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079B1 -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079B1
KR101465079B1 KR1020130063442A KR20130063442A KR101465079B1 KR 101465079 B1 KR101465079 B1 KR 101465079B1 KR 1020130063442 A KR1020130063442 A KR 1020130063442A KR 20130063442 A KR20130063442 A KR 20130063442A KR 101465079 B1 KR101465079 B1 KR 10146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lange
elastic body
helmet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13006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가 개시되며, 헬멧 본체에 고정되고,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와 맞물려 상기 실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실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베이스 부재; 제1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서 상기 제1 탄성체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2 플랜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제2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 2 탄성체에 의해 상기 실드를 탄성 지지하는 회전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SHIELD MOUNTING DEVICE FOR HELMET AND HELMET HAVING THE SAME}
본원은,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모터사이클과 같은 이륜 차량 등의 운행 시에는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상의 이유로 헬멧을 착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헬멧은 전방 개구부가 마련되어 헬멧의 외형을 형성하는 헬멧 본체 및 주행 중 전방으로부터 불어보는 바람을 차단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실드를 포함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68946호에는 실드가 헬멧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이하 '종래의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라 함)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마운팅 플레이트, 록커, 두 개의 스프링과 같은 다수의 구성들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장치의 규모가 커지고 제작성, 작동 안정성, 견고성, 사용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실드 결합장치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작성, 작동 안정성, 견고성, 사용성 및 교체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헬멧 본체에 고정되고,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와 맞물려 상기 실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실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베이스 부재; 제1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서 상기 제1 탄성체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2 플랜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제2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 2 탄성체에 의해 상기 실드를 탄성 지지하는 회전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헬멧은, 헬멧 본체; 제 1항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상기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실드를 포함하는 헬멧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제한 부재를 구비하여 헬멧 착용자가 실드를 개방하였을 때 착용자가 원치 않게 실드가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는 개폐 조정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제한 부재와 제 2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어 실드가 개폐를 위한 회전 시 스무스하게 회전되지 않게 실드를 탄성 지지하고, 회전제한 부재가 제 2 탄성체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용하여 실드가 개폐 조정 플랜지의 오목부와 돌출부를 따라 회전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단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및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가 결합된 실드의 개폐 동작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결합돌기와 보조돌기와의 관계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베이스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슬라이드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및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회전제한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향, 상측, 상면, 하향, 하측, 하면, 수평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을 보았을 때 위쪽이 상측, 위쪽 방향이 상향, 전반적으로 위쪽을 향한 면이 상면, 아래쪽이 하측, 아래쪽 방향이 하향, 전반적으로 아래쪽을 향한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으며, 전/후/좌/우에 걸쳐 형성되는 평면상의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및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가 결합된 실드의 개폐 동작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결합돌기와 보조돌기와의 관계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의 베이스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1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10)는 체결 부재(B)를 통해서 헬멧 본체(미도시)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0)는 실드(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1)를 수용하며, 실드(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23)와 맞물려 실드(20)를 개폐할 때 실드(2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보다 상세하게 실드(20)는 헬멧 본체에 대해 단순히 개방 또는 폐쇄만을 하지 않고, 개방될 때의 벌어짐 간격이나 폐쇄될 때의 벌어짐 간격이 사용자의 의도대로 달라질 수 있는데 이렇게 실드(20)의 벌어짐 간격이 달라질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0)가 실드(20)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가 실드(20)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0)의 일측에는 개폐 조정 플랜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 조정 플랜지(113)는 보조돌기(23)와 맞닿는 베이스 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조정 플랜지(113)가 보조돌기(23)의 둘레면(23’)와 접하는 일면에, 실드(20)가 개폐될 때 단계적으로 실드(20)의 회전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오목부(113a)와 돌출부(113b)가 순차적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드(20)는 헬멧 본체에 대해 개폐될 때 보조돌기(23)의 둘레면(23’)이 각각의 오목부(113a)에 접할 때마다 회전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20)가 폐쇄되었을 때 보조돌기(23)의 둘레면(23’)이 접하는 오목부(113a)의 위치(도 2 참조)와, 실드(20)가 개방되었을 때 보조돌기(23)의 둘레면(23’)이 접하는 오목부(113a)의 위치(도 3 참조)가 달라진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돌기(23)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와 접하며 회전할 때, 보조돌기(23)의 제 2 플랜지(23a)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후면(113’)에 접하여 걸릴 수 있다. 이렇게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후면(113’)에 접하면서 상호간에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를 위한 실드(20)의 회전 시 베이스 부재(110)가 실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드(20)의 개폐 시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은 단순히 개폐 조정 플랜지(113)에 형성된 오목부(113a) 및 돌출부(113b)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개폐 조정 플랜지(113)와 제2 탄성체(160), 그리고 후술될 회전제한 부재(15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회전제한 부재(150)에 대해 설명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부재(B)를 통해 헬멧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10)에는 제 1 체결홀(111) 및 제 2 체결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B)는 예시적으로 볼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B)는 각각 제 1 체결홀(111) 및 제 2 체결홀(112)과 헬멧 본체(1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홀(미도시)에 체결되면서 베이스 부재(110)를 헬멧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의 일부 영역에는 제 1 관통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관통부(114)는 베이스 부재(110)와 후술될 슬라이드 부재(130)를 연결시키는 제1 탄성체(1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제1 탄성체(140)의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제 1 걸림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슬라이드 부재(130)는 제 1 탄성체(140)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데, 제 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제1 플랜지(21a) 및 제 2 플랜지(23a)와 걸림되고,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걸림되었던 제 1 플랜지(21a) 및 제 2 플랜지(23a)와 걸림 해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의 다른 일부 영역에는 제 2 관통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부(115)는 베이스 부재(110)와 후술될 회전제한 부재(150)를 연결시키는 제 2 탄성체(16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제2 탄성체(160)의 일측이 구비될 수 있도록 제 2 걸림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의 또 다른 일부 영역에는 제 3 관통부(116)가 형성될 수 있고, 제 3 관통부(116)에는 탄성편(116a)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편(116a)은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에 의한 누름 압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 방향(실드(20)와 마주하지 않는 방향)으로 눌렸다가 누름 압력이 제거되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방향(실드(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다시 탄발되어 복귀할 수 있게 형성된다.
탄성편(119a)은 제 1 체결홀(111)과 이격된 단부로부터 제 3 관통부(116)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탄성편(116a)의 선단부(116a’)가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 체결홀(111)과 이격된 단부, 즉 연장이 시작되는 연장 시작점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16a)은 제1 탄성체(140)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편(116a)의 선단부(116a’)가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부(135)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16a)이 실드(20)의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에 의한 누름 압력을 받으면 탄성편(116a)과 탄성편(116a)의 선단부(116a’)가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으로 눌리면서 탄성편(116a)과 슬라이드 부재(130)에 형성된 플랜지 걸림부(135)와의 접촉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인장방향(d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10)에는 슬라이드 부재(130) 및 회전제한 부재(150)가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할 때 걸림될 수 있는 걸림 플랜지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걸림 플랜지(117a, 117b, 117c, 117d)가 형성될 수 있는데, 4개의 걸림 플랜지(117a, 117b, 117c, 117d) 중 3개의 걸림 플랜지(117a, 117b, 117c)는 회전제한 부재(150)가 결합할 때 걸림되는 것이다. 한편, 나머지 1개의 걸림 플랜지(117d)는 전술한 개폐 조정 플랜지(113)와 대향하는 방향에 개폐 조정 플랜지(113)와 이격됨으로써 베이스 부재(110)에 개구부(118)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에 실드(20)를 장착시킬 때,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가 개구부(118)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18)에는 후술될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돌기(133) 가 끼워질 수 있고(도 5 참조), 플랜지 걸림돌기(133)는 개폐 조정 플랜지(113)와 걸림 플랜지(117d)에 가이드되어 제 1 탄성체(140)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슬라이드 부재(130)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의 슬라이드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6, 도 9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는, 슬라이드 부재(13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130)는 제 1 탄성체(140)를 통해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되고, 실드(20)의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 일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하였을 때 제 1 탄성체(140)에 의해 제 1 탄성체(140)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결합돌기(21)에 형성된 제 1 플랜지(21a) 및 보조돌기(23)에 형성된 제 2 플랜지(23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부재(130)는 전술하였듯이,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용면(131)은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결합돌기(21)가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수용면(131)도 반원과 유사한 트랙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 1 수용면(131)은 결합돌기(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에 장착될 때, 실드(20)의 결합돌기(21) 및 결합돌기(21)에 형성된 제 1 플랜지(21a)가 제 1 수용면(131)에 모두 수용되고, (도 4 참조) 도4 및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0)는 결합돌기(21)를 수용한 상태로 제 1 탄성체(140)의 압축방향(c방향) 및 인장방향(d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130)의 제 1 수용면(131)은 실드(20)의 결합돌기(21)와 결합돌기(21)에 형성된 제 1 플랜지(21a)를 합한 크기 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부재(130)는 제 1 탄성체 수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체 수용부(137)는 슬라이드 부재(130)를 베이스 부재(110)와 연결시키는 제 1 탄성체(1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탄성체(1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 1 관통부(11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 이러한 제 1 탄성체 수용부(137)에는 제 1 탄성체(140)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제 3 걸림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 3 걸림돌기(137’)는 제 1 관통부(114)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114’)와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참조) 따라서 제 1 탄성체(140)의 양측이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3 걸림돌기(137’)에 걸림되는 동시에 제 1 관통부(114)와 제1 탄성체 수용부(137)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부재(130)와 베이스 부재(110)를 연결시킨다.(도 1 참조)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0)에는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플랜지 걸림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걸림돌기(133)는 제 1 수용면(131)의 일측에서 제 1 수용면(131)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폐 조정 플랜지(115)와 걸림 플랜지(117d)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118)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걸림돌기(133)는 개구부(118)에 끼워져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의 상부를 덮어, 제 2 플랜지(23a)가 플랜지 걸림돌기(133)에 걸림된다.(도 5 참조) 이와 반대로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의 상부를 덮고 있던 플랜지 걸림돌기(133)도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 2 플랜지(23a)가 플랜지 걸림돌기(133)로부터 걸림 해제된다.(도 4 참조)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0)에는 결합돌기(21)의 제1 플랜지(21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플랜지 걸림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걸림부(135)는 전술한 플랜지 걸림돌기(133)와 대향되며, 슬라이드 부재(130)의 후면에 형성된다.(도 9를 슬라이드 부재(130)의 정면으로 하였을 때 기준) 플랜지 걸림부(135)는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130)가 이동하면 플랜지 걸림부(135)가 제 1 플랜지(21a)를 덮어 플랜지 걸림부(135)에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가 걸림되고(도 5 참조), 제 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130)가 이동하면 플랜지 걸림부(135)로부터 결합돌기(21)의 제1 플랜지(21a)가 걸림 해제된다.(도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걸림돌기(133)는 보조돌기(23)의 제 2 플랜지(23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고, 플랜지 걸림부(135)는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와 결합될 때 실드(20)와의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다시 한 번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체(140)를 통해 베이스 부재(110)와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130)에 의해서 실드(20)의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 및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140)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 및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방향)으로 이동을 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10)의 탄성편 선단부(116a’)와 접촉하여 지지되고 있어 실드(20)의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과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가 제 1 수용면(131)에 수용되고, 보조돌기(23)의 제2 플랜지(23a)가 개구부(118)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돌기(21)의 제1 플랜지(21a)에 의한 누름 압력이 탄성편(116a)에 전달되면, 탄성편(116a)은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 방향으로 눌리게 되고, 탄성편(116a)의 선단부(116a’)에 의해 지지되던 슬라이드 부재(130)는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방향)으로 이동을 한다.(도 5 참조)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돌기(133)에 보조돌기(23)의 제 2 플랜지(23a)가 걸림되고, 플랜지 걸림부(135)에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가 걸림되어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130)의 일측은 실드(20)의 내측에 구비된 스토퍼 돌기(25)와 접할 수 있다.
반면,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30)를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 방향)으로 밀면서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와 실드(20)를 분리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실드(20)와 분리된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의 슬라이드 부재(130)는 제 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c방향)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방향으로 복귀된 탄성편(116a)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및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의 회전제한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6, 도 11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는, 회전제한 부재(150)를 포함한다. 회전제한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a) 일부를 수용하며 실드(20)를 회전시켜 개방하였을 때, 제 2 탄성체(160)의 탄성력에 의해 실드(20)가 폐쇄 위치로 쉽게 복귀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실드(20)가 스무스하게 회전되지 않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드(20)의 개폐 시, 보조돌기(23)가 베이스 부재(110)의 개폐 조정 플랜지(113)를 따라 단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 탄성체(160)에 의해 실드(20)를 탄성 지지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제한 부재(150)에는 결합 플랜지(151a, 151b, 151c)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한 부재(150)는 전술하였듯이 제 2 탄성체(160)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연결되지만 결합 플랜지(151a, 151b, 151c)를 통해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플랜지(151a, 151b, 151c)는 전술한 베이스 부재(110)의 걸림 플랜지(117a, 117b, 117c)와 걸림되어 회전제한 부재(150)를 베이스 부재(110)와 결합시킨다. 회전제한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10)와 정합되지 않기 때문에 제2 탄성체(160)를 통해 베이스 부재(110)와 회전제한 부재(150)를 연결시킨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제한 부재(150)에는 제 2 탄성체(160)를 위한 제 2 탄성체 수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탄성체 수용부(153)는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2 관통부(115)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제 2 탄성체 수용부(153)에는 제 2 탄성체(160)의 일측이 걸림 되도록 제 4 걸림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 4 걸림돌기(153’)는 제 2 관통부(115)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115’)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제 2 탄성체(160)의 양측이 제 2 걸림돌기(115’) 및 제 4 걸림돌기(153’)에 걸림되면서 동시에 제 2 관통부(115)와 제2 탄성체 수용부(153)에 수용되어 회전제한 부재(150)와 베이스 부재(110)를 연결시킨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제한 부재(150)는 제 2 수용면(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용면(155)은 슬라이드 부재(130)의 제 1 수용면(131)와 같이 결합돌기(21)의 둘레면(21’)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수용면(131)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수용면(155)도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용면(155)에는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를 지지할 수 있는 플랜지 지지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와 결합될 때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부(135)에 지지되어 있다. (도 4 참조) 그러나 실드(20)가 회전될 때에는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가 회전제한 부재(150) 쪽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2 수용면(155)에 형성된 플랜지 지지부(155’)에 의해 지지되어 실드(20)의 회전 시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로부터 실드(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 참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제 2 탄성체(160)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에 연결된 회전제한 부재(150)는, 제2 탄성체(160)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어 실드(20)가 개방되었을 때 제2 탄성체(150)의 인장력에 의해 실드(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쉽게 복귀되지 않도록 실드(20)를 탄성 지지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제한 부재(150)는 제2 탄성체(160)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110)의 걸림 플랜지(117a)와 회전제한 부재(150)의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형성될 수 있고, 이격 거리(d)는 실드(20)가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실드(20)의 회전 위치가 변할 때 활용된다.
실드(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를 위한 회전 시 개폐 조정 돌기(1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오목부(113a)와 돌출부(113b)의해 회전 위치가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즉, 보조돌기(23)의 둘레면(23’)이 각각의 오목부(113a)와 접할 때마다 회전 위치가 단계적으로 변한다.
보조돌기(23)가 오목부(113a)에서 다음 단계의 오목부(113a)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오목부(113a)와 오목부(113a) 사이의 돌출부(113b)를 지나야 하는데, 실드(20)가 제2 탄성체(160)와 연결된 회전제한 부재(150)를 통해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113b)를 지나 다음 단계의 오목부(113a)로 이동하기 어렵다. 그런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면, 실드(20)의 보조돌기(23)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를 미는 힘이 작용하고, 제2 탄성체(160)가 압축되어 회전제한 부재(150)가 제2 탄성체(160)의 압축 방향으로 이격 거리(d)만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실드(20)의 보조돌기(23)가 돌출부(113b)를 지나 다음 단계의 오목부(113a)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실드(20)가 단계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회전제한 부재(150)를 베이스 부재(110)와 연결시키는 제 2 탄성체(160)는 슬라이드 부재(130)를 연결시키는 제 1 탄성체(140)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탄성체(140)는 전술하였듯이 슬라이드 부재(130)를 베이스 부재(11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실드(2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30)를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을 밀면서 분리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에 의해 쉽게 압축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 2 탄성체(160)는 회전제한 부재(150)를 베이스 부재(110)에 연결시킬 뿐 아니라 실드(20)가 개방되었을 때 쉽게 복귀하지 않도록 제한하고, 실드(20)가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될 때 실드(20)를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쉽게 압축되지 않도록 탄성계수가 큰 탄성체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에 대한 장착, 회전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실드(20)에 장착하기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가 제 1 수용홈(131)과 제 2 수용홈(155) 사이에 놓이도록 배치하고, 보조돌기(23)는 개구부(118)에 놓이도록 배치한다. 이때, 결합돌기(21)의 제1 플랜지(21a)가 누름 압력을 가하면 베이스 부재(110)의 탄성편(116)이 외측 방향으로 눌리고 탄성편(116a)의 선단부(116a’)에 지지되어 있던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가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부(135)에 걸리고, 보조돌기(23)의 제 2 플랜지(23a)가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돌기(133)에 걸린다. 이에 따라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는 실드(20)에 장착된다.실드(20)에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가 장착되면, 실드(20)는 개방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실드(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정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실드(20)의 보조돌기(21)가 제 2 탄성체(1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베이스 부재(110)의 개폐 조정 플랜지(113)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실드(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보조돌기(23)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오목부(113a)와 돌출부(113b)를 따라 이동하는데, 보조돌기(23)는 제2 탄성체(1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오목부(113a)에서 돌출부(113b)를 지나 다음 오목부(113a)로 이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조돌기(23)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돌출부(113b)를 지날 때에는 사용자가 실드(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에 의해 보조돌기(23)가 개폐 조정 플랜지(113)를 미는 힘이 작용하여, 제2 탄성체(160)가 압축되고 회전제한 부재(150)가 제2 탄성체(160)의 압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때 회전제한 부재(150) 도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플랜지(117a)와 회전제한 부재(150)의 이격 거리(d)만큼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보조돌기(23)는 개폐 조정 플랜지(113)의 돌출부(113b)를 지나 다음 단계의 오목부(113a)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실드(20)가 회전되면서 개폐 위치가 단계적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를 실드(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부재(130)를 제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도 4의 c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압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1)의 제 1 플랜지(21a)는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부(135)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보조돌기(23)의 제 2 플랜지(23a)는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돌기(133)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실드(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가 실드(20)로부터 분리되면, 결합돌기(21)의 제1 플랜지(21a)의 누름 압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외측 방향으로 눌렸던 탄성편(116)이 탄발되어 베이스 부재(110)의 내측 방향으로 복귀되고 탄성편(116)의 선단부(116a’)가 슬라이드 부재(130)의 플랜지 걸림부(135)와 접촉하여 슬라이드 부재(130)가 제 1 탄성체(140)의 인장 방향(d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게 지지한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200)에 관하여 살핀다. 다만, 이는 앞서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포함하는 헬멧이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이하 ‘본 헬멧’이라 함)은 헬멧 본체(11) 및 실드(20)를 구비하는 헬멧(200)에 관한 것이다. 본 헬멧(200)은 앞서 살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1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드(2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의 베이스 부재(110)가 헬멧 본체(11)에 체결 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헬멧 본체(11) 및 실드(20)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생략하며, 본 헬멧(200)의 헬멧 본체(11) 및 실드(20)의 기술적 사항 및 특징적인 부분에 관한 설명은 앞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100)를 살피면서 이루어졌으므로 생략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실드 21: 결합돌기
21a: 제1 플랜지 23: 보조돌기
23a: 제2 플랜지 100: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110: 베이스 부재 111, 112: 제1 체결홀
113: 개폐 조정 플랜지 114: 제 1 관통부
115: 제 2 관통부 116: 제 3 관통부
116a: 탄성편 130: 슬라이드 부재
131: 제1 수용면 133: 플랜지 걸림돌기
135: 플랜지 걸림부 137: 제1 탄성체 수용부
140: 제 1 탄성체 150: 회전제한 부재
151a, 151b, 151c: 결합 플랜지
153: 제 2 탄성체 수용부 155: 제 2 수용면
155’: 플랜지 지지부 160: 제 2 탄성체
200: 헬멧

Claims (13)

  1.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헬멧 본체에 고정되고,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하며 상기 실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와 맞물려 상기 실드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실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베이스 부재;
    제1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 내에서 상기 제1 탄성체의 압축/인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에 형성된 제2 플랜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제2 탄성체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2 탄성체에 의해 상기 실드를 탄성 지지하는 회전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측에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과 맞물리며 상기 실드의 개폐 시,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 조정 플랜지를 포함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정 플랜지는,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과 접하는 일면에 오목부와 돌출부가 교차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둘레면이 상기 오목부와 접할 때 마다 상기 실드의 개폐 위치가 변경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의 개폐 시, 상기 보조돌기의 둘레면이 상기 돌출부와 접할 때는 상기 제 2 탄성체의 압축에 의해 상기 회전제한 부재가 상기 제2 탄성체의 압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탄성체가 구비되도록 일부 영역에 제 1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통부의 일측에 상기 제 1 탄성체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제 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체가 구비되도록 일부 여역에 제 2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의 일측에 상기 제 2 탄성체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제1 체결홀로부터 이격된 제 3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관통부에는 상기 제 1 플랜지에 의한 누름 압력에 의해 눌렸다가 상기 누름 압력이 제거되면 복귀하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1 체결홀과 이격된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관통부로 연장 형성되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제한 부재가 결합 시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걸림 플랜지 중 하나는, 상기 개폐 조정 플랜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조정플랜지와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용면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수용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개구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플랜지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플랜지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걸림돌기와 대향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플랜지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플랜지 걸림부가 형성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 시,
    상기 제 1 관통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탄성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탄성체 수용부; 및
    상기 제 1 탄성체 수용부에 상기 제1 탄성체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상기 제 1 걸림돌기와 대칭되게 형성된 제 3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 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수용면;
    일측에 상기 제2 탄성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탄성체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면에는 상기 실드가 개폐를 위한 회전 시 상기 제 1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플랜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체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탄성체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제4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결합 시, 복수 개의 걸림 플랜지와 접하여 걸림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제 1 탄성체보다 탄성계수가 큰 것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13. 헬멧에 있어서,
    헬멧 본체;
    제 1항에 따른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상기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실드를 포함하는 헬멧.
KR1020130063442A 2013-06-03 2013-06-03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10146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42A KR101465079B1 (ko) 2013-06-03 2013-06-03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42A KR101465079B1 (ko) 2013-06-03 2013-06-03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079B1 true KR101465079B1 (ko) 2014-11-26

Family

ID=5229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442A KR101465079B1 (ko) 2013-06-03 2013-06-03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0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607B1 (ko) 2014-12-02 2016-05-2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1781577B1 (ko) 2016-04-06 2017-09-27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
WO2022045570A1 (ko) * 2020-08-25 2022-03-0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WO2022186465A1 (ko) * 2021-03-04 2022-09-09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KR20230085699A (ko) * 2021-12-07 2023-06-1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KR20230157137A (ko) * 2022-05-09 2023-11-16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34A (ko) * 2001-05-29 2002-12-05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100415341B1 (ko) * 2002-04-02 2004-01-16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시일드 또는 차양 회전결합장치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KR100568946B1 (ko) *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34A (ko) * 2001-05-29 2002-12-05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100415341B1 (ko) * 2002-04-02 2004-01-16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시일드 또는 차양 회전결합장치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KR100568946B1 (ko) *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607B1 (ko) 2014-12-02 2016-05-2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16089010A1 (ko) * 2014-12-02 2016-06-0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1781577B1 (ko) 2016-04-06 2017-09-27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
WO2022045570A1 (ko) * 2020-08-25 2022-03-0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KR20220026319A (ko) * 2020-08-25 2022-03-0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KR102393623B1 (ko) * 2020-08-25 2022-05-04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WO2022186465A1 (ko) * 2021-03-04 2022-09-09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KR20220124875A (ko) * 2021-03-04 2022-09-1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KR102466845B1 (ko) * 2021-03-04 2022-11-16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KR20230085699A (ko) * 2021-12-07 2023-06-1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23106696A1 (ko) * 2021-12-07 2023-06-15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2558430B1 (ko) * 2021-12-07 2023-07-24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KR20230157137A (ko) * 2022-05-09 2023-11-16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23219256A1 (ko) * 2022-05-09 2023-11-16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2695675B1 (ko) * 2022-05-09 2024-08-16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079B1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11293206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KR101904983B1 (ko) 개폐 부재의 잠금 장치
US7181777B2 (en) Shield mounting device for helmet
US8214000B2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US20050115152A1 (en) Rack-mounted door assembly
JP2019102764A (ja) 防水型の開閉蓋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50276022A1 (en) Computer bezel
CN104812537B (zh)
WO2012042773A1 (ja) 電子機器
KR20140086997A (ko) 끽연 물품용 패키지
KR20140081791A (ko)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DE602004031351D1 (de) Versiegelungsvorrichtung
US93827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ngaging member for holding a cover in an opened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CN110812089A (zh) 一种啮紧机构、应用该啮紧机构的转动模组及手术床
EP2525030A1 (en) Magnet catch
KR101156622B1 (ko) 다용도 헬멧
WO2021152921A1 (ja) シールドロック機構、およびヘルメット
JP5327118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組付構造
KR101701243B1 (ko) 헬멧
JP2011190637A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KR10175889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 지지구조
JP5948225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5749532B2 (ja) 遊技盤固定機構、遊技機及び遊技盤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