)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링크 고정부(3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이용 고정부(311)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용 고정부(311)는 파티션 벽면(W) 또는 모니터의 수직면에 휴대폰 거치시고자하는 경우에 상기 걸이용 고정부(311)를 인출시켜 위에서 아래쪽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이용 고정부(311)는 평사시 상기 링크 고정부(31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며 파티션 벽면(W)의 수직면에 거치하고자 할 때 그 두께에 맞추어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걸이용 고정부가 출입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고정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용 고정부(311)를 고정시키는 고정 조작부(312)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와 제1, 2 가변 플레이트(330,340) 사이에는 굴절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연결구(350)가 설치된다(도 3참조).
상기 회전 연결구(350)는 암,수의 핀 결합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변 플레이트(330) 및 제2 가변 플레이트(340)에는 거치하고자하는 설치면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띠(360)를 추가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연결띠(360)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제1 가변 플레이트(3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변 플레이트(34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변 플레이트(330,340)에는 상기 연결띠(360)가 착탈결합되는 암 커넥터(37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띠(36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수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띠(360)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밴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가변 플레이트(330,340)의 암 커넥터(370)에 결합되는 연결띠(360)를 구성함으로써 원통(C)형상의 설치대상에 대해서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홀더 본체
110... 고정수단
200... 각도조절 링크
300... 고정 받침대
310... 링크 고정부
320... 고정 플레이트
330... 제1 가변 플레이트
340... 제2 가변 플레이트
350... 회전 연결구
360... 연결띠

Claims (5)

  1.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를 다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 링크;
    상기 각도조절 링크가 결합되는 링크 고정부를 구비하며, 설치면에 대면하여 밀착이 이루어지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받침대는 상기 링크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 또는 회전이 가능한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 고정부에는 평상시 내부에 수납되며 수직면에 거치하고자 할 때 벽면의 두께에 맞추어 인출되는 걸이용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이용 고정부가 출입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 고정부에는 상기 걸이용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가변 플레이트 및 제2 가변 플레이트에는 설치면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띠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제1, 2 가변 플레이트 사이에는 굴절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연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홀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에 기어치합 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1 지지부,
    상기 구동기어의 하부에 기어치합 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2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0210129185A 2021-09-29 2021-09-29 휴대폰 거치대 KR10254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85A KR102544410B1 (ko) 2021-09-29 2021-09-29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85A KR102544410B1 (ko) 2021-09-29 2021-09-29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04A KR20230046104A (ko) 2023-04-05
KR102544410B1 true KR102544410B1 (ko) 2023-06-16

Family

ID=8588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185A KR102544410B1 (ko) 2021-09-29 2021-09-29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80B1 (ko) * 2018-10-02 2020-03-04 조규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38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핸즈 프리 킷트용 거치대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KR20140008849A (ko) * 2012-07-12 2014-01-22 문정현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KR101793824B1 (ko) * 2016-04-11 2017-11-06 서정옥 차량용 컵 홀더의 접이식 간이테이블
KR102132853B1 (ko) * 2018-11-22 2020-07-10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80B1 (ko) * 2018-10-02 2020-03-04 조규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04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097C (zh) 动力学上可重新配置的摄像机支架
WO2007111078A1 (ja) 卓上充電器ホルダ
CN205806838U (zh) 支架
KR102544410B1 (ko) 휴대폰 거치대
CN109873883A (zh) 一种可折叠屏幕的手机
CN108769337B (zh) 一种可旋转、升高调节角度的手机支架
US7437185B2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0370879Y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
WO2021114448A1 (zh) 一种显示装置、电子设备、移动终端
AU201231755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radle and desktop telephone
KR20190081045A (ko) 휴대폰 거치대
CN210344941U (zh) 手持云台
WO2019205845A1 (zh) 移动终端支架
CN107658929B (zh) 一种活动式手机充电座
CN215522510U (zh) 一种支架
CN203206299U (zh) 电话机
CN210041920U (zh) 一种车载重力手机支架
CN1166741A (zh) 桌面和壁挂形式间可转换的无绳电话 装置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09787250U (zh) 便携式移动终端支架
CN213693807U (zh) 一字型手机支架
CN215522585U (zh) 支撑装置
CN212430230U (zh) 一种一体式多功能夹持装置
JP3231268U (ja) 車載カップホルダー用のサポートスタンド
CN213089634U (zh) 一种语音识别效果好的智能语音控制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