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71Y1 - 무선 충전 지지대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771Y1 KR200496771Y1 KR2020200003771U KR20200003771U KR200496771Y1 KR 200496771 Y1 KR200496771 Y1 KR 200496771Y1 KR 2020200003771 U KR2020200003771 U KR 2020200003771U KR 20200003771 U KR20200003771 U KR 20200003771U KR 200496771 Y1 KR200496771 Y1 KR 2004967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harging
- holding
- mobile terminal
- support body
- driving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충전 지지대를 공개하는데,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갑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제1 구동 기구가 작업하도록 제어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자동 긴밀한 홀딩을 달성하고, 동시에 제2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작업시켜, 충전 효율을 크게 제고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충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충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은, 유도 충전, 비접촉식 유도 충전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근거리 유도(즉 전기유도 페어링)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력 공급 설비가 에너지를 전기 사용 장치로 전달하고, 그 장치는 수신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지를 충전하고, 동시에 그 자체의 작업에도 공급하여 사용한다.
이동 단말이 무선 충전을 진행할 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기 상의 고정 위치에 두어, 무선 충전기의 무선 충전 코일이 통전하여 이동 단말 내의 무선 전력 수신 코일과 페어링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페어링의 효율이 높을수록, 충전의 효율도 높다. 그러나 실제 사용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복수 회 이리저리 이동시킨 후에야 무선 충전이 가능하여, 무선 충전을 비교적 불편하게 만들고, 동시에 사용자가 무선 충전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이 동심이 되도록 만들어, 페어링 효율을 높이므로, 충전 효율이 비교적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개선 및 제고의 여지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보면,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충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서 이동 단말의 배치 위치가 부정확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무선 충전 효율이 비교적 낮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하의 기술방안을 채용한다:
무선 충전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홀딩 컴포넌트 물림 해제를 제어하는 터치 컴포넌트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컴포넌트가 트리거(trigger)될 경우, 제1 구동 기구는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지지대 본체 중심이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이동 단말을 물림 해제한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 코일, 슬라이드 궤도,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은 고정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궤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의 나머지 일측에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홈을 통해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에 슬라이드(slidable) 설치된다.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제1 홀딩 숄더(shoulder),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딩 숄더 및 제2 홀딩 숄더는 각각 지지대 본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지지대 본체의 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에는 각각 제1 래크, 제2 래크, 제3 래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래크, 제2 래크, 제3 래크는 모두 제1 구동 기구의 기어와 교합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동시에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및 베어링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드 궤도에는 제4 래크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 래크는 제2 구동 기구의 기어와 교합한다.
상기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일측에는 홀딩 숄더 압박판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에는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 이동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위치제한 바(ba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무선 충전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에는 중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력 센서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무선 충전 지지대 상의 이동 단말의 중량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리프팅(lifting) 카메라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프팅 카메라는 전원(power source)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은 무선 메인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무선 메인 제어 모듈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에 전력을 공급한다.
종래기술 대비,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는,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제1 구동 기구 작업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자동 홀딩을 달성하고, 동시에 제2 구동 기구 작업을 제어하여, 충전 효율을 대폭 제고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홀딩 컴포넌트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 홀딩 컴포넌트 및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조합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 홀딩 컴포넌트 및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다른 각도에서의 조합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제어 회로 연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홀딩 컴포넌트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 홀딩 컴포넌트 및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조합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무선 충전 지지대에서 슬라이드 궤도, 홀딩 컴포넌트 및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다른 각도에서의 조합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제어 회로 연결의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방안 및 효과를 더 분명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에 대해 진일보하게 설명한다. 이해해 두어야 할 것은, 여기에서 서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어떤 부품이 다른 부품에 “장착 설치되는” “고정되는” “설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부품에 직접적으로 존재하거나 중간 부품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어떤 부품이 다른 부품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부품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 부품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더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의 좌, 우, 상, 하 등 방위 용어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일 뿐이거나, 제품의 통상적인 사용 상태를 참고로 한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1), 홀딩 컴포넌트(1)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10),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2),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1)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1)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2)은 제2 구동 기구(20)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2)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20)는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지지대 본체는 전체 무선 충전 지지대 조립 후의 몸체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홀딩 컴포넌트(1)는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는 각각 지지대 본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13)는 지지대 본체의 하단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 지지대에 둘 때, 이동 단말을 바로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 사이에 두고, 베어링 부재(13)를 통해 이동 단말을 지탱할 수 있고, 이 때, 무선 충전 모듈(2)이 이동 단말 근접을 감지하고, 지지대 본체에 이동 단말을 두었음을 확인하고, 제1 구동 기구(10)는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를 구동하여 지지대 본체 중심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을 긴밀히 홀딩하여, 이동 단말의 고정을 달성하고, 제2 구동 기구(20)는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상하 이동시키고,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동 기구(10)를 통한 홀딩 컴포넌트(1)와의 결합은, 지지대의 이동 단말에 대한 홀딩을 더 스마트화, 자동화되도록 만들고, 제2 구동 기구(20)를 통한 무선 충전 모듈(2)과의 결합은, 무선 충전 지지대의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충전의 효율을 제고하여, 종래기술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손을 움직여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 지지대의 고정 위치에 두고, 복수 회의 시도 끝에 충전을 달성하게 되어 충전 효율을 최고로 빠르게 할 수 없는 것과 비교하면, 사용자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제고시킨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2)은 적합한 위치를 이동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는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코일(21)과 무선 전력 수신 코일 양자가 동심을 이루는 것을 지칭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무선 충전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채용하기 때문에, 무선 충전 코일(21) 통전을 통해 자기장을 생성하고 무선 전력 수신 코일과 페어링하여, 에너지의 전달을 달성하고, 무선 충전 코일(21)과 무선 전력 수신 코일 간의 페어링 효율이 높아질수록, 충전의 효율도 증가한다. 따라서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을 가급적 무선 충전 코일(21)에 근접시킬 수 있어, 페어링 효율을 제고하여, 충전의 효율을 제고하기에 편리하다. 그런데 시중의 이동 단말의 종류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다른 이동 단말이 설치된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도 다르기는 하나, 대부분은 동일한 축선 상에 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동 기구(20)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2)의 무선 충전 코일(21)과 이동 단말의 무선 전력 수신 코일이 동심 위치가 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홀딩 컴포넌트(1) 물림 해제를 제어하는 터치 컴포넌트(14)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컴포넌트(14)가 트리거될 경우, 제1 구동 기구(10)는 홀딩 컴포넌트(1)를 구동하여 지지대 본체 중심이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이동 단말을 물림 해제한다. 상기 터치 컴포넌트(14)는 제1 구동 기구(10)과 연결되고, 제1 구동 기구(10)는 제1 구동 회로(101)와 연결되고, 터치 컴포넌트(14)는 전원(1000)을 연결한 후 제1 구동 회로(101) 연결을 통해, 제1 구동 기구(10)를 구동하여 작업시키고, 충전이 완료된 후, 터치 컴포넌트(14)를 가볍게 터치하여, 홀딩 컴포넌트(1)가 이동 단말을 물림 해제할 수 있고, 즉 이동 단말을 지지대 본체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충전 모듈(2)은 무선 충전 코일(21), 슬라이드 궤도(22),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21)은 고정 부재(24)를 통해 슬라이드 궤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의 나머지 일측에는 슬라이드 홈(221)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홈(221)을 통해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에 슬라이드 설치된다. 상기 고정 부재(24)의 배면에는 클램프(2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241)는 무선 충전 코일(21)의 원형 구멍을 통해 슬라이드 궤도(22)의 클램핑 결합부(220)와 고정되고, 무선 충전 코일(21)을 슬라이드 궤도(22)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22)에는 방향 가이드 바(2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향 가이드 바(222)는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의 긴 홈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와 끼움 연결되고, 방향 가이드 바(222)는 긴 홈과 결합하고,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궤도(22)가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 상에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의 돌기를 따라 왕복 슬라이드 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드 궤도(22)의 슬라이드에 대해 위치제한의 작용을 한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2)은 검측 컴포넌트(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측 컴포넌트(25)는 무선 충전 코일(21)과 연결되고, 상기 검측 컴포넌트(25)는 제2 구동 기구(20)와 연결되고, 상기 검측 컴포넌트(25)가, 이동 단말이 무선 충전 모듈(2)에 근접한 것을 감지한 후, 상기 제2 구동 기구(20)가 작업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구동 기구(20)에는 제2 구동 회로(201)가 연결되어 있고, 검측 컴포넌트(25)에 전원(1000)이 연결된 후 제2 구동 회로(201)를 연결함으로써, 제2 구동 기구(20)를 구동시켜 작업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에는 각각 제1 래크(111), 제2 래크(121), 제3 래크(1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래크(111), 제2 래크(121), 제3 래크(131)는 모두 제1 구동 기구(10)의 기어(101)와 교합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는 동시에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및 베어링 부재(13)를 구동하여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동 기구(10)의 기어(101)의 정면(top surface)은 제2 홀딩 숄더(12)의 제1 래크(111)와 교합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의 기어(101)의 저면(bottom surface)은 제1 홀딩 숄더(11)의 제2 래크(121)와 교합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13)는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와 동일 수평면 상에 있지 않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의 기어(101)의 좌측은 베어링 부재(13)의 제3 래크(131)와 교합하고, 기어(101)가 회전할 때,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는 모두 지지대 본체 중심을 향해 이동 하고, 이동 단말에 대한 긴밀한 홀딩을 달성하고; 기어(101) 회전 시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는 지지대 본체 중심과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에 대해 물림 해제를 수행한다. 상기 제1 래크(111), 제2 래크(121), 제3 래크(131)의 길이 및 톱니 수는 모두 동일하고,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및 베어링 부재(13)는 매회 애동거리가 일치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홀딩을 더 안정적으로 만들어, 후속 무선 충전 모듈(2)이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는데 편의를 제공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궤도(22)에는 제4 래크(223)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 래크(223)는 제2 구동 기구(20)의 기어(101)와 교합한다. 상기 슬라이드 궤도(22)에는 제4 래크(2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22)는 제2 구동 기구(20)의 구동 하에 제4 래크(223)의 개구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고, 나아가 슬라이드 궤도(22)의 무선 충전 코일(21)을 대동하여 이동 단말의 무선 전력 수신 코일과 매칭시키고, 무선 충전 코일(21)이 무선 전력 수신 코일과 동심이 될 때, 무선 충전의 효율이 가장 높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의 일측에는 홀딩 숄더 압박판(3)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딩 숄더(3) 압박판에는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 이동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위치제한 바(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는 홀딩 숄더 압박판(3)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3)과 회로판(4)은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를 하나의 평면에 고정하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3)의 배면의 위치제한 바(31)에는 2개의 위치제한 바(31)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위치제한 바(31)의 너비는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의 너비와 동일하고, 나아가 제1 홀딩 숄더(11)와 제2 홀딩 숄더(12)는 상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3)의 정면에는 3개의 위치제한 바(31)가 설치되어 있고, 3개의 위치제한 바(31)는 위치제한 프레임(32)을 구성하고, 상기 위치제한 프레임(32)의 하단은 개구이고, 상기 베어링 부재(13)의 제1 래크(111)는 위치제한 프레임(32)의 개구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고, 베어링 부재(13)가 이동 과정 중 회전하여 이동 단말의 지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 무선 충전 지지대의 전체 구조에 대해 상세히 소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바닥 시트 연결 헤드(5), 바닥 하우징(6), 제1 구동 기구(10), 제2 구동 기구(20), 회로판(4),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실리카겔 매트(7), 홀딩 숄더 압박판(3),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 슬라이드 궤도(22), 무선 충전 코일(21), 표면 하우징(8), 고정 부재(24), 유리 표면판(9)이다. 여기에서, 상기 유리 표면판(9)은 표면 하우징(8)을 복개하고, 상기 고정 부재(24)는 표면 하우징(8)의 오목 홈(81)에 위치하고 오목 홈(81)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와 제2 구동 기구(20)는 종방향으로 바닥 하우징(6)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10)는 제2 구동 기구(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베어링 부재(13)에는 모두 이동 단말 측벽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카겔 매트(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로판(4)은 홀딩 숄더 압박판(3)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3),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23), 회로판(4)은 나사를 통해 바닥 하우징(6) 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에는 모두 U형 홈(1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 하우징(6)에는 위치제한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도면에는 미도시됨), 상기 U형 홈(112)에 의해 위치제한 기둥과 결합하고,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가 근접 또는 멀리 있는 지지대 본체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고, 동시에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에 대한 지탱 작용을 하고, 제1 홀딩 숄더(11) 및 제2 홀딩 숄더(12)가 받는 힘이 불균일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홀딩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구동 기구(10) 및 제2 구동 기구(20)는 단전 셀프 폐쇄되는 스테핑 모터로, 제1 구동 기구(10)가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 및 베어링 부재(13)르 구동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긴밀한 홀딩을 달성한 후, 스테핑 모터는 단전하여 셀프 폐쇄를 달성하여, 제1 홀딩 숄더(11), 제2 홀딩 숄더(12)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고, 베어링 부재(13)가 아래 방향으로 쉽게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이동 단말이 흔들릴 때에도 지지대 본체에 고정되어 낙하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제2 구동 기구(20)는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달성한 후, 스테핑 모터가 단전 셀프 폐쇄하여, 무선 충전 모듈(2)이 고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이동 단말에 대한 쾌속 충전을 달성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무선 충전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가 더 설치되어 있고(도면에는 미도시됨), 상기 스위치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기구(20)와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는 버튼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 등 개폐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면 족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 충전이 완료된 후, 스위치를 통해 무선 충전을 개폐할 수 있고,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은 제2 구동 기구(20)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이동 단말을 멀어지도록 하여, 무선 충전 지지대가 단지 이동 단말 지지로서만 사용되도록 하고, 무선 충전이 다시 필요할 때, 스위치를 누른 후 무선 충전 기능을 바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부재(13)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도면에는 미도시됨), 상기 중력 센서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고, 무선 충전 지지대 상의 이동 단말의 중량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매회 이동 단말에 대해 충전할 때마다, 제2 구동 기구(20)는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적합한 위치를 이동 탐색한 후에만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데, 동일한 이동 단말이 매번 충전 전 시간이 소모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충전 모듈(2)은 적합한 위치를 물색하고, 베어링 부재(13)의 중력 센서를 통해 매회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중량을 기록하고, 중량이 동일한 이동 단말에 대해, 제2 구동 기구(20)는 바로 무선 충전 모듈(2)을 적합한 위치까지 구동하여 이동 단말을 충전하여, 무선 충전 모듈(2)이 적합한 위치를 검색 판단하는 과정을 생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 시간을 절약한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이동 단말의 중량은 이동 단말의 순량(net weight)을 의미하고, 동시에 사용 과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중력 센서가 기록한 이동 단말 데이터를 통해 적합한 위치를 결정하고, 적합한 위치가 아닌 경우, 제2 구동 기구(20)는 계속해서 무선 충전 모듈(2)을 구동하여 적합한 위치를 탐색한다.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리프팅 카메라(1001)이 더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선 충전 지지대는 자동차의 에어컨 통풍구에 클램핑 홀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무선 충전이 진행됨과 동시에, 리프팅 카메라(1001)를 통해 주행차량 경로에 대해 주행차량 기록장치로 사용하고, 무선 충전 지지대의 기능을 대폭 풍부하게 하였으며, 상기 리프팅 카메라(1001)는 전원(10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은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을 통해 연결되고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의 USB 인터페이스(도면에는 미도시됨)를 통해 전원(1000)에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무선 메인 제어 모듈(100)을 통해 리프팅 카메라(1001)에 대해 제어를 수행한다.
진일보하게,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음성 제어 모듈(1002)이 더 설치되어 있어, 지지대 본체의 제1 구동 기구(10), 제2 구동 기구(20), 리프팅 카메라(1001) 등 각각의 기능 구조에 대한 제어에 사용됨으로써, 스마트화, 자동화를 달성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는,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무선 충전 모듈은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제1 구동 기구가 작업하도록 제어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자동 긴밀한 홀딩을 달성하고, 동시에 제2 구동 기구를 제어하여 작업시켜, 충전 효율을 크게 제고하도록 한다.
이해해 두어야 할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방안 및 그 고안의 사상에 기초하여 균등 치환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고, 그러한 모든 수정 또는 치환은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점이다.
Claims (10)
- 무선 충전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대 본체, 이동 단말을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홀딩 컴포넌트,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1 구동 기구, 이동 단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단말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제2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지지대 본체의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지지대 본체 내에 위치하고 홀딩 컴포넌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 단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시켜 적합한 위치를 탐색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 코일, 슬라이드 궤도,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은 고정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궤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의 나머지 일측에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홈을 통해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에 슬라이드(slidable)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에는 제4 래크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 래크는 제2 구동 기구의 기어와 교합하고,
상기 슬라이드 궤도 지지대의 일측에는 홀딩 숄더 압박판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딩 숄더 압박판에는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 이동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위치제한 바(bar)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에는 중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력 센서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무선 충전 지지대 상의 이동 단말의 중량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홀딩 컴포넌트 물림 해제를 제어하는 터치 컴포넌트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치 컴포넌트가 트리거(trigger)될 경우, 제1 구동 기구는 홀딩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지지대 본체 중심이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이동 단말을 물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컴포넌트는 제1 홀딩 숄더(shoulder),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딩 숄더 및 제2 홀딩 숄더는 각각 지지대 본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지지대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베어링 부재에는 각각 제1 래크, 제2 래크, 제3 래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래크, 제2 래크, 제3 래크는 모두 제1 구동 기구의 기어와 교합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구는 동시에 제1 홀딩 숄더, 제2 홀딩 숄더 및 베어링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 삭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무선 충전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는 무선 메인 제어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리프팅(lifting) 카메라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프팅 카메라는 전원(power source)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은 무선 메인 제어 모듈과 연결되고 무선 메인 제어 모듈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21535880.X | 2020-07-29 | ||
CN202021535880.XU CN212304885U (zh) | 2020-07-29 | 2020-07-29 | 一种无线充电支架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340U KR20220000340U (ko) | 2022-02-07 |
KR200496771Y1 true KR200496771Y1 (ko) | 2023-04-19 |
Family
ID=7393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3771U KR200496771Y1 (ko) | 2020-07-29 | 2020-10-22 | 무선 충전 지지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771Y1 (ko) |
CN (1) | CN212304885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36865B (zh) * | 2021-03-22 | 2022-04-15 | 东莞市汉凯电子有限公司 | 一种智能控制的无线充电方法 |
CN115001112B (zh) * | 2022-07-19 | 2022-10-21 | 深圳市深创高科电子有限公司 | 一种智能充电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9762A (ja) * | 2006-10-24 | 2008-05-08 | Olympus Imaging Corp | 電力伝送装置 |
US20160190857A1 (en) * | 2013-07-17 | 2016-06-30 | David Stewart SLATER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tablet device |
KR102084680B1 (ko) * | 2018-10-02 | 2020-03-04 | 조규호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JP2020072622A (ja) * | 2018-11-02 | 2020-05-0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非接触型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7884315U (zh) * | 2018-01-23 | 2018-09-18 | 深圳市翊天科技有限公司 | 无线充电支架 |
-
2020
- 2020-07-29 CN CN202021535880.XU patent/CN212304885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20-10-22 KR KR2020200003771U patent/KR20049677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9762A (ja) * | 2006-10-24 | 2008-05-08 | Olympus Imaging Corp | 電力伝送装置 |
US20160190857A1 (en) * | 2013-07-17 | 2016-06-30 | David Stewart SLATER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tablet device |
KR102084680B1 (ko) * | 2018-10-02 | 2020-03-04 | 조규호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JP2020072622A (ja) * | 2018-11-02 | 2020-05-0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非接触型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340U (ko) | 2022-02-07 |
CN212304885U (zh) | 2021-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6771Y1 (ko) | 무선 충전 지지대 | |
EP3813224B1 (en) | Wireless charger | |
JP3217851U (ja) | 電動挟持ホルダ | |
WO2019148741A1 (zh) | 车载无线充电器 | |
TWM583160U (zh) | 無線充電系統、無線充電站以及車輛 | |
CN213402574U (zh) | 线圈自动移动对位的车载无线充电器 | |
CN110638219A (zh) | 无线充电桌 | |
CN110774915B (zh) | 立体停车设备、车库系统及自动停车充电方法 | |
CN208908373U (zh) | 一种便于控制线圈移动的无线充电器 | |
CN111030326A (zh) | 一种提高无线充电效率的方法 | |
CN111835091A (zh) | 一种无线充电支架 | |
CN110962674B (zh) | 一种agv换电池装置及agv换电池方法 | |
CN112222817A (zh) | 内嵌式磁铁组装设备及自动组装柜 | |
CN209870129U (zh) | 智能工厂用运输车的充电系统及用运输车 | |
CN215358496U (zh) | 一种无线自动充电式动力电池专用夹爪 | |
CN208316800U (zh) | 自动化手机支架 | |
CN214176967U (zh) | 一种自适应的无线充电自动对位手机支架 | |
CN109217440B (zh) | 一种可兼做手机支架用的无线充电器 | |
US11050275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 |
CN214755751U (zh) | —种可左右触摸式自动伸缩式的车载无线充电装置 | |
CN112644944B (zh) | 一种取料柜 | |
CN210111701U (zh) | 可自适应控制充电线圈的无线充电器 | |
CN112492075A (zh) | 电动手机支架 | |
CN111002850A (zh) | 电力供应装置和插头保持器 | |
CN216184578U (zh) | 一种充电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