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849A -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849A
KR20140008849A KR1020120076187A KR20120076187A KR20140008849A KR 20140008849 A KR20140008849 A KR 20140008849A KR 1020120076187 A KR1020120076187 A KR 1020120076187A KR 20120076187 A KR20120076187 A KR 20120076187A KR 20140008849 A KR20140008849 A KR 2014000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ase assembly
upper support
lower support
moun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현
Original Assignee
문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현 filed Critical 문정현
Priority to KR102012007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849A/ko
Publication of KR2014000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Abstract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 보호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지지판; 보호케이스의 배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지지판이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휴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신체의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조립체를 파지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손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장애인들 또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Case assembly having supporting means}
본 발명은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보호용 케이스로 사용되면서 필요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장애인에게도 적합한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박막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크기가 작고 얇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사전 등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전자제품은 다양한 복합적인 기능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어 그 가격이 고가이며,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잦은 사용에 의하여 배터리 소모가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충전은, 핸드폰 등을 충전기에 거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핸드폰 등을 거치하는 것은 비단, 이러한 목적에서만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거치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유형의 전자제품 중에는 액정표시장치를 통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시청하거나, 저장된 영상 자료를 시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비교적 장시간 시청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DMB 등의 시청을 위하여,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파지한 상태에서 시청할 수도 있겠으나, 장시간 파지하는 것에 대한 불편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핸드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434호는,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판 형상의 일정한 면적을 갖고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접촉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와 베이스프레임에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부 고정물에 케이스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 및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세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클립부와 거치부가 케이스부에 배치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외부 고정물에 고정할 수 있고, 책상이나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세울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거치용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핸드폰을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보호용 케이스로 사용되면서 필요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를 파지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손을 원활히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이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은 각각 회동되어 상기 보호케이스 배면에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회동시, 상기 보호케이스,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이 서로 밀착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상부지지판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의 단부와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결합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4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제1밴드와 제2밴드로 나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 단부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휴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신체의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조립체를 파지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손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장애인들 또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에서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에서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에서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에서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는,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란 통상의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사전과 같은 제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측 면에 정지영상 내지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박막형태의 화상부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보호케이스(10)는 휴대폰(P)에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휴대폰(P)을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케이스(10)는 휴대폰(P)의 배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역시 휴대폰(P)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보호케이스(10)는 금속, 천연 및 합성피혁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케이스(10)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이중사출에 의하여, 배면 부분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측면 부분은 배면보다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케이스(10)의 배면은 휴대폰(P)을 고정하거나 보호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도록 하면서, 보호케이스(10)의 측면은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게 되므로 휴대폰(P)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다른 재질이면서도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미감이 향상된 보호케이스(1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배면에는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이 결합된다.
상부지지판(20)은 보호케이스(10)의 배면에서 경첩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호케이스(10)의 상단에 치우쳐 결합된다. 도 1에는, 보호케이스(10)가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지지판(20)은 이러한 보호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보호케이스(10)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이며 상부지지판(20)은 이러한 보호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지지판(20)은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판(2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보호케이스(10)의 배면 상하방향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하부지지판(30)은 보호케이스(10)의 하단에 치우쳐 결합되고, 역시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판(30) 또한 보호케이스(10)의 배면에 경첩 등과 같은 구조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지지판(3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에 의하여 휴대폰(P)을 거치할 때, 거치하기 위한 장소에 놓이는 부분이며, 이러한 하부지지판(30)도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나, 상부지지판(20)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지지판(20)이 거치를 위한 장소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게 된다.
하부지지판(30)에서 상부지지판(2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부지지판(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31)은 하부지지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된다. 즉, 고정홈(31)은 하부지지판(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부지지판(20)이 걸리는 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호케이스(1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폰(P)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접혀지는 경우 보호케이스(10) 배면에 연속하여 적층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20)이 먼저 접혀지고 다음에 하부지지판(30)이 접혀져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가 필요없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이 접혀지는 경우, 보호케이스(10), 상부지지판(20) 및 하부지지판(30)은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적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가 더 얇아지게 되므로 휴대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은 서로 밀착되게 접혀진 상태에서 자기력(磁氣力, magnetic force)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20) 중 보호케이스(10)와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영구자석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21)가 형성되고, 하부지지판(30) 중 제1결합부(21)와 마주하는 부분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자성체(强磁性體, ferromagnetic substance)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은 서로 안정되게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부지지판(20)과 하부지지판(30)이 펼쳐지면서 발생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20)의 단부(보호케이스(10)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쪽)와 고정홈(31) 또한 서로 자기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홈(31)의 내부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상부지지판(20)는 강자성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부지지판(20)이 고정홈(31)에서 의도하지 않게 빠져 보호케이스(10)가 넘어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매우 안정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영구자석이 형성되는 고정홈(31)이 제4결합부(33)라면, 상부지지판(20)의 단부가 제3결합부(22)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에는, 하부지지판(30)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는 체결부(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40)는 신체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비교적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물, 우레탄,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40)는, 내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고무를 감싸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신체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밴드(41)와 제2밴드(42)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41)와 제2밴드(42)의 단부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수단은 벨크로(V)(Velcro)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는,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보호용 케이스로 사용되면서 필요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파지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손을 원활히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휴대폰(P) 자체를 파지할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휴대폰(P)에 결합시키고, 제1밴드(41) 및 제2밴드(42)를 이용하여 팔과 같은 신체의 일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직접 파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에 결합되는 하부지지판(30)으로부터 보호케이스(10)가 회동가능한 것이므로, 휴대폰(P)의 적당한 회동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는 청각장애인과 같은 언어장애인에게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P)은 기본적으로 통신수단을 통하여 음성을 전달하는 것이나, 최근의 휴대폰(P)은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화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언어장애인이 수화를 사용하는 경우, 양손 모두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손에 의하여 휴대폰(P)을 파지할 수는 없으며, 거치대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평평한 고정된 위치를 찾을 수 없다면 휴대폰(P)의 거치가 곤란하고, 이에 따라 통상 다리 사이에 휴대폰(P)을 끼워 수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P)을 제대로 거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휴대폰(P)을 쉽게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는 제1밴드(41) 및 제2밴드(4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리, 특히 허벅지 부분에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보호케이스(10)의 각도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화를 사용하여야 하는 언어장애인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1)에서, 체결부(40)는 하부지지판(30)에서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하부지지판(30)에는 체결부(40)가 삽입되는 끼움홈(34)이 형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체결부(40)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체결부(40)가 손상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10 : 보호케이스
20 : 상부지지판 21 : 제1결합부
22 : 제3결합부
30 : 하부지지판 31 : 고정홈
32 : 제2결합부 33 : 제4결합부
34 : 끼움홈
40 : 체결부 41 : 제1밴드
42 : 제2밴드 V : 벨크로
P : 휴대폰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판이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은 각각 회동되어 상기 보호케이스 배면에 연속하여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회동시, 상기 보호케이스,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이 서로 밀착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상기 상부지지판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상부지지판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하부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단부와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결합부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4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제1밴드와 제2밴드로 나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 단부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는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Velc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부지지판에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KR1020120076187A 2012-07-12 2012-07-12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KR20140008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87A KR20140008849A (ko) 2012-07-12 2012-07-12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87A KR20140008849A (ko) 2012-07-12 2012-07-12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49A true KR20140008849A (ko) 2014-01-22

Family

ID=5014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87A KR20140008849A (ko) 2012-07-12 2012-07-12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12B1 (ko) *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230046104A (ko) *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104A (ko) * 2021-09-29 2023-04-05 김동현 휴대폰 거치대
KR102379712B1 (ko) * 2021-11-29 2022-03-29 김석인 다기능을 가진 휴대용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5263B2 (en)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1017686A1 (en) Portable electrical device protective carrying case and method of use
CN101141860A (zh) 便携式折叠型支架
US20090219788A1 (en) Combination watch and cell phone foldable onto each other for use around a wrist of a user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KR20140008849A (ko)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KR101350362B1 (ko)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KR200476235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0414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CN214278892U (zh) 键盘套
KR20110027204A (ko)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WO2006096031A2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133821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CN214756478U (zh) 框架组件和电子设备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JP3220340U (ja) 携帯端末用ケース型充電モジュール
CN220043474U (zh) 指环支架、壳组件及电子设备
CN218494627U (zh) 一种弹力支架
CN218960229U (zh) 一种平板保护套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CN220935217U (en) Electronic equipment accessory and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CN212909636U (zh) 带支撑功能的保护壳
CN220711535U (zh) 一种带支架的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